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985A -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985A
KR20220167985A KR1020210077450A KR20210077450A KR20220167985A KR 20220167985 A KR20220167985 A KR 20220167985A KR 1020210077450 A KR1020210077450 A KR 1020210077450A KR 20210077450 A KR20210077450 A KR 20210077450A KR 20220167985 A KR20220167985 A KR 20220167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focus
focus lens
light
drive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임정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985A/ko
Priority to US17/828,877 priority patent/US11865970B2/en
Priority to DE102022114551.4A priority patent/DE102022114551A1/de
Priority to CN202210668244.1A priority patent/CN115479228A/zh
Publication of KR20220167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6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8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being a simple lens adapted to cooperate with a point-like source for emitting mainly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axis coincident with the main light transmission direction, e.g. convergent or divergent lenses, plano-concave or plano-convex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30Elements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distinct from or spaced from the light source
    • F21V9/32Elements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distinct from or spaced from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photoluminescent material
    • F21V9/35Elements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distinct from or spaced from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photoluminescent material at focal points, e.g. of refractors, lenses, reflectors or arrays of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다양한 위치로 빛의 조사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실내 루프에서 설치공간이 축소되고, 제조 단가가 저감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VARIABLE FOCUS LAMP APPARATUS AND VARIABLE FOCUS LAMP SYSTEM}
본 발명은 실내 조명등에 있어서 하나의 광원으로 실내공간의 다양한 위치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승차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편의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편의 장치의 하나인 차량용 실내 조명은 단순하게 차량 내부에 조명을 제공해 주는 형태에서 운전자와 동승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진보하고 있다.
특히, 실내 조명은 차량의 실내 루프 중앙이나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매립 설치되어 차량 실내를 조명하게 된다.
다만, 실내 조명의 경우 초기 설치된 위치에서 지정된 위치로 빛의 조사방향이 고정된다. 즉, 실내 조명의 경우 실내 루프에 매립되게 설치된 광원과 이를 덮는 렌즈로 구성되어, 실내 조명의 동작시 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렌즈를 출사하여 실내공간에 투영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실내의 다양한 위치에 빛을 조사하기 위해, 광원 및 렌즈로 이루어지는 조명모듈을 빛을 조사하고자 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해야 했다. 이로 인해, 조명모듈을 구성하기 위한 단가가 상승되고, 각 조명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야 하며, 실내 루프의 디자인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202016 B1 (2021.01.0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다양한 위치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실내 루프에서 설치공간이 축소되고, 제조 단가가 저감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의 빛이 입사되고, 형상이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변형 형태에 따라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변화되도록 하는 가변 초점 렌즈; 및 가변 초점 렌즈가 연결되고, 명령신호 입력시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명령신호를 만족하도록 가변 초점 렌즈를 변형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가변 초점 렌즈는 광원의 빛이 입사되며 입사된 빛이 초점을 가지고 출사되도록 하는 렌즈부와, 렌즈부의 테두리에서 연장되고 구동기에 연결되며 구동기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 렌즈부를 변형시키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렌즈부는 광원의 반대편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의 이동에 의해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초점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렌즈부는 지그재그 또는 굴곡지게 형성되어 구동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 펼쳐지거나 오므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 초점 렌즈는 테두리의 일부분이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고, 구동기는 고정부의 반대편에서 가변 초점 렌즈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기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구동기가 가변 초점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기는 일측 구동기와 타측 구동기로 구성되고, 일측 구동기와 타측 구동기는 가변 초점 렌즈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의 빛이 입사되고, 플렉서블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가변 초점 렌즈; 제1렌즈를 통과한 빛이 입사되고, 플렉서블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가변 초점 렌즈; 제1가변 초점 렌즈에 연결되어 명령신호 입력시 제1가변 초점 렌즈를 실내의 측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제1구동기; 제2가변 초점 렌즈에 연결되어 명령신호 입력시 제2가변 초점 렌즈를 실내의 전후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제2구동기; 및 입력된 요구조명에 따라, 제1구동기와 