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886A - 수도밸브 - Google Patents

수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886A
KR20190031886A KR1020170120137A KR20170120137A KR20190031886A KR 20190031886 A KR20190031886 A KR 20190031886A KR 1020170120137 A KR1020170120137 A KR 1020170120137A KR 20170120137 A KR20170120137 A KR 20170120137A KR 20190031886 A KR20190031886 A KR 20190031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hot
water suppl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구
Original Assignee
김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구 filed Critical 김종구
Priority to KR102017012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1886A/ko
Publication of KR20190031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4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fastening a pipe on the end of a t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ㆍ온수의 유량 또는/및 수온을 조절하여 사용처로 배출시키는 수도밸브로서, 외부로부터 상기 수도밸브의 냉ㆍ온수유입단으로 연장 연결되는 냉ㆍ온수공급경로 및 상기 수도밸브의 배출단으로부터 사용처로 연장 연결되는 배출경로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각 연결부위의 쉽고 간편한 결합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 및 배출경로가 연결부위에 대해 연결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구조 개선된 수도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도밸브{WATER VALVE}
본 발명은 수도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ㆍ온수의 유량 또는/및 수온을 조절하여 사용처로 배출시키는 수도밸브로서, 외부로부터 상기 수도밸브의 냉ㆍ온수유입단으로 연장 연결되는 냉ㆍ온수공급경로 및 상기 수도밸브의 배출단으로부터 사용처로 연장 연결되는 배출경로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각 연결부위의 쉽고 간편한 결합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 및 배출경로가 연결부위에 대해 연결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구조 개선된 수도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밸브는 냉ㆍ온수공급단 및 배출단이 각각 마련된 수도밸브 하우징 내에 냉ㆍ온수유입단 및 배수단이 각각 마련된 수도밸브카트리지가 수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냉ㆍ온수공급단의 외측 선단부는 벽면에 설치된 냉ㆍ온수급수밸브 각각 또는 벽면에 매입된 냉ㆍ온수공급배관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냉ㆍ온수공급단의 내측 단부는 수도밸브카트리지의 냉ㆍ온수유입단과 연결되며, 상기 수도밸브하우징의 배출단은 수도밸브카트리지의 배수단과 연결되어서 이루어진 유로 개폐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수도밸브는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냉ㆍ온수가 상기 수도밸브하우징의 냉ㆍ온수공급단을 통해 공급되어 수도밸브카트리지의 냉ㆍ온수유입단으로 유입되며, 상기와 같이 유입되는 냉ㆍ온수는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 내부에 형성되는 냉ㆍ온수유로를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수도밸브카트리지의 개폐동작에 의해 냉수 또는 온수 또는 혼합수의 유량 또는/및 수온이 조절되면서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의 배수단으로 유도된 후, 수도밸브하우징의 배출단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수도밸브카트리지(3)가 수용된 수도밸브하우징(2)을 포함한 수도밸브(1)의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수도밸브(1)의 종래 기술은, 주물 제작되는 수도밸브하우징(2)의 일측 단에 냉ㆍ온수공급단(2a,2b) 및 배출단(2c)이 형성되고, 타측 단 부분에 수도밸브카트리지(3)가 수용 고정된 것으로, 상기 냉ㆍ온수공급단(2a,2b) 및 배출단(2c)의 내경에 별도 작업을 통해 나사탭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탭 부분과 벽면에 설치된 냉ㆍ온수급수밸브 각각 또는 벽면에 매입된 냉ㆍ온수공급배관 각각이 호스와 같은 연결수단(4)을 통해 연결되어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상기 수도밸브하우징(2)이 여러단계의 주물 제조과정을 거치고 제조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등 제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고,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가격경쟁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물 제작된 수도밸브하우징(2)의 냉ㆍ온수공급단(2a,2b) 및 배출단(2c)의 내경에 별도 작업을 통해 나사탭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추가 됨으로 인해 제조성이 떨어지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종래기술은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밸브카트리지(3)의 카트리지베이스 상에 냉ㆍ온수유입단(3a,3b) 및 배수단(3c)을 각각 마련하고, 상기 각 냉ㆍ온수유입단(3a,3b) 및 배수단(3c) 내경에 나사탭이 형성된 인서트(5)를 결합하고, 상기 인서트(5)의 나사탭 부분에 외부(벽면에 설치된 냉ㆍ온수급수밸브 또는 벽면에 매입된 냉ㆍ온수공급배관 등)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수단(4) 예컨대 호스의 일측 단을 