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734A -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734A
KR20220167734A KR1020210183657A KR20210183657A KR20220167734A KR 20220167734 A KR20220167734 A KR 20220167734A KR 1020210183657 A KR1020210183657 A KR 1020210183657A KR 20210183657 A KR20210183657 A KR 20210183657A KR 20220167734 A KR20220167734 A KR 20220167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te block
unit
graphite
housing
flat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859B1 (ko
Inventor
송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닉스앤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닉스앤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닉스앤블루
Publication of KR2022016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18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5/00Thread-cutting tools; Die-heads
    • B23G5/02Thread-cutting tools; Die-heads without means for adjustment
    • B23G5/06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기둥 형태의 흑연블록에 방전가공장치의 전극조립지그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을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흑연블록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흑연블록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정렬바 및 지지부와 흑연블록의 하단을 평평하게 하기 위한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평탄화부와 흑연블록의 하단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부 및 흑연블록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탭부를 장치에 일체로 형성하여 흑연블록을 투입하기만 하면 흑연블록 하단의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형태 및 치수의 장착공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graphite block}
본 발명은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기둥 형태의 흑연블록에 방전가공장치의 전극조립지그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을 형성하는 자동형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전가공(Electric Discharge Machining)은 전기의 양극과 음극이 접촉할 때 발생되는 스파크의 열을 이용하여 재료를 녹이거나 기화시켜 재료를 가공한다.
방전가공에 사용되는 방전가공용 전극은, 황동, 흑연, 은-텅스텐, 구리-텅스텐, 동-텅스텐, 철, 구리, 아연, 인청동,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이 중에서, 흑연으로 만들어진 방전가공용 전극은 전극소모가 적고, 방전 안정성이 우수하고, 황삭에서 부터 정삭 및 초정밀가공까지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경량으로 다른 금속전극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다.
이러한 우수한 성질로 인해, 최근 방전가공용 전극으로 흑연전극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방전가공에 사용되는 전극조립체는 수직 및 수평구동되는 헤드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공작물을 가공하며, 전극블록과 전극조립지그의 결합을 위해서는 먼저 전극블록을 가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극조립체 구조에 의하면, 전극블록과 전극조립지그의 결합을 위해서는 전극블록의 상단부를 요철부로 가공한 다음, 전극조립지그에 끼워넣어 고정시키는 방법을 채택함에 따라, 상기 요철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전극블록의 상단 양측부를 잘라내어 제거하므로 비교적 고가인 흑연소재의 전극블록을 낭비하는 요인이 될 뿐 아니라 상기 요철부의 가공 자체 또한 인력 및 시간의 낭비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종래의 흑연블록 가공장치는 흑연블록의 가공 작업 전 흑연블록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하지 못해 가공의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66331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흑연블록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흑연블록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정렬바 및 지지부와 흑연블록의 하단을 평평하게 하기 위한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평탄화부와 흑연블록의 하단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부 및 흑연블록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탭부를 장치에 일체로 형성하여 흑연블록을 투입하기만 하면 흑연블록 하단의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형태 및 치수의 장착공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는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흑연블록을 이송하는 이송부; 하우징의 상단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 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흑연블록의 좌우 방향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흑연블록의 하단을 평평하게 만드는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평탄화부; 상기 흑연블록의 하단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부; 및 상기 드릴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흑연블록 하단의 구멍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탭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흑연블록의 가공장치는, 정렬바 본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투입되는 상기 흑연블록의 전후 방향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정렬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탄화부에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상기 흑연블록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각기둥 형태의 흑연블록에 방전가공장치의 전극조립지그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을 형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흑연블록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흑연블록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정렬바 및 지지부와 흑연블록의 하단을 평평하게 하기 위한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평탄화부와 흑연블록의 하단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부 및 흑연블록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탭부를 장치에 일체로 형성하여 흑연블록을 투입하기만 하면 흑연블록 하단의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형태 