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075A - 안전 문턱 구조 - Google Patents

안전 문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075A
KR20220167075A KR1020210076154A KR20210076154A KR20220167075A KR 20220167075 A KR20220167075 A KR 20220167075A KR 1020210076154 A KR1020210076154 A KR 1020210076154A KR 20210076154 A KR20210076154 A KR 20210076154A KR 20220167075 A KR20220167075 A KR 20220167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identification
unit
safety threshold
proximity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부성
Original Assignee
서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부성 filed Critical 서부성
Priority to KR1020210076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075A/ko
Publication of KR2022016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턱에 설치하여 문턱 걸림 및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문턱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현한 안전 문턱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바닥과 문턱에 밀착 설치되어, 문턱 걸림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을 문턱 상단에서 바닥면까지 제공해 주기 위한 본체부; 및 본체부의 경사면에 형성되어, 문턱을 식별해 주도록 하기 위한 식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문턱 구조{Safety threshold structure}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안전 문턱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턱에 설치하여 문턱 걸림 및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문턱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현한 안전 문턱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문(door)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된 문틀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며, 해당 문틀의 하부 가로 프레임을 문턱 또는 문지방이라고 하며, 문이 닫히게 되면 문과 문턱이 접촉되면서 문과 바닥의 틈새로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 차단 및 소음이 내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문을 출입할 때 어린이 또는 노약자들이 부주의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문턱에 걸려 넘어져 골절 등의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유아들은 보행기 등을 타고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문턱에 걸려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신체가 불편한 사람이 휠체어 등을 타고 이동할 때 문턱이 장애물이 되어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0653호(2013.11.29. 등록)는 문턱용 경사받침대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문턱용 경사받침대에 있어서,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문턱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양측에 상호 대응되도록 안내홈이 형성되는 본체;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본체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양측이 안내홈에 장착되어 승강되고, 인출 시 안내홈에 장착되는 양측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여 문턱과 바닥 사이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는 바닥판; 및 바닥판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안내홈은, 바닥판이 승강 가능하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승강부; 및 승강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본체의 바닥측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되며, 바닥판이 걸림 되어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문을 출입할 때에 문턱에 걸려 넘어져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유아들의 보행기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휠체어를 타고 문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50317호(2008.07.29. 등록)는 문틀의 하단에 형성된 문턱을 없애고 문의 하단에 승강 부재를 부착하여, 문을 열고 닫을 때 승강 부재가 승강 작동하면 문과 바닥 면 틈새를 개폐하여 소음을 차단하는 것은 물론,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문턱 승강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경첩에 의해 문틀에 설치되어 회동하면 내부에 격판이 형성된 문과; 문의 하단 내측에는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양단이 끼움 체결되어 수평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문틀과 일측 단부가 문의 회동에 따라 간섭 및 해지되는 수평이동 부재와; 수평이동 부재를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좌우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서 지지하는 고정부재와; 수평이동 부재가 좌우로 이동할 때 간섭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승강 작동하도록 문의 하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수직 슬라이딩 부재와; 문의 하단에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문과 바닥면 사이 틈새를 개폐하는 승강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또한 문턱을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경사받침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을 출입할 때 어린이 또는 노약자들이 부주의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돌출된 경사받침대나 문턱에 걸려 넘어져 골절 등의 안전사고가 여전히 많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0653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5031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턱에 설치하여 문턱 걸림 및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문턱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현한 안전 문턱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바닥과 문턱에 밀착 설치되어, 문턱 걸림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을 문턱 상단에서 바닥면까지 제공해 주기 위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경사면에 형성되어, 문턱을 식별해 주도록 하기 위한 식별부를 포함하는 안전 문턱 구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알루미늄 각재를 이용하여 형성하되, 경사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본체부의 경사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라인홈; 및 상기 라인홈에 형성되어, 문턱을 식별해 주기 위한 식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식별체를 덮어 보호하면서도 외부로 상기 식별체가 식별되도록 하기 위한 투명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투명창은, 투명 에폭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투명창은, 볼록렌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식별체를 확대시켜 보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전 문턱 구조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양측을 커버링하면서 고정 수단이나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를 바닥 또는 문턱에 밀착 설치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코너 부분을 곡선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전 문턱 구조는, 상기 본체부의 경사면에 고정 설치되어, 물체나 사람이 문턱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접근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주기 위한 접근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접근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문턱을 식별해 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접근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발광되어 문턱을 식별해 주도록 하는 발광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접근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식별음을 출력시켜 문턱을 식별해 주도록 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접근감지부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전 문턱 구조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접근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회전 구동하여 문턱을 보조적으로 식별해 주도록 하기 위한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접근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회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문턱을 보조적으로 식별해 주도록 하는 식별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접근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기 설정해 둔 각도만큼 회전 구동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주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접근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기 설정해 둔 각도만큼 역방향 회전 구동하여 상기 회전체를 역방향 회전시켜 주었다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기 설정해 둔 각도만큼 정방향 회전 구동하여 상기 회전체를 정방향 회전시켜 상기 회전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접근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 기 설정해 둔 각도만큼 역방향 회전 구동하고, 상기 