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168U - 휴대용 액체분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액체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168U
KR20230000168U KR2020210002208U KR20210002208U KR20230000168U KR 20230000168 U KR20230000168 U KR 20230000168U KR 2020210002208 U KR2020210002208 U KR 2020210002208U KR 20210002208 U KR20210002208 U KR 20210002208U KR 20230000168 U KR20230000168 U KR 202300001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hook
pusher
spra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종
Original Assignee
권오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종 filed Critical 권오종
Priority to KR2020210002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168U/ko
Publication of KR20230000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소독제는 물론 구강청결제, 모기진드기기피제, 애완동물용 냄새제거제, 향수 등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체에 채워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며,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항상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걸이끈을 연결하여 목에 착용하거나 또는 손에 들고 다닐 수 있어 휴대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누름구를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쉽게 용기체에 채워진 액상의 내용물을 스프레이 분사하여 사용함에 따라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소독약제는 물론 구강청결제, 모기진드기기피제, 애완동물용 냄새제거제, 향수 등 액상이 내용물을 재충전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으며, 걸이끈의 걸고리를 쉽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착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액체분무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액체분무기{Portable liquid sprayer}
본 고안은 휴대용 액체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몸체 착용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며 장소에 관계없이 소독약제는 물론 구강청결제, 모기진드기기피제, 애완동물용 냄새제거제, 향수 등을 분사하여 사용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한 휴대용 액체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관리를 넘어 각종 방역 물품을 이용한 개인 방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근자들어서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시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19가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전염되고 있는 추세이며, 코로나바이러스는 유행성 질환으로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며 증상이 거의 없는 감염초기에 전염성이 강한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감염 후에는 인후통,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거쳐 폐렴으로 발전하여 심한 중증의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이를 위해, 개인위생을 위해서 사람과 사람, 사람과 물건, 물건과 물건, 자신의 신체부위 간에 각종 병균 등을 직,간접적으로 전파시킬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사람의 손은 개인 위생방법을 통하여 항상 청결하게 유지,관리해야 한다.
손은 비누와 물을 이용하여 자주 씻는 것으로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나, 손을 씻을 수 있는 장소로의 접근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휴대하면서 항상 손을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손소독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손소독기는, 겔타입으로 배출하여 소독하는 것과 소독제를 분사하는 스프레이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크게 구분되고 있으며, 대개 겔타입으로 이루어진 손소독기의 경우 상단에 구비된 펌프체를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용기에 담겨진 겔상의 손소독제를 배출하여 손에 발라 소독하고 있다.
또한, 스프레이형의 경우 용기의 상단에 구비된 분사체를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용기에 담겨진 액상의 손소독제가 분사되도록 하여 손을 소독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손소독제 사용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대부분의 건물이나 식당 또는 병원에서는 손소독제를 구간마다 비치하여 내방객의 손을 소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치형태는, 건물이나 식당 등 한 장소에 비치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공원이나 거리 등 손소독제가 비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개인의 손을 소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부 감염이 많은 내방객 등 다수의 사람이 동일한 손소독제를 사용함으로써 오히려 감염을 유발시키는 사례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소독기들이 다양하게 안출되고 있다.
일예로, 등록특허 10-2244633호인 이산화염소수를 사용한 휴대용 방역 살균 소독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이산화염소수를 정제한 타블렛과, 물이 저장되는 용기, 상기 용기에 탈착되며, 상하로 관통 형성된 배출구와, 모터를 구비한 뚜껑 및 상기 배출구 하부에서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향 기류를 형성하는 날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용기에서 희석되면서 기화된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배기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휴대용으로 개인 방역을 쉽게 할수 있으며, 차염소산에 비해 냄새 등이 덜 자극적이면서 강한 살균력을 갖는 이산화염소수를 편리하게 휴대하여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산화염소수를 정제한 타블렛을 물에 희석시켜 기화된 이산화염소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품의 구입에 적지 않은 비용부담을 갖게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모터와 배출팬의 구동에 의해 살균제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전원공급수단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10-2011695호인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손소독제용기의 내부 내용물을 토출하는 펌프헤드와 펌프헤드를 손소독제용기에 결합시키는 펌프캡으로 구성된 손소독제용기를 담는 손소독제용포켓에 있어서, 손소독제용포켓은 손소독제용기의 펌프캡에서부터 손소독제용기를 감싸고 상부로는 펌프헤드가 노출되며, 상기 손소독제용포켓은 손소독제용포켓의 상부가 펌프캡에 밀착되도록 조이는 조임부, 손소독제용포켓의 후면에 벨트가 장착되는 후면벨트장착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벨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도록 하여 휴대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착용한 상태에서 펌프헤드를 눌러 손소독제를 배출 사용하기 때문에, 펌프헤드를 눌러줄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손소독제용기가 벨트로부터 떨어져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2244633호(2021.04.20.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11695호(2019.08.12. 등록)
