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941U -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941U
KR20230000941U KR2020210003333U KR20210003333U KR20230000941U KR 20230000941 U KR20230000941 U KR 20230000941U KR 2020210003333 U KR2020210003333 U KR 2020210003333U KR 20210003333 U KR20210003333 U KR 20210003333U KR 20230000941 U KR20230000941 U KR 202300009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ire
unit
tube member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802Y1 (ko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to KR2020210003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02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9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수구조물을 지지하는 와이어의 장력을 균일하게 하고 와이어의 변위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제1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스타트유닛;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엔드브래킷과, 상기 엔드브래킷에 설치되는 풀리를 가지는 엔드유닛; 양단부는 상기 스타트유닛에 결합되며, 중앙부는 상기 풀리의 일부를 감싸는 단일의 와이어; 및 상기 엔드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풀리의 일부를 감싼 후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가 내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방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유닛은,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튜브부재와, 상기 튜브부재의 상부 영역이 삽입되는 상부삽입홈을 가지는 상부커버와, 상기 튜브부재의 하부 영역이 밀착되는 하부삽입홈을 가지는 하부커버와, 상기 튜브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를 상기 엔드브래킷에 고정 결합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WIREWAY APPARATUS HAVING A VIBRATION PROOF UNIT}
본 고안은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구조물을 지지하는 와이어의 장력을 균일하게 하고 와이어의 변위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스웨이(Raceway)는 전기배선을 위해 흔히 대형건물의 주차장이나 기계실 등의 노출 천장에 설치되는 일종의 배선용 덕트를 의미한다. 상기 레이스웨이는 바닥판이나 벽체 또는 천장 등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실내 천장면에 행거를 박아 설치한 다음 상기 행거의 하단에 레이스웨이를 매다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행거가 상기 레이스웨이들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레이스웨이의 설치구조에서는 지진과 같은 진동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이러한 진동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행거가 천장면에서 분리되거나 심한 진동으로 인하여 레이스웨이가 행거에서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76026호(2017. 09. 0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58079호(2020. 09. 21.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는 진동 발생 시 현수구조물을 지지하는 와이어의 장력을 균일하게 하고 와이어의 변위를 최소화시켜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는, 제1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스타트유닛;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엔드브래킷과, 상기 엔드브래킷에 설치되는 풀리를 가지는 엔드유닛; 양단부는 상기 스타트유닛에 결합되며, 중앙부는 상기 풀리의 일부를 감싸는 단일의 와이어; 및 상기 엔드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풀리의 일부를 감싼 후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가 내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방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유닛은,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튜브부재와, 상기 튜브부재의 상부 영역이 삽입되는 상부삽입홈을 가지는 상부커버와, 상기 튜브부재의 하부 영역이 밀착되는 하부삽입홈을 가지는 하부커버와, 상기 튜브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를 상기 엔드브래킷에 고정 결합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는, 상기 관통공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의 외측 표면 중 일부 표면을 접촉 지지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상부 영역을 감싸는 상부튜브부재와, 상기 와이어의 하부 영역을 감싸는 하부튜브부재와, 상기 상부튜브부재 및 상기 하부튜브부재를 연결하는 탄성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드유닛은,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풀리의 회전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한 마찰력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드브래킷은, 상기 풀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풀리의 상면 일부를 개방시키는 관통부를 가지는 상부판과, 상기 풀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풀리의 하면을 지지하며, 결합공을 가지는 하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력조절부는, 상기 풀리의 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풀리를 관통한 하단부가 상기 결합공에 나사 결합되는 축부재와, 상기 관통부를 관통한 상기 축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공에 상기 축부재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조절부와, 상기 관통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부에 의해 개방된 상기 풀리의 상면에 안착되는 마찰판과, 상기 조절부 및 상기 마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마찰판을 가압하여 상기 풀리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조절부는, 상기 축부재가 관통되도록 중공 구조를 이루며,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서 상기 조절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마찰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의 최대 탄성복원력을 제한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진유닛을 통하여 풀리의 일부를 감싸면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와이어의 진동을 흡수하여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의 장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풀리의 회전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진동 발생 시 현수구조물을 지지하는 와이어의 장력을 균일하게 하고 풀리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와이어의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엔드유닛은 와이어의 장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풀리의 회전마찰력을 조절하는 마찰력조절부를 가짐으로써, 현수구조물의 종류 및 설치 장소 등 다양한 진동 특성에 대응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웨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타트유닛, 엔드유닛 및 와이어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진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6는 도 2의 엔드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엔드유닛의 단면예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웨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타트유닛, 엔드유닛 및 와이어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와이어웨이 장치는 제1수직프레임(100), 제2수직프레임(200), 스타트유닛(300), 엔드유닛(400), 와이어(500) 및 방진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직프레임(200)은 각각 상단부가 천장에 결합되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직프레임(200)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스타트유닛(300)은 스타트브래킷(31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타트브래킷(310)은 제1수직프레임(10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스타트브래킷(310)은 일단부가 제1힌지축(390)에 의해 제1수직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부에는 와이어(50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타트유닛(300)은 장력조절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력조절부(320)는 와이어(500)의 양단부를 동시에 당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와이어(500)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와이어(500)는 단일 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풀리(440)를 기준으로 일측의 와이어(500a) 및 타측의 와이어(500b)는 동일한 장력을 가질 수 있다.
