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096A -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096A
KR20220170096A KR1020210080694A KR20210080694A KR20220170096A KR 20220170096 A KR20220170096 A KR 20220170096A KR 1020210080694 A KR1020210080694 A KR 1020210080694A KR 20210080694 A KR20210080694 A KR 20210080694A KR 20220170096 A KR20220170096 A KR 20220170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ehouse
information
io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용선
우시은
장예은
김주은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인
Priority to KR1020210080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70096A/ko
Publication of KR2022017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센서와 카메라 등을 활용하여 창고 및 창고에 수용된 물류의 제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와 공유하여 장소와 시간에 제약없이 창고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IoT 서비스를 기반으로 창고의 환경 및 물류 상태를 스마트하게 제어 및 관리할 수 있음에 따라 창고 관리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고, 나아가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창고 정보를 물류제조업체와 공유되게 함으로써 물류제조업체와 창고업체 간 효율적인 매칭이 주도되는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고의 내부 환경과 수용 중인 물류 정보를 측정하는 관리서버(100);와, 창고관리서버로 측정 요청 및 측정된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메인서버(200);와,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메인서버와 연결되어 수집된 정보가 공유되고, IoT 기능이 탑재되어 관리서버가 원격 제어되는 IoT단말기(3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Smart Warehous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대량의 물류가 보관되는 창고를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련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센서와 카메라 등을 활용하여 창고 및 창고에 수용된 물류의 제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와 공유하여 장소와 시간에 제약없이 창고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IoT 서비스를 기반으로 창고의 환경 및 물류 상태를 스마트하게 제어 및 관리할 수 있음에 따라 창고 관리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고, 나아가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창고 정보를 물류제조업체와 공유되게 함으로써 물류제조업체와 창고업체 간 효율적인 매칭이 주도되는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창고는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대량으로 보관 및 관리하는 시설로써 물품의 종류에 따라 온도와 습도 등 내부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창고는 대량의 물품을 생산하는 물류제조업체가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시설이지만 물류제조업체의 사정상 창고를 구비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풀필먼트(Fullfillment)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
상기 풀필먼트 서비스란, 주문한 상품이 고객에게 전달되는 전 과정을 일괄처리하는 서비스로써 물품 판매자는 풀필먼트 서비스업체와 계약하여 물품을 인계하고, 풀필먼트 서비스업체는 인계받은 물품을 창고에 입고 및 관리할 뿐만 아니라 물품 주문이 접수될 경우 해당 물품을 포장하고 배송하는 업무까지 담당한다. 이와 같이 풀필먼트 서비스업체는 수많은 창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수많은 창고를 관리하기 위한 인건비와 관리비를 부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창고 관리 비용의 부담을 줄이고자 다양한 노력이 기울여졌으며, 노력에 대한 결과 중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2253078호 "창고관리시스템 및 창고관리시스템에 의한 상품 입출고 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출고 정보를 기초로 출고될 상품의 품목명, 수량, 상품 바코드 및 출고전표 바코드를 포함하는 피킹 작업지시서를 생성할 수 있는 창고 관리서버와, 피킹 작업지시서에 표시된 출고전표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출고될 상품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피킹 작업지시서에 표시된 상품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출고될 상품이 보관된 보관부의 추천로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는 작업자 단말기 및 상품분배소 내에 위치한 상품의 상품 바코드가 스캔됨으로써 상품 표시기에 배송처 별로 상품 분배 여부 및 상품의 수량이 표시될 수 있는 상품분배기기가 포함된 기술이다.
