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060B1 - 텐트 - Google Patents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060B1
KR102310060B1 KR1020200040930A KR20200040930A KR102310060B1 KR 102310060 B1 KR102310060 B1 KR 102310060B1 KR 1020200040930 A KR1020200040930 A KR 1020200040930A KR 20200040930 A KR20200040930 A KR 20200040930A KR 102310060 B1 KR102310060 B1 KR 10231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upling means
coupling
coupled
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큐브
Priority to KR102020004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060B1/ko
Priority to JP2021063077A priority patent/JP7249683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빗물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는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와; 상기 제1시트부(100)에 결합되며,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상기 제2시트부(200)와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되는 부분과 함께 이중차단구조를 형성하는 이중차단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텐트{Tent}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빗물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등산, 낚시, 캠핑과 같은 레저 생활 시 야영지에서 임시 거처로 사용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여행 목적 또는 사용자 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제작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형태를 가지고 제작되는 텐트들 모두는 공히 사람이 내부로 드나들면서도 외부와 내부를 서로 분리하며, 바람, 빗물, 눈 등 외부요인을 차단하는 출입문이 설치된다.
한편 종래의 텐트 출입문은, 단순히 지퍼를 통해 열고 닫는 구조로 형성되는 바, 우천환경에서는 지퍼가 잠겨있는 틈으로 빗물이 스며들어 텐트 내부에 빗물이 침투되는 등 빗물이 완전히 차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 빗물 차단형 텐트는, 출입문에 이중 방수지퍼를 갖는 텐트를 개시하면서, 지퍼의 구조를 이중으로 하여 기밀성을 높여 빗물의 침투를 차단하고자 하였으나, 지퍼 양단의 텐트 천을 지퍼로 결합하는 구성 자체는 동일한 바, 빗물 차단이 완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중구조의 지퍼 사이에 빗물이 고여 지퍼를 따라 흘러내림으로써 빗물 차단이 완전하지 못하고 빗물이 내부로 여전히 침투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 빗물 차단형 텐트로서, 출입문에 형성되는 지퍼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되도록 졸대를 설치하여 빗물이 지퍼 측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빗물이 흐르는 것을 유도하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빗물 차단형 텐트는, 졸대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출입문에 설치하여야 하는 바, 제작 단가가 증가하고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졸대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출입문에 설치하는 경우, 출입자의 출입문을 통한 출입에 일부 방해를 줄 수 있고 출입문으로서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도 빗물 차단기능이 뛰어나고 사용자의 출입이 원활한 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는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와; 상기 제1시트부(100)에 결합되며,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상기 제2시트부(200)와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되는 부분과 함께 이중차단구조를 형성하는 이중차단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를 개시한다.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상기 제2결합수단(400)보다 텐트 외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중차단부(500)는, 상기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상기 제2시트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상기 제2시트부(200)가 상기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수단(300)을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이 하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빗물유도유로(S)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상기 제2시트부(20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결합수단(300)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수단(30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결합수단(300)을 복개하는 복개부(6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개부(600)는, 일측이 상기 제1시트부(100)에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수단(300)을 복개하도록 타측이 상기 제2시트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개시트(610)와; 상기 복개시트(610)를 상기 제2시트부(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수단(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상기 제2시트부(200)는, 상기 제1결합수단(300)의 결합라인을 따라서 재봉라인(L)이 형성되며,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상기 제2시트부(2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재봉라인을 통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재봉라인에 대응되어 내측면에 부착되는 방수부재(7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출입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시트가 분리된 부분에서 이중차단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우천환경에서 시트의 결합부분을 통하여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시트의 결합부분에서 이중차단구조, 특히 이중 지퍼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통해 출입자의 출입이 원활하면서도,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시트의 결합부분에서 이중차단구조, 특히 이중 지퍼구조에 빗물이 일부 침투한 상태에서도 침투한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텐트 하측으로 떨어지도록 빗물을 가이드하는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빗물의 내부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시트의 결합부분에서 이중차단구조, 특히 이중 지퍼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통해 빗물을 차단함으로써, 그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텐트 중, 출입문이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도이다.
도 3은, 도 1의 텐트 중, 출입문의 일부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도이다.