장력조절부(320)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스타트브래킷(3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타트브래킷(310)과 와이어(5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320)에 일체로 구비되는 탄성부재는 와이어(500)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스타트브래킷(310)과 와이어(500)의 사이에서 압축 변형될 수 있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와이어(500)에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갖는 장력조절부(320)는 장력조절 게이지를 통하여 현재 와이어(500)의 장력 상태를 외부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장력조절 게이지를 바탕으로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을 조절 및 재설정할 수 있다.
한편, 와이어웨이 장치는 조임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와이어(500)의 양단부는 스타트브래킷(310)의 걸림구를 통과해 와이어(500)와 겹쳐지고, 조임구(510)에 의해 각각 조여질 수 있다.
엔드유닛(400)은 제2수직프레임(20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일단부가 제2힌지축(490)에 의해 제2수직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부에는 와이어(500)가 결합될 수 있다.
엔드유닛(400)은 엔드브래킷(4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엔드브래킷(410)은 연결브래킷(420) 및 풀리브래킷(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브래킷(420)은 일단부가 제2힌지축(490)에 의해 제2수직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풀리브래킷(430)은 일단부가 연결브래킷(42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풀리(44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430a)을 가질 수 있다.
엔드유닛(400)은 풀리(4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풀리(440)는 풀리브래킷(430)의 설치공간(430a)에 설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엔드유닛(40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추가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와이어(500)는 단일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500)는 일단부가 스타트유닛(300)에 결합되고, 엔드유닛(400)을 향해 연장되어 엔드유닛(400)의 풀리(440)의 일부를 감싼 후, 다시 스타트유닛(300)으로 연장되어 타단부도 스타트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와이어(500)는 양단부가 스타트유닛(300)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엔드유닛(400)의 풀리(4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500)는 스타트유닛(300) 및 엔드유닛(400)에 의해 제1방향(A1)을 따라 수평하게 당겨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엔드유닛(400)의 풀리(440)를 기준으로 일측의 와이어(500a) 및 타측의 와이어(500b)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방진유닛(700)은 엔드유닛(40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엔드유닛(400)의 엔드브래킷(410)에 설치될 수 있다.
방진유닛(700)은 풀리(440)의 일부를 감싼 후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와이어(500)가 내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방진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추가 참조하면, 방진유닛(700)은 튜브부재(710), 상부커버(720), 하부커버(730) 및 결합구(74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부재(7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500)가 관통하는 관통공(711)을 가질 수 있다. 튜브부재(710)는 풀리(440)를 기준으로 일측의 와이어(500a) 및 타측의 와이어(500b)에 대응하여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튜브부재(710)는 고무나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부재(710)는 와이어(500)의 진동을 흡수하여 저감할 수 있으며, 진동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튜브부재(710)의 양단부에는 플랜지부(713)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713)는 상부커버(720) 및 하부커버(730)의 양측면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즉, 튜브부재(710)는 상부커버(720) 및 하부커버(730)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방향(A1)으로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500)의 장력 변화 시 튜브부재(710)의 관통공(711)으로부터 와이어(500)는 제1방향(A1)으로 슬립될 수 있다.
상부커버(720)는 하면에 튜브부재(710)의 상부 영역이 삽입되는 상부삽입홈(721)을 가질 수 있다. 상부삽입홈(721)은 한 쌍의 튜브부재(710)와 대응하게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720)는 결합구(740)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상부관통공(722)을 가질 수 있다.
