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227A - 반도체칩 구조변형 개선공정 - Google Patents

반도체칩 구조변형 개선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227A
KR20220170227A KR1020210081011A KR20210081011A KR20220170227A KR 20220170227 A KR20220170227 A KR 20220170227A KR 1020210081011 A KR1020210081011 A KR 1020210081011A KR 20210081011 A KR20210081011 A KR 20210081011A KR 20220170227 A KR20220170227 A KR 20220170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s
underfill
weir
thickness
semiconductor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888B1 (ko
Inventor
오범환
정지훈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1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8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6Fillings or 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e.g. center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47Semiconductor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1Internal lead connections, e.g. via connections, feedthroug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48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consisting of layered construction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e.g. planar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 및 공정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 상에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 상기 복수의 칩 내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내부가 전도물질로 충전되고, 상기 복수의 칩을 연결하기 위한 비아 홀 및 상기 기판 및 복수의 칩의 재질과 비아 홀의 재질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상기 복수의 칩의 수평방향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 주위에 형성되는 언더필 둑 구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칩 구조변형 개선공정{Improved microstructure fabrication process for the suppression of structural deformation}
본 발명은 발명은 TSV(Through Silicon Via)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 공정상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는 추가 구조 및 그 공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기들이 소형화에 됨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는 작은 공간에 많은 칩을 넣는 고집적화가 계속 발전하며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소형화 및 고집적화에 유리한 칩들을 수직으로 적층 시키는 3D 적층 패키지 기술인, TSV(Through Silicon Via)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TSV 기술은 실리콘 웨이퍼를 관통하는 비아(Via) 홀을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인 Cu를 비아 홀에 충전시켜 칩 내부에 직접 전기적 연결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칩과 기판의 재질인 Si과 비아 홀의 재질인 Cu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약 7배 정도가 나게 되고, 이로 인해 고온 공정 상의 반도체 패키지의 뒤틀림(Warpage)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1070호(2017.02.2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딩 공정 상의 TSV 반도체 패키지에서 반도체 칩의 정렬불량의 원인이 되는 칩과 기판의 재질과 비아 홀의 재질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Si 칩의 수평방향의 뒤틀림(Warpage) 개선을 위한 미세 구조 및 그 공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는 기판 상에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 상기 복수의 칩 내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내부가 전도물질로 충전되고, 상기 복수의 칩을 연결하기 위한 비아 홀 및 상기 기판 및 복수의 칩의 재질과 비아 홀의 재질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상기 복수의 칩의 수평방향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 주위에 형성되는 언더필 둑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언더필 둑 구조는 상기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의 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의 팽창을 억제한다.
상기 언더필 둑 구조는 국제반도체기술로드맵(ITRS)에 따른 본딩 정렬(Bonding alignment) 정확도의 기준값인 1.75um 이내가 되도록 하고, 상기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의 증가에 따른 비아 홀의 응력의 증가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언더필 둑 구조는 10mm 지름을 가진 Si 칩을 4층 적층 하였을 때, 사용된 언더필 재료의 CTE특성을 기준으로 6%의 두께를 갖는다. 적층수가 증가되면 언더필 둑 두께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면 되며, 추후 실시예로써 설명된다.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 공정 방법은 기판 상에 복수의 칩을 수직 적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칩 내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내부가 전도물질로 충전되고, 상기 복수의 칩을 연결하기 위한 비아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및 복수의 칩의 재질과 비아 홀의 재질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상기 복수의 칩의 수평방향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 주위에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TSV 반도체 패키지에 적절한 두께의 언더필 둑을 형성함으로써 TSV 반도체 패키지의 수평방향 뒤틀림(Warpage)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뒤틀림을 줄임으로써 본딩 정렬(Bonding alignment)의 정확도를 높이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의 고온공정 전산모사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의 고온공정 전산모사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의 본 미제스(Von Mises) 응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 공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에 따른 수평방향 뒤틀림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에 따른 본 미제스(Von Mises) 응력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 적층 수와 개선용 언더필 둑 두께의 선형적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발명은 TSV(Through Silicon Via) 반도체 패키지의 본딩 공정상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는 추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패키지의 구성요소의 구조를 변경하여 Si 칩의 팽창을 억제하고, Si 칩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하여 반도체 패키지의 뒤틀림을 줄이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종래기술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 모델과 공정환경, 구성요소의 크기, CTE(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1층에서 4층까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 상부 평면도이다.
