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766U -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 - Google Patents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766U
KR20230000766U KR2020210003063U KR20210003063U KR20230000766U KR 20230000766 U KR20230000766 U KR 20230000766U KR 2020210003063 U KR2020210003063 U KR 2020210003063U KR 20210003063 U KR20210003063 U KR 20210003063U KR 20230000766 U KR20230000766 U KR 202300007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ood
utensils
outsid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170Y1 (ko
Inventor
김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보
Priority to KR2020210003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170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7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1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을 조리한 후, 그 음식을 기타 다른 용기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음식에 포함된 국물 등이 기타 다른 방향 및 조리도구의 외측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용기에 옮겨 담을 수가 있어 조리도구의 세척 및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안전성이 높고, 음식을 조리 시, 조리도구의 내측에 가이드부에 형성됨에 따라 음식이 조리도구의 외측으로 흘러림 및 기름튐 방지날개의 구조를 통해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조리자에게 튀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Cooking tools having a structure that can easily pour food}
본 고안은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도구의 조리공간에서 조리된 음식을 기타 다른 용기에 음식물(국물 등)을 따를 시 기타 다른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용기로 따를 수 있는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조리도구는 다양한 음식들을 조리하기 위해 가스레인지 등에 올려져 사용하기 마련이다.
한편, 이러한 조리도구는 음식의 조리가 끝난 후, 섭취를 위해, 조리도구를 식탁과 같은 테이블에 그대로 이동시켜서 음식을 섭취하거나, 필요에 따라, 다른 용기에 음식을 옮겨 담아서 섭취를 한다.
이때, 조리도구에 음식물을 용기에 옮겨 담을 때, 국물 등이 없는 음식일 경우, 손쉽게 옮겨 담을 수가 있지만, 국물이 있을 경우에는 조리도구를 용기의 방향으로 기울여 옮겨 담는 과정에서, 그 국물이 조리도구의 외측면을 타고 흘러내리려, 조리한 곳이 지저분해 지거나, 자칫 뜨거운 음식물일 경우,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최근에는 조리도구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한 후, 기타 다른 용기에 옮겨담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조리도구의 외측으로 음식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조리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0769633호(특) 바닥과, 상기 바닥의 외주연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측벽과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 형성된 조리물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측벽의 테두리에서 상기 플랜지 상면의 끝까지 향할수록 폭이 좁아짐에 따라, 상기 플랜지 상면의 끝에는 평탄면이 없는 원호구역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과 상기 플랜지의 경계 부분은 볼록한 경사 원호구역으로 형성된 프라이팬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프라이팬에서 조리된 음식물이 조리물배출구를 통해 외측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물배출구가 측벽과 플랜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되, 하부로 경사지도록 하여, 조리물을 기타 다른 용기에 옮겨담는 과정에 있어, 조리물이 갑작스럽게 많이 흘러나오게 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자칫, 프라이팬의 외측면으로 흘러내리는 문제보다, 조리물이 기타 다른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등의 문제점으로 조리하는 곳의 주변환경에 더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조리도구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한 후, 그 음식을 기타 다른 용기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음식의 국물 등이 조리도구의 외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음식을 한 후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리도구를 세척시에도, 상기 조리도구의 외측면에 음식이 묻어 있지 않게 되어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손잡이부의 미끄럼방지커버를 통해 조리도구를 손으로 잡고 이동시 떨어뜨림, 미끄러짐 등을 방지토록 하여 화상, 조리도구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조리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내측 상부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3)가 형성되는 조리몸체(10); 상기 조리몸체(10)의 외부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몸체(21)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몸체(21)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미끄럼방지커버(23)를 포함하는 손잡이부(2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내부에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반원호 형태의 개방홀(14)이 형성되는 조리몸체(10); 상기 조리몸체(10)의 외부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몸체(21)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몸체(21)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미끄럼방지커버(23)를 포함하는 손잡이부(2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조리하는 음식이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가이드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몸체(10)의 상측에 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튀지 않도록 기름튐 방지날개(17)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에 의하면, 조리도구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음식을 조리한 후, 그 음식을 기타 다른 용기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음식에 포함된 국물 등이 기타 다른 방향 및 조리도구의 외측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용기에 옮겨 담을 수가 있어 조리도구의 세척 및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안전성이 높고, 음식을 조리 시, 조리도구의 내측에 가이드부에 형성됨에 따라 음식이 조리도구의 외측으로 흘러림 및 기름튐 방지날개의 구조를 통해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조리자에게 튀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경사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개방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손잡이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가이드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기름튐 방지날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고안은 조리도구의 조리공간에서 조리된 음식을 기타 다른 용기에 음식물(국물 등)을 따를 시 기타 다른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용기로 따를 수 있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리용기를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또는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조리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내측 상부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3)가 형성되는 조리몸체(10); 상기 조리몸체(10)의 외부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몸체(21)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몸체(21)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미끄럼방지커버(23)를 포함하는 손잡이부(20); 로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반원호 형태의 개방홀(14)이 형성되는 조리몸체(10); 상기 조리몸체(10)의 외부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몸체(21)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몸체(21)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미끄럼방지커버(23)를 포함하는 손잡이부(20); 로 구성된다.
