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543A -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 Google Patents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543A
KR20230000543A KR1020210082768A KR20210082768A KR20230000543A KR 20230000543 A KR20230000543 A KR 20230000543A KR 1020210082768 A KR1020210082768 A KR 1020210082768A KR 20210082768 A KR20210082768 A KR 20210082768A KR 20230000543 A KR20230000543 A KR 20230000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unit
hull
ship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957B1 (ko
Inventor
서영숙
Original Assignee
서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숙 filed Critical 서영숙
Priority to KR1020210082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9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6/00Girders, or track-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한 쌍의 인양선체를 일직선상으로 배치하거나 수평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양선체의 항해는 물론 침몰선의 인양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해상에 부유하도록 이루어지되 해저면에 착지되는 승하강렉(120)이 승하강구동부재(130)에 연결되고, 상측면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프레임(110)이 설치된 한 쌍의 인양선체(100);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의 상측에 길이방향 양측이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에 연결되는 부위가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거나 수평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선체조인트부(200);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양크레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SHIP UNIT FOR REFLOAT OF SUNKEN VESSEL}
본 발명은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한 쌍의 인양선체를 일직선상으로 배치하거나 수평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양선체의 항해는 물론 침몰선의 인양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 교통이 활발해지고 어업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선박이 침몰되는 사건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선박이 침몰하는 경우에는 연료의 유출에 따라 해양을 광범위하게 요염시켜 해양 생태계의 파괴로 인한 어장 및 어민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선박 침몰 사고시 선박이 완전히 침몰하여 수장되기 전에 침몰선박이 수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부득이 선박이 완전히 침몰하여 해저에 수장된 이후에는 빠른 시간내에 인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일 예로써, 선박 좌초 사고 후 선박이 수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공기주머니를 침몰선박의 둘레에 설치하여 부상하도록 하거나, 좌초 선박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는 플로트, 공기 또는 부재에 의한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예는 침몰 전의 선체에 적용될 뿐이고, 침몰 후 인양시에는 별도의 방법을 적용해야 된다. 예를 들어, 침몰된 선박을 인양하는 공지의 방법으로는 수중의 선체에 인양와이어를 감고 인양선박을 이용하여 윈치의 견인력에 의해 인양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인양와이어를 이용하여 침몰선박을 인양하는 종래의 통상적인 방법은, 인양선박의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양와이어를 침몰선박에 걸고, 상기 크레인의 작동으로 인양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크레인 인양방식은 침몰선박을 크레인만으로 인양하므로 선박을 인양하기 위해서 크레인시설 등 장비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침몰선박이 대형 선박인 경우에는 크레인 인양방식을 적용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의 인양에 너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침몰된 선박의 상측에 인양선박을 위치시켜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양와이어를 침몰선박에 걸거나 연결하는 작업의 수행시, 바다의 파고에 의해 인양선박이 흔들리게 되면 크레인시설의 요동으로 인해 원활한 와이어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5631호의 침몰 선박을 인양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몰선의 위치까지 한 쌍의 인양선체를 이동시에는 한 쌍의 인양선체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인양선체의 항해을 원활히 하면서 침몰선의 위치에 도착하는 경우 한 쌍의 인양선체가 수평배치되도록 하여 침몰선의 원활한 인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해상에 부유하도록 이루어지되 해저면에 착지되는 승하강렉(120)이 승하강구동부재(130)에 연결되고, 상측면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프레임(110)이 설치된 한 쌍의 인양선체(100);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의 상측에 길이방향 양측이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에 연결되는 부위가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거나 수평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선체조인트부(200);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양크레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체조인트부(200)는,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레일거더프레임(210)과,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대응부(220)와, 상기 무빙대응부(2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가이드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빙대응부(220)는, 상기 회전가이드부(250)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주행부재(230)와, 상기 회전가이드부(25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랙기어구(213)에 피니언기어구(243)가 연결되는 무빙구동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양방향구동펌프부(400)와, 상기 인양선체(100)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양방향구동펌프부(400)와 메인관로(510)를 매개로 연결되는 호퍼부(500)와, 상기 양방향구동펌프부(400)에서 상기 인양선체(100)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내부격실(140)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분기관로(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양크레인부(300)는,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베이스(310)와, 