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486A -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 - Google Patents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486A
KR20220166486A KR1020210075283A KR20210075283A KR20220166486A KR 20220166486 A KR20220166486 A KR 20220166486A KR 1020210075283 A KR1020210075283 A KR 1020210075283A KR 20210075283 A KR20210075283 A KR 20210075283A KR 20220166486 A KR20220166486 A KR 20220166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ay
directional
fragrance
fabric
fragranc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084B1 (ko
Inventor
서장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노트
Priority to KR102021007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08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2Back of leaves or signatures prepared for b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8Shee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8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odors or frag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기나는 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향기를 느낄 수 있는 향물질이 확산되도록 된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속지는 원단과, 상기 원단의 일부 또는 전부에 향물질이 함침 도포되어 상기 향물질을 외부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방향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노트는표지와, 상기 표지와 함께 제본되는 다수의 속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속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부 또는 전부에 투명한 향물질이 함침 또는 도포되어 외부로 상기 향물질을 확산시켜 사용자가 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된 방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Perfume inner page and perfume note using it}
본 발명은 향기나는 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향을 느낄 수 있는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에 관한 것이다.
노트는 사용자가 이미지, 문자, 도형 등을 필기하여 기록할 수 있는 기재이다. 노트는 표지와 종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속지를 제본함으로써 제작된다. 이와 같은 노트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학업 또는 사무용으로 활용된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구매 의욕을 고취하고 사용자의 관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표지에 시각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이미지가 인쇄되거나 속지에 사용자의 후각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향을 느낄수 있는 노트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84774호에는 앞표지와 뒷표지 및 속지로 이루어진 노트에 있어서, 앞표지 또는 뒷표지에 방향물질을 함침시킨 입체 장식물이 부착된 방향 노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 노트는 방향성 물질이 내장 또는 함침된 입체 장식물에 의해 표지 또는 속지가 구겨지거나 휘어져 사용간의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19289 호에는 노트의 겉표지 및 속지의 일부 또는 전부에 방향성 물질이 내장된 마이크로 캡슐이 코팅되어 있어, 사용자가 표지를 문지르거나 두드려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면 마이크로 캡슐이 터지면서 향기가 발산되는 방향성 노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성 노트는 사용자가 표지 또는 속지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향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향기를 느끼기 위해선 사용자가 마이크로 캡슐을 터뜨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향성 노트는 사용자의 사용에 있어, 마이크로 캡슐의 외관에 의한 시각적인 불편함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84774호 : 방향노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19289호 : 방향성 노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향을 느낄 수 있는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시각적인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속지는 원단과, 상기 원단의 일부 또는 전부에 향물질이 함침 도포되어 상기 향물질을 외부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방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원단이 인접한 다른 하나의 속지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방향부의 향물질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방향부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는 확산방지부를 더 구비한다.
또는, 상기 원단에 상기 방향부로부터 상기 확산방지부를 가로질러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까지 이르도록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유출부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는 표지와, 상기 표지와 함께 제본되는 다수의 속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속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부 또는 전부에 향물질이 함침 또는 도포되어 외부로 상기 향물질을 확산시켜 사용자가 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된 방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속지는 상기 방향부가 형성된 방향성 속지와, 상기 방향성 속지와 교호로 제본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속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속지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속지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방향부의 향물질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방향부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는 확산방지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속지는 상기 방향부로부터 상기 확산방지부를 가로질러 상기 속지의 가장자리까지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출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향물질은 플로랄, 라벤다, 로즈마리, 브리즈 애플, 허브, 만다린, 로즈마리, 시나몬, 카모마일, 미모사, 카렌듈라, 시이프러스, 바이올렛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천연향을 느끼게 하는 천연재료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는 향물질이 도포 또는 함침되어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 없이 외부에 확산되며 사용자에게 후각적인 만족감을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는 향물질이 무색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인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방향부가 도 2의 (a)와 같이 형성된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의 사시도,
