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101A - 싱크수전 - Google Patents

싱크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101A
KR20220165101A KR1020210073658A KR20210073658A KR20220165101A KR 20220165101 A KR20220165101 A KR 20220165101A KR 1020210073658 A KR1020210073658 A KR 1020210073658A KR 20210073658 A KR20210073658 A KR 20210073658A KR 20220165101 A KR20220165101 A KR 20220165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ded
water
cartridge
col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048B1 (ko
Inventor
홍기욱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3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0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관 및 브레이징(BRAZING) 공정 대신에 편조 호스를 이너바디에 삽입 후 핀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조립 공수를 줄여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이 되도록 한 싱크수전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를 혼합수로 배출하기 카트리지(4)와, 상기 카트리지(4)를 내장하기 위한 이너바디(1)와, 상기 카트리지(4)와 연결된 레버(41)에 끼워 결합됨으로써 냉,온수의 혼합비율 및 혼합수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전레버(6)와, 상기 레버(41)를 노출시키고 이너바디(1)의 외부를 에워싸면서 토수관(7)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아우터바디와, 선단에 토수구(8)가 구비된 토수관(7)과,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를 상기 카트리지(4)로 공급하기 위한 냉, 온수 공급관과, 혼합수를 상기 카트리지(4)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혼합수관과, 상기 혼합수관의 타측과 토수관(7) 사이에 연결되는 길게 연결되는 메탈호스(10)와, 상기 아우터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싱크대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쉥크(12)로 구성되는 싱크수전에 있어서,
상기 이너바디(1)의 상부에는 카트리지(4)를 삽입하기 위한 카트리지 수용부(101)가 구비되고 이너바디(1)의 하부에는 편조호스 수용부(102)가 형성되는데, 그 사이에는 상기 카트리지(4)의 냉,온수의 유입구과 혼합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는 냉,온수용 편조호스(2)(3)를 통해 공급되고 카트리지(4)로부터 토출된 혼합수는 혼합수용 편조호스(15)를 통해 배출되는데, 상기 냉,온수용 편조호스(2)(3)와 혼합수용 편조호스(15)의 단자는 상기 편조호스 수용부(102)안에 위치하고, 각각 상기 카트리지(4)의 냉,온수의 유입구과 혼합수의 토출구에 대응되며, 상기 냉,온수용 편조호스(2)(3)와 혼합수용 편조호스(15)의 단자는 이너바디(1)의 편조호스 수용부(102)안에서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싱크수전{Sink faucet}
본 발명은, 기존의 제품은 카트리지가 조립되는 이너바디에 유로 동관을 브레이징(BRAZING)한 후 동관 너트에 편조 호스 나사를 조립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동관 및 브레이징(BRAZING) 공정 대신에 편조 호스를 이너바디에 삽입 후 핀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조립 공수를 줄여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이 되도록 한 싱크수전에 관한 것이다.
즉, 중간에 동관을 사용하지않고 편조호스를 직접 카트리지가 내장된 이너바디에 연결하되, 연결이 용이하도록 냉수, 온수 및 혼합수의 편조호스의 선단에 연결된 단자에 반원형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바디의 벽에는 핀을 관통결합하기 위한 통공을 형성하되, 세개의 편조호스를 근접시켜 상기 반원형 홈부들이 공유하는 홈부를 상기 핀이 경유하여 이너바디에 관통결합됨으로써, 종래기술보다 훨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되는 싱크 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 수전의 경우에, 평소에는 토수구를 토수관에 고정시켜 사용하지만, 싱크보울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토수구를 토수관으로 부터 길게 신장시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수전 내 설치된 카트리지에서는 각각 유입된 냉,온수가 수전 레버 사용 시에 혼합수로 배출되어지되, 혼합수는 바로 토수구로 배출되지않고 길이조절이 용이한 메탈호스를 거쳐 토수관에 연결되고, 상기 토수관은 수전 아우터바디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평소에는 토수관을 수전 아우터바디에 끼운 상태로 사용하다가, 싱크보울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토수관을 수전 아우터바디로부터 길게 신장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수전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부분에 대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9는 종래기술에서 동관들이 아우터바디와 블레이징 결합된 상태와 편조호스들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진이다.