도 4는, 도 1의 텐트 중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텐트 내부에서 본 부분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Ⅴ-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 또는 도 5의 상태에서 제1결합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텐트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는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와; 제1시트부(100)에 결합되며,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제2시트부(200)와 결합되어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되는 부분과 함께 이중차단구조를 형성하는 이중차단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야외에서 외부와 분리되는 독립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시중에 개시된 어떠한 형태의 텐트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알파인 텐트, 리빙쉘 텐트, 티피 텐트, 돔형 텐트, 캐빈 텐트, 자동 팝업 텐트 등 사용자가 내부공간과 외부 사이에서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가 형성되는 종래 개시된 어떠한 형태의 텐트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하여 시트가 분리/결합되도록 시트에 형성되는 분리부분, 즉 사용자가 출입하는 출입구에서 우천시 빗물이 내부공간으로 들어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출입의 용이성을 담보하면서도, 우천에 따른 빗물이 출입구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는, 텐트를 구성하는 일 부분으로서,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되어 사용자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지상을 기준으로 텐트의 측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는, 텐트를 구성하는 전체 시트에서 출입구 형성을 위하여 서로 분리된 부분으로서 분리된 부분을 제외하고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는, 텐트 설치용 폴 등에 결합 또는 고정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시트로 구성되는 등 외부환경에 설치되는 텐트의 특성상 다양한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방수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는, 각각 하단에서 연장형성되는 스커트부(110, 2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커트부(110, 210)는,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의 하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지면에 밀착되어 외부에서 내부공간으로 곤충,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 2개의 시트를 결합시키는 결합구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퍼구조-에 따라서 벨크로 구조, 지퍼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지퍼구조로서 제1시트부(100)에 결합된 제1결합라인(320)과, 제2시트부(200)에 결합된 제2결합라인(330)과, 제1결합라인(320) 및 제2결합라인(330)을 따라서 이동되어 제1결합라인(320) 및 제2결합라인(330)을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제1지퍼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라인(320)은, 제1시트부(100)에 결합된 지퍼의 일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결합라인(320)은, 텐트를 기준으로 상하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출입구 형태를 고려하여 'U'자 또는 'U'자가 반전된 곡선 형태, 사각형 형태 등 다양한 출입구 형태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라인(320)은, 후술하는 제2시트부(200)에 결합된 제2결합라인(330)과 대응되어 제1지퍼부재(310)의 이동에 따라 제2결합라인(330)과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1차적으로 출입구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라인(330)은, 제2시트부(200)에 결합된 지퍼의 일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라인(330)은, 제1시트부(100)에 결합된 제1결합라인(320)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제1지퍼부재(310)의 이동에 따라 제1결합라인(320)과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출입구를 1차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1지퍼부재(310)는, 제1결합라인(320) 및 제2결합라인(330)을 따라서 이동되어 제1결합라인(320) 및 제2결합라인(330)을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구성으로서, 지퍼의 일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이중차단부(500)는, 제1시트부(100)에 결합되며,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제2시트부(200)와 결합되어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되는 부분과 함께 이중차단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이중차단부(500)는,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되는 부분과 함께 이중차단구조를 형성하는 바 일측이 제1시트부(1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제2시트부(200)에 결합되어 이중차단 구조를 형성함을 고려하여 차단시트(5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와 동일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중차단부(500)는, 제2시트부(200)와 별도의 시트로 구성되거나, 제2시트부(200)와 하나의 시트를 이룰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단부에 후술하는 제3결합라인(420)가 결합되고 단부의 내측 부분에 제1결합라인(32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중차단부(500)를 구성하는 차단시트(510)의 내측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라인(320)를 기준으로 제2시트부(200)의 내측면과 일부가 서로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차단부(500)를 구성하는 차단시트(510)의 일측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라인(32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수단(400)은, 