즉, 상기 조리몸체(10)는 서로 공간부(11)에 조리된 음식을 기타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시, 조리도구의 외측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리도구의 내측 상부에 경사부(13)를 형성하거나, 반원호 형태의 개방홀(14)을 형성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은 음식(국물 등)을 용기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조리도구의 외측으로 흘러내려 조리한 곳의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거나, 음식이 흘러내림 또는 이탈하여 조리자에게 튀김으로,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공간부(11)는 실질적으로 조리도구에서 음식물이 위치되어 조리되는 공간으로써, 별도의 상세한 설명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경사부(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도구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리도구의 상측은 상기 경사부(13)가 형성된 부분이 상부방향으로 조금 더 높게 확장되는 확장부(1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조리도구의 상부에 상부로 조금 더 높게 확장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12)와 대응하는 조리도구의 내측에 경사부(13)가 형성되어 있어, 음식(국물 등)을 조리 후, 기타 다른 용기로 옮겨 담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13)를 타며 음식(국물 등)이 이동되게 됨으로써, 조리도구의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상기 경사부와 같은 구조가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경사각이 상이함에 따라, 조리도루에서 조리된 음식(국물 등)을 용기에 옮겨 담는 과정에 있어, 조리도구의 외측방향으로 흘러내릴 수밖에 없었지만, 본 고안의 경사부(13)는 확장부(12)측 방향으로 경사지되, 확장부(12)가 조리도구의 다른 상측보다 상부로 돌출되며 확장됨에 따라, 음식물이 갑작스럽게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안정적으로 음식(국물 등)을 옮겨 담을 수가 있는 효가가 있다.
한편, 개방홀(14)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도구의 상부 일측에 반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리도구의 공간부(11)에서 조리된 음식(국물 등)을 기타 다른 용기로 옮겨 담을 시, 상기 개방홀(14)을 통해 손쉽게 이동될 수 있게 되고, 상기 개방홀(14)이 조리도구의 다른 상측보다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리도구의 다른 상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외측을 타며 흘러내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개방홀(14)의 경우 조리도구의 상측에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가 있으며, 양측으로 각각 형성될 시, 옮겨 담으려는 용기의 위치에 따라 조리도구의 기울기방향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가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부여된다.
한편,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조리하는 음식이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가이드부(1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5)의 경우 조리도구를 이용하여 음식(국물 등)을 조리 시, 상기 음식이 조리되는 정도에 따라서 끓는 과정에서 음식물들이 조리도구의 내측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상측면을 타고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경우가 발생하기 마련인데, 상기 가이드부(15)가 내측방향으로 일정간격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이러한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가스레인지 등에 올려 놓고 음식을 조리할 시에, 흘러넘치는 것을 억제하여, 조리 주변의 쾌적한 환경 조성할 수가 있다.
또한, 도 2,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몸체(10)의 상측에 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튀지 않도록 기름튐 방지날개(17)가 형성되는데, 상기 기름튐 방지날개(17)는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자들로 하여금 아주 중요한 구성으로 작용할 수가 있다.
상기 음식(국물 등)을 조리할 시, 일반적으로 끓는 정도에 따라서 음식물이 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튀는 현상으로 인해 조리자의 팔이나, 옷, 심지어는 얼굴 등으로까지 튀기 마련인데, 이러한 튀김으로 인해 심할 경우 화상으로까지 번질 수가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름튐 방지날개(17)는 조리도구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면서 확장되게 형성됨에 따라, 음식이 튀기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게 되어 조리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기름튐 방지날개(17)는 상기 확장부(12)의 위치에 따라, 조리도구의 다른 상부에 형성될 수가 있고, 확장부(12)가 기름튐 방지날개(17)의 역할을 대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확장부(12)와 기름튐 방지날개(17)가 각각 형성될 시, 조리도구의 상측보다 더 확장되거나 외측방향으로 넓어지는 부분은 2개 또는 4개로 형성될 수가 있고, 상기 확장부(12) 기름튐 방지날개(17)의 역할을 대체할 경우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상기 경사부(13)는 상기 확장부(12)의 개수에 따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몸체(10)의 외부 일측에 연결 구성되어 알루미늄 또는 금속재질의 손잡이몸체(21)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몸체(21)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미끄럼방지커버(23)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몸체(21)의 경우 실질적으로 조리몸체(10)와 동일한 재질 또는 이종재질로 구성될 수가 있고, 열전달이 잘 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커버(23)의 경우 조리자가 음식을 조리한 후 조리도구를 들고 이동 시 자칫 조리도구가 조리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미끄럼방지커버(23)가 조리자의 부주의 등 기타 외부요인으로 훼손이 발생할 경우, 손잡이몸체(21)로부터 쉽게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는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에 의하면, 조리도구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음식을 조리한 후, 그 음식을 기타 다른 용기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음식에 포함된 국물 등이 기타 다른 방향 및 조리도구의 외측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용기에 옮겨 담을 수가 있어 조리도구의 세척 및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안전성이 높고, 음식을 조리 시, 조리도구의 내측에 가이드부에 형성됨에 따라 음식이 조리도구의 외측으로 흘러림 및 기름튐 방지날개의 구조를 통해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조리자에게 튀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10 : 조리몸체
11 : 공간부 12 : 확장부 13 : 경사부
14 : 개방홀 15 : 가이드부 17 : 기름튐 방지날개
20 : 손잡이부 21 : 손잡이몸체 23 : 미끄럼방지커버