일반적으로 싱크수전은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를 혼합수로 배출하기 카트리지(204)와, 상기 카트리지(204)를 내장하기 위한 이너바디(201)와, 상기 카트리와 연결된 레버(24)에 끼워 결합됨으로써 냉,온수의 혼합비율 및 혼합수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전레버(206)와, 상기 레버(241)를 노출시키고 이너바디(201)의 외부를 에워싸면서 토수관(207)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아우터바디(201)(214)와, 선단에 토수구(208)가 구비된 토수관(207)과,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를 상기 카트리지(204)로 공급하기 위한 냉, 온수관과, 혼합수를 상기 카트리지(204)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혼합수관과, 상기 혼합수관의 타측과 토수관 사이에 연결되는 길게 연결되는 메탈호스(210)와, 상기 아우터바디(201)(214)의 하부에 결합되고 싱크대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쉥크(212)로 구성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수전에서는, 상기 이너바디(201)의 상부에는 카트리지(204)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카트리지의 냉,온수의 유입구과 혼합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는 냉,온수용 편조호스(220)(221)를 통해 공급되고, 냉,온수용 편조호스(220)(221)와 상기 이너바디(201)의 냉,온수 유입구 사이에는 냉,온수용 동관(202)(203)이 연결되며, 상기 메탈호스(210)와 상기 이너바디(201)의 혼합수 토출구 사이에는 혼합수용 동관(215)이 연결된다.
상기 냉,온수용 동관(202)(203)과 혼합수용 동관(215)이 이너바디에 연결되는 부위에서는, 상기 동관들(202)(203)(215)을 이너바디에 끼운 후 동관 부위를 브레이징(Brazing)용접하여 결합하고,
상기 냉,온수용 동관(202)(203)이 냉,온수용 편조호스(220)(221)와 결합되는 부위와, 혼합수용 동관(215)이 메탈호스(210)와 결합되는 부위에서는, 상기 동관들(202)(203)(215)의 타단부에 결합되어진 체결구(217)(218)(209)에 냉,온수용 편조호스(220)(221)와 메탈호스(210)의 단부가 결합됨으로써 연결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수전에서는, 고가의 동관들(202)(203)(215)을 사용하여야하므로 제조원가 상승하고, 동관들(202)(203)(215)을 이너바디에 끼워 결합할 시 반드시 브레이징(Brazing)용접하여 결합해야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조립공수도 크게 높아질뿐만 아니라, 동관들(202)(203)(215)이 브레이징(Brazing)용접 결합된 후에는 회전이 불가하게되므로, 상기 동관들(202)(203)(215)의 타단부에 결합되어진 냉,온수용 편조호스(220)(221)와 메탈호스(210)가 비틀려지므로 꼬여 찢어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286410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666380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220937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동관들을 이너바디에 브레이징(Brazing)하는 공정을 삭제하여 공정 내 불량 요인 개선 및 공정 비용을 절감하고, 브레이징(Brazing)된 동관들의 하단에 결합된 체결구와 편조호스를 조립하던 것을, 편조호스를 이너바디에 직접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 수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편조호스를 핀 체결 구조에 의해 이너바디에 결합함으로써 편조호스 및 메탈호스의 회전이 가능케하는 바, 싱크수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고가의 동관들을 사용하지않고 편조호스를 이너바디에 직접 연결하되, 연결이 용이하도록 냉수, 온수 및 혼합수의 편조호스의 선단에 연결된 단자에 반원형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바디의 벽에는 핀을 관통결합하기 위한 통공을 형성하되, 세개의 편조호스를 근접시켜 상기 반원형 홈부들이 공유하는 홈부를 상기 핀이 경유하여 이너바디에 관통결합됨으로써,
제품원가를 경감할 수 있고, 비전문가라도 누구나 쉽게 조립이 가능하므로 제조시간을 단축하고 조립공수를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 결합 방법을 사용하므로 조립 후 편조호스들의 회전이 가능케되는 바, 편조호스들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를 혼합수로 배출하기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를 내장하기 위한 이너바디와,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된 레버에 끼워 결합됨으로써 냉,온수의 혼합비율 및 혼합수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전레버와, 상기 레버를 노출시키고 이너바디의 외부를 에워싸면서 토수관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아우터바디와, 선단에 토수구가 구비된 토수관과,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를 상기 카트리지로 공급하기 위한 냉, 온수 공급관과, 혼합수를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혼합수관과, 상기 혼합수관의 타측과 토수관 사이에 연결되는 길게 연결되는 메탈호스와, 상기 아우터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싱크대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쉥크로 구성되는 싱크수전에 있어서,
