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929A -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6929A KR20220166929A KR1020210075812A KR20210075812A KR20220166929A KR 20220166929 A KR20220166929 A KR 20220166929A KR 1020210075812 A KR1020210075812 A KR 1020210075812A KR 20210075812 A KR20210075812 A KR 20210075812A KR 20220166929 A KR20220166929 A KR 202201669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rine
- conveyor belt
- intake
- net
- b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12
- 239000010809 marine debri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42583 Scypho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26 work up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포에 의해 부상된 해양쓰레기와 해양생물을 포함하는 해양이물질을 취수구 외부로 배출하여 발전소 냉각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의 취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와 해양생물을 포함하는 해양이물질을 차단 및 제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 저면에 위치되며, 상기 해양이물질을 소정 높이로 부상시킴과 동시에 기포차단막을 형성해 상기 취수구로 유입되는 상기 해양이물질을 차단하는 기포발생장치(100); 상기 기포발생장치(100) 일측 수면에 부상되며, 무한궤도식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포발생장치(100)에 의해 부상된 상기 해양이물질을 수면 위로 인양하는 인양장치(200); 및 상기 인양장치(200) 내측에 직교하여 관통 설치되며, 무한궤도식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인양장치(200)에 의해 인양된 상기 해양이물질을 상기 취수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300)를 포함한다.
발전소의 취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와 해양생물을 포함하는 해양이물질을 차단 및 제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 저면에 위치되며, 상기 해양이물질을 소정 높이로 부상시킴과 동시에 기포차단막을 형성해 상기 취수구로 유입되는 상기 해양이물질을 차단하는 기포발생장치(100); 상기 기포발생장치(100) 일측 수면에 부상되며, 무한궤도식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포발생장치(100)에 의해 부상된 상기 해양이물질을 수면 위로 인양하는 인양장치(200); 및 상기 인양장치(200) 내측에 직교하여 관통 설치되며, 무한궤도식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인양장치(200)에 의해 인양된 상기 해양이물질을 상기 취수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전소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포에 의해 부상된 해양쓰레기와 해양생물을 포함하는 해양이물질을 취수구 외부로 배출하여 발전소 냉각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에 건설된 원자력 발전소나 화력 발전소 등과 같은 산업 시설에서는 해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사용한다.
다만, 해수를 냉각수로 이용함에 있어서는, 해수에 포함되어 있는 해파리, 멸치, 새우, 부유성 해양 쓰레기 등과 같은 해양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취수되어야 해수를 냉각수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발전소 설비의 해양이물질 제거 능력은 매우 미비한 수준으로, 해양이물질로 인해 발전소 감발 운전 내지 운전 정지 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558267호 "발전소 취수구 유입 해양생물 제거시스템 및 제거방법"은 브러쉬를 사용하여 각종 해양생물들의 인양을 용이하게 하고, 체인에 결합된 브러쉬에 부하발생을 줄이는 동시에 스프로킷휠과 상면에만 설치되는 체인 안내레일로 인해 구동 저항을 적게 하여 고속 회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량 해양생물 유입시에도 완벽한 제거가 가능하도록 처리 용량을 증대시키는 기술을 공지하였으나, 취수구 외부로 해양생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브러쉬 사이에 끼이거나 안착되어 이송되는 해양생물을 스크레이퍼(Scrapper)로 긁어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572313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는 취수구에 설치되어 호퍼와 배출펌프에 의한 체적포집, 직접배출 방식으로 다양한 유형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취수설비의 안정운전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공지하였으나, 취수구 외부로 해양생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바스크린클리닝부를 이용하여 바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포를 발생시켜 기포에 의해 부상된 해양쓰레기와 해양생물을 포함하는 해양이물질을 인양하고, 인양된 해양이물질을 취수구 외부로 자동 배출하여 발전소 냉각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의 취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와 해양생물을 포함하는 해양이물질을 차단 및 제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 저면에 위치되며, 상기 해양이물질을 소정 높이로 부상시킴과 동시에 기포차단막을 형성해 상기 취수구로 유입되는 상기 해양이물질을 차단하는 기포발생장치(100); 상기 기포발생장치(100) 일측 수면에 부상되며, 무한궤도식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포발생장치(100)에 