도 4는 방향부가 도 2의 (b)와 같이 형성된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방향부와 확산방지부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6은 방향부가 도 2의 (c)와 같이 형성된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의 측면도,
도 8는 방향성 속지와 보조 속지가 교호로 제본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방향성 속지와 보조 속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속지와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20)는 원단(21)과, 상기 원단(21)의 일면 또는 양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향물질이 함침 또는 도포되어 외부로 상기 향물질을 확산시켜 사용자가 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된 방향부(3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단(21)의 양면의 전부에 향물질이 함침 되어 원단(21)의 양면 전부에 방향부가 형성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원단(21)은 펄프, 종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원단(21)은 롤 형태의 원단재료를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제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통상, 향기는 상향(Top note), 중향(Middle note), 하향(Base note)로 분류된다. 상기 향물질은 상향, 중향, 하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향을 느끼게 하는 천연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향은 향을 맡았을때 알코올 보다 빠르게 확산되는 천연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향을 느끼게 하는 향물질의 재료는 만다린, 스윗오렌지, 텐제린, 유칼립투스, 네롤리, 원터그린, 페페민트, 시트로넬라, 그레이프후르츠, 주니퍼베리, 아니스, 안젤리카, 라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중향은 알콜이 확산된 직후에 사용자에게 도달하도록 알코올과 유사하거나 더 느리게 확산되는 천연연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향을 느끼게 하는 상기 향물질은 플로랄, 라벤다, 로즈마리, 브리즈 애플, 허브, 만다린, 로즈마리, 시나몬, 카모마일, 미모사, 카렌듈라, 시이프러스, 바이올렛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천연향을 느끼게 하는 천연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향은 중향보다 느리게 확산되는 천연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향을 느끼게 하는 향물질의 재료는 일랑일랑, 미르, 재스민, 타임, 히노끼, 시더우드, 벤조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천연향을 느끼게 하는 천연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향물질은 중향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천연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향물질의 천연재료는 식물 또는 동물로부터 채취된 것이 적용된다. 예를들면, 상기 재료는 꽃이나 과일을 동결건조 후 분쇄하고, 분쇄된 꽃이나 과일을 에탄올 혼합물에 침지시켜 꽃이나 과일로부터 향 성분을 에탄올 혼합물에 흡착시킴으로써 조향 성분이 추출되어 제조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물질은 화학물질을 합성하여 제조된 인공재료로 이루어 진 것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향물질은 상기 원단(21)에 도포 또는 함침된 상태에서 줄무늬 또는 기호가 인쇄될 수 있도록 투명한 무색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향부(31)를 이루는 상기 향물질은 투명한 무색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단(21)의 일면에 필기하거나 필기된 내용을 읽는 동안 시각적인 불편함이 배제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는 표지(10)와, 상기 표지와 함께 제본되는 다수의 속지들을 포함한다. 상기 속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20)가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속지들이 상기 방향성 속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지(10)와, 상기 속지들이 폭방향의 일측 단부가 접착제, 스프링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노트 형태로 제본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는 상기 방향부(31)가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의 여러가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방향성 속지(20)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노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20)의 상기 방향부(31)는 상기 향물질이 상기 원단(21)의 일부에 함침 또는 도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물질은 특정 색상으로 조색되어 원단(21)에 표시되는 줄무늬나 기호 형상으로 인쇄되는 방식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도 2의 (b) 및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방향성 속지(20)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속지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방향부(31)의 상기 향물질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방향부(31)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는 확산방지부(34)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방향부(31)는 원단(21)의 일면 또는 양면의 내측 일부에 형성된다. 상기 확산방지부(34)는 상기 원단(21)의 상기 방향부(31)를 두르는 외측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향부(31)는 상기 원단(21)보다 작은 길이와 폭을 갖는 사각 형상의 영역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방향부(31)는 원단(21)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확산방지부(34)는 상기 원단(21)의 상기 방향부(31)를 두르는 외측에 상기 향물질과 섞이지 않으며 방향부(31)의 향물질이 외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 약품 등이 도포 또는 함침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확산방지부(41)는 상기 원단(21)의 테두리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방향성 속지(20)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속지와 겹쳐지게 포개진 상태에서 원단(21)의 확산방지부(34)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속지와 맞닿게 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부(31)가 상기 원단(21) 및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방향성 속지(20)와 함께 상기 방향부(31)를 상하좌우로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방향성 속지는(20)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방향성 속지(20), 표지, 보조속지(미도시) 중 어느 하나와 겹쳐지게 포개진 상태에서 방향부(31)의 향물질이 확산방지부(34)와, 상하방향으로 포개진 다른 하나의 방향성 속지(20)에 의해 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가 향기를 느낄 수 있는 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에 소요되는 향물질의 