제2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1가변 초점 렌즈와 제2가변 초점 렌즈가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요구조명에 만족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1구동기는 제1 X축구동기와 제2 X축구동기로 구성되고, 제1 X축구동기와 제2 X축구동기는 제1가변 초점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요구조명이 광원의 설치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입력된 경우 제2 X축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1가변 초점 렌즈가 좌측으로 변형되도록 하고, 요구조명이 광원의 설치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입력된 경우 제1 X축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1가변 초점 렌즈가 우측으로 변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요구 조명이 광원의 설치 위치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확산되도록 입력된 경우 제1가변 초점 렌즈가 초기 형태 또는 좌우방향으로 펼쳐지게 변형되도록 제1 X축구동기와 제2 X축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구동기는 제1 Y축구동기와 제2 Y축구동기로 구성되고, 제1 Y축구동기와 제2 Y축구동기는 제2가변 초점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요구조명이 광원의 설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입력된 경우 제2 Y축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2가변 초점 렌즈가 전방으로 변형되도록 하고, 요구조명이 광원의 설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입력된 경우 제1 Y축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2가변 초점 렌즈가 후방으로 변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요구 조명이 광원의 설치 위치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확산되도록 입력된 경우 제2가변 초점 렌즈가 초기 형태 또는 전후방향으로 펼쳐지게 변형되도록 제1 Y축구동기와 제2 Y축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입력된 요구 조명이 특정 위치에 집중되거나 확산될 경우 광원의 밝기가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은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다양한 위치로 빛의 조사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실내 루프에서 설치공간이 축소되고, 제조 단가가 저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에서 고정부의 적용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의 제1가변 초점 렌즈 및 제1구동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의 제2가변 초점 렌즈 및 제2구동기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에서 고정부의 적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의 제1가변 초점 렌즈 및 제1구동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의 제2가변 초점 렌즈 및 제2구동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조사하는 광원(10); 광원(10)의 빛이 입사되고, 형상이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변형 형태에 따라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변화되도록 하는 가변 초점 렌즈(20); 및 가변 초점 렌즈(20)가 연결되고, 명령신호 입력시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명령신호를 만족하도록 가변 초점 렌즈(20)를 변형시키는 구동기(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10)은 LED로 구성될 수 있고, 실내 루프에 설치될 수 있다.
가변 초점 렌즈(20)는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이 입사되도록 설치되며, 빛이 초점을 가지고 출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변 초점 렌즈(20)는 빛이 투과되고 플렉서블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실리콘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변형 형태에 따라 빛이 굴절되어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변화되도록 한다.
한편, 가변 초점 렌즈(20)는 구동기(30)의 동작 여부에 따라 변형 형태가 결정된다. 여기서, 구동기(30)는 제어기(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기(50)가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른 빛의 조사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빛의 조사위치에 따른 명령신호를 구동기(30)에 전달함으로써, 구동기(30)가 해당 명령신호로 동작되어 가변 초점 렌즈(20)를 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가변 초점 렌즈(20)는 구동기(30)에 의해 펼쳐지거나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변형되거나, 상하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가변 초점 렌즈(20)가 구동기(30)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이 가변 초점 렌즈(20)의 형태에 따라 조사 위치 또는 조사 형태가 변화되어 하나의 광원(10)으로 실내공간의 다양한 위치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변 초점 렌즈(20)는 광원(10)의 빛이 입사되며 입사된 빛이 초점을 가지고 출사되도록 하는 렌즈부(21)와, 렌즈부(21)의 테두리에서 연장되고 구동기(30)에 연결되며 구동기(30)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 렌즈부(21)를 변형시키는 연결부(22)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가변 초점 렌즈(20)는 렌즈부(21)와 연결부(22)로 이루어지며, 렌즈부(21)는 입사된 빛이 초점을 가지고 출사되도록 형성되고, 연결부(22)는 렌즈부(21)의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구동기(30)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기(30)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 렌즈부(21)를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가변 초점 렌즈(20)는 렌즈부(21)가 광원(10)에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렌즈부(21)에서 연장된 연결부(22)가 구동기(30)에 연결됨에 따라 렌즈부(21)를 통과한 빛이 구동기(30)에 간섭되지 않고 초점을 가지고 출사될 수 있다.
이렇게, 가변 초점 렌즈(20)를 이루는 렌즈부(21)와 연결부(22)는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며, 구동기(30)에 의해 연결부(22)가 렌즈부(21)의 형태를 변형시킴에 따라 렌즈부(21)를 통과하는 빛이 굴곡됨으로써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변형된다.
이러한 렌즈부(21)는 형상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렌즈부(21)는 광원(10)의 반대편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22)의 이동에 의해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초점이 가변될 수 있다.