연결하여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3)의 냉ㆍ온수유입단(3a,3b) 및 배수단(3c) 각각에 끼워지는 인서트(5)에 외부(벽면에 설치된 냉ㆍ온수급수밸브 또는 벽면에 매입된 냉ㆍ온수공급배관 등)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수단(4)인 호스의 일측 단을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호스가 뒤틀리면서 꼬이게 되는데, 이로 인해,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원할하게 공급되지 못하거나 차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점이 지속되면 수압에 의해 호스가 탄파(綻破 ; 터지고 찢어지는 등)되거나 연결부위가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밖의 종래 수도밸브(1)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3)의 냉ㆍ온수유입단(3a,3b) 및 배수단(3c) 각각의 내경에 직접 나사탭을 형성시키고, 이 부분에 연결수단(4)인 호스를 연결시키는 직결형 수도밸브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도밸브카트리지(3)의 냉ㆍ온수유입단(3a,3b) 및 배수단(3c) 각각의 내경에 직접 나사탭을 형성시키는 것은 사실상 작업이 난해할 뿐 아니라, 이 역시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수도밸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도밸브카트리지(3)의 냉ㆍ온수유입단(3a,3b) 및 배수단(3c) 각각에 외부(벽면에 설치된 냉ㆍ온수급수밸브 또는 벽면에 매입된 냉ㆍ온수공급배관 등)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수단(4)인 호스의 일측 단을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호스가 뒤틀리면서 꼬이게 되고, 이로 인해,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원할하게 공급되지 못하거나 차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점이 지속되면 수압에 의해 호스가 탄파(綻破 ; 터지고 찢어지는 등)되거나 연결부위가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상기 종래 기술과 관련된 도면의 부호와 본 발명의 첨부 도면 부호가 동일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나, 종래 기술의 도면 부호와 본 발명의 첨부 도면 부호는 달리 적용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밖에도, 상기와 같은 수도밸브의 종래 기술과 관련된 선행 문헌들의 간략 정보는 다음과 같다.
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9709호(명칭 : 수도밸브 ; 출원일 : 2008.10.20.자)
문헌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5224호(명칭 : 수도밸브 ; 출원일 : 2009.08.07.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ㆍ온수의 유량 또는/및 수온을 조절하여 사용처로 배출시키는 수도밸브로서, 외부로부터 상기 수도밸브의 냉ㆍ온수유입단으로 연장 연결되는 냉ㆍ온수공급경로 및 상기 수도밸브의 배출단으로부터 사용처로 연장 연결되는 배출경로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각 연결부위의 쉽고 간편한 결합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 및 배출경로가 연결부위에 대해 연결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구조 개선된 수도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11) 내부에 유량 또는/및 수온 조절용 밸브체(12)가 수용된 수도밸브(10)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연장된 냉ㆍ온수공급경로(1,2)의 각 연결부위를 제공하도록 상기 수도밸브(10)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입단(13,14); 물의 사용처로 연장되는 배출경로(3)의 연결부위 또는 연통부위를 제공하도록 상기 수도밸브(10)에 마련되는 배출단(15); 상기 각 연결부위를 관통하여 냉ㆍ온수공급경로(1,2)와 배출경로(3) 모두 또는 냉ㆍ온수공급경로(1,2)에 대한 빗장구조를 제공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시건장치(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하우징(11)은 일측 단(도면에서 상단)에 밸브체(12)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타측 단(도면에서 하단)에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이 위치하는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은 상기 하우징(11)에 수용된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및 배수경로(12c)로부터 연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은 상기 하우징(11)의 일측 단에 수용된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또는/및 배수경로(12c)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타측 단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시건장치(16)는 상기 모든 연결부위를 단일 경로로 한 번에 관통하면서, 연결된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의 외부면에 대해 동시에 빗장 잠금 동작하는 관통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시건장치(16)는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의 연결부위 또는/및 배출경로(3)의 연결부위를 독립적으로 각각 관통하면서, 연결된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를 각각 빗장 잠금 동작하는 관통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는 선단부에 연결부재가 마련된 호스 또는 배관으로서, 상기 각 연결부위에 끼워지는 연결부재 중 시건장치(16)의 빗장 잠금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연장된 