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993A -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993A
KR20220166993A KR1020210075980A KR20210075980A KR20220166993A KR 20220166993 A KR20220166993 A KR 20220166993A KR 1020210075980 A KR1020210075980 A KR 1020210075980A KR 20210075980 A KR20210075980 A KR 20210075980A KR 20220166993 A KR20220166993 A KR 2022016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led display
output uni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831B1 (ko
Inventor
황현우
Original Assignee
황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우 filed Critical 황현우
Priority to KR1020210075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83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with indication of the braking strength or speed changes, e.g. by changing shape or intensity of th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전 중에 원하는 내용을 쉽게 후방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각 박스 모양의 본체; 복수 개의 LED가 점등 제어되어 문자 및 도형이 출력되는 출력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내용이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되도록 하는 블루투스 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부 및 블루투스 무선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LED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고, 상기 스마트폰에는, 상기 LE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앱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앱은, 운전자의 음성 입력이 자동 변환된 텍스트 또는 단축번호 음성 호출을 통해 미리 입력된 텍스트를 상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소정 시간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LED Display System for Rear Vehic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각종 상황을 필요시 후방 주행 차량에게 안내하는 데에 사용되는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위치와 주행 방향을 안내하고, 주행 중 발생하는 돌발 상황 등을 후방 차량에게 안내하는 방향지시등, 제동등, 후진등 및 후미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등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차량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표시등은 단순히 점등 및 점멸에 의해 후방 운전자에게 전방 차량의 주행 상황이나 돌발 상황을 전달하기 때문에 후방 차량이 위급성 등을 빠르게 판단하지 못할 수 있고, 이 때문에 후방 차량의 감속이 늦어 추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차량 주행 중 급하게 끼어들기를 하는 경우,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이러한 불쾌감이 보복운전으로 확대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이 경우 끼어들기 차량이 양측 방향지시등을 일시적으로 점멸하여 미안함을 후방 운전자에게 나타내기도 하지만 다양한 위급상황을 표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후방 운전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황과 돌발 상황에 따른 미안함을 더욱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7751호의 차량의 후방 표시등 장치(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차량의 후방 표시등 장치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고, 매트릭스 배열된 다수의 LED 램프를 각각 포함하는 방향 표시등, 브레이크 표시등 및 후방 보조 표시등을 포함하되, 상기 후방 보조 표시등은 상기 방향 표시등 및 상기 브레이크 표시등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동작하는 표시등;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LED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표시등에 특정한 패턴, 기호 및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패턴, 기호 및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움직임이 표현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제어부; 및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패턴, 기호 및 형상 중 어느 하나의 출력형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제어부는 차량의 방향 지시 장치로부터 방향 표시등 구동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브레이크 표시등 구동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모드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등에 대한 구동 모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향 표시등은 상기 다수의 LED 램프가 매트릭스 형태로 실장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LED 램프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다수의 LED 램프 상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LED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모으는 렌즈와, 상기 다수의 LED 램프가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결합나사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표시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패턴, 기호 및 형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모드 설정신호와, 상기 패턴, 기호 및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움직임 모드를 선택하는 제2 모드 설정신호를 상기 전자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 모드 설정신호는 상기 패턴으로 설정되기 위한 패턴모드 설정신호, 상기 기호로 설정되기 위한 기호모드 설정신호 및 상기 형상으로 설정되기 위한 형상모드 설정신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모드설정신호는 상기 패턴, 기호 및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션이 설정되기 위한 제1 모션 설정신호와, 상기 패턴, 기호 및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LED 램프의 점등과 소등이 교번적으로 진행되는 모션이 설정되기 위한 제2 모션 설정신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LED 램프의 점등과 소등을 통해 상기 표시등에 특정한 캐릭터 형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캐릭터 형상이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표현되도록 상기 다수의 LED 램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차량의 후방 표시등 장치는, 패턴, 기호 및 형상을 조합하여 상황에 맞는 다양한 의사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나, 후방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해당 패턴, 기호 및 형상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쉽고 빠르게 이해하기가 어렵고, 또한 사용자는 주행 중 필요한 패턴, 기호 및 형상을 선택하여야 하므로 운전에 어려움이 있고, 오히려 차량의 후방 표시등 장치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전 중에 원하는 내용을 쉽게 후방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20-0477751 Y1 (2015. 05. 10.) KR 20-2013-0002417 U (2013. 04. 23.) KR 10-2020-0104741 A (2020. 09. 04.) KR 10-1800136 B1 (2017. 11. 