상기 지지베이스(31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대응기어구(216)에 기어결합되는 회전기어구(321)를 구비한 기어구동부(320)와, 상기 지지베이스(310)에 설치된 상태로 인양와이어(332)가 권취되는 권취드럼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몰선의 위치까지 한 쌍의 인양선체를 이동시, 선체조인트부에 의해 한 쌍의 인양선체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원활한 항해를 가능하게 되고, 침몰선의 위치에 도착하는 경우에도 상기 선체조인트부에 의해 한 쌍의 인양선체가 수평배치되어 침몰선의 원활한 인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대응부가 레일거더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발명에 따른 주행부재와 레일거더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인양선체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양크레인부의 지지베이스가 레일거더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베이스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선체의 내측에 내부격실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대응부가 레일거더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발명에 따른 주행부재와 레일거더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인양선체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양크레인부의 지지베이스가 레일거더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베이스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선체의 내측에 내부격실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해상에 부유하도록 이루어지되 상측면에 서포트프레임(110)이 설치된 한 쌍의 인양선체(100)와, 상기 인양선체(100)의 서포트프레임(110)에 길이방향 양측이 연결되는 선체조인트부(200)와,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인양크레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은 해저에 가라앉은 침몰선을 한 쌍의 인양선체(100)를 이용하여 부상시켜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침몰선의 위치까지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를 이동시에는 한 쌍의 인양선체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인양선체의 항해을 원활히하면서 침몰선의 위치에 도착하는 경우 한 쌍의 인양선체가 수평배치되도록 하여 침몰선의 원활한 인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해상에 부유하도록 이루어지되 해저면에 착지되는 승하강렉(120)이 승하강구동부재(130)에 연결되고, 상측면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서포트프레임(1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렉(120)은 상기 승하강구동부재(130)에 기어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져 승하강구동부재(130)의 구동시 해저면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측이 해저면에 박히거나 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은 상기 인양선체(100)의 상측에서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서의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인양선체(100)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상단부가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기둥부재(111)와, 상기 기둥부재(111)를 상호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연결부재(11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인양선체(10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내부격실(140)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격실(140)의 상측에는 별도의 에어배출밸브구(1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에는 별도의 부력체(16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선체조인트부(200)는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의 상측에 길이방향 양측이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에 연결되는 부위가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거나 수평배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침몰선의 위치까지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한 쌍의 인양선체 중 어느 하나의 인양선체를 다른 인양선체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에 연결되는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의 연결부위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선체조인트부(200)를 살펴보면, 상기 선체조인트부(200)는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레일거더프레임(210)과,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대응부(220)와, 상기 무빙대응부(2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가이드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은 일정길이를 갖는 보부재로, 일정길이를 갖는 상태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거더(211)와, 상기 연장거더(211)의 길이방향 양측을 상호 연결하는 조인트부(215)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은 상기 한 쌍의 연장거더(211) 사이에 이격공간(212)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조인트부(215)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무빙대응부(220)는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에 장착된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가 수평배치된 상태에서 인양선체의 간격 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무빙대응부(220)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무빙대응부(220)를 살펴보면, 상기 무빙대응부(220)는 상기 회전가이드부(250)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주행부재(230)와, 상기 회전가이드부(25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랙기어구(213)에 피니언기어구(243)가 연결되는 무빙구동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주행부재(230)는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의 상측 및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자형 바디구(231)와, 상기 바디구(231)의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거더(211)의 하측이 안착되는 연장편(232)과, 상기 연장거더(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랙기어구(213)을 감싸도록 마련되되 일측에 