KR20230001453U -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453U
KR20230001453U KR2020220000065U KR20220000065U KR20230001453U KR 20230001453 U KR20230001453 U KR 20230001453U KR 2020220000065 U KR2020220000065 U KR 2020220000065U KR 20220000065 U KR20220000065 U KR 20220000065U KR 20230001453 U KR20230001453 U KR 202300014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eaves
pop
roof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완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니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니캠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니캠프
Priority to KR2020220000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453U/ko
Publication of KR20230001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453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vertible, e.g. from one type tent to another type tent, from tent to canopy or from tent cover into divers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어 전개 또는 접철되는 팝업루프텐트의 접철 시 텐트의 처마가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텐트의 전면에 형성되는 도어부, 상기 텐트의 전면 상측으로부터 전면 중앙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부의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처마,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처마의 중앙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텐트의 전면 하측까지 연장되는 처마다리,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제 1체결수단 및 상기 처마의 전면 중앙측을 상기 처마의 전면 상측과 결합 및 분리시키는 제 2체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pinch Of Pop-Up Roof Tent}
본 고안은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어 전개 또는 접철되는 팝업루프텐트의 접철 시 텐트의 처마가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차량을 이용한 캠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동차의 지붕에 텐트를 설치하는, 소위 팝업루프텐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팝업루프텐트는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가동프레임,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 측으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마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프레임의 움직임에 따라 전개 또는 접철되는 텐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팝업루프텐트는 상기 처마가 상기 도어의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가동프레임이 닫혀질 때,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 사이에 끼워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팝업루프텐트는 상기 가동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과 제대로 맞물려 지지 않아 빗물 등의 이물질과 외기가 프레임 간의 틈을 통하여 차량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는 경우 텐트 또는 프레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접철 시 텐트의 처마가 프레임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으로부터 들어올려져 개폐되는 가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프레임의 움직임에 따라 전개 또는 접철되는 텐트로 구성되는 팝업루프텐트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텐트의 전면에 형성되는 도어부, 상기 텐트의 전면 상측으로부터 전면 중앙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도어부의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처마,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처마의 하단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텐트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처마다리,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제 1체결수단 및 상기 처마의 하단 중앙 측을 상기 처마의 상부 중앙 측과 결합 및 분리시키는 제 2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처마는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형상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텐트의 전방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체결수단은 지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체결수단은 상기 처마의 하단 중앙 측에 형성되는 제 1벨크로 및 상기 처마의 상부 중앙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벨크로와 탈부착되는 제 2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으로부터 들어올려져 개폐되는 가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프레임의 움직임에 따라 전개 또는 접철되는 텐트로 구성되는 팝업루프텐트에 있어서, 텐트 접철 시 텐트의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처마가 프레임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텐트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고안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가 적용된 팝업루프텐트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의 전체적인 구성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의 사용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인 상태에서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가 적용된 팝업루프텐트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또한, 도 2와 3은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의 전체적인 구성과 사용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인 상태에서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가 적용되는 팝업루프텐트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F1)과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기 고정프레임(F1)으로부터 들어올려져 개폐되는 가동프레임(F2) 및 상기 고정프레임(F1)과 상기 가동프레임(F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프레임(F2)의 움직임에 따라 전개 또는 접철되는 텐트(T)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은 유공압실린더, 리니어모터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승강구조는 기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프레임(F2)은 상기 고정프레임(F1)에 대하여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프레임(F1)에 대하여 어느 일 측이 다른 일 측보다 높게 들어올려지도록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트(T)는 방수 기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직물 등을 포함하여 텐트에 적용되는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가 적용되는 팝업루프텐트는 전방 측이 차량에 후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팝업루프텐트에 적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는 도어부(100)와 처마(200)와 처마다리(300)와 제 1체결수단(400) 및 제 2체결수단(5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부(100)는 상기 텐트(T)의 전면에 형성되며, 창문 또는 출입문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부(100)는 지퍼 등의 수단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처마(200)는 빗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도어부(100) 측을 통하여 상기 텐트(T)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텐트(T)의 전면 상측으로부터 전면 중앙측으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도어부(100)의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처마(200)는 상기 텐트(T)의 전면 중앙 측에 형성되는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형상유지부(21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형상유지부(210)는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중앙부가 상기 텐트(T)의 전방 측으로 최대 돌출되는 만곡 형상으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처마다리(300)는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310)를 포함하여 상기 처마(200)의 하단부 양측 또는 상기 형상유지부(21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텐트(T)의 하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마다리(300)는 상기 처마(200)의 하단부 측의 면적이 상기 텐트(T)의 하부 측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310)는 상기 텐트(T)의 전방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체결수단(400)은 상기 절개부(310)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퍼 등을 포함한 다양한 체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체결수단(500)은 상기 처마(200)의 하단부 중앙 측을 상기 처마(200)의 상부 중앙 측과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벨크로, 체결고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체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체결수단(500)은 상기 처마(200)의 하단부 중앙 측에 형성되는 제 1벨크로(510) 및 상기 처마(200)의 상부 중앙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벨크로(510)와 탈부착되는 제 2벨크로(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가 적용된 팝업루프텐트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F1)에 대하여 상기 가동프레임(F2)이 최대로 승강된 상태로 상기 텐트(T)가 전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체결부재(400)에 의하여 상기 절개부(310)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처마(200)는 상기 형상유지부(210)에 의하여 중앙부가 상기 도어부(100)의 전방 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벨크로(510)와 상기 제 2벨크로(520)는 분리되어 상하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상기 텐트(T)를 접철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체결부재(400)를 통하여 상기 절개부(310)를 개방하고 상기 제 1벨크로(510)를 상기 제 2벨크로(520)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처마(200)의 하단 중앙부는 상기 처마(200)의 상측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처마(200)가 상기 도어부(110)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오히려 상기 도어부(110) 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이후, 상기 가동프레임(F2)이 상기 고정프레임(F1) 측으로 하강하여 상기 텐트(T)가 접철되면 상기 처마(200)는 중앙 측이 상기 텐트(T)의 내측으로 접혀져 상기 고정프레임(F1)과 상기 가동프레임(F2)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F1. 고정프레임
F2. 가동프레임
T. 텐트
100. 도어부
200. 처마
210. 형상유지부
300. 처마다리
310. 절개부
400. 제 1체결수단
500. 제 2체결수단
510. 제 1벨크로
520. 제 2벨크로