하부커버(730)는 상면에 튜브부재(710)의 하부 영역이 삽입되는 하부삽입홈(731)을 가질 수 있다. 하부삽입홈(731)은 한 쌍의 튜브부재(710)와 대응하게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부커버(730)는 결합구(740)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하부관통공(73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커버(720) 및 하부커버(730)는 한 쌍의 튜브부재(710)를 사이에 두고 밀착될 수 있다.
결합구(740)는 튜브부재(710)를 사이에 두고 상부커버(720) 및 하부커버(730)를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구(740)는 상부커버(720) 및 하부커버(73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엔드브래킷(4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튜브부재(710)를 사이에 두고 상부커버(720) 및 하부커버(73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결합구(740)를 상부관통공(722) 및 하부관통공(732)에 차례로 관통시키고, 이후 엔드브래킷(410)의 연장판(434)의 제5결합공(434a)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740)는 연장판(434)의 제5결합공(434a)에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부커버(720) 및 하부커버(730) 사이에 배치된 튜브부재(710)의 압착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튜브부재(710)의 압착 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1방향(A1)으로 슬립되는 와이어(500)와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튜브부재(71)는 돌기부(7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712)는 관통공(711)의 내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711)에 삽입된 와이어(500)의 외측 표면 중 일부 표면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712)는 제1방향(A1)을 따라 이격하여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돌기부(71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지되진 않았지만, 돌기부는 관통공(7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때 각각의 돌기부는 제1방항(A1)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712)는 관통공(711)을 관통하는 와이어(500)를 상대적으로 작은 접촉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력 변화에 따른 와이어(500)의 제1방향(A1) 슬립 이동을 허용하여 풀리(440)의 자유로운 회전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와이어(5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재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튜브부재(710)의 관통공(711)의 내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돌기부(712)는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위접촉부(712a)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복수개의 단위접촉부(712a)를 가지는 돌기부(712)를 통하여, 와이어(500)의 외측 표면에 대해 최소한의 접촉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력 변화에 따른 와이어(500)의 제1방향(A1) 슬립 이동이 확실히 보장될 수 있으며, 풀리(440)의 자유로운 회전 동작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돌기부는 관통공(711)의 내면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관통공(711)의 내면 전체적으로 볼록 형성된 돌기부를 마련하여 와이어(500)를 점 접촉 상태로 지지할 수도 있다.
한편, 튜브부재(710)는 원통 형상의 단일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스타트유닛(300) 및 엔드유닛(400)에 와이어(500)를 연결하기 이전에 튜브부재(710)의 관통공(711)에 와이어(500)를 삽입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기에 다소 번거로울 수 있다.
이를 위해 튜브부재(710)는 와이어(500)의 상부 영역을 감싸는 상부튜브부재(710A) 및 와이어(500)의 하부 영역을 감싸는 하부튜브부재(710B)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타트유닛(300) 및 엔드유닛(400)에 와이어(500)가 미리 설치된 경우라도, 와이어(500)에 대해 상부튜브부재(710A) 및 하부튜브부재(710B)를 포함한 방진유닛(700)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튜브부재(710A) 및 하부튜브부재(710B)로 구성할 경우, 튜브부재(710)는 탄성연결부(715)를 더 가질 수 있다. 즉, 상부튜브부재(710A), 하부튜브부재(710B) 및 탄성연결부(715)는 고무나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튜브부재(710)의 제작 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연결부(715)를 매개로 상부튜브부재(710A) 및 하부튜브부재(710B)를 일체로 구성하므로, 와이어(500)에 대해 상부튜브부재(710A) 및 하부튜브부재(710B)를 포함한 방진유닛(700)의 조립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튜브부재(710A) 및 하부튜브부재(710B)로 구성할 경우, 상부튜브부재(710A) 및 하부튜브부재(710B)의 대향하는 일측의 밀착면에는 결합돌출부(716)가 형성될 수 있고, 타측의 밀착면에는 결합돌출부(716)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부(71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연결부(715)를 중심으로 상부튜브부재(710A) 및 하부튜브부재(710B)를 상대 회전시켜 밀착시키면 결합돌출부(716) 및 결합홈부(717)이 결합되면서 상부튜브부재(710A) 및 하부튜브부재(710B)는 와이어(500)를 감싸면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엔드유닛(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는 도 2의 엔드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엔드유닛의 단면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추가 참조하면, 엔드유닛(400)은 엔드브래킷(410), 풀리(440) 및 마찰력조절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엔드브래킷(410)은 연결브래킷(420) 및 풀리브래킷(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브래킷(420)는 일단부가 제2수직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브래킷(420)의 일단부에는 제1결합공(42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결합공(421)에는 제2힌지축(49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제2힌지축(490)은 제2수직프레임(20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브래킷(420)는 제2힌지축(49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브래킷(420)에는 제2결합공(4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풀리브래킷(430)은 일단부가 연결브래킷(42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풀리(44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430a)을 가질 수 있다.