이렇게, 렌즈부(21)가 광원(10)의 반대편으로 볼록하게 돌출됨으로써, 렌즈부(21)를 투과한 빛이 특정 지점으로 집광될 수 있다. 아울러, 가변 초점 렌즈(20)는 구동기(30)의 동작에 의해 연결부(22)가 이동되면 연결부(22)의 이동에 의해 렌즈부(21)가 변형됨에 따라 빛이 집광되는 위치가 조절된다. 즉,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구동기(30)의 동작에 의해 우측의 연결부(22)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렌즈부(21)의 형태가 변형되면, 렌즈부(21)를 통해 출사되는 빛의 조사 위치가 조정되는 것이다.
이처럼, 렌즈부(21)가 블록하게 돌출된 형태를 이룸에 따라 빛이 특정 지점으로 집광되고, 구동기(30)에 의한 형태 변형시 빛의 집광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광원(10)에서 조사되는 빛을 다양한 위치로 조정 가능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21)는 지그재그 또는 굴곡지게 형성되어 구동기(30)의 동작 여부에 따라 펼쳐지거나 오므라질 수 있다. 즉,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구동기(30)의 동작에 의해 렌즈부(21)가 오므라져 지그재그 또는 굴곡지게 형성될 경우 렌즈부(21)를 통과하는 빛이 확산된다.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구동기(30)의 동작에 의해 렌즈부(21)가 펼쳐질 경우 렌즈부(21)를 통과하는 빛이 집광된다.
이처럼, 렌즈부(21)가 지그재그 또는 굴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빛이 확산되거나 집광됨으로써 광원(10)에서 조사되는 빛을 다양한 위치로 조정 가능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초점 렌즈(20)는 테두리의 일부분이 고정부(40)를 통해 고정되고, 구동기(30)는 고정부(40)의 반대편에서 가변 초점 렌즈(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가변 초점 렌즈(20)는 일측으로 고정부(40)가 설치되고, 타측으로 구동기(30)가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구동기(30)만으로 가변 초점 렌즈(20)를 변형시킬 수 있다. 즉, 구동기(30)가 가변 초점 렌즈(20)를 변형시키기 위해 밀거나 당기는 동작시, 가변 초점 렌즈(20)의 구동기(30) 반대편으로 고정부(40)가 연결되어 가변 초점 렌즈(20)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가변 초점 렌즈(20)가 하나의 구동기(30)를 통해 원활히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구동기(30)로 가변 초점 렌즈(20)를 변형시킴으로써, 하나의 광원(10)에서 조사되는 빛이 가변 초점 렌즈(20)의 변형 형태에 따라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광원(10)과 하나의 구동기(30)를 통해,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제조 단가가 절감된다.
한편, 구동기(30)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구동기(30)가 가변 초점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가변 초점 렌즈(20)에는 구동기(30)가 복수개 연결됨으로써, 각 구동기(30)의 동작에 따라 가변 초점 렌즈(20)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이에 따른 복수개의 구동기(30)는 가변 초점 렌즈(2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배치되어, 각 구동기(30)의 동작에 의해 가변 초점 렌즈(20)의 형태가 정밀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구동기(30)는 일측 구동기(31)와 타측 구동기(32)로 구성되고, 일측 구동기(31)와 타측 구동기(32)는 가변 초점 렌즈(20)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가변 초점 렌즈(20)에는 중심으로부터 일측과 타측으로 일측 구동기(31)와 타측 구동기(32)가 연결됨으로써, 일측 구동기(31)와 타측 구동기(32)의 동작 여부에 따라 가변 초점 렌즈(20)의 형태가 일측과 타측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개의 구동기(30)가 가변 초점 렌즈(20)의 형태를 정밀히 변형함으로써, 가변 초점 렌즈(20)를 투과하는 빛이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에 정확히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10); 광원(10)의 빛이 입사되고, 플렉서블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가변 초점 렌즈(20A); 제1렌즈를 통과한 빛이 입사되고, 플렉서블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가변 초점 렌즈(20B); 제1가변 초점 렌즈(20A)에 연결되어 명령신호 입력시 제1가변 초점 렌즈(20A)를 실내의 측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제1구동기(30A); 제2가변 초점 렌즈(20B)에 연결되어 명령신호 입력시 제2가변 초점 렌즈(20B)를 실내의 전후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제2구동기(30B); 및 입력된 요구조명에 따라, 제1구동기(30A)와 제2구동기(30B)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1가변 초점 렌즈(20A)와 제2가변 초점 렌즈(20B)가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요구조명에 만족하도록 하는 제어기(5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10)은 LED로 구성될 수 있고, 실내 루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가변 초점 렌즈(20A)와 제2가변 초점 렌즈(20B)는 광원(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이 제1가변 초점 렌즈(20A)와 제2가변 초점 렌즈(20B)를 통과하여 실내공간에 조사된다. 