의해 부상된 상기 해양이물질을 수면 위로 인양하는 인양장치(200); 및 상기 인양장치(200) 내측에 직교하여 관통 설치되며, 무한궤도식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인양장치(200)에 의해 인양된 상기 해양이물질을 상기 취수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양장치(200)는, 상기 기포발생장치(100) 일측 수면에 상호 이격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제1 풀리(210)와, 상기 한쌍의 제1 풀리(210)를 감싸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무한궤도식 제1 컨베이어 벨트(220)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 외면에 부설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 회전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해양이물질을 수면 밖으로 인양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부재(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는, 상기 이송부재(230)에 의해 수거된 상기 해양이물질이 상기 제1 풀리(210) 사이로 낙하하여 상기 배출장치(3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2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230)는 다각형의 프레임에 그물망이 부착형성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 외면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1 그물망(232)과, 다각형의 프레임에 그물망이 부착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그물망(232) 상단에 연결되는 제2 그물망(234)과, 상기 제1 그물망(232)과 상기 제2 그물망(234)을 연결하며, 상기 제2 그물망(234)이 자중에 의해 굽어질 시, 굽힘각도를 소정 각도로 제한하는 힌지부(236)와, 상기 제2 그물망(234)의 타단부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그물망(232)과 상기 제2 그물망(234) 사이에 끼이거나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해양이물질이 상기 이송부재(230)의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가이드(2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포발생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공급기와, 상기 공기공급기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공급기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공급튜브(110)와, 상기 공기공급튜브(110)의 끝단부에 연결되며, 복수의 노즐(122)이 구비되어 상기 공기공급튜브(110)의 내부에서 유동된 공기를 수중 분사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배관부(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장치(300)는, 상기 인양장치(200) 내측에 직교하여 관통 배치하되, 상호 이격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제2 풀리(310)와, 상기 한쌍의 제2 풀리(310)를 감싸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무한궤도식 제2 컨베이어 벨트(220)와,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20) 이송방향 끝단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2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상기 해양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상자(3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별도의 인력이나 장비 사용 없이 인양장치 사이에 끼이거나 안착되어 이송되는 해양이물질을 취수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포를 이용하여 별도의 화학적 물질 없이 친환경적으로 해양이물질을 차단 및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명에 따른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명에 따른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한다(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소 취수구의 전방에 설치되는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1000)은 기포를 발생시켜 기포에 의해 부상된 해양쓰레기와 해양생물을 포함하는 해양이물질을 인양하고, 인양된 상기 해양이물질을 상기 취수구 외부로 자동 배출하여 발전소 냉각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으로, 크게 기포발생장치(100), 인양장치(200) 및 배출장치(3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기포발생장치(100)는 상기 취수구 저면에 위치되며,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해양이물질의 표면 부상을 용이하게 하고, 기포차단막 형성으로 상기 취수구로 유입되는 상기 해양이물질을 차단하여 주변 유동장의 내부 도수역에 상기 해양이물질을 모으는 작용을 한다.
특히, 해파리의 경우, 유영속도가 해수 유입속도에 비하여 현저히 작고, 그 형상과 이동 방향이 수류에 따라 불규칙하게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포발생장치(100)와 해수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수류를 발생시키는 수류발생장치(미도시)를 동시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수류발생장치(미도시)는 펌프나 프로펠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인양장치(200)는 상기 기포발생장치(100) 일측 수면에 부상되며, 무한궤도식 제1 컨베이어 벨트(220) 외면에 부착설치되는 이송부재(230)를 작동하여 상기 내부 도수역에 모여진 상기 해양이물질을 상기 수면 위로 인양한다.