이중차단부(500)가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되는 부분과 함께 이중차단구조를 형성하도록 이중차단부(500)의 타측과 제2시트부(200)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 2개의 시트를 결합시키는 결합구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퍼구조-에 따라서 벨크로 구조, 지퍼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제2결합수단(400)은, 지퍼구조로서 이중차단부(500)의 타측에 결합된 제3결합라인(420)과, 제2시트부(200)에 결합된 제4결합라인(430)과, 제3결합라인(420) 및 제4결합라인(430)을 따라서 이동되어 제3결합라인(420) 및 제4결합라인(430)을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제2지퍼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결합수단(400)은, 제1결합수단(300)과 함께 이중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바 제1결합수단(300)의 형성 경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결합라인(420)은, 이중차단부(500)의 타측에 결합된 지퍼의 일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3결합라인(420)은, 텐트를 기준으로 상하 직선으로 형성되거나, 출입구 형태를 고려하여 'U'자 또는 'U'자가 반전된 곡선 형태, 사각형 형태 등 다양한 출입구 형태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제1결합라인(320)의 형성 경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3결합라인(420)은, 후술하는 제2시트부(200)에 결합된 제4결합라인(430)과 대응되어 제2지퍼부재(410)의 이동에 따라 제4결합라인(430)과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출입구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4결합라인(430)은, 제2시트부(200)에 결합된 지퍼의 일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4결합라인(430)은, 이중차단부(500)의 타측에 결합된 제3결합라인(420)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제2지퍼부재(410)의 이동에 따라 제3결합라인(420)과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출입구를 2차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결합라인(430)은, 앞서 설명한 제2결합라인(330)과 내외측 방향으로 서로 겹치는 위치 중 내부공간 측, 즉 제2결합라인(330)의 뒷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시트부(200)는, 제1시트부(100) 측 끝단에서 갈라져서 형성되거나, 별도로 재봉, 접합 등을 통해 결합되어 구비되는 제1, 2결합부분(211, 2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시트부(200)는, 제2결합라인(330)이 형성되도록 끝단에 제1결합부분(2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결합부분(211)으로부터 갈라져서 형성되거나, 재봉, 접합 등을 통해 제1결합부분(211)과 결합되어 형성되는 제2결합부분(212)을 통해 제4결합라인(430)이 형성되어 이중차단부(500)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지퍼부재(410)는, 제3결합라인(520) 및 제4결합라인(430)을 따라서 이동되어 제3결합라인(420) 및 제4결합라인(430)을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구성으로서, 지퍼의 일부분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결합수단(400)은, 제1결합수단(300)에 비해 텐트를 기준으로 내부공간 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2시트부(200)를 기준으로 제1시트부(100) 측 끝단에 외부공간으로부터 내부공간 방향으로 제2결합라인(330) 및 제4결합라인(430)이 겹치도록 나란히 형성되는 바, 정면 상 제1결합수단(300)가 제2결합수단(400)보다 앞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수단(300)가 제2결합수단(400)에 비해 외부공간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수단(400)은, 제1결합수단(300)와 같이 종래 개시된 어떠한 형태의 지퍼도 적용 가능하며, 예로서, 이중차단부(500)의 제2시트부(200) 측 끝단에 결합되는 제3결합라인(420)과 제2시트부(200)에 결합된 제4결합라인(240)이 서로 맞물려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결합수단(400)은, 제2시트부(200)와 이중차단부(500) 사이를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제1결합수단(300)을 통한 출입구의 1차적인 폐쇄 및 개방과 독립적으로 2차적으로 출입구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차단부(500), 제1결합수단(300) 및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이중차단구조와 함께 유입되는 빗물이 하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빗물유도유로(S)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중차단부(500), 제1결합수단(300) 및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중차단구조는, 제1결합수단(300)을 통해 내부로 침투하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제1결합수단(300)을 통해 내부로 침투한 빗물이 제2결합수단(400)를 통해 텐트의 내부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차단부(500), 제1결합수단(300) 및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중차단구조는, 빗물유도유로(S)를 형성함으로써, 제1결합수단(300)을 통과하여 내부로 침투하는 빗물이 빗물유도유로(S)를 통해 하측으로 흘러내려가 텐트의 내부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빗물유도유로(S)는, 제1결합수단(300)을 통과하여 투입되는 빗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텐트의 상측과 하측에서의 빗물차단시트(510)의 폭을 달리하여 경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텐트의 상측으로 갈수록 빗물차단시트(510)의 폭이 커지거나 폭이 작아져 빗물유도유로(S)가 상하기준으로 경사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침투된 빗물이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빗물유도유로(S)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차단부(500), 제1결합수단(300) 및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결합되는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의 결합구조는, 단순히 굽어진 상태가 아닌, 굽어진 상태에서 