풀리브래킷(430)은 수직판(432)과, 상부판(431) 및 하부판(433)을 가질 수 있다.
수직판(432)은 연결브래킷(420)에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수직판(432)에는 제3결합공(432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415)가 제3결합공(432a)을 통해 제2결합공(422)에 결합되고, 이후 체결부재(415)에 너트(416)가 결합됨으로써 수직판(432) 및 연결브래킷(42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판(431)은 풀리(44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수직판(432)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판(431)에는 관통부(431a)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부(431a)는 풀리(440)의 상면(441)의 일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부(431a)에는 축부재(451)의 상단부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부판(433)은 풀리(44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수직판(432)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433)에는 제4결합공(433a)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제4결합공(433a)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4결합공(433a)에는 축부재(451)의 하단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풀리브래킷(430)은 연장판(434)을 더 가질 수 있다.
연장판(434)은 하부판(433)에서 스타트유닛(3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장판(434)에는 제5결합공(434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판(434)에는 방진유닛(7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제5결합공(434a)에는 방진유닛(700)의 결합구(740)가 결합될 수 있다.
풀리(440)는 풀리브래킷(430)의 설치공간(430a)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축부재(45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풀리(440)의 외주면에는 와이어(500)가 걸릴 수 있도록 와이어(500)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단일의 와이어(500)가 풀리(440)의 일부를 감싸면서 수평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풀리(440)를 중심으로 일측 와이어(500a)에 진자운동이 먼저 발생되면, 타측 와이어(500b)에는 진자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반력이 작용될 수 있다. 즉, 풀리(440)를 중심으로 양측 와이어(500a,500b)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호 작용하는 당김력이 작용하므로 현수구조물이 거치된 단일 와이어(500)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저감 및 감쇄시킬 수 있다.
마찰력조절부(450)는 풀리브래킷(430) 및 풀리(440)를 연결하여, 와이어(500)의 장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풀리(440)의 회전마찰력을 조절 및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마찰력조절부(450)는 축부재(451), 조절부(452), 마찰판(453) 및 탄성부재(454)를 가질 수 있다.
축부재(451)는 풀리(440)의 회전축을 형성하며, 풀리브래킷(430)의 설치공간(430a)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축부재(451)는 상부판(431)의 관통부(431a) 및 풀리(440)를 차례로 관통한 하단부가 하부판(433)의 제4결합공(433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452)는 상부판(431)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축부재(451)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452)를 회전시켜 하부판(433)의 제4결합공(433a)에 축부재(451)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처럼 하부판(433)에 나사 결합되는 축부재(451)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축부재(451)의 수직방향 위치 즉,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마찰판(453)은 축부재(451)가 관통되도록 링형의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판(431)의 관통부(431a)에 의해 개방되는 풀리(440)의 상면(431)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마찰판(453)은 외주면이 상부판(431)의 관통부(431a)의 내주면과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판(431)의 관통부(431a)의 내측에서 수직방향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탄성부재(454)는 조절부(452) 및 마찰판(4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마찰판(453)을 가압하여 풀리(440)의 상면(431)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54)는 하부판(433)에 나사 결합되는 축부재(451)의 높이에 따라 탄성복원력이 조절될 수 있다. 탄성부재(454)로는 축부재(451)를 감싸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조절부(45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판(433)의 제4결합공(433a)에 축부재(451)를 조이면, 탄성부재(454)는 압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이 증대되고, 마찰판(453)은 풀리(440)의 상면(431)에 상대적으로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500)의 장력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풀리(440)의 마찰력은 증대될 수 있다.
조절부(45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판(433)의 제4결합공(433a)으로부터 축부재(451)를 풀면, 탄성부재(454)는 신장되면서 탄성복원력이 감소되고, 마찰판(453)은 풀리(440)의 상면(431)에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500)의 장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풀리(440)의 마찰력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력조절부(450)는 와이어웨이 장치의 초기 설치 과정에서 설정될 수 있고, 사용 중 와이어(500)의 장력 변화를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재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조절부(452)의 회전 정도에 따라 와이어(500)의 장력에 반대되는 풀리(440)의 마찰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현수구조물의 종류, 설치 장소 등에 따른 다양한 진동 특성을 고려하여 풀리(440)의 마찰력을 선택적으로 조절 및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현수구조물이 거치된 단일 와이어(500)의 변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한편, 마찰력조절부(450)는 슬리브(455)를 더 가질 수 있다.