기어삽입공(235)이 형성된 커버편(2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연장편(232)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볼(233)이 설치되어 상기 연장거더(211)의 하측면이 상기 가이드볼(233)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행부재(230)의 원활한 왕복주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무빙구동부재(240)는 상기 회전가이드부(250)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구(241)와, 상기 구동모터구(241)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기어박스구(242)와, 상기 기어박스구(242)에서 상기 기어삽입공(235)방향으로 연장된 구동축(244)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랙기어구(213)에 기어결합되는 상기 피니언기어구(243)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구동모터구(24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랙기어구(213)와 기어결합된 상기 피니언기어구(243)가 회전되면 상기 주행부재(230)가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인양선체(100)가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부(250)는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방고정체(251)와 상기 하방고정체(251)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상기 무빙대응부(220)가 연결되는 상방회전체(252)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 중 어느 하나의 인양선체를 다른 하나의 인양선체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시켜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상방회전체(252)가 이에 대응하여 회전됨에 따라 일직선상 배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를 수평배치하거나 일직선상 배치가 가능하게 되어 인양선체의 원활한 이동이나 침몰선의 인양을 위한 배치를 원활히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양크레인부(300)는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인양크레인부(300)는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베이스(310)와, 상기 지지베이스(31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대응기어구(216)에 기어결합되는 회전기어구(321)를 구비한 기어구동부(320)와, 상기 지지베이스(310)에 설치된 상태로 인양와이어(332)가 권취되는 권취드럼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인양와이어(332)에는 후크(331)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베이스(310)는, 하측면에 상기 대응기어구(216)가 위치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홀(312)이 형성된 상태로 상측에 상기 안내홀(312)과 연통되어 상기 회전기어구(321)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어포지션홀(313)이 형성된 상판구(311)와, 상기 상판구(311)의 양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권취드럼부(3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장착편(3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상판구(311)의 상측에 상기 기어구동부(320)가 고정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기어구(321)가 상기 기어포지션홀(313)에 위치하여 상기 대응기어구(216)와 기어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기어구동부(32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기어구(321)의 회전구동하게 되어 상기 지지베이스(310)가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는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양방향구동펌프부(400)와, 상기 인양선체(100)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양방향구동펌프부(400)와 메인관로(510)를 매개로 연결되는 호퍼부(500)와, 상기 양방향구동펌프부(400)에서 상기 인양선체(100)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내부격실(140)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분기관로(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침몰선을 이양하는 경우에 상기 인양선체(100)가 수면에 부유된 상태에 있게 되면 해상의 파고에 의해 상기 인양선체(100)가 요동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양선체(100)를 수중으로 일정깊이 가라앉혀 파고에 의한 상기 인양선체(100)의 요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인양와이어(332)를 침몰선에 연결하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양방향구동펌프부(400)는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의 연결부재(112) 상측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해상의 파고가 심해 상기 인양선체(100)를 수중으로 일정깊이 가라앉히는 경우, 상기 양방향구동펌프부(40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호퍼부(500)로부터 흡입된 바닷물이 상기 분기관로(600)를 통해 인양선체(100)의 내부격실(140)에 채워지게 된다.
이후, 상기 내부격실(140)에 일정높이 바닷물이 채워지게 되면 상기 승하강구동부재(130)를 구동하여 상기 인양선체(100)가 상기 승하강렉(120)에 안내되어 수중으로 일정깊이 가라앉게 되고, 상기 내부격실(140)에 상기 바닷물이 채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내부격실(140)의 에어는 상기 에어배출밸브구(15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렉(120)과 승하강구동부재(130)의 기어결합구조, 상기 인양선체(100)에 별도로 설치된 상기 부력체(160)로 인해 상기 인양선체(100)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침몰선에 상기 인양와이어(332)의 연결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양방향구동펌프부(400)를 구동시켜 상기 내부격실(140)에 채워진 바닷물이 상기 호퍼부(5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승하강구동부재(130)를 구동시켜 인양선체가 상기 승하강렉(120)에 안내되어 수면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양선체(100)에 별도로 설치된 상기 부력체(160)로 인해 상기 인양선체(100)의 부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상기 내부격실(140)에 채워진 바닷물의 배출시 상기 에어배출밸브구(150)를 통해 외기가 상기 내부격실(140)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양방향구동펌프부(400)가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인양선체(100)의 상측에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인양선체 110: 서포트프레임
120: 승하강렉 130: 승하강구동부재
140: 내부격실 150: 에어배출밸브구
160: 부력체 200: 선체조인트부
210: 레일거더프레임 220: 무빙대응부
230: 주행부재 240: 무빙구동부재
250: 회전가이드부 300: 인양크레인부
310: 지지베이스 320: 기어구동부
330: 권취드럼부 400: 양방향구동펌프부
500: 호퍼부 600: 분기관로

Claims (5)