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LED 안내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운전 중에 원하는 내용을 쉽게 후방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각 박스 모양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면서 복수 개의 LED가 점등 제어되어 문자 및 도형이 출력되는 출력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내용이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되도록 하는 블루투스 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부 및 블루투스 무선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LED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고, 상기 스마트폰에는, 상기 LE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앱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앱은, 운전자의 음성 입력이 자동 변환된 텍스트 또는 단축번호 음성 호출을 통해 미리 입력된 텍스트를 상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소정 시간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LED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차량과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차량과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주행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가 자동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5~10초 동안 텍스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출력부에 수평으로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속도출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속도출력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증감됨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점진적으로 채워지는 게이지 바 모양으로 속도를 표시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LED 디스플레이가 상기 차량의 제동등에 연동되어 점등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출력부에는, 상기 제동등의 점등에 맞추어 점등되는 제동등연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동등연동부는, 상기 출력부의 외곽 둘레를 따라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후면 유리에 장착되어 후방 주행차량의 운전자에게 다양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위급 상황 등을 전달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한 음성이 텍스트로 변환되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므로 다양한 단어를 빠르게 입력하여 전달할 수 있고, 미리 입력된 단어를 단축번호 호출을 통해 빠르게 출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속도출력부와 제동등연동부를 포함한 출력부를 통해 운전자의 텍스트 출력 이외에 차량의 주행 안전을 위한 정보가 함께 출력되고, 이를 통해 후방 차량의 주의운전에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가 차량의 후방 쪽에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5(a, b)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 중 속도출력부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 중 제동등연동부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 중 텍스트출력부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에 방향지시등연동부가 구비된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운전 중에 원하는 내용을 쉽게 후방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출력부(20), 전원공급부(30),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후술되는 출력부(20), 전원공급부(30),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 및 제어부(50)가 내부에 수용되고, 차량(1)의 후방에 설치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 박스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일측면이 개방되어 후술되는 출력부(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본체(10)를 차량(1)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이러한 브래킷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후방에 나사 등을 통해 강건하게 고정된다.
이때 본체(10)에는 브래킷이 설치되는 대신 차량(1)의 후방 유리면에 흡착 고정되는 진공흡착판(도시하지 않음)이 복수 개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진공흡착판을 통해 본체(10)를 차량(1)의 후방 유리면에 쉽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차량(1)의 후방에 설치되는 보조브레이크등을 탈거한 다음, 보조브레이크등을 대신하여 본체(10)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출력부(20)는 본체(10)의 개방된 일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후술되는 제어부(50)를 통해 운전자가 입력한 실시간 텍스트가 출력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텍스트가 출력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출력부(20)는 복수 개의 LED가 소정 간격을 두고 매트릭스 배열되어 이루어지고, 이러한 출력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0)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수평으로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차량(1)의 주행 속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점등되어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출력부(21)와, 상기 출력부(20)의 가장자리 부분(외곽 둘레)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차량(1)의 제동등과 연동되어 점등되는 제동등연동부(22) 및 상기 출력부(2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되면서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텍스트출력부(23)를 포함한다.
이때 속도출력부(21)는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지 바 모양으로 이루어져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차량(1)의 속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점등되어 속도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의 게이지 바가 차량(1)의 시속 5km에 대응되도록 설정되고, 이에 의해 20 ~ 30개의 게이지 바가 차량(1)의 속도에 맞추어 5km 단위로 점등되어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속도출력부(21)의 게이지 바는 차량(1)의 속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예로는 시속 0~60km인 경우에는 초록색으로 점등되고, 시속 61~100km인 경우에는 연두색으로 점등되며, 101~110km인 경우에는 주황색으로 점등되고, 111km 이상인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속도출력부(21)의 구성을 통해, 점등되는 게이지 바의 증감 정도와 색상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차량(1)의 속도를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동등연동부(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따로 조작하지 않고도 차량(1) 후미의 제동등(도시하지 않음)이 점등되는 것과 연동되어 점등되고, 이를 통해 LED 디스플레이(2)가 기존의 보조브레이크등을 대신하여 차량(1)의 제동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동등의 연동은 기존 보조브레이크등을 탈거한 후 인출된 브레이크 연결선이 후술되는 제어부(50)에 연결되는 것으로 간단하게 연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텍스트출력부(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5자의 한글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는 수평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감사합니다", "미안합니다", "초보운전" 등의 단어가 한 화면에 온전히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5자 이상의 단어는 5자의 단어씩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교대로 출력되어 후방 차량 운전자에게 내용이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위에서는 출력부(20)가 속도출력부(21), 제동등연동부(22) 및 텍스트출력부(23)로만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더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출력부(23)의 양단 소정 폭이 차량(1)의 방향지시등(도면부호 없음)과 연동되어 점등되는 방향지시등연동부(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지시등연동부(24)를 통해 후방 차량 운전자가 LED 디스플레이(2) 화면을 주시하는 과정에서 차량(1)의 방향지시등을 따로 인지하지 않더라도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방향지시등연동부(24)는 텍스트출력부(23)와 별도로 점등되기 때문에 운전 중 출력되는 텍스트와 무관하게 방향지시등과 연동된 독립된 동작이 담보되게 된다.