슬리브(455)는 축부재(451)를 관통시키며 축부재(451)의 일부를 감싸도록 중공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판(433)의 상면에서 조절부(452)를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455)는 외주면이 마찰판(453)의 내주면과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마찰판(453)은 슬리브(455)에 의해 수직방향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455)의 외주면에 탄성부재(454)가 배치될 수 있는데, 슬리브(455)는 탄성부재(454)의 압축 및 신장 동작을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슬리브(455)는 하부판(433) 및 조절부(452) 사이에 배치되어 축부재(451)의 수직방향 위치를 제한하여 탄성부재(454)의 최대 탄성복원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조절부(452)를 회전시켜 하부판(433)의 제4결합공(433a)에 축부재(451)를 조이는 중 슬리브(455)의 상단부에 조절부(452)가 밀착되면, 하부판(433)의 제4결합공(433a)에 대한 축부재(451)의 나사 결합이 정지되고, 탄성부재(454)는 최대로 압축되어 가장 강한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마찰판(453)과 풀리(440)의 상면(431)에는 최대 크기의 마찰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엔드유닛(400)의 마찰력조절부(450)의 작용을 추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력에 반대되는 마찰력이 없는 경우 풀리(440)는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경우 와이어(500)에 걸려진 풀리(440)는 와이어(500)의 장력 변화에 의존하여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만약 풀리(440)를 회전시키려는 외력이 풀리(440)에 인가되면 와이어(500)가 직접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즉, 제2수직프레임(200)으로부터 구조물의 진동이 전달되면 구조물의 변위는 풀리(440)를 거쳐 와이어(5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와이어(500)에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마찰조절부(452)에 의해 풀리(440)가 설정된 마찰력을 가지게 될 경우, 제2수직프레임(200)으로부터 진동이 인가되면 풀리(440)는 와이어(500)의 장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미세한 슬립 현상이 작용될 수 있고, 이러한 미세 슬립 현상에 의해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은 와이어(5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저감 및 감쇄될 수 있다. 즉, 마찰력이 조절 및 설정된 풀리(440)는 와이어(500)의 장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진동을 저감 및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수직프레임(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대한 와이어(500)의 직접적인 진동 응답성을 떨어트려 와이어(500)의 균일한 장력을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진동을 저감 및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절부(462) 및 축부재(451)의 위치에 따라 탄성부재(464)의 탄성복원력을 조절하여 마찰판(453) 및 풀리(440)의 상면(431)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을 조절 및 설정함으로써, 와이어웨이 장치가 적용되는 외부 구조물이 가지는 다양한 진동 특성, 혹은 현수구조물이 가지는 다양한 진동 특성에 대응하여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 및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찰력조절부(460)는 제1방향(A1)에 대한 와이어(500)의 길이 즉,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직프레임(200)의 간격에 따라서도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방향(A1)에 대한 와이어(50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에는 풀리(440) 및 마찰판(453) 사이의 마찰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설정할 수 있고, 제1방향(A1)에 대한 와이어(50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에는 풀리(440) 및 마찰판(453) 사이의 마찰력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마찰력조절부(460)는 와이어(500)에 걸림 지지되는 현수구조물의 하중에 따라서도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수구조물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풀리(440) 및 마찰판(453) 사이의 마찰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설정할 수 있고, 현수구조물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풀리(440) 및 마찰판(453) 사이의 마찰력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제1수직프레임 200: 제2수직프레임
300: 스타트유닛 400: 엔드유닛
410: 엔드브래킷 440: 풀리
450: 마찰력조절부 700: 방진유닛
710: 튜브부재 720: 상부커버
730: 하부커버 740: 결합구

Claims (6)

  1. 제1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스타트유닛;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엔드브래킷과, 상기 엔드브래킷에 설치되는 풀리를 가지는 엔드유닛;
    양단부는 상기 스타트유닛에 결합되며, 중앙부는 상기 풀리의 일부를 감싸는 단일의 와이어; 및
    상기 엔드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풀리의 일부를 감싼 후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가 내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방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유닛은,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튜브부재와,
    상기 튜브부재의 상부 영역이 삽입되는 상부삽입홈을 가지는 상부커버와,
    상기 튜브부재의 하부 영역이 밀착되는 하부삽입홈을 가지는 하부커버와,
    상기 튜브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하부커버를 상기 엔드브래킷에 고정 결합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는,
    상기 관통공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의 외측 표면 중 일부 표면을 접촉 지지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상부 영역을 감싸는 상부튜브부재와,