이러한 제1가변 초점 렌즈(20A)와 제2가변 초점 렌즈(20B)는 빛이 투과되며 플렉서블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실리콘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제1가변 초점 렌즈(20A)와 제2가변 초점 렌즈(20B)의 변형 형태에 따라 빛이 굴절되어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제1가변 초점 렌즈(20A)는 제1구동기(30A)가 연결되어 실내의 측방향으로 변형됨에 따라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측방향으로 변화되고, 제2가변 초점 렌즈(20B)는 제2구동기(30B)가 연결되어 실내의 전후방향으로 변형됨에 따라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전후방향으로 변화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은 제1가변 초점 렌즈(20A)와 제2가변 초점 렌즈(20B)에 의해 초기 위치로부터 360°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구동기(30A)와 제2구동기(30B)는 제어기(50)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어기(50)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입력된 요구조명 또는 실내의 센서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른 요구조명에 따라 제1구동기(30A)와 제2구동기(30B)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1가변 초점 렌즈(20A)와 제2가변 초점 렌즈(20B)의 변형을 통해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요구조명에 만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기(30A)는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로 구성되고,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는 제1가변 초점 렌즈(20A)의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렇게, 제1가변 초점 렌즈(20A)에는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에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가 연결됨으로써,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제1가변 초점 렌즈(20A)의 형태가 좌우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가변 초점 렌즈(20A)를 통과하는 광원(10)의 빛은 좌우방향으로 조사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50)는 요구조명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입력된 경우 제2 X축구동기(30A-2)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1가변 초점 렌즈(20A)가 좌측으로 변형되도록 하고, 요구조명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입력된 경우 제1 X축구동기(30A-1)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1가변 초점 렌즈(20A)가 우측으로 변형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어기(50)는 요구조명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인지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1가변 초점 렌즈(20A)가 변형되도록 한다. 즉, 제어기(50)는 요구조명에 따라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를 제어하며, 제1 X축구동기(30A-1)에 명령신호시 제1 X축구동기(30A-1)가 제1가변 초점 렌즈(20A)를 우측으로 변형시킴에 따라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의 초점이 우측으로 조정되고, 제2 X축구동기(30A-2)에 명령신호시 제2 X축구동기(30A-2)가 제1가변 초점 렌즈(20A)를 좌측으로 변형시킴에 따라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의 초점이 좌측으로 조정된다.
한편, 제어기(50)는 요구 조명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확산되도록 입력된 경우 제1가변 초점 렌즈(20A)가 초기 형태 또는 좌우방향으로 펼쳐지게 변형되도록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에 명령신호를 전달한다.
이렇게, 제어기(50)는 요구 조명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인지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를 제어한다.
즉, 제1가변 초점 렌즈(20A)는 초기 형태가 빛의 입사시 확산되면서 출사되도록 형성되고,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의 동작에 의해 수축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50)는 요구 조명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확산되도록 입력된 경우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가 원위치에서 미동작되도록 하여, 제1가변 초점 렌즈(20A)가 초기 형태를 이룸에 따라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이 확산되도록 한다.