전원공급부(30)는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출력부(20),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 및 제어부(5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원공급부(30)는 차량(1)의 보조브레이크등이 탈거된 다음, 보조브레이크등의 전원선이 연결되어 차량(1)으로부터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LED 디스플레이(2)가 차량(1)에 설치되는 차량단말기(1A)와 운전자의 스마트폰(3)에 각각 연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스마트폰(3)으로부터 출력될 내용(단어)이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제어부(50)로 전달되고, 차량(1)의 차량단말기(1A, 내비게이션)로부터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가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제어부(50)로 전달되며, 제어부(50)는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부(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50)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출력부(20)와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50)는 운전자가 주행 중 입력하는 단어가 5~10초간 출력된 다음, 운전자가 미리 설정한 고정 단어로 전환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데, 이때 운전자가 추가로 단어를 입력하게 되면, 먼저 입력된 단어가 5~10초간 출력된 다음, 이후 고정 단어로 전환되는 대신, 추가로 입력된 단어가 연속하여 5~10초간 출력되게 된다.
또한, 고정 단어는 운전자가 스마트폰(3)에 설치된 제어앱(3A)을 통해 초기에 고정 단어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때 고정 단어는 "초보 운전", "안전 운전", "긴급 출동", "양보 감사" 등과 같이 짧고, 또는 주로 사용되는 단어가 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스마트폰(3)의 제어앱(3A)을 통해 운전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텍스트로 변환되도록 한 후,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제어부(50)로 전달되도록 하고, 이때 제어앱(3A)에서는 음성 입력되어 변환된 텍스트가 바른 문장으로 빠르게 변환될 수 있도록, 입력되는 음성에 맞추어 텍스트로 변환되는 동안 자동완성 기능을 통해 단어가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입력이 텍스트로 변환되는 경우에는, 변환된 텍스트가 음성으로 출력되어 운전자가 변환된 텍스트가 올바르게 변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운전 중에 스마트폰(3)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필요한 단어를 입력하고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르게는 스마트폰(3)의 제어앱(3A)에 단축번호와 함께 출력될 텍스트가 미리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운전자가 단축번호를 음성 호출하는 것에 의해 미리 입력되어 저장된 텍스트가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제어부(50)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 중 긴급한 상황에서 운전자가 단축번호를 음성 호출하는 것만으로, 미리 입력되어 저장된 텍스트가 출력부(20)를 통해 빠르게 출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스마트폰(3)을 통해 음성 입력하는 경우, 시작단어와 종료 단어를 제어앱(3A)을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때 시작단어와 종료단어는 사용자가 덱스트로 입력하여 설정함과 동시에 음성 입력을 병행하여 음성 입력의 시작과 종료가 정확하게 구분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출력부(20)로 단어가 정확하게 출력되어 의사 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후면 유리에 장착되어 후방 주행차량의 운전자에게 다양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위급 상황 등을 전달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한 음성이 텍스트로 변환되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므로 다양한 문자를 바르게 입력하여 전달할 수 있고, 미리 입력된 단어를 단축번호 호출을 통해 빠르게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속도출력부와 제동등연동부를 포함한 출력부를 통해, 운전자의 텍스트 출력 이외에 차량의 주행 안전을 위한 정보가 함께 출력되고, 이를 통해 후방 차량이 주의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차량 1A: 차량단말기
2: LED 디스플레이 3: 스마트폰
3A: 제어앱 3A': 단축번호
3A": 텍스트입력부 10: 본체
20: 출력부 21: 속도출력부
22: 제동등연동부 23: 텍스트출력부
24: 방향지시등연동부 30: 전원공급부
40: 블루투스 무선통신부 50: 제어부

Claims (5)

  1. 차량(1)의 후방에 설치되는 LED 디스플레이(2)를 통해 상기 차량(1)의 주행 상황 및 정보를 출력하는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LED 디스플레이(2)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사각 박스 모양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설치되면서 복수 개의 LED가 점등 제어되어 문자 및 도형이 출력되는 출력부(2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부(20)를 통해 출력될 내용이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되도록 하는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부(20) 및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
    를 포함하고,
    상기 LED 디스플레이(2)는,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운전자의 스마트폰(3)과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고,
    상기 스마트폰(3)에는,
    상기 LED 디스플레이(2)를 제어하는 제어앱(3A)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앱(3A)은,
    운전자의 음성 입력이 자동 변환된 텍스트 또는 단축번호 음성 호출을 통해 미리 입력된 텍스트를 상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를 통해 무선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수신되는 텍스트를 상기 출력부(20)를 통해 소정 시간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디스플레이(2)는,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상기 차량(1)과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고,