    상기 와이어의 하부 영역을 감싸는 하부튜브부재와,
    상기 상부튜브부재 및 상기 하부튜브부재를 연결하는 탄성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유닛은,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풀리의 회전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한 마찰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브래킷은,
    상기 풀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풀리의 상면 일부를 개방시키는 관통부를 가지는 상부판과,
    상기 풀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풀리의 하면을 지지하며, 결합공을 가지는 하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력조절부는,
    상기 풀리의 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풀리를 관통한 하단부가 상기 결합공에 나사 결합되는 축부재와,
    상기 관통부를 관통한 상기 축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공에 상기 축부재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조절부와,
    상기 관통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부에 의해 개방된 상기 풀리의 상면에 안착되는 마찰판과,
    상기 조절부 및 상기 마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마찰판을 가압하여 상기 풀리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조절부는,
    상기 축부재가 관통되도록 중공 구조를 이루며,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서 상기 조절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마찰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의 최대 탄성복원력을 제한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KR2020210003333U 2021-11-01 2021-11-01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KR200497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33U KR200497802Y1 (ko) 2021-11-01 2021-11-01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33U KR200497802Y1 (ko) 2021-11-01 2021-11-01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41U true KR20230000941U (ko) 2023-05-09
KR200497802Y1 KR200497802Y1 (ko) 2024-03-05

Family

ID=8631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333U KR200497802Y1 (ko) 2021-11-01 2021-11-01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96800A (zh) * 2023-10-20 2023-11-21 聊城创智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支撑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433A (ja) * 2002-12-11 2004-07-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ケーブルチューブ材固定継手
KR101776026B1 (ko) 2017-01-24 2017-09-07 주식회사 세홍 내진형 조명설비 어셈블리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KR101775986B1 (ko) * 2017-02-01 2017-09-07 김성찬 현수선 구조설비용 장력조절장치
KR102008170B1 (ko) * 2018-08-08 2019-08-12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KR102158079B1 (ko) 2020-01-09 2020-09-21 주식회사 세홍 와이어웨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433A (ja) * 2002-12-11 2004-07-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ケーブルチューブ材固定継手
KR101776026B1 (ko) 2017-01-24 2017-09-07 주식회사 세홍 내진형 조명설비 어셈블리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KR101775986B1 (ko) * 2017-02-01 2017-09-07 김성찬 현수선 구조설비용 장력조절장치
KR102008170B1 (ko) * 2018-08-08 2019-08-12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KR102158079B1 (ko) 2020-01-09 2020-09-21 주식회사 세홍 와이어웨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96800A (zh) * 2023-10-20 2023-11-21 聊城创智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支撑架
CN117096800B (zh) * 2023-10-20 2024-03-22 聊城创智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支撑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802Y1 (ko)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12743A (en) Adjustable lighting fixture hanger with wiring protection means
US20100207006A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JP5145404B2 (ja) 吊下げ式防振具
KR20230000941U (ko) 방진유닛을 갖는 와이어웨이 장치
KR102293854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2252231B1 (ko) 볼트 일체형 내진행거 및 그의 조립방법
KR101781433B1 (ko) 천정 설비용 면진 연결구
JP2013040494A (ja) 天井部の吊下装置
KR101822333B1 (ko) 방진 및 소음발생 방지용 지지구조물
KR101713634B1 (ko) 내진설계 무대장치
KR102158079B1 (ko) 와이어웨이 장치
KR102489162B1 (ko) 와이어웨이 장치
JP2002206597A (ja) 耐震防振装置
KR102393159B1 (ko) 내진 현수 장치
JP6654485B2 (ja) 吊下げ式防振具
JP2001115594A (ja) 耐震防振装置
CN215215296U (zh) 一种建筑抗震消防支架
KR102201042B1 (ko)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JP2013040493A (ja) 天井部の吊下装置
KR102534106B1 (ko) 내진 현수 장치
JP3851654B2 (ja) 防振装置
KR20190132162A (ko) 건물 천장 판넬 설치용 내진 장치
JPH0441385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耐震装置
KR101840864B1 (ko) 건축구조물 전기배관 안전장치
KR102171070B1 (ko) 제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