이때, 상기 인양장치(200)는 상하(부상 높이)로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하자면, 상기 기포발생장치(100)의 기포발생 기능 저하로 인해 상기 해양이물질의 부상이 미흡한 경우에 상기 인양장치(200)의 부상 높이를 기설정된 높이로 하강하여 상기 이송부재(230)가 하강 전보다 수면 아래로 더 깊이 내려감으로써, 상기 해양이물질의 인양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인양장치(200)는 상기 취수구의 상방 전부를 가로막아 상기 해양이물질을 인양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취수구의 상방 일부만을 가로막아 상기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수의 압력 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장치(300)는 상기 인양장치(200) 내측에 직교하여 관통 설치되며, 무한궤도식 제2 컨베이어 벨트(320)를 이용하여 상기 인양장치(200)에 의해 인양된 상기 해양이물질을 상기 취수구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양장치(200)는 한쌍의 제1 풀리(210), 무한궤도식 제1 컨베이어 벨트(220) 및 이송부재(2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 풀리(210)는 상기 기포발생장치(100) 일측 수면에 상호 이격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는 상기 한쌍의 제1 풀리(210)를 감싸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무한궤도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는 상기 이송부재(230)에 의해 수거된 상기 해양이물질이 상기 제1 풀리(210) 사이로 낙하하여 상기 배출장치(3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222)을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기(미도시)는 상기 취수구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부재(230)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 외면에 부설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 회전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해양이물질을 수면 밖으로 인양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재(230)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 외면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1 그물망(232)과, 일단부가 상기 제1 그물망(232) 상단에 연결되는 제2 그물망(234)과, 상기 제1 그물망(232)과 상기 제2 그물망(234)이 자중에 의해 굽어질 시, 굽힘각도를 소정 각도로 제한하는 힌지부(236)와, 상기 제2 그물망(234)의 타단부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그물망(232)과 상기 제2 그물망(234) 사이에 끼거나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해양이물질이 상기 이송부재(230)의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가이드(23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송부재(230)는 상기 해양이물질의 인양 효율을 증대할 수 있도록 수심 1/2 내지 3/4 지점의 깊이까지 도달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외해수 유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외해수 유입 방향으로 수심의 1.2 내지 1.5배 길이에 해당하는 영역까지 인양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재(230)는 작은 크기 해양이물질도 인양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치 간격을 조정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230)의 개수는 유입해수의 속도 및 배관부(120)와 노즐(122)의 개수 등을 고려함과 아울러 상기 해양이물질의 인양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송부재(230)에 부착형성되는 그물망은 상기 제1 그물망(232)과 상기 제2 그물망(234) 2단으로 구성되어, 수중에서는 상기 해양이물질의 수거를 위해 일자형으로 펼쳐져 하나의 상기 이송부재(230)로 작동하지만, 대기중에서는 상기 제2 그물망(234)이 자중에 의해 굽어짐에 따라 상기 제1 그물망(232)과 상기 제2 그물망(234)에 부착된 상기 해양이물질이 자동 이탈함에 따라, 상기 해양이물질을 상기 취수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인력으로 상기 해양이물질을 따로 털어내야할 수고가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제1 그물망(232)과 상기 제2 그물망(234)은 상기 해양이물질의 종류, 크기 및 유입량에 따라 적합한 모양과 크기를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재(230)와 착탈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배출장치(300)는 한쌍의 제2 풀리(310), 무한궤도식 제2 컨베이어 벨트(320) 및 수거상자(3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한쌍의 제2 풀리(310)는 상기 인양장치(200) 내측에 직교하여 관통 배치하되, 상호 이격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20)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의 하부에 측면으로 작동하고, 상기 한쌍의 제2 풀리(320)를 감싸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무한궤도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기(미도시)는 상기 취수구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거상자(330)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20) 이송방향 