또한, 제1가변 초점 렌즈(20A)의 경우 펼쳐지도록 형태 변형시 빛이 확산되는바, 제어기(50)는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에 명령신호를 입력하여,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의 동작에 의해 제1가변 초점 렌즈(20A)가 좌우측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제1 가변 초점 렌즈(20)를 투과한 빛은 확산되면서 요구 조명에 만족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기(50)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른 요구조명에 따라 제1가변 초점 렌즈(20A)의 형태 변형을 통해 빛의 조사가 요구조명에 만족하는 위치로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기(30B)는 제1 Y축구동기(30B-1)와 제2 Y축구동기(30B-2)로 구성되고, 제1 Y축구동기(30B-1)와 제2 Y축구동기(30B-2)는 제2가변 초점 렌즈(20B)의 중심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제2가변 초점 렌즈(20B)에는 중심으로부터 전후방에 제1 Y축구동기(30B-1)와 제2 Y축구동기(30B-2)가 연결됨으로써, 제1 Y축구동기(30B-1)의 제2 Y축구동기(30B-2)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제2가변 초점 렌즈(20B)의 형태가 전후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가변 초점 렌즈(20B)를 통과하는 광원(10)의 빛은 전후방향으로 조사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50)는 요구조명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입력된 경우 제2 Y축구동기(30B-2)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2가변 초점 렌즈(20B)가 전방으로 변형되도록 하고, 요구조명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입력된 경우 제1 Y축구동기(30B-1)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2가변 초점 렌즈(20B)가 후방으로 변형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어기(50)는 요구조명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인지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제1 Y축구동기(30B-1)와 제2 Y축구동기(30B-2)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2가변 초점 렌즈(20B)가 변형되도록 한다. 즉, 제어기(50)는 요구조명에 따라 제1 Y축구동기(30B-1)와 제2 Y축구동기(30B-2)를 제어하며, 제1 Y축구동기(30B-1)에 명령신호시 제2 Y축구동기(30B-2)가 제2가변 초점 렌즈(20B)를 후방으로 변형시킴에 따라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의 초점이 후방으로 조정되고, 제2 Y축구동기(30B-2)에 명령신호시 제2 Y축구동기(30B-2)가 제2가변 초점 렌즈(20B)를 전방으로 변형시킴에 따라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의 초점이 전방으로 조정된다.
한편, 제어기(50)는 요구 조명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확산되도록 입력된 경우 제2가변 초점 렌즈(20B)가 초기 형태 또는 전후방향으로 펼쳐지게 변형되도록 제1 Y축구동기(30B-1)와 제2 Y축구동기(30B-2)에 명령신호를 전달한다.
이렇게, 제어기(50)는 요구 조명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인지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제1 Y축구동기(30B-1)와 제2 Y축구동기(30B-2)를 제어한다.
즉, 제2가변 초점 렌즈(20B)는 초기 형태가 빛의 입사시 확산되면서 출사되도록 형성되고, 제1 Y축구동기(30B-1)와 제2 Y축구동기(30B-2)의 동작에 의해 수축되는 형태로 변형된다. 이에 따라, 제어기(50)는 요구 조명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확산되도록 입력된 경우 제1 Y축구동기(30B-1)와 제2 Y축구동기(30B-2)가 원위치에서 미동작되도록 하여, 제2가변 초점 렌즈(20B)가 초기 형태를 이룸에 따라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이 전후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한다.
또한, 제2가변 초점 렌즈(20B)의 경우 펼쳐지도록 형태 변형시 빛이 확산되는바, 제어기(50)는 제1 Y축구동기(30B-1)와 제2 Y축구동기(30B-2)에 명령신호를 입력하여, 제1 Y축구동기(30B-1)와 제2 Y축구동기(30B-2)의 동작에 의해 제2가변 초점 렌즈(20B)가 좌우측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제2 가변 초점 렌즈(20)를 투과한 빛은 확산되면서 요구 조명에 만족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기(50)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 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른 요구조명에 따라 제2가변 초점 렌즈(20B)의 형태 변형을 통해 빛의 조사가 요구조명에 만족하는 위치로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50)는 입력된 요구조명이 특정 위치에 집중될 경우 광원(10)의 밝기가 감소되도록 하고, 입력된 요구조명이 확산될 경우광원(10)의 밝기가 증대되도록 제어한다.