상기 기술 외에도 등록특허공보 제10-1983018호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물류 창고 배치 및 관리 시스템"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창고에 보관 가능한 물품의 종류를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토대로 새롭게 입고되는 물품의 종류, 수량, 무게 등에 적합한 창고가 자동 편성되어 창고 관리자에게 제공되며, 특히 창고의 적정 온도를 수시로 감지하거나 또는 새로 입고되는 물품에 따른 적정 온도를 변경함으로써 최적의 창고 상태를 조성할 수 있는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창고 관리 시스템은 센서 등을 활용하여 창고의 내부 환경이나 물류의 상태를 간편하게 체크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존 기술은 단순히 창고의 현상태를 체크할 뿐,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원하는 수준의 창고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이를 조작 및 제어할 수 있는 인력이 배치되어야만 했고, 결과적으로 기존의 문제점인 창고관리 비용절감을 완벽하게 이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창고의 내부 환경과 물류 상태를 점검하고, 이를 원하는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모든 관리 과정이 스마트하게 이루어져 관리비용 절감은 물론 창고관리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53078호 "창고관리시스템 및 창고관리시스템에 의한 상품 입출고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983018호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물류 창고 배치 및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단말기를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없이 창고의 내부 환경과 물류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조작만으로 해당 창고의 내부환경과 물품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한 창고 관리 시스템의 제공을 주된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데이터가 실시간 동시 처리되는 시스템으로 구성하되, 작업간 돌발상황에 대한 우선순위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돌발상황 발생시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상황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창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창고 관리 시스템은 창고의 내부 환경과 수용 중인 물류 정보를 측정하는 관리서버(100);와, 창고관리서버로 측정 요청 및 측정된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메인서버(200);와,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메인서버와 연결되어 수집된 정보가 공유되고, IoT 기능이 탑재되어 관리서버가 원격 제어되는 IoT단말기(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00)는 창고의 내부 환경을 측정하는 환경관리부(110)와, 창고의 물류 상태를 측정하는 물류관리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환경관리부(110)는 온도감지센서 또는 습도감지센서 또는 가스감지센서 또는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센서는 IoT 기능이 탑재되어 원격 제어가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류관리부(120)는 RFID 태그 리더기 또는 부저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기기는 IoT 기능이 탑재되어 원격 제어가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200)는 IoT단말기(300)와 연동하여 관리서버(100)에 접근할 수 있는 웹페이지(210)를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210)는 사용자의 접속 여부와 관계없이 관리서버(100)의 측정 요청 및 정보가 수집되어 실시간 저장되고, 사용자의 접속이나 요청에 따라 비동기적 통신에 기인하여 저장된 정보가 시각화 노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웹페이지(210)는 관리서버(100)가 측정한 정보를 1초 단위로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정보관리부(211)와, 관리서버가 측정한 정보를 비동기적으로 식별하여 창고 내 위험 상황과 안전 상황이 분석되는 정보식별부(212)와, 정보식별부와 연계되어 창고 내 위험 상황을 사용자의 IoT단말기(300)로 전달하는 상황알람부(2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IoT단말기(300)는 메인서버(200)가 공유한 창고 정보를 분석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10)를 포함하고,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10)는 메인서버(200)와 창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Apollo Client로 구축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10)는 회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부(311)와, 창고 내부 환경 측정 정보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시각화 제공되는 환경정보제공부(312)와, 물류의 상태와 재고 정보를 테이블로 변환하여 시각화 제공되는 물류정보제공부(313)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풀필먼트 서비스업체 뿐만 아니라 풀필먼트 서비스업체를 이용하는 물류제조업자도 창고와 물류의 상태를 장소와 시간에 구애없이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여 창고 대여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서버를 통해 창고의 온·습도 감지와 물류의 입고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관리서버는 IoT 기반의 단말기를 통해 간편하게 제어되어 창고 관리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물류 입고 처리로 업무 프로세스가 간소화되고, 이후 자동화된 사진 촬영 시스템을 기반으로 업무 처리 속도가 향상되어 작업의 간편성과 효율성이 적극 향상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서버와 메인서버를 통해 관리되는 정보를 공공데이터로 활용하여 창고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물류제조업체와 풀필먼트 서비스업체는 서로 필요한 창고조건을 간편하게 검색하여 원하는 창고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물류제조업체와 풀필먼트 서비스업체간의 계약을 위한 매칭이 스마트하게 주도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위치 서비스가 제공되고, 위치 서비스에 기반하여 물류제조업체 또는 그 외의 모든 풀필먼트 서비스업체 이용 고객에게 가장 적합한 위치에 배치된 창고를 제안할 수 있어 고객의 니즈를 적극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창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대량의 물류가 보관되는 창고를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각종 센서와 카메라 등을 활용하여 창고 및 창고에 수용된 물류의 제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와 공유하여 장소와 시간에 제약없이 창고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IoT 서비스를 기반으로 창고의 환경 및 물류 상태를 스마트하게 제어 및 관리할 수 있음에 따라 창고 관리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고, 나아가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창고 정보를 물류제조업체와 공유되게 함으로써 물류제조업체와 창고업체 간 효율적인 매칭이 주도되는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창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창고 관리 시스템은 창고의 내부 환경과 수용 중인 물류 정보를 측정하는 관리서버(100);와, 창고관리서버로 측정 요청 및 측정된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메인서버(200);와,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메인서버와 연결되어 수집된 정보가 공유되고, IoT 기능이 탑재되어 관리서버가 원격 제어되는 IoT단말기(300);로 구성된다.