및 치수의 장착공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흑연블록의 가공 작업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흑연블록 가공 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흑연블록이 투입되면 위치정렬바가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지면서 흑연블록을 내측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흑연블록의 전후방향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하고, 이후, 지지부가 흑연블록의 폭에 맞게 벌려진 후 흑연블록을 내측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흑연블록의 좌우방향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하기 때문에 흑연블록의 가공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평탄화부의 하단에 집진장치 및 수거부가 형성되어 평탄화부에 의한 흑연블록 하단 평탄화 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을 빨아들여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분진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비산되면서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장치들에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평탄화부의 전방에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전후 및 좌우 위치가 정렬된 흑연블록이 지지부에 의해 평탄화부로 이송된 것이 감지된 경우에만 평탄화부가 작동을 하기 때문에 평탄화부가 평탄화 작업 시에만 작동되도록 할 수 있어 장치의 전력 사용 및 분진의 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드릴부 및 탭부가 1개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장치에 필요한 모터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의 하우징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에서 지지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에서 지지부 및 위치정렬바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에서 위치정렬바 및 지지부를 통해 흑연블록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위치가 정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에서 드릴부 및 탭부의 하우징 내부에 포함된 구동장치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를 통해 가공된 흑연전극블록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의 하우징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에서 지지부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에서 지지부 및 위치정렬바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에서 위치정렬바 및 지지부를 통해 흑연블록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위치가 정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에서 드릴부 및 탭부의 하우징 내부에 포함된 구동장치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를 통해 가공된 흑연전극블록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이하 '흑연블록의 가공장치'라 함)는 작업대(200)의 상단에 형성되어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하우징(100)과 작업대(2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작업대(200)와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 내부의 구성들을 지지하는 지지대(210)를 포함하며, 하우징(100)의 외부 일측에는 흑연블록(300)이 투입되는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외부 타측에는 가공이 완료된 흑연전극블록(310)이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이송부(130), 위치정렬바(165), 지지부(160), 드릴부(140), 탭부(150) 및 평탄화부(170)가 형성된다.
이송부(130)는 가이드부(13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투입구(110) 측으로 투입되는 흑연블록(300)을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정렬바(16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바 본체(166)의 가이드홈(167)을 따라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가이드홈(167)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투입되는 흑연블록(300)의 크기에 맞게 내측폭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흑연블록(300)이 투입되어 이송부(130)를 통해 후술할 지지부(160) 하단으로 이송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렬바(165)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지면서 흑연블록(300)을 내측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흑연블록(300)의 전후방향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한다.
지지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상단에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 지지본체(16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본체(161)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홈(162)을 따라 하우징(100)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투입되는 흑연블록(300)의 크기에 맞게 내측폭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지지본체(161)는 하우징(100)의 측면 일측에 형성된 모터(168)가 구동됨에 따라 모터(168)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볼스크류(163)에 의해 가이드레일(164)을 따라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흑연블록(300)이 투입되어 이송부(130)를 통해 지지부(160) 하단으로 이송되면 먼저 위치정렬바(165)가 흑연블록(300)의 전후방향 위치를 정렬하고,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60)가 전후방향 위치가 정렬된 흑연블록(300)의 폭에 맞게 하우징(100)의 폭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지면서 흑연블록(300)을 내측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흑연블록(300)의 좌우방향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한다. 이때, 지지부(160)에 의한 흑연블록(300)의 고정이 완료되면 위치정렬바(165)가 정렬바 본체(166)의 가이드홈(167)으로 인입되어 지지부(160)가 흑연블록(300)을 고정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평탄화부(170), 드릴부(140) 및 탭부(150)를 통한 가공 작업을 위해 지지본체(161)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부(1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흑연블록(300)을 이송시킨다. 이때, 흑연블록(300)의 양측면과 맞닿는 지지부(160) 양 내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흑연블록(300)의 하단면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어 후술할 평탄화부(170)를 통한 평탄화 작업 시 흑연블록(300)의 하단면이 평평하게 커팅될 수 있다.