즉,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은 가변 초점 렌즈(20)의 형태에 따라 집광되거나 또는 확산되는데, 빛을 집광하는 경우 빛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증대되고, 빛을 확산하는 경우 빛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이에 따라, 제어기(50)는 구동기(30)를 제어하여 가변 초점 렌즈(20)를 통한 빛의 집광시 광원(10)을 제어하여 빛의 밝기가 감소되도록 하고, 빛의 확산시 광원(10)을 제어하여 빛의 밝기가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빛의 집광 또는 확산에 따른 빛 조사의 이질감이 저하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실내공간의 전방 좌측에 빛을 조사하고자 할 경우, 제1가변 초점 렌즈(20A)에서 제2 X축구동기(30A-2)가 동작되어 제1가변 초점 렌즈(20A)가 좌측으로 변형되도록 하고, 제2가변 초점 렌즈에서 제2 Y축구동기(30B-2)가 동작되어 제2가변 초점 렌즈(20B)가 전방으로 변형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광원(10)에서 조사된 빛은 제1가변 초점 렌즈(20A)를 통과시 조사 위치가 좌측으로 조정되고, 제2가변 초점 렌즈(20B)를 통과시 조사 위치가 전방으로 조정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빛은 실내공간의 전방 좌측에 조사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실내공간의 후방에 빛을 확산하고자 할 경우, 제1가변 초점 렌즈(20A)에서 제1 X축구동기(30A-1)와 제2 X축구동기(30A-2)가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제1가변 초점 렌즈(20A)가 좌우측으로 펼쳐지게 되고, 제2가변 초점 렌즈(20B)에서 제1 Y축구동기(30B-1)가 동작되어 제2가변 초점 렌즈(20B)가 후방으로 변형된다. 이로 인해, 광원(10)에서 조사되는 빛은 제1가변 초점 렌즈(20A)를 통과시 빛의 형태가 확산되고, 제2가변 초점 렌즈(20B)를 통과시 조사 위치가 후방으로 조정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빛은 실내공간의 후방에 대해 확산되도록 조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은 하나의 광원(10)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다양한 위치로 빛의 조사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실내 루프에서 설치공간이 축소되고, 제조 단가가 저감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광원 20:가변 초점 렌즈
20A:제1가변 초점 렌즈 20B:제2가변 초점 렌즈
21:렌즈부 22:연결부
30:구동기 31:일측 구동기
32:타측 구동기 30A:제1구동기
30A-1:제1 X축구동기 30A-2:제2 X축구동기
30B:제2구동기 30B-1:제1 Y축구동기
30B-2:제2 Y축구동기 40:고정부
50:제어기

Claims (15)

  1. 빛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의 빛이 입사되고, 형상이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변형 형태에 따라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변화되도록 하는 가변 초점 렌즈; 및
    가변 초점 렌즈가 연결되고, 명령신호 입력시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명령신호를 만족하도록 가변 초점 렌즈를 변형시키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변 초점 렌즈는 광원의 빛이 입사되며 입사된 빛이 초점을 가지고 출사되도록 하는 렌즈부와, 렌즈부의 테두리에서 연장되고 구동기에 연결되며 구동기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 렌즈부를 변형시키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렌즈부는 광원의 반대편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의 이동에 의해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초점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렌즈부는 지그재그 또는 굴곡지게 형성되어 구동기의 동작 여부에 따라 펼쳐지거나 오므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변 초점 렌즈는 테두리의 일부분이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고, 구동기는 고정부의 반대편에서 가변 초점 렌즈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기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구동기가 가변 초점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구동기는 일측 구동기와 타측 구동기로 구성되고, 일측 구동기와 타측 구동기는 가변 초점 렌즈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8.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의 빛이 입사되고, 플렉서블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가변 초점 렌즈;
    제1렌즈를 통과한 빛이 입사되고, 플렉서블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가변 초점 렌즈;
    제1가변 초점 렌즈에 연결되어 명령신호 입력시 제1가변 초점 렌즈를 실내의 측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제1구동기;
    제2가변 초점 렌즈에 연결되어 명령신호 입력시 제2가변 초점 렌즈를 실내의 전후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제2구동기; 및
    입력된 요구조명에 따라, 제1구동기와 제2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1가변 초점 렌즈와 제2가변 초점 렌즈가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빛의 조사 위치 및 조사 형태가 요구조명에 만족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구동기는 제1 X축구동기와 제2 X축구동기로 구성되고, 제1 X축구동기와 제2 X축구동기는 제1가변 초점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기는 요구조명이 광원의 설치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입력된 경우 제2 X축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1가변 초점 렌즈가 좌측으로 변형되도록 하고, 요구조명이 광원의 설치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입력된 경우 제1 X축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1가변 초점 렌즈가 우측으로 변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기는 요구 조명이 광원의 설치 위치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확산되도록 입력된 경우 제1가변 초점 렌즈가 초기 형태 또는 좌우방향으로 펼쳐지게 변형되도록 제1 X축구동기와 제2 