상기 이너바디의 상부에는 카트리지를 삽입하기 위한 카트리지 수용부가 구비되고 이너바디의 하부에는 편조호스 수용부가 형성되는데, 그 사이에는 상기 카트리지의 냉,온수의 유입구과 혼합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는 냉,온수용 편조호스를 통해 공급되고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된 혼합수는 혼합수용 편조호스를 통해 배출되는데, 상기 냉,온수용 편조호스와 혼합수용 편조호스의 단자는 상기 편조호스 수용부 안에 위치하고, 각각 상기 카트리지의 냉,온수의 유입구과 혼합수의 토출구에 대응되며, 상기 냉,온수용 편조호스와 혼합수용 편조호스의 단자는 이너바디의 편조호스 수용부 안에서 핀 결합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냉, 온수용 편조호스 및 혼합수용 편조호스의 끝에 연결된 단자에는 반원형 홈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이너바디의 벽에는 핀을 관통결합하기 위한 통공을 형성하되, 세개의 편조호스들을 근접시켜 상기 반원형 홈부들이 공유하는 홈부를 상기 핀이 경유하면서 통공을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핀이 통공과 세개의 편조호스들의 반원형 홈부들이 공유하는 홈부를 관통하도록 핀 결합될 시에, 핀 결합 후 분리되지 않도록 핀의 일단은 머리부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핀 또는 너트 등의 체결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편조호스의 단자들이 핀 결합될 경우에는, 핀은 세개의 편조호스들의 반원형 홈부들이 공유하는 홈부에 완전 밀착되지 않고 걸쳐진 상태이므로, 핀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편조호스들은 회전이 가능케된다.
한편, 혼합수용 편조호스의 다른 단부에는 너트 등의 체결구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에는 메탈호스의 선단이 끼워져 결합되므로, 카트리지에서 배출된 혼합수는 상기 혼합수용 편조호스와 메탈호스를 경유하여 토수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관들을 이너바디에 브레이징(Brazing)하는 공정을 삭제하여 공정 내 불량 요인 개선 및 공정 비용을 절감하고, 브레이징(Brazing)된 동관들의 하단에 결합된 체결구와 편조호스를 조립하던 것을, 편조호스를 이너바디에 직접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 수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되며, 편조호스를 핀 체결 구조에 의해 이너바디에 결합함으로써 편조호스 및 메탈호스의 회전이 가능케되는 바, 싱크수전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고가의 동관들을 사용하지않고 편조호스를 이너바디에 직접 연결하되, 연결이 용이하도록 냉수, 온수 및 혼합수의 편조호스의 선단에 연결된 단자에 반원형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바디의 벽에는 핀을 관통결합하기 위한 통공을 형성하되, 세개의 편조호스를 근접시켜 상기 반원형 홈부들이 공유하는 홈부를 상기 핀이 경유하여 이너바디에 관통결합됨으로써,
제품원가를 경감할 수 있고, 비전문가라도 누구나 쉽게 조립이 가능하므로 제조시간을 단축하고 조립공수를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 결합 방법을 사용하므로 조립 후 편조호스들의 회전이 가능케되는 바, 편조호스들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해서만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편조호스들이 아우터바디 내에서 핀으로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편조호스들이 아우터바디 내에서 핀으로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편조호스들이 아우터바디 내에서 핀으로 결합된 구조에 대한 세부 설명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수전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에 대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종래기술에서 동관들이 아우터바디와 블레이징 결합된 상태와 편조호스들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같은 참조부호는 같은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해서만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일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편조호스들이 아우터바디 내에서 핀으로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편조호스들이 아우터바디 내에서 핀으로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편조호스들이 아우터바디 내에서 핀으로 결합된 구조에 대한 세부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수전은,