접근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 기 설정해 둔 각도만큼 정방향 회전 구동하여 회전축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체는, 복수 개의 회전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모터의 역방향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식별바를 역회전시키며,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식별바를 정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별바는, 복원력을 가지면서도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의 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식별바는, 상기 회전체의 역회전에 의해 역방향 회전하여 문턱을 보조적으로 식별해 주도록 하며, 상기 회전체의 정회전에 의해 정방향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문턱에 설치하여 문턱 걸림 및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문턱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현한 안전 문턱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의 보행기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휠체어를 타고 문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문을 출입할 때에 문턱을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여 문턱에 걸리는 일이 없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문턱 구조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식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문턱 구조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문턱 구조를 제3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회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문턱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문턱 구조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식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안전 문턱 구조(100)는, 본체부(110), 식별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바닥과 문턱에 밀착 설치되어, 문턱 걸림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111)을 문턱 상단에서 바닥면까지 제공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10)는, 알루미늄 각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경사면(111)을 둥글게 곡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식별부(120)는, 본체부(110)의 경사면(111)에 형성되어, 문턱을 식별해 주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식별부(120)는, 본체부(110)의 경사면(111)에 길이 방향으로 라인홈(121)을 형성하고 해당 라인홈(121)에 야광 도료, 반사 필름(스카치), 형광제 등과 같은 식별체(122)를 형성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식별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창(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창(123)은, 식별체(122)를 덮어 보호하면서도 외부로 식별체(122)가 식별되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투명창(123)은, 강도, 자외선 등을 고려하여 투명 에폭시로 형성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투명창(123)은, 볼록렌즈 형태로 형성되어, 식별체(122)를 확대시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투명창(123)은, 그 높이가 라인홈(121)의 높이와 같도록 하거나 낮도록 형성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안전 문턱 구조(100)는, 문턱에 설치하여 경사면(111)에 의한 문턱 걸림 및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식별부(120)에 의한 문턱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유아들의 보행기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휠체어를 타고 문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문을 출입할 때에 문턱을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여 문턱에 걸리는 일이 없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안전 문턱 구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커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30)는, 본체부(110)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본체부(110)의 양측을 커버링하면서 고정 수단(예를 들어, 나사, 피스 등)이나 접착 수단(예를 들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본체부(110)를 바닥 또는 문턱에 밀착 설치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130)는, 코너 부분을 곡선으로 형성해 줄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스펀지나 고무 등으로 형성해 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문턱 구조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전 문턱 구조(100)는, 본체부(110), 식별부(120), 접근감지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10), 식별부(120)는, 도 1의 구성 요소와 유사하므로 유사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식별부(120)는, 접근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문턱을 식별해 주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식별부(120)는, LED 등과 같은 발광체(12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접근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해당 발광체(124)를 발광시켜 문턱을 식별해 주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식별부(120)는, 스피커(12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접근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해당 스피커(125)를 통해 식별음을 출력시켜 문턱을 식별해 주도록 할 수 있다.
접근감지부(140)는, 본체부(110)의 경사면(111)(또는, 커버부(130))에 고정 설치되어, 물체나 사람이 문턱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접근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식별부(120)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접근감지부(14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문턱 구조를 제3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있는 회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안전 문턱 구조(100)는, 본체부(110), 식별부(120), 접근감지부(140), 회전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10), 식별부(120), 접근감지부(140)는, 도 3의 구성 요소와 유사하므로 유사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회전부(150)는, 본체부(110)의 양측(또는, 커버부(130))에 각각 설치되어, 접근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회전 구동하여 문턱을 보조적으로 식별해 주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51), 회전체(152), 식별바(153)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151)는, 접근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회전 구동하여 회전체(152)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151)는, 스텝모터 등일 수 있으며, 접근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기 설정해 둔 각도(예를 들어, 90도, 80도, 70도 등)만큼 회전 구동하여 회전체(152)를 회전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151)는, 접근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에 따라 기 설정해 둔 각도(예를 들어, 90도, 80도, 70도 등)만큼 역방향 회전 구동하여 회전체(152)를 역방향 회전시켜 주었다가,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 10초 등)이 경과한 후에, 기 설정해 둔 각도(예를 들어, 90도, 80도, 70도 등)만큼 정방향 회전 구동하여 회전체(152)를 정방향 회전시켜 회전체(152)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151)는, 접근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 기 설정해 둔 각도(예를 들어, 90도, 80도, 70도 등)만큼 역방향 회전 구동하여 회전체(152)를 역방향 회전시켜 줄 수 있으며, 접근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접근감지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 기 설정해 둔 각도(예를 들어, 90도, 80도, 70도 등)만큼 정방향 회전 구동하여 회전체(152)를 정방향 회전시켜 회전체(152)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줄 수 있다.
회전체(152)는, 모터(151)의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어, 모터(151)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식별바(153)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체(152)는, 복수 개의 회전 기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모터(151)의 역방향 회전 구동에 의해 식별바(153)를 역회전시켜 주며, 모터(151)의 정방향 회전 구동에 의해 식별바(153)를 정회전시켜 줄 수 있다.
식별바(153)는, 회전체(15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체(15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문턱을 보조적으로 식별해 주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식별바(153)는, 플라스틱 바, 철심 와이어 등과 같은 복원력을 가지면서도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의 바로 형성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식별바(153)는, 회전체(152)의 역회전에 의해 역방향 회전하여 문턱을 보조적으로 식별해 주도록 하며, 회전체(152)의 정회전에 의해 정방향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안전 문턱 구조
110: 본체부
111: 경사면
120: 식별부
121: 라인홈
122: 식별체
123: 투명창
124: 발광체
125: 스피커
130: 커버부
140: 접근감지부
150: 회전부
151: 모터
152: 회전체
153: 식별바