    상기 스마트폰(3)은 상기 차량(1)과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차량(1)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주행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출력부(20)를 통해 상기 차량(1)의 속도 정보가 자동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출력부(20)를 통해 5~10초 동안 텍스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20)에는,
    수평으로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속도출력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속도출력부(21)는,
    상기 차량(1)의 속도가 증감됨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점진적으로 채워지는 게이지 바 모양으로 속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LED 디스플레이(2)는,
    상기 차량(1)의 제동등에 연동되어 점등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출력부(20)에는,
    상기 제동등의 점등에 맞추어 점등되는 제동등연동부(22)가 구비되며,
    상기 제동등연동부(22)는,
    상기 출력부(20)의 외곽 둘레를 따라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210075980A 2021-06-11 2021-06-11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505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80A KR102505831B1 (ko) 2021-06-11 2021-06-11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80A KR102505831B1 (ko) 2021-06-11 2021-06-11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93A true KR20220166993A (ko) 2022-12-20
KR102505831B1 KR102505831B1 (ko) 2023-03-03

Family

ID=8453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980A KR102505831B1 (ko) 2021-06-11 2021-06-11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83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2655U (ko) * 1996-02-14 1997-09-08 차속 후방 표시장치
KR20130002417U (ko) 2011-10-13 2013-04-23 이미래테크 주식회사 후방 차량의 유도 및 경보를 위한 엘이디 표시 제어장치
KR200477751Y1 (ko) 2015-02-06 2015-07-20 윤민석 차량의 후방 표시등 장치
KR20170003781U (ko) * 2016-04-26 2017-11-03 김병철 운전자 단말기를 이용한 운전자 의사 전달 장치
KR101800136B1 (ko) 2016-11-28 2017-11-23 신민식 차량운전자 안전확보 소통안내시스템
KR101949650B1 (ko) * 2018-08-29 2019-02-18 박명희 주행중 자동차 제동 알림 안전 장치
KR20200104741A (ko) 2019-02-27 2020-09-04 권우희 차량운행정보 안내 단말/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2655U (ko) * 1996-02-14 1997-09-08 차속 후방 표시장치
KR20130002417U (ko) 2011-10-13 2013-04-23 이미래테크 주식회사 후방 차량의 유도 및 경보를 위한 엘이디 표시 제어장치
KR200477751Y1 (ko) 2015-02-06 2015-07-20 윤민석 차량의 후방 표시등 장치
KR20170003781U (ko) * 2016-04-26 2017-11-03 김병철 운전자 단말기를 이용한 운전자 의사 전달 장치
KR101800136B1 (ko) 2016-11-28 2017-11-23 신민식 차량운전자 안전확보 소통안내시스템
KR101949650B1 (ko) * 2018-08-29 2019-02-18 박명희 주행중 자동차 제동 알림 안전 장치
KR20200104741A (ko) 2019-02-27 2020-09-04 권우희 차량운행정보 안내 단말/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차량운행정보 안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831B1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9795B1 (en)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warning devices mounted on a vehicle to provide warning signals
KR20110076000A (ko) 자동차용 후방 메시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70038638A (ko) 자동차의 후방 지시등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2505831B1 (ko) 후방 차량 의사전달용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477751Y1 (ko) 차량의 후방 표시등 장치
JP2020015325A (ja) 自動車用表示盤による文字図形で喚起する表示方法。
KR101091829B1 (ko) 가변식 브레이크등
KR20200075046A (ko) 자동차 운행 시 후행 차량에 차선변경 정보표시 및 감사 메시지 표시 시스템
KR102453845B1 (ko) 차량용 후방 메시지 출력 장치
KR101659751B1 (ko) 차량용 투명 전광판
JP2010009301A (ja) 情報表示装置
KR200203637Y1 (ko) 자동차용 자동 양보등 장치
KR200247783Y1 (ko) 교통신호등 보조장치
KR100332242B1 (ko) 전광판과 무선통신단말기을 이용하여 자동차 범죄사고예방을 위한 제어 시스템
KR100582531B1 (ko) 차량의 제한속도 표시 시스템 및 표시 방법
KR101455066B1 (ko) 차량용 신호등 장치 및 신호표시 방법
JP5062124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S6317141A (ja) 車両用メツセ−ジ表示装置
RU92981U1 (ru) Табло обратного отсчета времени с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им радиоинтерфейсом для светофорного объекта (варианты)
KR20100081289A (ko) 자동차의 양보 요청 및 양보 의사 표시 장치
KR200390419Y1 (ko) 차량의 브레이크.비상등. 방향 지시등에 연동되는 투명 전광판.
KR100839490B1 (ko) 문자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긴급차량용 경광등
JPH02254039A (ja) 自動車搭載用情報表示装置
KR200438736Y1 (ko) 신호 표시 기능을 갖는 차량번호판 커버
KR200221642Y1 (ko) 신호등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