말아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제1결합수단(300)을 통과하여 내부로 침투한 빗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면서도, 제2결합수단(400)를 추가로 통과하여 침투하는 빗물을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중차단부(500), 제1결합수단(300) 및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의 결합구조는, 굽어진 접힘부분이 내부공간에서 제2시트부(20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2시트부(200) 측으로 말아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 중 어느 하나에 제1결합수단(300)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결합수단(30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도록 제1결합수단(300)을 복개하는 복개부(6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개부(600)는,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 중 어느 하나에 제1결합수단(300)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결합수단(30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도록 제1결합수단(300)을 복개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복개부(600)는, 텐트의 최외측면에서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 중 어느 하나에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제2시트부(200) 또는 제1시트부(100)와 결합 및 분리함으로써, 제1결합수단(300)을 복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개부(600)는, 제1시트부(100)의 제2시트부(200) 측 끝단에서 제2시트부(200)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개시트(610)와, 복개시트(610)와 제2시트부(200)가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복개시트(610) 및 제2시트부(200)에 구비되는 탈착수단(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개시트(610)는, 제1시트부(100)의 제2시트부(200) 측 끝단에서 제2시트부(200)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복개시트(6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시트부(100)의 제2시트부(200) 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1결합라인(320)을 기준으로, 텐트의 외부공간 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시트부(100)의 제2시트부(200) 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1결합라인(320)을 기준으로, 텐트의 외부공간 측에서는 복개시트(610)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텐트의 내부공간 측에서는 전술한 이중차단부(500)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개시트(610)는, 제1결합수단(300)을 충분히 복개할 수 있는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제1시트부(100)와 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접어져 사용자가 출입구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접어져 제1시트부(100) 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출입구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펼쳐져 제2시트부(200)에 제1결합수단(300)을 복개하면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복개시트(610)는, 제1시트부(100)의 제1결합라인(320)이 결합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제1결합라인(320)의 제1시트부(100) 측 끝단에 재봉 또는 접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차단시트(510)는, 제1시트부(100)의 제1결합라인(320)을 기준으로, 복개시트(610)보다 제1시트부(100) 중 제1결합라인(320) 반대측으로 상대적으로 더 이동한 위치에서 재봉 또는 접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탈착수단(620)은, 복개시트(610)와와 제2시트부(200)가 서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복개시트(610) 및 제2시트부(20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탈착수단(620)은, 복개시트(610)의 제2시트부(200) 대향면에 구비되는 제1탈착수단(621)과, 제2시트부(200)의 복개시트(610)의 대향면에 구비되는 제2탈착수단(622)을 포함하여, 제1탈착수단(621) 및 제2탈착수단(622)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수단(620)은, 종래 개시된 어떠한 형태의 탈착수단도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접착테이프, 단추, 스냅 단추, 자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수단(620)은, 벨크로와 같은 접착테이프로서, 제2결합라인(330)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으며, 복개시트(610)에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텐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상기 제2시트부(2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재봉라인에 부착되는 방수부재(7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재(700)는,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 중 적어도 하나의 재봉라인(L)에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방수부재(7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의 재봉라인(L)을 통한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텐트의 내부공간 측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효과적인 빗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4결합라인(430)이 형성되는 제2시트부(200)의 재봉라인(L)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중차단부(500)와 제1시트부(100)의 접점에 형성되는 재봉라인(L)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부재(700)는, 어떠한 형태의 방수부재도 설치 가능하며, 방수테이프 등이 적용되어 부착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시트부 200: 제2시트부
300: 제1결합수단 400: 제2결합수단