양이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속지와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는 방향부의 외측에 형성된 상기 확산방지부(34)에 의해 상기 방향부(31)로부터 상기 향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향기를 느낄 수 있는 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6 내지 도 7에는 상기 방향성 속지(20)가 도 2의 (c)와 같이 상기 방향부(31)의 상기 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출부(36)를 더 구비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방향성 속지(20)는 상기 방향부(31)로부터 상기 확산방지부(34)를 가로질러 상기 방향성 속지(20)의 가장자리 까지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출부(36)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방향부(31)는 상기 원단(21)의 횡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며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향부(31)는 상기 원단(21)의 내측에 복수 개가 형성되나,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향부(31)는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각각의 방향부(31)마다 상향, 중향, 하향 들 중 서로 다른 향을 느끼게 하도록 서로 다른 향물질이 도포 또는 함침될 수 있다. 이 경우, 방향부(31)들에 각각 도포된 향물질의 서로 다른 속도의 확산속도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향기를 느끼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유출부(36)는 상기 방향부(31)에 도포 또는 함침된 상기 향물질과 동일한 향물질이 상기 원단(21)에 도포 또는 함침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출부(36)는 상기 방향부(31)의 가장자리부터 상기 원단(21)의 가장자리까지 이르도록 연장 형성된다. 상기 유출부(36)는 방향성 속지(20)와 다른 속지가 겹쳐지게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방향부(31)에 저장된 상기 향물질의 단위시간당 유출량이 제한되게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유출부(36)의 폭은 방향부(31)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유출부(36)는 방향부(31) 보다 크거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출부(36)는 원단(21)의 일면 또는 양면 일부에 향물질이 도포되어 방향부(31)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향물질을 상기 방향부(31)와 상기 원단(31)의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원단(31)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방향성 속지(20)가 표지(10)와 함께 제본되며 표지(10) 및 다른 속지들과 겹쳐지게 포개진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향물질을 상기 방향부(31)와 상기 원단(31)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원단(21)의 일측 가장자리를 유출부(36)와 함께 절단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노트가 덮혀진 상태에서 유출부(36)는 일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출부(36)는 상기 방향부(31)와 상기 원단(31)의 가장자리가 연결되도록 향물질이 도포되어 구성된 것이나 이와 다르게, 방향부(31)와 원단(21)의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미세홈(미도시)이 인입 형성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유출부(36)는 상기 방향부(31)의 상기 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방향부(31)의 상기 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되게 유도되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노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소량의 상기 향물질을 통해 후각적인 만족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이점을 발휘한다.
또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는 상기 방향부(31)들 중 일부의 방향부(31)에만 유출부(36) 형성되게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노트가 덮인 상태에서 향물질의 최대 유출량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는 상기 방향부(3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7)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37)는 상기 향물질이 어느 하나의 상기 방향부(31)로부터 이와 연결된 다른 하나의 방향부(31)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는 방향부(31)가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된 방향성 속지(20)들 중 어느 한 가지 방식이 적용되거나,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는 상기 속지가 상기 방향부가 형성된 방향성 속지(20)와, 상기 방향성 속지(20)와 교호로 제본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속지(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속지(40)는 상기의 원단(21)으로만 이루어진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보조 속지(40)는 상하방향을 따라 방향성속지(20)와 교호로 겹쳐지게 제본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매수의 상기 보조 속지(40)와 한 매의 상기 방향성 속지(20)가 반복되게 교호로 배치되어 제본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 속지(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를 제조함에 소요되는 상기 향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강한 향으로 인해 쉽게 질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속지와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 없이 노트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방향부로부터 향물질이 공기중으로 확산되어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후각적인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속지와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는 원단(21)의 일부에 향물질을 함침 또는 도포함으로써 제조에 소요되는 향물질의 양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 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표지 20 : 방향성 속지
31 : 방향부 40 : 보조 속지

Claims (8)

  1. 원단과, 상기 원단의 일부 또는 전부에 투명한 향물질이 함침 도포되어 상기 향물질을 외부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방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속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 인접한 다른 하나의 속지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방향부의 향물질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방향부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는 확산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방향성 속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에 상기 방향부로부터 상기 확산방지부를 가로질러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까지 이르도록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유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속지.