본 고안은 걸이끈연결부에 걸이끈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휴대하도록 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함은 물론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신체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프레이 분사방식에 의해 소독약제는 물론 구강청결제, 모기진드기기피제, 애완동물용 냄새제거제, 향수 등 액상의 내용물을 분사하여 사용함이 용이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지 않으며 장소에 관계없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액체분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휴대용 액체분무기는, 액상의 내용물이 채워지고 하단에 하단덮개를 갖는 용기체와, 상기 용기체에 채워진 액상의 내용물을 분사하고 누름구와 펌핑구로 이루어진 스프레이분사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액체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의 상단에는, 상기 스프레이분사체가 끼워지는 분사체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체가이드부는, 상기 스프레이분사체의 누름구가 위치되는 누름구수용부와; 상기 누름구수용부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펌핑구가 수용되는 펌핑구수용부와; 상기 펌핑구수용부에 구비되어 펌핑구수용부에 수용된 펌핑구가 안착지지되는 지지턱으로 구비되고, 상기 누름구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누름구는, 상기 누름구수용부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고, 누름구수용부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누름구를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펌핑구가 용기체에 채워진 액상의 내용물을 분사 배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누름구에는 액상의 내용물이 분사 배출되도록 상기 펌핑구와 연결되는 분사부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용기체의 상단 일측에는, 걸이끈이 걸어지는 걸이끈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끈연결부는, 상기 용기체의 상단에 구비되되 걸이끈걸이부에 걸어진 걸이끈의 걸고리가 걸어지는 동작이 용이하도록, 용기체의 상단 양측에 대해 함몰진 함몰부에 의해 용기체의 상단 내측으로 인입되어 구비되고, 상기 걸이끈연결부에는 걸이끈의 걸고리가 걸어지는 걸이구멍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용기체의 하단을 덮어주는 하단덮개는, 용기체에 채워진 손소독제를 다 사용하였을 때 손소독제를 용기체의 내부에 채워줌이 용이하도록, 상기 용기체의 하단으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단덮개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체의 하단 내측으로 끼워줄 때 용기체의 하단 내면 전체에 밀착되어 하단덮개가 용기체의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끼움고정턱부가 하단덮개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본 고안은 손소독제는 물론 구강청결제, 모기진드기기피제, 애완동물용 냄새제거제, 향수 등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체에 채워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며,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항상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걸이끈을 연결하여 목에 착용하거나 또는 손에 들고 다닐 수 있어 휴대성과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누름구를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쉽게 용기체에 채워진 액상의 내용물을 스프레이 분사하여 사용함에 따라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소독약제는 물론 구강청결제, 모기진드기기피제, 애완동물용 냄새제거제, 향수 등 액상이 내용물을 재충전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으며, 걸이끈의 걸고리를 쉽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착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휴대용 액체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휴대용 액체분무기의 누름구를 누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휴대용 액체분무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휴대용 액체분무기에 걸이끈을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휴대용 액체분무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휴대용 액체분무기의 누름구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액체분무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액상의 내용물이 채워지고 하단에 하단덮개(11)를 갖는 용기체(10)와, 상기 용기체(10)에 채워진 액상의 내용물을 분사하고 누름구(21)와 펌핑구(22)로 이루어진 스프레이분사체(20)를 포함하는 휴대용 액체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기체(10)의 내부에는 손소독제는 물론 구강청결제, 모기진드기기피제, 애완동물용 냄새제거제, 향수 등 액상의 내용물이 채워지는 것으로, 상기 스프레이분사체(20)에 의해 250회 ~ 280회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용기체(10)의 상단에는, 상기 스프레이분사체(20)가 끼워지는 분사체가이드부(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사체가이드부(30)는, 상기 스프레이분사체(20)의 누름구(21)가 위치되는 누름구수용부(31)와, 상기 누름구수용부(31)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펌핑구(22)가 수용되는 펌핑구수용부(32)와, 상기 펌핑구수용부(32)에 구비되어 펌핑구수용부(32)에 수용된 펌핑구(22)가 안착지지되는 지지턱(33)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기 누름구수용부(31)에 수용되는 상기 누름구(21)가 상기 누름구수용부(31)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구수용부(31)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누름구(21)를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펌핑구(22)가 용기체(10)에 채워진 액상의 내용물을 분사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누름구(21)에는 액상의 내용물이 분사 배출되도록 상기 펌핑구(22)와 연결되는 분사부(23)가 구비된다.