Claims (5)

  1. 바닥과 문턱에 밀착 설치되어, 문턱 걸림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을 문턱 상단에서 바닥면까지 제공해 주기 위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경사면에 형성되어, 문턱을 식별해 주도록 하기 위한 식별부를 포함하는 안전 문턱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알루미늄 각재를 이용하여 형성하되, 경사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문턱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본체부의 경사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라인홈; 및
    상기 라인홈에 형성되어, 문턱을 식별해 주기 위한 식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문턱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식별체를 덮어 보호하면서도 외부로 상기 식별체가 식별되도록 하기 위한 투명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문턱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볼록렌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식별체를 확대시켜 보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문턱 구조.
KR1020210076154A 2021-06-11 2021-06-11 안전 문턱 구조 KR20220167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54A KR20220167075A (ko) 2021-06-11 2021-06-11 안전 문턱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154A KR20220167075A (ko) 2021-06-11 2021-06-11 안전 문턱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075A true KR20220167075A (ko) 2022-12-20

Family

ID=8453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154A KR20220167075A (ko) 2021-06-11 2021-06-11 안전 문턱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0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317B1 (ko) 2007-04-12 2008-08-07 김영배 문턱 승강장치
KR101340653B1 (ko) 2012-04-05 2013-12-10 한종윤 문턱용 경사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317B1 (ko) 2007-04-12 2008-08-07 김영배 문턱 승강장치
KR101340653B1 (ko) 2012-04-05 2013-12-10 한종윤 문턱용 경사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32117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69391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827363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220167075A (ko) 안전 문턱 구조
JP2022109435A (ja) 押しボタンユニット
ES2877652T3 (es) Puerta corredera, en particular puerta corredera de ascensor
KR20200078147A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JP5572175B2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JP200731428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US9105169B2 (en) Alarm system for passageways
CN113825886B (zh) 用于在开启位置和关闭位置之间的摆动路径上移动摆动门扇的摆动门操作器、摆动门及具有摆动门的房间
KR102120481B1 (ko)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JP5893292B2 (ja) 自動ドア装置
TWM605080U (zh) 智慧防疫門
KR100600660B1 (ko) 광고기능을 갖는 장애인용 자동게이트
JP4647357B2 (ja) 回転ドアの安全装置
JP5239619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安全装置
KR102379247B1 (ko) 버튼 살균 장치 및 버튼 살균 방법
KR102546251B1 (ko) 여닫이 도어용 손끼임 방지장치
JP4216983B2 (ja) 閉鎖装置
KR102163189B1 (ko) 자동문 안전시스템
JP2006077564A (ja) 回転ドア
CA3029986A1 (en) Improved alarm system for passageways
JP2005330705A (ja) 回転ドア
JP2024029904A (ja) 自動ド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