상기 관리서버(100)는 메인서버(2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측정한 정보를 메인서버로 전달하고, IoT단말기(300)가 메인서버(200)로 요청한 제어정보를 수용한다. 상기 관리서버(100)는 정밀하고 신속하며 안정적인 측정을 위하여 창고의 내부 환경만을 측정하는 환경관리부(110)와, 창고의 물류 상태만을 측정하는 물류관리부(120)로 구분 구성하였다.
상기 환경관리부(110)는 온도감지센서 또는 습도감지센서 또는 가스감지센서 또는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당연히 창고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습도감지센서는 창고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며, 상기 가스감지센서는 창고 내 보유 중인 가스의 잔량 파악 내지 가스의 누수를 감지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창고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나 화재 등을 선감지한다. 한편, 상기 온도감지센서와 습도감지센서, 가스감지센서 및 화재감지센서들은 모두 IoT 기능이 탑재된 것을 포함하고, IoT 기능 탑재를 기반으로 IoT단말기(300)와 연동됨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제약없이 환경관리부(110)가 원격으로 제어된다.
상기 물류관리부(120)는 RFID 태그 리더기 또는 부저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RFID 태그 리더기는 물품에 부여된 RFID 태그를 감지하여 해당 물품의 제반 정보, 입고 날짜, 출고 예정 날짜, 물품의 보관 장소 등 창고 보관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데이터화 저장하고, 상기 부저 모듈은 RFID 태그 리더기가 물품에 부여된 RFID 태그를 감지하여 물품의 정상 입고를 전달하는 알림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RFID 태그 리더기가 감지한 물품의 일부 및 외형을 촬영하여 메인서버(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RFID 태그 리더기와 부저 모듈 및 카메라 모듈들은 모두 IoT 기능이 탑재된 것을 포함하고, IoT 기능 탑재를 기반으로 IoT단말기(300)와 연동됨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제약없이 물류관리부(120)가 원격으로 제어된다.
상기 메인서버(200)는 관리서버(1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관리서버가 측정한 정보를 인계받아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관리 중인 측정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시각화 변환하여 IoT단말기(300)로 제공하며, 더불어 메인서버는 사용자가 IoT단말기를 통해 요청한 제어정보를 인계받아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
이러한 메인서버(200)는 IoT단말기(300)와 연동하여 관리서버(100)에 접근할 수 있는 웹페이지(210)를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는 사용자의 접속 여부와 관계없이 관리서버(100)의 측정 요청 및 정보가 수집되어 실시간 저장되며, 사용자의 접속이나 요청에 따라 비동기적 통신에 기인하여 저장된 정보가 시각화 노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웹페이지(210)는 관리서버(100)가 측정한 정보를 1초 단위로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정보관리부(211)와, 관리서버가 측정한 정보를 비동기적으로 식별하여 창고 내 위험 상황과 안전 상황이 분석되는 정보식별부(212)와, 정보식별부와 연계되어 창고 내 위험 상황을 사용자의 IoT단말기(300)로 전달하는 상황알람부(213)로 구성된다.