끝단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2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상기 해양이물질을 수거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발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포발생장치(100)는 공기공급기(미도시), 공기공급튜브(110) 및 배관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공기공급기(미도시)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공기를 발생시키며, 상기 취수구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공급튜브(110)는 상기 공기공급기(미도시)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공급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튜브(110) 내부에서 유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관부(120)는 상기 공기공급튜브(110)의 끝단부에 연결되며, 복수의 노즐(122)이 구비되어 상기 공기공급튜브(11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수중 분사하여 기포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배관부(120)와 상기 노즐(122)의 개수는 유입 해수의 속도 및 상기 인양장치(200)의 설치 깊이 등을 고려함와 아울러 상기 해양이물질의 차단 및 부상효과가 극대화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배관부(120)는 해수 유입 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되며, 대략 500mm 간격으로 반복 배치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니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0 :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100 : 기포발생장치
110 : 공기공급튜브
120 : 배관부
122 : 노즐
200 : 인양장치
210 : 제1 풀리
220 : 제1 컨베이어 벨트
222 : 배출공
230 : 이송부재
232 : 제1 그물망
234 : 제2 그물망
236 : 힌지부
238 : 가이드
300 : 배출장치
310 : 제2 풀리
320 : 제2 컨베이어 벨트
330 : 수거상자
100 : 기포발생장치
110 : 공기공급튜브
120 : 배관부
122 : 노즐
200 : 인양장치
210 : 제1 풀리
220 : 제1 컨베이어 벨트
222 : 배출공
230 : 이송부재
232 : 제1 그물망
234 : 제2 그물망
236 : 힌지부
238 : 가이드
300 : 배출장치
310 : 제2 풀리
320 : 제2 컨베이어 벨트
330 : 수거상자
Claims (8)
- 발전소의 취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와 해양생물을 포함하는 해양이물질을 차단 및 제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 저면에 위치되며,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해양이물질을 소정 높이로 부상시킴과 동시에 기포차단막을 형성해 상기 취수구로 유입되는 상기 해양이물질을 차단하는 기포발생장치(100);
상기 기포발생장치(100) 일측 수면에 부상되며, 무한궤도식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포발생장치(100)에 의해 부상된 상기 해양이물질을 상기 수면 위로 인양하는 인양장치(200); 및
상기 인양장치(200) 내측에 직교하여 관통 설치되며, 무한궤도식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인양장치(200)에 의해 인양된 상기 해양이물질을 상기 취수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장치(300);를 포함하는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장치(200)는,
상기 기포발생장치(100) 일측 수면에 상호 이격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제1 풀리(210)와,
상기 한쌍의 제1 풀리(210)를 감싸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무한궤도식 제1 컨베이어 벨트(220)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 외면에 부설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 회전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해양이물질을 수면 밖으로 인양하는 하나 이상의 이송부재(2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는,
상기 이송부재(230)에 의해 수거된 상기 해양이물질이 상기 제1 풀리(210) 사이로 낙하하여 상기 배출장치(3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2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230)는,
다각형의 프레임에 그물망이 부착형성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220) 외면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1 그물망(232)과,
다각형의 프레임에 그물망이 부착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그물망(232) 상단에 연결되는 제2 그물망(234)과,
상기 제1 그물망(232)과 상기 제2 그물망(234)을 연결하며, 상기 제2 그물망(234)이 자중에 의해 굽어질 시, 굽힘각도를 소정 각도로 제한하는 힌지부(2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230)는,
상기 제2 그물망(234)의 타단부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 그물망(232)과 상기 제2 그물망(234) 사이에 끼이거나 안착되어 이송되는 상기 해양이물질이 상기 이송부재(230)의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가이드(238)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공급기와,
상기 공기공급기와 연결되며, 상기 공기공급기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공급튜브(110)와,