평탄화부(170)는 한 쌍의 회전하는 원통형 커터로써 지지부(160)에 의해 고정된 흑연블록(300)의 하단을 평평하게 만들기 위해 마련되며, 평탄화부(170)의 하단에는 집진장치(171) 및 수거부(180)가 형성되어 평탄화부(170)에 의한 흑연블록(300) 하단 평탄화 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을 빨아들여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분진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비산되면서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장치들에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부(170)의 전방에 감지센서(190)가 구비되어 전후 및 좌우 위치가 정렬된 흑연블록(300)이 지지부(160)에 의해 평탄화부(170)로 이송된 것이 감지된 경우에만 평탄화부(170)가 작동을 하기 때문에 평탄화부(170)가 평탄화 작업 시에만 작동되도록 할 수 있어 장치의 전력 사용 및 분진의 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드릴부(14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지지부(160)에 의해 고정된 흑연블록(300)의 하단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며, 탭부(150)는 드릴부(140)에 의해 형성된 흑연블록(300) 하단의 구멍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흑연블록(300)의 하단에 장착공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드릴부(140)와 탭부(150)에도 평탄화부(170)와 마찬가지로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흑연블록(300)이 지지부(160)에 의해 드릴부(140) 및 탭부(150)의 상단에 이송된 것이 감지된 경우에만 드릴부(140) 및 탭부(150)가 작동을 하기 때문에 장치의 전력 사용 및 분진의 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드릴부(140) 및 탭부(150)의 작동을 위한 구동장치들이 구동장치 하우징(500)의 내측에 형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521)와 하부플레이트(522)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플레이트(522)의 하단에는 구동모터(510)가 고정 형성된다.
구동모터(510)는 드릴부(140) 및 탭부(15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구동모터(510)의 회전축(511)과 드릴부(140) 및 탭부(150)의 회전축(141, 151)에는 다수개의 가이드펜스(531)가 형성되고, 구동모터(510)의 회전축(511)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펜스(531)와 드릴부(140) 및 탭부(150)의 회전축(141, 151)에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펜스(531)는 벨트(532)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510)의 회전축(511)이 회전하면 가이드펜스(531) 및 벨트(532)를 통해 드릴부(140) 및 탭부(150)의 회전축(141, 151)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드릴부(140) 및 탭부(150)의 회전축(141, 151)이 회전하면 회전축(141, 151)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드릴부(140) 및 탭부(150)의 승강축(142, 152)도 동시에 회전하여 드릴부(140) 및 탭부(150)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521)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실린더(540)가 고정 형성되며, 각각의 실린더(540)는 실린더 축(541)을 따라 승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실린더(540)가 실린더 축(541)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 상부플레이트(521)도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플레이트(521)의 상단에 형성된 드릴부(140) 및 탭부(150)의 승강축(142, 152)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드릴부(140) 및 탭부(15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드릴부(140) 및 탭부(150)의 승강축(142, 152)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의 홈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드릴부(140) 및 탭부(150)의 회전축(141, 151)이 승강축(142, 152) 내부의 다각형 홈에 삽입된 형태로 결합되어 승강축(142, 152)과 회전축(141, 151)이 함께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승강축(142, 152)이 회전축(141, 151) 상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521)가 상승하면서 드릴부(140) 및 탭부(150)의 승강축(142, 152)을 밀어 올려 드릴부(140) 및 탭부(150)가 상승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흑연블록의 가공장치를 통한 흑연블록(300)의 가공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이송부(130) 상단에 흑연블록(300)이 놓아지면 이송부(130)가 가이드부(13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우징(100)의 투입구(11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진입하여 지지부(160) 하단까지 이동한다.
흑연블록(300)이 이송부(130)를 통해 지지부(160) 하단으로 이송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렬바(165)가 정렬바 본체(166)의 가이드홈(167)에서 인출되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지면서 흑연블록(300)을 내측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흑연블록(300)의 전후방향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한다.