냉ㆍ온수공급경로(1,2)와 상기 수도밸브(10)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입단(13,14)의 연결부위 또는/및 물의 사용처로 연장되는 배출경로(3)와 상기 수도밸브(10)에 마련되는 배출단(15)의 연결부위를 상기 시건장치(16)가 단일 경로로 한 번에 관통하여, 연결된 냉ㆍ온수공급경로(1,2) 및 배출경로(3)에 대해 동시에 빗장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위에 대한 고정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업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위에 끼워져 연결되는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재 중 상기 시건장치(16)의 빗장 잠금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환홈(1a)(2a)(3a)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가 연결부위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도 자유로운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가 호스인 경우, 연결과정에서 호스가 뒤틀리면서 꼬이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연결과정에서 호스가 뒤틀리면서 꼬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꼬임으로 인한 수압발생에 의해 호스 자체가 탄파(綻破 ; 터지고 찢어지는 등)되거나 연결부위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 안정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와 각각 연결되는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을 상기 하우징(11)의 타측 단(도면에서 하단)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1) 외부에서 시건장치(16)의 삽입 및 인출을 통한 연결부위에 대한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또는/및 배수경로(12c)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타측 단(도면에서 하단)에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을 동일체로 마련함으로써, 상기 밸브체(12)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고자 할 때, 수도밸브(1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밸브체(12)만 하우징(11)에서 인출하여 수리하거나 새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또는/및 배수경로(12c)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체(12)의 일측 면(후부면)에 적층 고정되는 메니폴드(17)에 냉ㆍ온수유입단(13,14) 및 배출단(15)을 동일체로 마련함으로써, 상기 밸브체(12)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고자 할 때, 수도밸브(1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밸브체(12)만 하우징(11)에서 인출하여 수리하거나 새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수도밸브의 냉ㆍ온수공급경로 및 배출경로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수도밸브의 냉ㆍ온수공급경로 및 배출경로의 다른 연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건장치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건장치의 다른 연결상태를 도시한 평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건장치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평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수도밸브(1)는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 내부에 유량 또는/및 수온 조절용 밸브체(12)가 수용된 수도밸브(10)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연장된 냉ㆍ온수공급경로(1,2)의 각 연결부위를 제공하도록 상기 수도밸브(10)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입단(13,14); 물의 사용처로 연장되는 배출경로(3)의 연결부위 또는 연통부위를 제공하도록 상기 수도밸브(10)에 마련되는 배출단(15); 상기 각 연결부위를 관통하여 냉ㆍ온수공급경로(1,2)와 배출경로(3) 모두 또는 냉ㆍ온수공급경로(1,2)에 대한 빗장구조를 제공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시건장치(16);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하우징(11)은 일측 단(도면에서 상단)에 밸브체(12)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타측 단(도면에서 하단)에 냉ㆍ온수유입단(13,14) 및 배출단(15)이 위치하는 케이스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1)은 밸브체(12)가 수용된 일측 단 개방부는 고정캡(11a)이 결합되면서 가압력에 의해 밸브체(12)를 하우징(11) 내부 바닥면에 대해 밀착 고정시키도록 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밸브체(12)는 레버 조작을 통해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와 배수경로(12c)를 연통/차단시키는 정도에 따라 유량과 수온을 조절하는 개폐수단을 갖는 밸브카트리지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은 연통/차단면이 형성되어, 레버에 의해 회전 또는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와 배수경로(12c)를 연통/차단시키는 개폐디스크 적층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와 배수경로(12c)는 밸브체(12)가 아닌 하우징(11)에 형성되고, 레버 조작에 의해 상기 밸브체(12)의 개폐수단이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와 배수경로(12c)를 개폐시켜 유량과 수온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과 