상기 공기공급튜브(110)의 끝단부에 연결되며, 복수의 노즐(122)이 구비되어 상기 공기공급튜브(11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수중 분사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배관부(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300)는,
상기 인양장치(200) 내측에 직교하여 관통 배치하되, 상호 이격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샤프트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제2 풀리(310)와,
상기 한쌍의 제2 풀리(310)를 감싸며,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무한궤도식 제2 컨베이어 벨트(2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300)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20) 이송방향 끝단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32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상기 해양이물질을 수거하는 수거상자(33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5812A KR20220166929A (ko) | 2021-06-11 | 2021-06-11 |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5812A KR20220166929A (ko) | 2021-06-11 | 2021-06-11 |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6929A true KR20220166929A (ko) | 2022-12-20 |
Family
ID=8453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5812A KR20220166929A (ko) | 2021-06-11 | 2021-06-11 |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6692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468275A (zh) * | 2023-04-21 | 2023-07-21 |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 考虑致灾生物运动特征及节律行为的取水风险评估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8267B1 (ko) | 2004-01-03 | 2006-03-10 | 한국해양연구원 | 발전소 취수구 유입 해양생물 제거시스템 및 제거방법 |
KR101572313B1 (ko) | 2013-09-27 | 2015-11-26 |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
-
2021
- 2021-06-11 KR KR1020210075812A patent/KR202201669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8267B1 (ko) | 2004-01-03 | 2006-03-10 | 한국해양연구원 | 발전소 취수구 유입 해양생물 제거시스템 및 제거방법 |
KR101572313B1 (ko) | 2013-09-27 | 2015-11-26 |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468275A (zh) * | 2023-04-21 | 2023-07-21 |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 考虑致灾生物运动特征及节律行为的取水风险评估方法 |
CN116468275B (zh) * | 2023-04-21 | 2023-09-29 |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 考虑致灾生物运动特征及节律行为的取水风险评估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28327B2 (ja) | 浮遊藻類収集装置及び浮遊藻類処理システム | |
KR20170047479A (ko) | 진공 흡입식 해양생물 포집장치 | |
EP2022714A1 (en) | Integral submarine maintenance system | |
US4453386A (en) | High capacity mat cleaning machine | |
HUE026311T2 (en) | Painting cabinet equipped with cleaning equipment | |
CN212065544U (zh) | 一种输送带式肉类清洗机 | |
KR20220166929A (ko) | 취수구 유입 해양이물질 차단 및 제거 시스템 | |
NO20211093A1 (en) | A fish farming facility comprising a water outlet cleaning device | |
KR102247482B1 (ko) |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 |
KR100558267B1 (ko) | 발전소 취수구 유입 해양생물 제거시스템 및 제거방법 | |
KR101526329B1 (ko) | 조류수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류수거방법 | |
KR101182753B1 (ko) | 부유식 고속스크린 장치 | |
KR101238428B1 (ko) | 발전소의 냉각수용 제진기 | |
KR20130102385A (ko) | 수용성 절삭유의 부패방지 처리 시스템 | |
JP2006280233A (ja) | 食品洗浄装置 | |
JP2009022834A (ja) | 水中及び水底に浮遊又は堆積する不要藻類、浮泥等を回収する装置 | |
KR101172492B1 (ko) |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 |
KR102354857B1 (ko) | 협잡물이 자동으로 리프팅되는 이동형 무빙 스크린 장치 | |
CN210122710U (zh) | 一种江河漂浮物垃圾拦截打捞系统 | |
KR20160002789U (ko) | 양ㆍ배수장의 길이가 긴 부유물을 커팅하는 커팅수단이 구비된 제진기 | |
JP4766415B2 (ja) | 吸泥開口部が移動する揚泥装置。 | |
CN110528453A (zh) | 智能化水面清理及循环装置 | |
KR101733674B1 (ko) |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 |
KR102116820B1 (ko) | 취수용 스크린의 자동세척장치 및 자동세척장치가 구비된 취수용 스크린 | |
JPH0695916B2 (ja) | 食品の洗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