상기 정보관리부(211)는 관리서버(100)가 측정한 정보를 1초 단위로 수신하여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예컨대 이러한 수신 조건을 기반으로 창고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재 발생정보를 사용자의 IoT단말기(300)로 즉시 전달함으로써 즉각적인 상황 대처가 이루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 정보식별부(212)는 다양한 상황의 예측 정보를 대량으로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황 발생에 대한 표준 데이터를 확보한다. 그리고 관리서버(100)가 측정한 정보를 인계받아 표준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임계값을 도출하고, 임계값에 따라 위험 상황과 단순 상황을 식별하여 상황알람부(213)를 통해 사용자의 IoT단말기(300)로 전달한다.
상기 위험 상황은 화재 발생이나 외부인원의 무단침입 등 창고에 막대한 피해가 초래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포함하며, 이를 정보식별부(212)가 판단하여 상황알람부(213)를 통해 사용자의 IoT단말기(300)로 즉시 전달함에 따라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반면, 단순 상황은 창고의 온·습도 제어나 환기 제어 등 단순한 기능 제어가 요구되는 상황을 의미하며, 이를 정보식별부(212)가 판단하여 상황알람부(213)를 통해 사용자의 IoT단말기(300)로 즉시 전달하거나 또는 메인서버(200)가 자체적으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기능이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IoT단말기(300)는 메인서버(200)가 공유한 창고 정보를 분석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10)를 포함하고,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10)는 메인서버(200)와 창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Apollo Client로 구축된다.
특히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10)는 회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부(311)와, 창고 내부 환경 측정 정보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시각화 제공되는 환경정보제공부(312)와, 물류의 상태와 재고 정보를 테이블로 변환하여 시각화 제공되는 물류정보제공부(313)로 구성된다.
상기 회원관리부(311)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회원가입과 서버 접속을 순차 안내하고, 이런 안내 절차를 적합하게 진행하여 접속한 회원에 한해서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이용 권한이 부여된다. 상기 회원관리부(311)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사용하는 회원들의 정보와 회원들이 등록한 창고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하고, 회원들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창고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끔 기능이 제공된다.
상기 환경정보제공부(312)는 관리서버(100)가 측정한 창고의 내부 환경정보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IoT단말기(300)로 시각화 제공되고, 이렇게 제공 중인 창고의 내부 환경정보 그래프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져 창고의 내부 환경 상황을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물류정보제공부(313)는 관리서버(100)가 측정한 창고에 수용된 물류 상태와 입고 상태를 테이블화 변환하여 사용자의 IoT단말기(300)로 시각화 제공되고, 이렇게 제공 중인 창고에 수용된 물류 정보 테이블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져 창고 내 물류 상태를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창고 관리 시스템은 풀필먼트 서비스업체 뿐만 아니라 풀필먼트 서비스업체를 이용하는 물류제조업자도 창고와 물류의 상태를 장소와 시간에 구애없이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여 창고 대여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를 통해 창고의 온·습도 감지와 물류의 입고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관리서버는 IoT 기반의 단말기(300)를 통해 간편하게 제어되어 창고 관리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된다. 또한, RFID를 이용한 물류 입고 처리로 업무 프로세스가 간소화되고, 이후 자동화된 사진 촬영 시스템을 기반으로 업무 처리 속도가 향상되어 작업의 간편성과 효율성이 적극 향상된다. 또한, 관리서버(100)와 메인서버(200)를 통해 관리되는 정보를 공공데이터로 활용하여 창고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물류제조업체와 풀필먼트 서비스업체는 서로 필요한 창고조건을 간편하게 검색하여 원하는 창고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물류제조업체와 풀필먼트 서비스업체간의 계약을 위한 매칭이 스마트하게 주도된다. 또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위치 서비스가 제공되고, 위치 서비스에 기반하여 물류제조업체 또는 그 외의 모든 풀필먼트 서비스업체 이용 고객에게 가장 적합한 위치에 배치된 창고를 제안할 수 있어 고객의 니즈를 적극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관리서버
200. 메인서버
300. IoT단말기

Claims (8)

  1. 창고의 내부 환경과 수용 중인 물류 정보를 측정하는 관리서버(100);
    창고관리서버로 측정 요청 및 측정된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메인서버(200);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메인서버와 연결되어 수집된 정보가 공유되고, IoT 기능이 탑재되어 관리서버가 원격 제어되는 IoT단말기(3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100)는,
    창고의 내부 환경을 측정하는 환경관리부(110);
    창고의 물류 상태를 측정하는 물류관리부(120);