배출단(15)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에 수용된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및 배수경로(12c)가 간격을 두고 연장 돌출 형성된 연장단부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및 배출단(15) 각각은 다른 두 구성요소들과 모두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예 :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되거나, 일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및 배출단(15)은 첨부 도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일측 단에 수용된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및 배수경로(12c)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타측단에 동일체로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및 배출단(15)은 하우징(11)의 타측 단(도면에서 하단)에 홈 형태 또는 환형 돌기 형태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시건장치(16)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든 연결부위를 단일 경로로 한 번에 관통하면서, 연결된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의 외부면에 대해 동시에 빗장 잠금 동작하는 관통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모든 연결부위는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와 냉ㆍ온수유입단(13,14)이 연결되는 부위 또는/및 상기 배출경로(3)와 배출단(15)이 연결되는 부위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건장치(16)는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의 연결부위와 배출경로(3)의 연결부위를 독립적으로 각각 관통하면서, 연결된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를 각각 빗장 잠금 동작하는 관통핀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건장치(16)인 관통핀은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를 각각 빗장 잠금 동작하는 경로는 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위와 접하는 외주면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 한편,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는 선단부에 연결부재가 마련된 호스 또는 배관으로서, 상기 각 연결부위에 끼워지는 연결부재 중 시건장치(16)의 빗장 잠금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각각 환홈(1a)(2a)(3a)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예시적으로 호스의 선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커넥터일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환홈(1a)(2a)(3a)들은 시건장치(16)가 관통하지 않고 걸려지도록 횡단하는 경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하우징(11) 내부에 유량 또는/및 수온 조절용 밸브체(12)가 수용된 수도밸브(10)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연장된 냉ㆍ온수공급경로(1,2)의 각 연결부위를 제공하도록 상기 수도밸브(10)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입단(13,14); 물의 사용처로 연장되는 배출경로(3)의 연결부위 또는 연통부위를 제공하도록 상기 수도밸브(10)에 마련되는 배출단(15); 상기 각 연결부위를 관통하여 냉ㆍ온수공급경로(1,2)와 배출경로(3) 모두 또는 냉ㆍ온수공급경로(1,2)에 대한 빗장구조를 제공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시건장치(16); 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부라 함은 예시적으로 벽면에 매설된 냉ㆍ온수공급배관(미도시)의 선단부 또는 상기 선단부에 연결된 급수밸브(유량 조절 및 개폐 가능한 밸브)로서, 상기 선단부 또는 급수밸브에 냉ㆍ온수공급경로(1,2)인 호스의 일측 단이 연결되고 타측 단이 냉ㆍ온수유입단(13,14)과 연결되어 냉ㆍ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물의 사용처라 함은 수도꼭지 토출구 또는 샤워기 호스로 물이 토출되어 사용되는 곳을 의미하며, 이때, 상기 수도꼭지 토출구의 경우 배출경로(3)가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되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호스인 냉ㆍ온수공급경로(1,2)를 통해 공급되어, 수도밸브(10)의 냉ㆍ온수유입단(13,14)을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냉ㆍ온수는 밸브체(12)의 개폐 동작에 의해 유량 또는/및 수온이 조절된 상태로 배출단(15)을 거쳐, 수도꼭지 토출구 또는 배출단(15)에 연결된 배출경로(3)를 통해 사용처로 토출되어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체(12)는 레버 조작을 통해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와 배수경로(12c)를 연통/차단시키는 정도에 따라 유량과 수온을 조절하는 개폐수단을 갖는 밸브카트리지로서, 상기 연통/차단면이 형성된 개폐디스크들이 레버에 의해 회전 또는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와 배수경로(12c)를 연통/차단시킴으로서 유량 또는/및 수온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또한, 상기 밸브체(12)의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와 배수경로(12c)는 하우징(11)에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는 밸브체(12)가 밸브카트리지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하우징(11) 상에 형성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와 