500: 이중차단부 600: 복개부
700: 방수부재

Claims (6)

  1.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는 제1시트부(100) 및 제2시트부(200)와;
    상기 제1시트부(100)에 결합되며,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상기 제2시트부(200)와 결합되어 상기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되는 부분과 함께 이중차단구조를 형성하는 이중차단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수단(300)은,
    상기 제2결합수단(400)보다 텐트 외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이중차단부(500)는,
    상기 제2결합수단(400)에 의하여 상기 제2시트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상기 제2시트부(200)가 상기 제1결합수단(300)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수단(300)을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이 하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빗물유도유로(S)를 형성하며,
    상기 이중차단부(500)는,
    상기 제2결합수단(400)을 통해 상기 제2시트부(20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빗물유도유로(S)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상기 제2시트부(20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결합수단(300)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수단(30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결합수단(300)을 복개하는 복개부(6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개부(600)는,
    일측이 상기 제1시트부(100)에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수단(300)을 복개하도록 타측이 상기 제2시트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개시트(610)와;
    상기 복개시트(610)를 상기 제2시트부(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수단(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상기 제2시트부(200)는,
    상기 제1결합수단(300)의 결합라인을 따라서 재봉라인(L)이 형성되며,
    상기 제1시트부(100) 및 상기 제2시트부(2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재봉라인을 통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재봉라인에 대응되어 내측면에 부착되는 방수부재(70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KR1020200040930A 2020-04-03 2020-04-03 텐트 KR10231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930A KR102310060B1 (ko) 2020-04-03 2020-04-03 텐트
JP2021063077A JP7249683B2 (ja) 2020-04-03 2021-04-01 テン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930A KR102310060B1 (ko) 2020-04-03 2020-04-03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060B1 true KR102310060B1 (ko) 2021-10-08

Family

ID=7800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930A KR102310060B1 (ko) 2020-04-03 2020-04-03 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249683B2 (ko)
KR (1) KR1023100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951Y1 (ko) * 1995-08-23 1998-10-15 서충실 이중 방수지퍼를 갖는 텐트
KR20050048812A (ko) * 2003-11-20 2005-05-25 경 재 최 텐트용 도어의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8705U (ko) * 1975-02-01 1976-08-07
FR2501020A1 (fr) * 1981-03-06 1982-09-10 Enjalric Raoul Dispositif de fermeture etanche, souple et deformable
US9714523B2 (en) 2015-08-28 2017-07-25 Hdt Expeditionary Systems, Inc. Selectively connectable softside shel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951Y1 (ko) * 1995-08-23 1998-10-15 서충실 이중 방수지퍼를 갖는 텐트
KR20050048812A (ko) * 2003-11-20 2005-05-25 경 재 최 텐트용 도어의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49683B2 (ja) 2023-03-31
JP2021161865A (ja) 202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8635A (en) Tent
US9243421B2 (en) Foldable tent
US7721746B2 (en) Moisture diversion system for a collapsible structure
US7703468B2 (en) Tent with extendable windows
JP3920858B2 (ja) テント
US3586013A (en) Tent with drop cloth threshold construction
US6216715B1 (en) Convertible tent for rain, cold, and hot conditions
KR102116841B1 (ko) 차량용 텐트
US20050092355A1 (en) Tent with skylight
KR101700663B1 (ko) 차량 연결 기능을 갖는 텐트
KR102310060B1 (ko) 텐트
KR20190093344A (ko) 텐트용 방수 스커트
US7707662B2 (en) Obstacle avoidance method for pool covers using lockable zipper elements
KR101244224B1 (ko) 조립식 캠핑 텐트
GB2426986A (en) Tent having a cover panel mounted on a flexible element
US7712160B2 (en) Obstacle avoidance method for pool covers using zipper elements
US3621858A (en) Tent construction
WO2016073921A1 (en) Vent control system for tent
KR200433027Y1 (ko) 완전 개폐형 환기창이 구비된 텐트
KR100926452B1 (ko) 텐트의 차양막 구조
US9784010B2 (en) Moveable cover assembly for shelter structures
KR102325701B1 (ko) 차량연결형 캠핑 텐트
KR102550256B1 (ko) 차량용 방충망
KR102535248B1 (ko) 격벽 구조를 통한 단독 사용이 가능한 차박 텐트
KR101324728B1 (ko) 캐노피 기능을 갖는 천막형 체육시설용 출입구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