기본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를 혼합수로 배출하기 카트리지(4)와, 상기 카트리지(4)를 내장하기 위한 이너바디(1)와, 상기 카트리지(4)와 연결된 레버(41)에 끼워 결합됨으로써 냉,온수의 혼합비율 및 혼합수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전레버(6)와, 상기 레버(41)를 노출시키고 이너바디(1)의 외부를 에워싸면서 토수관(7)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아우터바디와, 선단에 토수구(8)가 구비된 토수관(7)과,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를 상기 카트리지(4)로 공급하기 위한 냉, 온수 공급관과, 혼합수를 상기 카트리지(4)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혼합수관과, 상기 혼합수관의 타측과 토수관(7) 사이에 연결되는 길게 연결되는 메탈호스(10)와, 상기 아우터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싱크대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쉥크(12)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아우터바디가 상부 아우터바디(5)와 그 아래 결합되며 토수관(7)과도 연결되어진 하부 아우터바디(14)로 구성되는데, 이는 하부 아우터바디(14) 안에 이너바디(1) 및 카트리지(4)를 결합한 다음, 상부 아우터바디(5)를 결합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 참조)
상기 이너바디(1)의 상부에는 카트리지(4)를 삽입하기 위한 카트리지 수용부(101)가 구비되고 이너바디(1)의 하부에는 편조호스 수용부(102)가 형성되는데, 그 사이에는 상기 카트리지(4)의 냉,온수의 유입구과 혼합수의 토출구가 형성된다.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는 냉,온수용 편조호스(2)(3)를 통해 공급되고 카트리지(4)로 부터 토출된 혼합수는 혼합수용 편조호스(15)를 통해 배출되는데, 상기 냉,온수용 편조호스(2)(3)와 혼합수용 편조호스(15)의 단자는 상기 편조호스 수용부(102)안에 위치하고, 각각 상기 카트리지(4)의 냉,온수의 유입구과 혼합수의 토출구에 대응되며, 상기 냉,온수용 편조호스(2)(3)와 혼합수용 편조호스(15)의 단자는 이너바디(1)의 편조호스 수용부(102)안에서 핀 결합된다.
도 3, 4,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온수용 편조호스(2)(3)와 혼합수용 편조호스(15)의 단자를 편조호스 수용부(102)안에서 핀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냉, 온수용 편조호스(2)(3) 및 혼합수용 편조호스(15)의 끝에 연결된 단자에는 반원형 홈부(15a)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이너바디(1)의 벽에는 핀(17)을 관통결합하기 위한 통공(18)을 형성하되, 세개의 편조호스들(2)(3)(15)를 근접시켜 상기 반원형 홈부(15a)들이 공유하는 홈부를 상기 핀(17)이 경유하면서 통공(18)을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도 4 참조)
상기 반원형 홈부(15a)는 도시된 예와 같이 다수층으로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편조호스(2)(3)(15)들의 단자의 핀 결합 높이를 임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핀(17)이 통공(18)과 세개의 편조호스들(2)(3)(15)의 반원형 홈부(15a)들이 공유하는 홈부를 관통하도록 핀 결합될 시에, 핀 결합된 후 분리되지 않도록 핀의 일단은 머리부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핀 또는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 참조)
이와 같이 상기 편조호스(2)(3)(15)의 단자들이 핀 결합될 경우에는, 핀(17)은 세개의 편조호스들(2)(3)(15)의 반원형 홈부(15a)들이 공유하는 홈부에 완전 밀착되지 않고 걸쳐진 상태이므로, 핀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편조호스(2)(3)(15)들은 회전이 가능케될 것인 바, 편조호스(2)(3)(15)들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6 참조)
한편, 혼합수용 편조호스(15)의 다른 단부에는 너트 등의 체결구(9)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9)에는 메탈호스(10)의 선단이 끼워져 결합되므로, 카트리지(4)에서 배출된 혼합수는 상기 혼합수용 편조호스(15)와 메탈호스(10)를 경유하여 토수구(8)로 배출되어진다.