배수경로(12c)를 단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체(12)의 밸브가 레버 조작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에 수용된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또는/및 배수경로(12c)가 연장 돌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및 배출단(15) 각각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두 구성요소들과 모두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예 : 정삼각형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가 각각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에 끼워져 연결되는데, 상기 시건장치(16)인 관통핀이 연결부위들이 배치된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 선단부의 연결부재에 마련된 각각의 환홈(1a)(2a)(3a)을 횡단하면서 걸림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되면, 상기 시건장치(16)가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 선단부의 연결부재에 마련된 각각의 환홈(1a)(2a)(3a)에 대해 빗장 형태로 잠금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가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시건장치(16)는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ㆍ온수유입단(13,14)과 냉ㆍ온수공급경로(1,2)의 연결부위 또는/및 배출단(15)과 배출경로(3)의 연결부위 각각을 관통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유지 보수 과정에서 냉ㆍ온수유입단(13,14)과 냉ㆍ온수공급경로(1,2)의 연결부위 또는/및 상기 배출단(15)과 배출경로(3)의 연결부위 각각을 독립적으로 결합 해제 또는 고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와 배출경로(3)는 선단부에 연결부재가 마련된 호스 또는 배관으로서, 상기 각 연결부위에 끼워지는 연결부재 중 시건장치(16)의 빗장 잠금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각각 환홈(1a)(2a)(3a)이 형성되며, 상기 환홈(1a)(2a)(3a)들은 시건장치(16)가 관통하지 않고, 홈 부분에 끼워지면서 횡단하여 빗장 잠금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은 첨부 도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일측 단(도면에서 상단)에 수용된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또는/및 배수경로(12c)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타측 단(도면에서 하단)에 동일체로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은 하우징(11)의 타측 단에 홈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또는/및 배수경로(12c)와 연통되거나, 환형 돌기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 관통부위가 상기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또는/및 배수경로(12c)와 연통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밸브체(12)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고자 할 때, 수도밸브(1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밸브체(12)만 하우징(11)에서 인출하여 수리하거나 새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밸브체(12)에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을 형성시키고, 이 부분에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를 연결시키는 구조에서는 밸브체(12)를 교체하기 위해서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의 연결을 해제하고 교체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상기 다른 실시예와 같이 되는 경우, 상기 밸브체(12)만 하우징(11)에서 인출하여 수리하거나 새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은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에 수용된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또는/및 배수경로(12c)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체(12)의 일측 면에 적층 고정되는 메니폴드(17)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메니폴드(17)는 하우징(11)의 내경에 마련된 환형의 안치턱에 안치되고, 상기 고정캡(11a)과 밸브체(12)의 가압에 의해 밸브체(12)와 기밀이 유지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밸브체(12)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고자 할 때, 수도밸브(1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밸브체(12)만 하우징(11)에서 인출하여 수리하거나 새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밸브체(12)에 냉ㆍ온수유입단(13,14) 또는/및 배출단(15)을 형성시키고, 이 부분에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를 연결시키는 구조에서는 밸브체(12)를 교체하기 위해서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또는/및 배출경로(3)의 연결을 해제하고 교체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상기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하는 경우, 상기 밸브체(12)만 하우징(11)에서 인출하여 수리하거나 새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수도밸브 11 : 하우징