상기 분사체가이드부(30)는, 누름구수용부(31)가 용기체(10)의 상단으로부터 인입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누름구수용부(31)의 내면을 따라 누름구수용부(31)에 수용되는 스프레이분사체(20)의 누름구(21)가 가이드 지지될 수 있어 스프레이분사체(20)의 누름구(21)를 눌러줄 때 누름구(21)가 누름구수용부(31)의 내측에서 용이하게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분사체(20)의 펌핑구(22)가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체가이드부(30)의 펌핑구수용부(32)에 수용된 후 지지턱(33)에 의해 펌핑구(22)의 하단이 받쳐져 지지되기 때문에, 누름구(21)를 눌러줄 때 펌핑구수용부(32)로부터 펌핑구(22)가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상기 용기체(10)의 상단 일측에는 걸이끈(40)의 걸고리(41)가 걸어지는 걸이끈연결부(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이끈연결부(50)는, 상기 용기체(10)의 상단에 구비되되 걸이끈걸이부(50)에 걸어진 걸이끈(40)의 걸고리(41)가 걸어지는 동작이 용이하도록, 용기체(10)의 상단 양측에 대해 각각 함몰진 함몰부(51)에 의해 용기체(10)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인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이끈연결부(50)에는 걸이끈(40)의 걸고리(41)가 걸어지는 걸이구멍(52)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끈연결부(50)를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진 함몰부(51)에 의해 용기체(10)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인입되게 구비한 이유는, 상기 걸이끈연결부(50)의 걸이구멍(52)에 걸어지는 걸이끈(40)의 걸고리(41)가 상기 용기체(10)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너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걸이끈연결부(50)의 걸이구멍(52)에 상기 걸이끈(40)의 걸고리(41)를 걸어줄 때 걸어주는 동작이 용기체(10)의 전면이나 후면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용이하게 걸이구멍(52)에 걸고리(41)를 걸어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걸이끈연결부(50)의 걸이구멍(52)으로부터 걸이끈(40)의 걸고리(41)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걸이끈(40)을 목에 걸어 용기체(10)를 휴대하지 않을 경우 상기 걸이구멍(52)으로부터 걸고리(41)를 분리함에 따라 걸이끈(40)을 걸이끈연결부(5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용기체(10)를 손에 들고 휴대함이 더욱 용이하다.
본 고안의 하단덮개(11)는, 용기체(10)의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을 채워준 후 용기체(10)의 하단에 끼워진 다음 용기체(10)의 하단과 용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용기체(10)의 하단을 덮어주는 하단덮개(11)는, 용기체(10)에 채워진 액상의 내용물을 다 사용하였을 때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체(10)의 내부에 채워줌이 용이하도록, 상기 용기체(10)의 하단으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덮개(11)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체(10)의 하단 내측으로 끼워줄 때 용기체(10)의 하단 내면 전체 둘레부를 따라 밀착되어 하단덮개(11)가 용기체(10)의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끼움고정턱부(12)가 하단덮개(11)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용기체(10)에 채워진 손소독제는 물론 구강청결제, 모기진드기기피제, 애완동물용 냄새제거제, 향수 등 액상의 내용물을 상기 스프레이분사체(20)의 누름구(21)를 눌러 250회 ~ 280회 분사하여 사용한 후, 용기체(10)를 폐기하면 된다.
또한, 상기 하단덮개(11)를 용기체(10)의 하단으로부터 분리한 후 용기체(10)를 거꾸로 뒤집어 용기체(10)의 내부에 새 것의 액상의 내용물을 채워준 다음 분리된 하단덮개(11)를 다시 용기체(10)의 하단에 끼워 용기체(10)를 재사용하면 된다.