이후, 지지부(160)가 전후방향 위치가 정렬된 흑연블록(300)의 폭에 맞게 하우징(100)의 폭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지면서 흑연블록(300)을 내측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흑연블록(300)의 좌우방향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한다. 이때, 지지부(160)에 의한 흑연블록(300)의 고정이 완료되면 위치정렬바(165)가 정렬바 본체(166)의 가이드홈(167)으로 인입되어 지지부(160)가 흑연블록(300)을 고정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지지본체(161)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부(1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흑연블록(300)을 평탄화부(170)를 향하여 이송시키면 감지센서(190)가 흑연블록(300)이 지지부(160)에 의해 평탄화부(170)로 이송된 것을 감지하여 평탄화부(170)가 구동되어 흑연블록(300) 하단면을 평평하게 커팅한다.
이때, 흑연블록(300)의 양측면과 맞닿는 지지부(160) 양 내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흑연블록(300)의 하단면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어 평탄화부(170)를 통한 평탄화 작업 시 흑연블록(300)의 하단면이 평평하게 커팅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190)에 의해 평탄화부(170)가 평탄화 작업 시에만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평탄화 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을 평탄화부(170) 하단의 집진장치(171) 및 수거부(180)에서 바로 빨아들여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전력 사용 및 분진의 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평탄화 작업이 완료되면 지지본체(161)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지지부(1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흑연블록(100)을 드릴부(140)로 이송시켜 도 9와 같이 흑연블록(300)의 하단에 구멍을 형성한다.
이후, 지지본체(161)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지지부(1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흑연블록(100)을 탭부(150)로 이송시켜 드릴부(140)에 의해 형성된 흑연블록(300) 하단의 구멍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흑연블록(300)의 하단에 장착공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흑연블록(300)이 투입되면 위치정렬바(165)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지면서 흑연블록(300)을 내측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흑연블록(300)의 전후방향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하고, 이후, 지지부(160)가 흑연블록(300)의 폭에 맞게 벌려진 후 흑연블록(300)을 내측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흑연블록(300)의 좌우방향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하여 흑연블록(300)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한 상태에서 일정거리 이동하면 흑연블록(300)의 수평한 저면의 정중앙이 드릴부(140)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장착공을 형성하기 때문에 흑연블록(300) 하단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공을 형성할 수 있다.
가공이 완료된 장착공이 형성된 흑연전극블록(310)은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가공이 완료된 장착공이 형성된 흑연전극블록(310)은 도 9와 같이 나사, 볼트 등을 통해 전극조립지그(400)에 장착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는 흑연블록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흑연블록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정렬바 및 지지부와 흑연블록의 하단을 평평하게 하기 위한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평탄화부와 흑연블록의 하단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부 및 흑연블록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탭부를 장치에 일체로 형성하여 흑연블록을 투입하기만 하면 흑연블록 하단의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형태 및 치수의 장착공을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흑연블록의 가공 작업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흑연블록 가공 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흑연블록이 투입되면 위치정렬바가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벌려진 후 좁혀지면서 흑연블록을 내측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흑연블록의 전후방향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하고, 이후, 지지부가 흑연블록의 폭에 맞게 벌려진 후 흑연블록을 내측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흑연블록의 좌우방향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하기 때문에 흑연블록의 가공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평탄화부의 하단에 집진장치 및 수거부가 형성되어 평탄화부에 의한 흑연블록 하단 평탄화 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을 빨아들여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분진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비산되면서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장치들에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평탄화부의 전방에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전후 및 좌우 위치가 정렬된 흑연블록이 지지부에 의해 평탄화부로 이송된 것이 감지된 경우에만 평탄화부가 작동을 하기 때문에 평탄화부가 평탄화 작업 시에만 작동되도록 할 수 있어 장치의 전력 사용 및 분진의 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드릴부 및 탭부가 1개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장치에 필요한 모터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투입구