상기 하부 아우터바디(14)의 하부에는 쉥크(12)가 결합되는데, 그 사이에 LED 베이스링(13)를 위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싱크수전을 터치수전의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4)의 레버(41)는 도 1,2에서와 같이 수전레버(6)에 끼워 결합되는데, 횡방향으로 나사(16)가 관통결합됨으로써 분리되지않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 이너바디 2 : 냉수용 편조호스
3 : 온수용 편조호스 4 : 카트리지
5 : 상부 아우터바디 7 : 토수관
9 : 체결구 10 : 메탈호스
11 : 호스 가이드 12 : 쉥크
14 : 하부 아우터바디 15 : 혼합수용 편조호스
15a, 3a, 2a : 반원형 홈부 17 : 핀
18 : 통공

Claims (5)

  1.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를 혼합수로 배출하기 카트리지(4)와, 상기 카트리지(4)를 내장하기 위한 이너바디(1)와, 상기 카트리지(4)와 연결된 레버(41)에 끼워 결합됨으로써 냉,온수의 혼합비율 및 혼합수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전레버(6)와, 상기 레버(41)를 노출시키고 이너바디(1)의 외부를 에워싸면서 토수관(7)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아우터바디와, 선단에 토수구(8)가 구비된 토수관(7)과,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를 상기 카트리지(4)로 공급하기 위한 냉, 온수 공급관과, 혼합수를 상기 카트리지(4)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혼합수관과, 상기 혼합수관의 타측과 토수관(7) 사이에 연결되는 길게 연결되는 메탈호스(10)와, 상기 아우터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싱크대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쉥크(12)로 구성되는 싱크수전에 있어서,
    상기 이너바디(1)의 상부에는 카트리지(4)를 삽입하기 위한 카트리지 수용부(101)가 구비되고 이너바디(1)의 하부에는 편조호스 수용부(102)가 형성되는데, 그 사이에는 상기 카트리지(4)의 냉,온수의 유입구과 혼합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된 냉, 온수는 냉,온수용 편조호스(2)(3)를 통해 공급되고 카트리지(4)로부터 토출된 혼합수는 혼합수용 편조호스(15)를 통해 배출되는데, 상기 냉,온수용 편조호스(2)(3)와 혼합수용 편조호스(15)의 단자는 상기 편조호스 수용부(102)안에 위치하고, 각각 상기 카트리지(4)의 냉,온수의 유입구과 혼합수의 토출구에 대응되며, 상기 냉,온수용 편조호스(2)(3)와 혼합수용 편조호스(15)의 단자는 이너바디(1)의 편조호스 수용부(102)안에서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수전.
  2. 제 1항에 있어서,
    냉, 온수용 편조호스(2)(3) 및 혼합수용 편조호스(15)의 끝에 연결된 단자에는 반원형 홈부(15a)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이너바디(1)의 벽에는 핀(17)을 관통결합하기 위한 통공(18)을 형성하되, 세개의 편조호스들(2)(3)(15)를 근접시켜 상기 반원형 홈부(15a)들이 공유하는 홈부를 상기 핀(17)이 경유하면서 통공(18)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수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17)이 통공(18)과 세개의 편조호스들(2)(3)(15)의 반원형 홈부(15a)들이 공유하는 홈부를 관통하도록 핀 결합될 시에, 핀 결합 후 분리되지 않도록 핀의 일단은 머리부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횡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핀 또는 너트 등의 체결수단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수전.
  4. 제 2항에 있어서,
    이와 같이 상기 편조호스(2)(3)(15)의 단자들이 핀 결합될 경우에는, 핀(17)은 세개의 편조호스들(2)(3)(15)의 반원형 홈부(15a)들이 공유하는 홈부에 완전 밀착되지 않고 걸쳐진 상태이므로, 핀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편조호스(2)(3)(15)들은 회전이 가능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수전.