Claims (3)

  1. 조리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내측 상부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13)가 형성되는 조리몸체(10);
    상기 조리몸체(10)의 외부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몸체(21)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몸체(21)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미끄럼방지커버(23)를 포함하는 손잡이부(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
  2. 조리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반원호 형태의 개방홀(14)이 형성되는 조리몸체(10);
    상기 조리몸체(10)의 외부 일측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몸체(21)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몸체(21)의 외측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미끄럼방지커버(23)를 포함하는 손잡이부(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조리하는 음식이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가이드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몸체(10)의 상측에 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튀지 않도록 기름튐 방지날개(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


KR2020210003063U 2021-10-12 2021-10-12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 KR200497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63U KR200497170Y1 (ko) 2021-10-12 2021-10-12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63U KR200497170Y1 (ko) 2021-10-12 2021-10-12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766U true KR20230000766U (ko) 2023-04-19
KR200497170Y1 KR200497170Y1 (ko) 2023-08-17

Family

ID=8609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063U KR200497170Y1 (ko) 2021-10-12 2021-10-12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17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484Y1 (ko) * 2004-05-29 2004-08-21 김양영 조리기구
KR100769633B1 (ko) * 2006-04-18 2007-10-23 주식회사 셰펠 프라이팬
KR20110116278A (ko) * 2010-04-19 2011-10-26 박경원 국물 넘치지 않는 간편냄비
KR101214815B1 (ko) * 2012-01-02 2012-12-24 문제구 조리용의 후라이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484Y1 (ko) * 2004-05-29 2004-08-21 김양영 조리기구
KR100769633B1 (ko) * 2006-04-18 2007-10-23 주식회사 셰펠 프라이팬
KR20110116278A (ko) * 2010-04-19 2011-10-26 박경원 국물 넘치지 않는 간편냄비
KR101214815B1 (ko) * 2012-01-02 2012-12-24 문제구 조리용의 후라이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170Y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6178B2 (en) Grease strainer for cooking apparatus
US20110095031A1 (en) Cooking Vessel Assembly and Lid for the Same
US5967024A (en) Juice removal frying pan
US20160066743A1 (en) Cooking Pot with Straining Lid and Spoon Support
US20220192409A1 (en) Cookware assembly
JP2018525183A (ja) 調理はね防止デバイス及び方法
US20140193560A1 (en) Overboil ring apparatus and cooking and heating system
KR200497170Y1 (ko) 음식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리도구
US20180098657A1 (en) Cooking vessel with or without retainable cov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01870476U (zh) 防溅油炸锅
KR101884933B1 (ko) 조리 용기
US20170303743A1 (en) Cooking apparatus with strainer
US1455780A (en) Cooking utensil
US11503949B2 (en) Splatter protector
US20050279698A1 (en) Integrated cooker-strainer
CN205682969U (zh) 炒锅防溅罩
KR200264455Y1 (ko) 튀김방지턱을 갖는 프라이팬
CA3087136C (en) Splatter protector
CN218943031U (zh) 一种铸铁搪瓷平底锅
US20240000267A1 (en) Apparatus for spill prevention
CN215016029U (zh) 一种锅具
CN108158398A (zh) 多功能防溢锅
US202401081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grease from foodstuff during preparation
CN207220666U (zh) 一种防止食物外流的炒锅
KR100689265B1 (ko) 조리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