  1.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해상에 부유하도록 이루어지되 해저면에 착지되는 승하강렉(120)이 승하강구동부재(130)에 연결되고, 상측면에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프레임(110)이 설치된 한 쌍의 인양선체(100);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의 상측에 길이방향 양측이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에 연결되는 부위가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인양선체(100)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거나 수평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선체조인트부(200);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양크레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조인트부(200)는,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레일거더프레임(210)과,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대응부(220)와, 상기 무빙대응부(2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가이드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대응부(220)는, 상기 회전가이드부(250)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주행부재(230)와, 상기 회전가이드부(25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레일거더프레임(21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랙기어구(213)에 피니언기어구(243)가 연결되는 무빙구동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양방향구동펌프부(400)와, 상기 인양선체(100)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양방향구동펌프부(400)와 메인관로(510)를 매개로 연결되는 호퍼부(500)와, 상기 양방향구동펌프부(400)에서 상기 인양선체(100)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내부격실(140)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분기관로(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크레인부(300)는,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베이스(310)와, 상기 지지베이스(31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선체조인트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대응기어구(216)에 기어결합되는 회전기어구(321)를 구비한 기어구동부(320)와, 상기 지지베이스(310)에 설치된 상태로 인양와이어(332)가 권취되는 권취드럼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KR1020210082768A 2021-06-25 2021-06-25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KR102544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768A KR102544957B1 (ko) 2021-06-25 2021-06-25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768A KR102544957B1 (ko) 2021-06-25 2021-06-25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43A true KR20230000543A (ko) 2023-01-03
KR102544957B1 KR102544957B1 (ko) 2023-06-20

Family

ID=8492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768A KR102544957B1 (ko) 2021-06-25 2021-06-25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9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010B2 (ja) * 1987-12-25 1996-03-29 熊本県 ケーソンの据付方法及び装置
KR20130143363A (ko) * 2012-06-21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368663B1 (ko) * 2012-09-13 2014-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플랫폼
KR101807958B1 (ko) * 2016-07-27 2017-12-1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동체 연결 관절을 구비하는 선박
KR102076497B1 (ko) * 2019-06-13 2020-02-13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010B2 (ja) * 1987-12-25 1996-03-29 熊本県 ケーソンの据付方法及び装置
KR20130143363A (ko) * 2012-06-21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368663B1 (ko) * 2012-09-13 2014-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플랫폼
KR101807958B1 (ko) * 2016-07-27 2017-12-1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동체 연결 관절을 구비하는 선박
KR102076497B1 (ko) * 2019-06-13 2020-02-13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957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5895B2 (ja) 自己昇降式潜水形水中作業台船及びその使用方法
US3837309A (en) Stably buoyed floating offshore device
CN107140156B (zh) 托底钢梁整体打捞沉船方法
US9254894B2 (en) Flotable subsea platform (FSP)
WO2018096214A1 (en) Maintenance of underwater parts of a vessel
JP2015536871A (ja) 格納可能なスラスタユニットの水中部分の取り外しおよび/または取り付け方法
CN105775077A (zh) 有缆遥控式水下设备运输及安装机器人
EP2330027A1 (en) Remotely operated submersible vehicle with adjustable tether mounting terminal
KR101250829B1 (ko) 선박의 스러스터 워터 타이트 구조물 및 이 구조물을 설치 방법
KR101883663B1 (ko) 구형 휠 타입의 rov 주행장치와 이를 구비한 구형 휠 타입의 rov
KR20160061276A (ko) 핵 시설 풀 정화 장치
KR102544957B1 (ko)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KR20160000111U (ko) 케이블 로봇을 이용한 수중 탑재물의 이동식 수중 설치 장치
JPH10230897A (ja) 上下動式水中観測室付き半潜水浮体
KR20150143374A (ko) 다기능 독
KR10148767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JPS6114995B2 (ko)
CN114750905A (zh) 一种用于水下数据舱自沉浮的浮力装置及海底idc系统
KR20130114867A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유지보수방법
KR20120002981U (ko) 반잠수선이 되는 쌍동선
JPS6331806A (ja) 水中観測装置
RU2479460C1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и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и других судов
CN110733618A (zh) 一种吊升式水上浮体连续收放装置
DE10345295A1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m Heben und Bergen eines Schiffswracks, insbesondere eines großen, schweren Schiffswracks
KR20130104323A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장착 및 유지보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