  5. 제 2항에 있어서,
    혼합수용 편조호스(15)의 다른 단부에는 너트 등의 체결구(9)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구(9)에는 메탈호스(10)의 선단이 끼워져 결합되므로, 카트리지(4)에서 배출된 혼합수는 상기 혼합수용 편조호스(15)와 메탈호스(10)를 경유하여 토수구(8)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수전.
KR1020210073658A 2021-06-07 2021-06-07 싱크수전 KR102505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658A KR102505048B1 (ko) 2021-06-07 2021-06-07 싱크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658A KR102505048B1 (ko) 2021-06-07 2021-06-07 싱크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101A true KR20220165101A (ko) 2022-12-14
KR102505048B1 KR102505048B1 (ko) 2023-03-02

Family

ID=8443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658A KR102505048B1 (ko) 2021-06-07 2021-06-07 싱크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04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410B1 (ko) 2011-07-28 2013-07-19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대용 수전
KR101666380B1 (ko) 2015-09-02 2016-11-16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KR101721067B1 (ko) * 2016-04-11 2017-03-29 대림통상 주식회사 수전금구
KR20170121510A (ko) * 2016-04-25 2017-11-02 다로스 주식회사 수전금구 조립체
KR20190031886A (ko) * 2017-09-19 2019-03-27 김종구 수도밸브
KR101974940B1 (ko) * 2018-11-28 2019-05-03 (주) 티에스자바 누수 방지와 보수가 용이한 터치 수전시스템
KR102209374B1 (ko) 2019-06-25 2021-01-29 대림통상 주식회사 분기구가 위치가 회전 가능한 주방용 수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410B1 (ko) 2011-07-28 2013-07-19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대용 수전
KR101666380B1 (ko) 2015-09-02 2016-11-16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KR101721067B1 (ko) * 2016-04-11 2017-03-29 대림통상 주식회사 수전금구
KR20170121510A (ko) * 2016-04-25 2017-11-02 다로스 주식회사 수전금구 조립체
KR20190031886A (ko) * 2017-09-19 2019-03-27 김종구 수도밸브
KR101974940B1 (ko) * 2018-11-28 2019-05-03 (주) 티에스자바 누수 방지와 보수가 용이한 터치 수전시스템
KR102209374B1 (ko) 2019-06-25 2021-01-29 대림통상 주식회사 분기구가 위치가 회전 가능한 주방용 수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048B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949B2 (en) Fluid delivery system with a housing and at least one fluid inlet and one fluid outlet
US20040123910A1 (en) Pillar sink mixer with hand spray
US6571824B2 (en) Dual material chemical injector for vehicle wash system
KR102505048B1 (ko) 싱크수전
KR101324514B1 (ko) 수전금구
US20090293967A1 (en) Valve arrangement
KR101323625B1 (ko) 토출구 교체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KR102491434B1 (ko) 싱크수전용 호스 가이드
ITGO20090008U1 (it) Rubinetto miscelatore
JP6441758B2 (ja) 湯水混合栓への給水および給湯ホース組付け機構
KR200215690Y1 (ko) 정수기급수관연결용 냉온수혼합변의 편심니플조립체
JP4657133B2 (ja) 水栓
RU2299953C2 (ru) Сантехнический арматурный блок
KR200323854Y1 (ko) 혼합 수전의 호스 결합구조
CN216407803U (zh) 出水龙头
KR200179234Y1 (ko) 냉.온수 겸용 밸브의 역류 방지구
AU7968800A (en) Valve union with water saving function
JPH069090Y2 (ja) 水栓装置
JP2006169762A (ja) 分岐接続具
KR200232476Y1 (ko) 플랙시블냉온수토수관장치
JP2007046316A (ja) 湯水混合弁に水又は湯を供給する配管
JPH08120715A (ja) 二重管構造の吐水管
JP5567798B2 (ja) 分岐栓
JPH11229463A (ja) ハンドシャワー付混合水栓の銅管結合構造
JPH1182854A (ja) 逆止弁付き分岐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