120 : 배출구
130 : 이송부
131 : 가이드부
140 : 드릴부
141 : 드릴부 회전축
142 : 드릴부 승강축
150 : 탭부
151 : 탭부 회전축
152 : 탭부 승강축
160 : 지지부
161 : 지지본체
162 : 가이드홈
163 : 볼스크류
164 : 가이드레일
165 : 위치정렬바
166 : 정렬바 본체
167 : 가이드홈
168 : 모터
170 : 평탄화부
171 : 집진장치
180 : 수거부
190 : 감지센서
200 : 작업대
210 : 지지대
300 : 흑연블록
310 : 장착공이 형성된 흑연전극블록
400 : 전극조립지그
500 : 구동장치 하우징
510 : 구동모터
511 : 회전축
521 : 상부플레이트
522 : 하부플레이트
531 : 가이드펜스
532 : 벨트
540 : 실린더
541 : 실린더 축

Claims (3)

  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흑연블록을 이송하는 이송부;
    하우징의 상단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 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흑연블록의 좌우 방향 위치를 정렬한 후 고정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흑연블록의 하단을 평평하게 만드는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평탄화부;
    상기 흑연블록의 하단에 구멍을 형성하는 드릴부; 및
    상기 드릴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흑연블록 하단의 구멍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탭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블록의 가공장치는,
    정렬바 본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투입되는 상기 흑연블록의 전후 방향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정렬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부에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상기 흑연블록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
KR1020210183657A 2021-06-14 2021-12-21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 KR102605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6439 2021-06-14
KR1020210076439 2021-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734A true KR20220167734A (ko) 2022-12-21
KR102605859B1 KR102605859B1 (ko) 2023-11-24

Family

ID=8453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657A KR102605859B1 (ko) 2021-06-14 2021-12-21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8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831A (ja) * 1992-04-02 1993-10-26 Misawa Homes Co Ltd ねじ切り装置
JP2001232518A (ja) * 2000-02-21 2001-08-28 Amada Co Ltd マルチタッピング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20092289A (ko) * 2011-02-11 2012-08-21 (주)나래에프에이씨 환형 소재의 디버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831A (ja) * 1992-04-02 1993-10-26 Misawa Homes Co Ltd ねじ切り装置
JP2001232518A (ja) * 2000-02-21 2001-08-28 Amada Co Ltd マルチタッピング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20092289A (ko) * 2011-02-11 2012-08-21 (주)나래에프에이씨 환형 소재의 디버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859B1 (ko) 202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4689U (ja) 棒状材料の機械加工装置のチャック機構
JP2019508260A (ja) 一体式回転切削工具の製造設備及び製造方法
CN109775320B (zh) 一种套筒类零件流水自动化检测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444815B1 (ko) 자동 기계 가공 장치
KR101779067B1 (ko) 툴이동형 브로칭머신
JP5808163B2 (ja) 硬質脆性板の周縁加工装置
CN105710244A (zh) 一种双冲压机旋转式自动送料机构
CN109378293B (zh) 一种高精度光伏电池串排版机
WO2015142064A1 (ko) 목공용 다기능 멀티공작기
KR102688419B1 (ko) 방전가공 전극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
KR20220167734A (ko) 방전가공용 흑연블록의 가공장치
CN110560926A (zh) 激光加工设备
CN112496761B (zh) 一种焊接机器人生产用辅助装置
JP3214691U (ja) 棒状材料の機械加工装置の制御部
CN210938072U (zh) 一种通过式铣削打标一体机
CN109360867B (zh) 一种光伏电池串送料装置
CN215357673U (zh) 一种倒角机
CN115889904A (zh) 圆螺母一字槽加工设备
CN213379355U (zh) 一种用于钻床的小型电动转台
CN110560909B (zh) 一种电容流水线自动激光打标装置
KR102423470B1 (ko) 연료전지분리판 유로가공시스템
CN105081896B (zh) 具有套环补偿功能的钻针研磨机
CN111390661B (zh) 一种刀具钝化机
CN212761525U (zh) 自动化加工装置
CN216388945U (zh) 一种用于电机的充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