TSV 기술은 실리콘 웨이퍼를 관통하는 비아(Via) 홀을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인 Cu를 비아 홀에 충전시켜 칩 내부에 직접 전기적 연결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TSV 기술은 Si 기판(110) 상에 Si 칩(120)을 수직 적층하고, 기판(110) 상에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120)을 Cu 비아를 통해 전기적 연결을 하여 저전력화와 고속화의 장점이 있다.
그런데 칩과 기판의 재질인 Si과 비아 홀의 재질인 Cu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약 7배 정도가 나게 되고, 이로 인해 고온 공정 상의 반도체 패키지의 뒤틀림(Warpage)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1(b) 내지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의 수직 적층된 Si 칩의 단면도이다.
도 1(b) 내지 도 1(b)는 Si 기판(110) 상에 수직 적층된 Si 칩(120)의 적층 수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기판(110) 상에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120)을 Cu 비아(130)를 통해 전기적 연결한다.
반도체 기기들이 소형화에 됨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는 작은 공간에 많은 칩을 넣는 고집적화가 계속 발전하며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소형화 및 고집적화에 유리한 칩들을 수직으로 적층 시키는 3D 적층 패키지 기술에 있어서, Si 칩을 적층 할수록 수평방향 뒤틀림이 증가한다. 이것은 고집적화를 위해서는 칩을 수직으로 적층을 하여야 하고 칩을 적층 할수록 본딩 정렬(Bonding alignment) 정확도의 오차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도 1(f)는 종래기술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 모델과 공정환경, 구성요소의 크기, CTE(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을 나타내는 표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의 뒤틀림 개선을 위하여 도 2와 같이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TSV 반도체 패키지의 구성요소의 팽창을 이용하여 Si 칩의 뒤틀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의 상부 평면도이다.
제안하는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는 기판(210) 상에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220), 복수의 칩(220) 내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내부가 전도물질로 충전되고, 복수의 칩(220)을 연결하기 위한 비아 홀(230) 및 기판(210) 및 복수의 칩(220)의 재질과 비아 홀(230)의 재질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복수의 칩(220)의 수평방향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기 위해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220) 주위에 형성되는 언더필 둑 구조(240)를 포함한다.
도 2(b) 내지 도 2(e)은 Si 기판(210) 상에 수직 적층된 Si 칩(220)의 적층 수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기판(210) 상에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220)을 Cu 비아(230)를 통해 전기적 연결한다. 그리고, 기판(210) 및 복수의 칩(220)의 재질과 비아 홀(230)의 재질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복수의 칩(220)의 수평방향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기 위해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220) 주위에 언더필 둑 구조(240)를 형성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도체의 고집적화를 위해 칩을 수직으로 적층하게 되고, 칩을 적층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평방향 뒤틀림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방향 뒤틀림은 본딩 정렬 정확도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반도체 패키지의 Si 칩 수평방향 뒤틀림의 개선을 위하여 Si 칩 주위에 언더필을 이용한 둑 구조(240) 형성을 제안한다. 언더필 둑 구조(240)를 형성하게 된다면 언더필 둑이 Si 칩(220)의 팽창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뒤틀림 개선에 도움이 된다. 언더필 둑의 두께를 두껍게 할수록 수평방향 뒤틀림은 줄일 수 있지만 Cu 비아의 본 미제스(Von Mises) 응력이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응력이 증가하면 구성요소의 파손 우려가 있기 때문에 언더필 둑 구조의 적절한 두께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의 뒤틀림과 응력을 확인하기 위해 전산모사를 진행하였고, 공정은 질소환경에서 260도의 공정온도를 적용하였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의 고온공정 전산모사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에 대하여 TSV 반도체 패키지의 뒤틀림과 응력을 확인하기 위해 전산모사를 진행하였고, 공정은 질소환경에서 260도의 공정온도를 적용하였다.