    를 포함하는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관리부(110)는 온도감지센서 또는 습도감지센서 또는 가스감지센서 또는 화재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센서는 IoT 기능이 탑재되어 원격 제어가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관리부(120)는 RFID 태그 리더기 또는 부저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기기는 IoT 기능이 탑재되어 원격 제어가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200)는 IoT단말기(300)와 연동하여 관리서버(100)에 접근할 수 있는 웹페이지(210)를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210)는 사용자의 접속 여부와 관계없이 관리서버(100)의 측정 요청 및 정보가 수집되어 실시간 저장되고, 사용자의 접속이나 요청에 따라 비동기적 통신에 기인하여 저장된 정보가 시각화 노출되는 것을 포함하는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210)는,
    관리서버(100)가 측정한 정보를 1초 단위로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되는 정보관리부(211);
    관리서버가 측정한 정보를 비동기적으로 식별하여 창고 내 위험 상황과 안전 상황이 분석되는 정보식별부(212);
    정보식별부와 연계되어 창고 내 위험 상황을 사용자의 IoT단말기(300)로 전달하는 상황알람부(213);
    를 포함하는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단말기(300)는 메인서버(200)가 공유한 창고 정보를 분석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10)를 포함하고,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10)는 메인서버(200)와 창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Apollo Client로 구축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310)는,
    회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부(311);
    창고 내부 환경 측정 정보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시각화 제공되는 환경정보제공부(312);
    물류의 상태와 재고 정보를 테이블로 변환하여 시각화 제공되는 물류정보제공부(313);
    를 포함하는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KR1020210080694A 2021-06-22 2021-06-22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KR20220170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694A KR20220170096A (ko) 2021-06-22 2021-06-22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694A KR20220170096A (ko) 2021-06-22 2021-06-22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096A true KR20220170096A (ko) 2022-12-29

Family

ID=8453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694A KR20220170096A (ko) 2021-06-22 2021-06-22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7009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18B1 (ko) 2019-04-16 2019-05-28 이기성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물류 창고 배치 및 관리 시스템
KR102253078B1 (ko) 2020-12-14 2021-05-14 김찬호 창고관리시스템 및 창고관리시스템에 의한 상품 입출고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18B1 (ko) 2019-04-16 2019-05-28 이기성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물류 창고 배치 및 관리 시스템
KR102253078B1 (ko) 2020-12-14 2021-05-14 김찬호 창고관리시스템 및 창고관리시스템에 의한 상품 입출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82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tocking shelves
KR102451653B1 (ko) 동적인 재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3890819B (zh) 用于收集与货运容器相关联的基本和辅助数据的系统和方法
US20090115609A1 (en) Transaction originating proximate position unattended tracking of asset movements with or without wireless communications coverage
US20200326680A1 (en) Process digitalization technology
US20170352256A1 (en) Digital find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WO2018135040A1 (ja) 物流管理装置、物流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258359A (zh) 使用环境传感器用来运输产品的系统
US110305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ventory of consumable articles
WO2018018606A1 (zh) 一种基于智能货架的物品流通管理方法及系统
KR102632537B1 (ko) 스마트무인스토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스마트카트에 주문상품을 담는 방법
KR20160067807A (ko) 실시간 재고 파악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CN213024481U (zh) 多模块无人仓及智能管理系统
CN110866714A (zh) 一种高安全性的智能仓库货物管理系统
KR20200027685A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27686A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20200031246A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210073158A (ko) IoT를 이용한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
KR20160069943A (ko) 방문배달 보안시스템
US20200011696A1 (en) Indoor wayfinding to equipment and infrastructure
JP2013224196A (ja) 倉庫保管物管理システム
KR20220170096A (ko) 창고공유서비스 및 Iot 기반 스마트 창고관리시스템
CZ31014U1 (cs) Systém a zařízení pro on-line monitorování naskladnění polic
KR20120032192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품의 입고 및 출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111116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