12 : 밸브체 13,14 : 냉ㆍ온수유입단
15 : 배출단 16 : 시건장치
1,2 : 냉ㆍ온수공급경로 3 : 배출경로
1a,2a,3a : 환홈

Claims (7)

  1. 하우징(11) 내부에 유량 및 수온 조절용 밸브체(12)가 수용된 수도밸브(10)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연장된 냉ㆍ온수공급경로(1,2)의 각 연결부위를 제공하도록 상기 수도밸브(10)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입단(13,14);
    물의 사용처로 연장되는 배출경로(3)의 연결부위 또는 연통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수도밸브(10)에 마련되는 배출단(15);
    상기 각 연결부위를 관통하여 냉ㆍ온수공급경로(1,2)와 배출경로(3) 모두 또는 냉ㆍ온수공급경로(1,2)에 대한 빗장구조를 제공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시건장치(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및 배출단(15)은 상기 하우징(11)에 수용된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및 배수경로(12c)로부터 연장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시건장치(16)는 모든 연결부위를 단일 경로로 한 번에 관통하면서, 연결된 냉ㆍ온수공급경로(1,2) 및 배출경로(3)의 외부면에 대해 동시에 빗장 잠금 동작하는 관통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의 연결부위와 배출경로(3)의 연결부위를 독립적으로 각각 관통하면서, 연결된 냉ㆍ온수공급경로(1,2) 및 배출경로(3)를 각각 빗장 잠금 동작하는 관통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냉ㆍ온수공급경로(1,2) 및 배출경로(3)는 선단부에 연결부재가 마련된 호스로서, 상기 각 연결부위에 끼워지도록 선단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재 중 시건장치(16)의 빗장 잠금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각각 환홈(1a)(2a)(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및 배출단(15)은 하우징(11)의 일측 단에 수용된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및 배수경로(12c)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타측 단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냉ㆍ온수유입단(13,14) 및 배출단(15)은 하우징(11)에 수용된 밸브체(12)에 마련되는 냉ㆍ온수유도경로(12a,12b) 및 배수경로(12c)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체(12)의 일측 면에 적층 고정되는 메니폴드(17)에 마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밸브.
KR1020170120137A 2017-09-19 2017-09-19 수도밸브 KR20190031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137A KR20190031886A (ko) 2017-09-19 2017-09-19 수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137A KR20190031886A (ko) 2017-09-19 2017-09-19 수도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886A true KR20190031886A (ko) 2019-03-27

Family

ID=6590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137A KR20190031886A (ko) 2017-09-19 2017-09-19 수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18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101A (ko) * 2021-06-07 2022-12-14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수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101A (ko) * 2021-06-07 2022-12-14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4971B2 (en) Universal valve body
US5806555A (en) Locking device for valves
JP2010053889A (ja) 止水栓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給水設備
JP2006328674A (ja) 水栓の接続構造
US7243684B1 (en) Flow dividing device for gardening pipes
US10976758B2 (en) Valve core connection structure and stop valve set of valve assembly
KR20190031886A (ko) 수도밸브
KR101534212B1 (ko) 밸브용 나사연결구
KR102062336B1 (ko) 냉온수 혼합수전
US7828005B2 (en) Freezeless hydrant
US6648009B1 (en) Tamper-proof ball valve
KR102445481B1 (ko) 수도 직결용 냉온수 수전
KR101145109B1 (ko) 벽면설치용 수전
JP4045865B2 (ja) シリンダバルブおよびこのシリンダバルブを用いた湯水混合栓
JP5077882B2 (ja) シングルレバー水栓
US20080053531A1 (en) Faucet incorporating vandal resistant features
US1495630A (en) Lock valve
JP2007507676A5 (ko)
JP4556984B2 (ja) シリンダバルブ
KR200370289Y1 (ko) 밸브용 록킹장치
JP6651367B2 (ja) 水栓
WO2019150127A1 (en) A coupling system for coupling and uncoupling a radiator with a heating system
WO2009101426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diator assemblies
US20090045369A1 (en) Plumbing Fitting
TWI808254B (zh) 流體控制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95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903

Effective date: 2020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