도 3(a) 내지 도 3(d)은 Si 수직 적층된 Si 칩의 적층 수에 따른 전산모사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많은 수의 칩을 적층할수록 수평방향 뒤틀림이 증가하는 것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의 고온공정 전산모사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에 대하여 TSV 반도체 패키지의 뒤틀림과 응력을 확인하기 위해 전산모사를 진행하였고, 공정은 질소환경에서 260도의 공정온도를 적용하였다. 칩의 적층 수는 상용칩에 적용되는 12단 3D-TSV을 토대로 1층에서 4층까지, 그리고 추후에 도9를 통해 8층과 12층의 전산모사 결과를 정리하였다. 4층이 적층되고,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를 0.6mm로 형성할 때의 결과이고,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뒤틀림이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8층과 12층의 경우에도, 적층수의 증가에 따라서 둑 두께를 1.7mm와 2.85mm 정도로 증가시키면, 오차한도 이내로 적절한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a) 내지 도 4(d)은 Si 수직 적층된 Si 칩의 적층 수 및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에 따른 전산모사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를 두껍게 할수록 수평방향 뒤틀림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SV 반도체 패키지의 본 미제스(Von Mises) 응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가 0.6mm일 때 전산모사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은 Si 수직 적층된 Si 칩의 적층 수 및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에 따른 본 미제스 응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Si 칩의 적층 수 및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Cu 비아(511, 512, 513, 514)에서 응력을 많이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Cu 비아의 응력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를 무작정 늘려준다면 뒤틀림은 계속 줄어들겠지만 응력이 증가하여 파손의 우려가 있기에 적절한 값을 찾아야 한다.
국제반도체기술로드맵(ITRS)에 의하면 비아 홀의 지름이 10um 기준 본딩 정렬(Bonding alignment) 정확도는 1.75um 이내여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산모사 상으로 4층 적층 기준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가 0.6mm일 때 뒤틀림이 1.72um라는 결과값을 얻었다.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은 본딩 정렬의 정확도를 높일 수는 있지만 Cu 비아의 응력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렇기 때문에 본딩 정렬 정확도의 기준값인 1.75um 이내가 되고 둑 두께에 따른 응력의 증가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층수에 따라, 2층 이하에서는 둑구조가 필요 없고, 그 이상의 적층일 때는 '적층수-2'에 ~0.285mm를 곱한 두께, 즉, 4층일 때는 (4-2)x0.285 ~ 0.6mm, 8층일 때는 (8-2)x0.285 ~ 1.72mm, 12층일 때는 (12-2)x0.285 ~ 2.85mm 정도의 두께를 가진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그 예시로서 제안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 공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 공정 방법은 기판 상에 복수의 칩을 수직 적층하는 단계(610), 상기 복수의 칩 내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내부가 전도물질로 충전되고, 상기 복수의 칩을 연결하기 위한 비아 홀을 형성하는 단계(620) 및 상기 기판 및 복수의 칩의 재질과 비아 홀의 재질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상기 복수의 칩의 수평방향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 주위에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630)를 포함한다.
단계(610)에서, 기판 상에 복수의 칩을 수직 적층한다.
단계(620)에서, 복수의 칩 내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내부가 전도물질로 충전되고, 상기 복수의 칩을 연결하기 위한 비아 홀을 형성한다.
TSV 기술은 실리콘 웨이퍼를 관통하는 비아(Via) 홀을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인 Cu를 비아 홀에 충전시켜 칩 내부에 직접 전기적 연결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TSV 기술은 Si 기판 상에 Si 칩을 수직 적층하고, 기판 상에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을 Cu 비아를 통해 전기적 연결을 하여 저전력화와 고속화의 장점이 있다.