  4. 표지와, 상기 표지와 함께 제본되는 다수의 속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속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부 또는 전부에 투명한 향물질이 함침 또는 도포되어 외부로 상기 향물질을 확산시켜 사용자가 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된 방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속지는 상기 방향부가 형성된 방향성 속지와, 상기 방향성 속지와 교호로 제본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속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속지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속지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방향부의 향물질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방향부의 외측 영역에 형성되는 확산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속지는 상기 방향부로부터 상기 확산방지부를 가로질러 상기 속지의 가장자리까지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향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속지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물질은 플로랄, 라벤다, 로즈마리, 브리즈 애플, 허브, 만다린, 로즈마리, 시나몬, 카모마일, 미모사, 카렌듈라, 시이프러스, 바이올렛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천연향을 느끼게 하는 천연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속지.
KR1020210075283A 2021-06-10 2021-06-10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 KR102504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283A KR102504084B1 (ko) 2021-06-10 2021-06-10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283A KR102504084B1 (ko) 2021-06-10 2021-06-10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86A true KR20220166486A (ko) 2022-12-19
KR102504084B1 KR102504084B1 (ko) 2023-02-28

Family

ID=8453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283A KR102504084B1 (ko) 2021-06-10 2021-06-10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0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640A (ko) * 2000-10-10 2001-01-05 이영수 향기 인쇄와 향기 인쇄 제조 방법
JP2001239771A (ja) * 2000-02-29 2001-09-04 Kokuyo Co Ltd カレンダー
KR200384774Y1 (ko) 2005-03-10 2005-05-17 염명선 방향 노트
KR200419289Y1 (ko) 2006-04-08 2006-06-16 홍순철 방향성 노트
JP2020005884A (ja) * 2018-07-09 2020-01-16 日本製紙パピリア株式会社 発香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9771A (ja) * 2000-02-29 2001-09-04 Kokuyo Co Ltd カレンダー
KR20010000640A (ko) * 2000-10-10 2001-01-05 이영수 향기 인쇄와 향기 인쇄 제조 방법
KR200384774Y1 (ko) 2005-03-10 2005-05-17 염명선 방향 노트
KR200419289Y1 (ko) 2006-04-08 2006-06-16 홍순철 방향성 노트
JP2020005884A (ja) * 2018-07-09 2020-01-16 日本製紙パピリア株式会社 発香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084B1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7024A (en) Self-stick aroma-dispensing tab
BR112015032263B1 (pt) material de tratamento de ar
JP2010051591A (ja) 倒立型揮散装置
KR102504084B1 (ko) 방향성 속지 및 이를 이용한 방향성 노트
WO1996003638A1 (fr) Materiau indicateur
TWI251182B (en) Period indicator
JP4820533B2 (ja) 揮散器
JPH06247074A (ja) 香り付きカード
Hsu Boris Raux, olfactory narcissism, and environmental risk
JP6448910B2 (ja) 紙管及び当該紙管を使用したロール状シート
JP3055555U (ja) 挟持型芳香しおり
JPH06239062A (ja) 剥がすと香りの出る印刷物
JP2002088551A (ja) かつら
JP2005186389A (ja) 印刷物
US20010035644A1 (en) Device to emit a scent, associated to a book page or the like
KR200417074Y1 (ko) 박스 삽입용 일회성 방향제
WO2001092034A3 (en) Scented writing implement
JP2019043065A (ja) 香り付き鉛筆
CN206975926U (zh) 香味吊牌
KR200322932Y1 (ko) 아로마테라피 카드
JP3601879B2 (ja) 表示材料
TWM606223U (zh) 可散發香味之貼紙結構
JP2022073311A (ja) マスクケース
KR200228941Y1 (ko) 방향제가 구비된 다이어리
JPH06286359A (ja) 香りを発生する冊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