이에 따라, 용기체(10)의 재사용에 의한 경제적인 비용절감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으며, 용기체(10)를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함에 따라 재활용성에 의한 친환경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용기체 11 : 하단덮개
12 : 끼움고정턱부
20 : 스프레이분사체 21 : 누름구
22 : 펌핑구 23 : 분사부
30 : 분사체가이드부 31 : 누름구수용부
32 : 펌핑구수용부 33 : 지지턱
40 : 걸이끈 41 : 걸이끈 걸고리
50 : 걸이끈연결부 51 : 함몰부
52 : 걸이구멍

Claims (3)

  1. 액상의 내용물이 채워지고 하단에 하단덮개(11)를 갖는 용기체(10)와, 상기 용기체(10)에 채워진 액상의 내용물을 분사하고 누름구(21)와 펌핑구(22)로 이루어진 스프레이분사체(20)를 포함하는 휴대용 액체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10)의 상단에는,
    상기 스프레이분사체(20)가 끼워지는 분사체가이드부(30)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체가이드부(30)는,
    상기 스프레이분사체(20)의 누름구(21)가 위치되는 누름구수용부(31)와;
    상기 누름구수용부(31)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펌핑구(22)가 수용되는 펌핑구수용부(32)와;
    상기 펌핑구수용부(32)에 구비되어 펌핑구수용부(32)에 수용된 펌핑구(22)가 안착지지되는 지지턱(33)으로 구비되고,
    상기 누름구수용부(31)에 수용되는 상기 누름구(21)는, 상기 누름구수용부(31)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고, 누름구수용부(31)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누름구(21)를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펌핑구(22)가 용기체에 채워진 액상의 손소독제를 분사 배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누름구(21)에는 손소독제가 분사 배출되도록 상기 펌핑구(22)와 연결되는 분사부(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체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10)의 상단 일측에는 걸이끈(40)의 걸고리(41)가 걸어지는 걸이끈연결부(50)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끈연결부(50)는,
    상기 용기체(10)의 상단에 구비되되 걸이끈걸이부(50)에 걸어진 걸이끈(40)의 걸고리(41)가 걸어지는 동작이 용이하도록, 용기체(10)의 상단 양측에 대해 각각 함몰진 함몰부(51)에 의해 용기체(10)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인입되어 구비되고,
    상기 걸이끈연결부(50)에는 걸이끈(40)의 걸고리(41)가 걸어지는 걸이구멍(5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체분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10)의 하단을 덮어주는 하단덮개(11)는, 용기체(10)에 채워진 액상의 내용물을 다 사용하였을 때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체(10)의 내부에 채워줌이 용이하도록, 상기 용기체(10)의 하단으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단덮개(11)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체(10)의 하단 내측으로 끼워줄 때 용기체(10)의 하단 내면 전체 둘레부를 따라 밀착되어 하단덮개(11)가 용기체(10)의 하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끼움고정턱부(12)가 하단덮개(11)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체분무기.
KR2020210002208U 2021-07-12 2021-07-12 휴대용 액체분무기 KR202300001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08U KR20230000168U (ko) 2021-07-12 2021-07-12 휴대용 액체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08U KR20230000168U (ko) 2021-07-12 2021-07-12 휴대용 액체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68U true KR20230000168U (ko) 2023-01-19

Family

ID=8510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208U KR20230000168U (ko) 2021-07-12 2021-07-12 휴대용 액체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168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95B1 (ko) 2018-01-10 2019-08-19 조윤주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KR102244633B1 (ko) 2020-09-11 2021-04-26 (주)혜성엘앤엠 이산화염소수를 사용한 휴대용 방역 살균 소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95B1 (ko) 2018-01-10 2019-08-19 조윤주 손소독제 휴대용 포켓
KR102244633B1 (ko) 2020-09-11 2021-04-26 (주)혜성엘앤엠 이산화염소수를 사용한 휴대용 방역 살균 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8395B1 (en) Scrub brush
US10893744B2 (en) All-in-one antimicrobial hand/nail brush
US20090020135A1 (en) Combined clean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21251671A1 (ko) 손목 부착형 다용도 용기
CN111358987A (zh) 一种便携的佩戴式消毒装置
US8240930B2 (en) Personal hygiene apparatus
JP5458351B2 (ja) 簡易液体噴霧装置
KR20230000168U (ko) 휴대용 액체분무기
KR101164458B1 (ko) 휴대용 소독기
KR20170062884A (ko) 다용도 팔찌
KR20190072051A (ko) 손소독제가 나오는 문고리
KR102218902B1 (ko) 풋 페달식 손 소독기
CN210673902U (zh) 一种医疗用手持式消毒喷洒装置
CN213031372U (zh) 一种用于户外随身携带的消毒防护笔
JP2007210644A (ja) エアゾール容器の残留内容物排出装置
JP3150641U (ja) 消毒用などの携帯型スプレーボトル
CN211932931U (zh) 多喷头喷剂瓶
JP4739971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残留内容物排出装置
JP3231820U (ja) 消毒装置
KR100975947B1 (ko) 핸들 내장형 소독장치
RU20624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ной выдачи средства для обработки рук
CN212996195U (zh) 一种同时兼顾喷雾和起泡功能的包装瓶
KR102386827B1 (ko) 손잡이형 소독액 분사장치
JP3231129U (ja) 携帯用オゾン水生成噴霧器
KR20220131012A (ko) 손소독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