Claims (5)

  1.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으로부터 들어올려져 개폐되는 가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프레임의 움직임에 따라 전개 또는 접철되는 텐트로 구성되는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텐트의 전면에 형성되는 도어부;
    상기 텐트의 전면 상측으로부터 전면 중앙 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도어부의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처마;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처마의 하단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텐트의 하측까지 연장되는 처마다리;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제 1체결수단; 및
    상기 처마의 하단 중앙 측을 상기 처마의 상부 중앙 측과 결합 및 분리시키는 제 2체결수단;을 포함하는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는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형상유지부를 포함하는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텐트의 전방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체결수단은 지퍼인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체결수단은 상기 처마의 하단 중앙 측에 형성되는 제 1벨크로; 및
    상기 처마의 상부 중앙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벨크로와 탈부착되는 제 2벨크로;를 포함하는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
KR2020220000065U 2022-01-10 2022-01-10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 KR202300014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65U KR20230001453U (ko) 2022-01-10 2022-01-10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065U KR20230001453U (ko) 2022-01-10 2022-01-10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53U true KR20230001453U (ko) 2023-07-18

Family

ID=8742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065U KR20230001453U (ko) 2022-01-10 2022-01-10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45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7819A (en) Modular car cover
US9409628B2 (en) Suspended boat cover
US6662816B1 (en) Canopy vent
KR20170081591A (ko) 자동차 날개형 빗물 차단막
US6979045B1 (en) Window system for convertible motor vehicles
KR20230001453U (ko) 팝업루프텐트의 끼임방지구조
KR20160057701A (ko) 차량용 비막이 장치
KR102149258B1 (ko) 라이너 기능 및 연장타프기능의 클래식 가변 텐트
CN209063866U (zh) 一种车门顶部启闭式挡雨装置
KR20190001495U (ko) 해치백 자동차용 텐트연결구조
US20080001428A1 (en) Foldable wind breaker
KR102580298B1 (ko) 버스 비막이 장치
KR20080002253U (ko) 차량용 차양막겸 방충망
US20090101289A1 (en) Compactable temporary vehicle window screen with privacy panel
US6705673B1 (en) Latched wind deflector system
CN214689930U (zh) 一种三轮车车棚
CN211691756U (zh) 一种带有拉帘式换气百叶窗的篷房结构
KR102310060B1 (ko) 텐트
CN208578407U (zh) 帐篷窗户结构及帐篷
KR102606797B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101912087B1 (ko) 자동차 창문에 설치되는 방충 겸용 가림개
KR102325701B1 (ko) 차량연결형 캠핑 텐트
CN202573764U (zh) 一种密闭的汽车保护罩
CN220203569U (zh) 车顶帐篷和车辆
CN2904725Y (zh) 双层抗风伞的伞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