X축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제2구동기는 제1 Y축구동기와 제2 Y축구동기로 구성되고, 제1 Y축구동기와 제2 Y축구동기는 제2가변 초점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어기는 요구조명이 광원의 설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입력된 경우 제2 Y축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2가변 초점 렌즈가 전방으로 변형되도록 하고, 요구조명이 광원의 설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입력된 경우 제1 Y축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제2가변 초점 렌즈가 후방으로 변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어기는 요구 조명이 광원의 설치 위치로부터 전후방향으로 확산되도록 입력된 경우 제2가변 초점 렌즈가 초기 형태 또는 전후방향으로 펼쳐지게 변형되도록 제1 Y축구동기와 제2 Y축구동기에 명령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제어기는 입력된 요구 조명이 특정 위치에 집중되거나 확산될 경우 광원의 밝기가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KR1020210077450A 2021-06-15 2021-06-15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KR20220167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450A KR20220167985A (ko) 2021-06-15 2021-06-15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US17/828,877 US11865970B2 (en) 2021-06-15 2022-05-31 Variable-focus lighting device and variable-focus lighting system
DE102022114551.4A DE102022114551A1 (de) 2021-06-15 2022-06-09 Beleuchtungsvorrichtung mit variablem fokus und beleuchtungssystem mit variablem fokus
CN202210668244.1A CN115479228A (zh) 2021-06-15 2022-06-14 可变焦照明装置和可变焦照明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450A KR20220167985A (ko) 2021-06-15 2021-06-15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85A true KR20220167985A (ko) 2022-12-22

Family

ID=8419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450A KR20220167985A (ko) 2021-06-15 2021-06-15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65970B2 (ko)
KR (1) KR20220167985A (ko)
CN (1) CN115479228A (ko)
DE (1) DE10202211455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016B1 (ko) 2019-07-16 2021-01-11 이하성 차량 실내용 출몰형 독서등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9488A (en) * 1979-10-02 1983-01-18 Cibie Projecteurs Optical system permitting controlled shifting of the beam pattern in headlamps, especially for vehicles
US8979316B2 (en) * 2011-05-11 2015-03-17 Dicon Fiberoptics Inc. Zoom spotlight using LED array
US20130063953A1 (en) * 2011-09-13 2013-03-14 Den-Hua Lee Light-emitting diode structure
US20140233244A1 (en) * 2013-02-19 2014-08-21 Pavel Jurik Lens slide for an automated luminaire
EP3112745B1 (en) * 2015-06-29 2018-08-01 Martin Professional ApS Prism effect system for light fixture with inverted multi-facet prisms
EP3423874A2 (en) * 2016-03-02 2019-01-09 Optotune Consumer AG Optical device, particularly camera, particularly comprising autofocus, image stabilization and super resolu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016B1 (ko) 2019-07-16 2021-01-11 이하성 차량 실내용 출몰형 독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96203A1 (en) 2022-12-15
CN115479228A (zh) 2022-12-16
US11865970B2 (en) 2024-01-09
DE102022114551A1 (de)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3338B2 (ja) 自動車用の投光器および光分布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US11506358B2 (en) Optical element, optical module, and vehicle
US80809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adaptive front-lighting
EP1818601B1 (en) Vehicle headlamp
JP6506956B2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
EP3308073B1 (en) Headlight module
JP2014013758A (ja) ライトモジュール
US20080247188A1 (en) Complex projector lens for LED headlamp
JP7072120B2 (ja) 投影装置、照明モジュール及び自動車投光装置
EP3344919B1 (en) A lighting system and a lighting method
EP3196544A1 (en) Vehicle headlight device
CN104728777A (zh) 运行具有多个光生成装置的发光设备
CN108368980A (zh) 用于机动车的探照灯
CN108291704B (zh) 包括数字屏幕的光束投射装置和装备有这种装置的前照灯
CN105452058A (zh) 用于控制交通工具的前照灯装置的方法和前照灯装置
CN107642756A (zh) 光学元件和照明设备
US20080239739A1 (en) Lighting Device For The Interior Of Motor Vehicles
KR101610535B1 (ko)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빔 패턴 조절 장치
KR20220167985A (ko) 초점 가변형 조명 장치 및 초점 가변형 조명 시스템
CN112154082B (zh) 照明校正系统和包括该照明校正系统的机动车的照明组件
JP5605179B2 (ja) 車両用照明装置
US10920951B2 (en) Headlight for a motor vehicle
JP2005056727A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JP2018092762A (ja) 車両用灯具
CN217374316U (zh) 车用阅读灯和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