그런데 칩과 기판의 재질인 Si과 비아 홀의 재질인 Cu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약 7배 정도가 나게 되고, 이로 인해 고온 공정 상의 반도체 패키지의 뒤틀림(Warpage)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반도체 기기들이 소형화에 됨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는 작은 공간에 많은 칩을 넣는 고집적화가 계속 발전하며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소형화 및 고집적화에 유리한 칩들을 수직으로 적층 시키는 3D 적층 패키지 기술에 있어서, Si 칩을 적층 할수록 수평방향 뒤틀림이 증가한다. 이것은 고집적화를 위해서는 칩을 수직으로 적층을 하여야 하고 칩을 적층 할수록 본딩 정렬(Bonding alignment) 정확도의 오차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단계(630)에서, 기판 및 복수의 칩의 재질과 비아 홀의 재질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상기 복수의 칩의 수평방향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 주위에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한다.
기판 및 복수의 칩의 재질과 비아 홀의 재질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복수의 칩의 수평방향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기 위해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 주위에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도체의 고집적화를 위해 칩을 수직으로 적층하게 되고, 칩을 적층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평방향 뒤틀림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방향 뒤틀림은 본딩 정렬 정확도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반도체 패키지의 Si 칩 수평방향 뒤틀림의 개선을 위하여 Si 칩 주위에 언더필을 이용한 둑 구조 형성을 제안한다.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면 언더필 둑이 Si 칩의 팽창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뒤틀림 개선에 도움이 된다. 언더필 둑의 두께를 두껍게 할수록 수평방향 뒤틀림은 줄일 수 있지만 Cu 비아의 본 미제스(Von Mises) 응력이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응력이 증가하면 구성요소의 파손 우려가 있기 때문에 언더필 둑 구조의 적절한 두께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에 따른 수평방향 뒤틀림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구조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언더필 둑 구조를 갖는 TSV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에 대하여 TSV 반도체 패키지의 뒤틀림과 응력을 확인하기 위해 전산모사를 진행하였고, 공정은 질소환경에서 260도의 공정온도를 적용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가 증가할 수록 뒤틀림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값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 목표값으로 설정된 지름 10um 비아 홀 기준 본딩 정렬 정확도인 1.75um이하를 만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에 따른 본 미제스(Von Mises) 응력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Cu 비아의 응력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를 무작정 늘려준다면 뒤틀림은 계속 줄어들겠지만 응력이 증가하여 파손의 우려가 있기에 적절한 값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언더필 둑 구조의 적절한 두께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국제반도체기술로드맵(ITRS)을 따른 기준을 따른다. 예를 들어, 비아 홀의 지름이 10um 기준으로 본딩 정렬 정확도가 1.75um이내가 되고 둑 두께에 따른 응력 증가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언더필 둑 두께를 선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칩 적층 수와 언더필 둑 개선 두께의 선형적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칩 적층 수와 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언더필 둑 두께는 선형적이며, '적층수-2'에 ~0.285mm를 곱한 두께, 즉, 4층일 때는 (4-2)x0.285 ~ 0.6mm, 8층일 때는 (8-2)x0.285 ~ 1.72mm, 12층일 때는 (12-2)x0.285 ~ 2.85mm 정도의 두께를 가진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보다 더 두꺼운 언더필 둑을 사용한다면 수평방향 뒤틀림은 좀더 줄일 수 있지만, 응력증가를 고려하여 언더필 둑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기판 상에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
    상기 복수의 칩 내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내부가 전도물질로 충전되고, 상기 복수의 칩을 연결하기 위한 비아 홀; 및
    상기 기판 및 복수의 칩의 재질과 비아 홀의 재질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상기 복수의 칩의 수평방향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 주위에 형성되는 언더필 둑 구조
    를 포함하는 TSV 반도체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필 둑 구조는,
    상기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의 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의 팽창을 억제하는
    TSV 반도체 패키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필 둑 구조는,
    국제반도체기술로드맵(ITRS)에 따른 본딩 정렬(Bonding alignment) 정확도의 기준값인 1.75um 이내가 되도록 하고,
    상기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의 증가에 따른 비아 홀의 응력의 증가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TSV 반도체 패키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필 둑 구조는,
    10mm 지름을 가진 Si 칩을 4층 적층 하였을 때 사용된 언더필 둑 재료의 CTE특성을 기준으로 6% 이상의 두께를 갖고, 적층수가 증가할 수록 상기 언더필 둑 두께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TSV 반도체 패키지.
  5. 기판 상에 복수의 칩을 수직 적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칩 내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내부가 전도물질로 충전되고, 상기 복수의 칩을 연결하기 위한 비아 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및 복수의 칩의 재질과 비아 홀의 재질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상기 복수의 칩의 수평방향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 주위에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TSV 반도체 패키지 공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복수의 칩의 재질과 비아 홀의 재질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상기 복수의 칩의 수평방향의 뒤틀림(Warpage)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 주위에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의 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수직 적층된 복수의 칩의 팽창을 억제하고,
    국제반도체기술로드맵(ITRS)에 따른 본딩 정렬(Bonding alignment) 정확도의 기준값인 1.75um 이내가 되도록 하고,
    상기 언더필 둑 구조의 두께의 증가에 따른 비아 홀의 응력의 증가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두께로 상기 언더필 둑 구조를 형성하는
    TSV 반도체 패키지 공정 방법.
KR1020210081011A 2021-06-22 2021-06-22 반도체칩 구조변형 개선공정 KR102499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011A KR102499888B1 (ko) 2021-06-22 2021-06-22 반도체칩 구조변형 개선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011A KR102499888B1 (ko) 2021-06-22 2021-06-22 반도체칩 구조변형 개선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227A true KR20220170227A (ko) 2022-12-29
KR102499888B1 KR102499888B1 (ko) 2023-02-16

Family

ID=8453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011A KR102499888B1 (ko) 2021-06-22 2021-06-22 반도체칩 구조변형 개선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8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651A (ko) * 2011-01-28 2012-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7204A (ko) * 2010-03-10 2013-04-15 에이티아이 테크놀로지스 유엘씨 고정된 언더필을 구비한 회로 기판
KR20160004922A (ko) * 2014-07-03 2016-01-13 인텔 코포레이션 전자 패키지 및 전자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다이를 제2 다이에 연결시키는 방법
KR20170021070A (ko) 2015-08-17 201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Tsv 구조를 구비한 집적회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8586A (ko) * 2016-02-22 201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204A (ko) * 2010-03-10 2013-04-15 에이티아이 테크놀로지스 유엘씨 고정된 언더필을 구비한 회로 기판
KR20120087651A (ko) * 2011-01-28 2012-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4922A (ko) * 2014-07-03 2016-01-13 인텔 코포레이션 전자 패키지 및 전자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다이를 제2 다이에 연결시키는 방법
KR20170021070A (ko) 2015-08-17 201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Tsv 구조를 구비한 집적회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8586A (ko) * 2016-02-22 201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888B1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1502B2 (en) Semiconductor package
US9406649B2 (en) Stacked multi-chip integrated circuit package
TWI614865B (zh) 用以與上ic封裝體耦合以形成封裝體疊加(pop)總成的下ic封裝體結構,以及包含如是下ic封裝體結構的封裝體疊加(pop)總成
US9754892B2 (en) Stacked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27679A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US8004072B2 (en)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US10796930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decreased warp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952528B2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TW201816950A (zh) 晶片封裝結構及其製造方法
US20220304157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ssemble substrate
US20240162169A1 (en) Electronic packag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1398413B2 (en) Electronic package with multiple electronic components spaced apart by grooves
US8828796B1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118371A1 (en) Semiconductor package
KR102499888B1 (ko) 반도체칩 구조변형 개선공정
US11145627B2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30154868A1 (en) Semiconductor devices with reinforced substrates
CN112736075A (zh) 半导体封装
US11676877B2 (en) Electronic package with multiple electronic components spaced apart by grooves
US10548230B2 (en) Method for stress reduction in semiconductor package via carrier
JP2016171256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50071934A (ko) 워페이지를 억제할 수 있는 패키지 온 패키지
US860391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200091117A1 (en) Stacked semiconductor chips having transistor in a boundary region
US20230413585A1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