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289Y1 - 밸브용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용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289Y1
KR200370289Y1 KR20-2004-0027423U KR20040027423U KR200370289Y1 KR 200370289 Y1 KR200370289 Y1 KR 200370289Y1 KR 20040027423 U KR20040027423 U KR 20040027423U KR 200370289 Y1 KR200370289 Y1 KR 200370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locking
hole
present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실상
Original Assignee
박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실상 filed Critical 박실상
Priority to KR20-2004-0027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2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289Y1/ko
Priority to CNU2005201053411U priority patent/CN2872019Y/zh
Priority to CNA2005101041654A priority patent/CN1807951A/zh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유체(액화천연가스, 액화석유가스 및 액상의 연료, 수돗물 등)를 개폐 단속하는 볼-밸브 상에 사용자가 사용요금을 미납 시에 유체공급을 폐쇄할 수 있도록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봉인은 물론, 유체의 공급 및 단속 상태를 임의로 전환하지 못하도록 록킹할 수 있으며, 더불어 상방 록킹 및 측방 록킹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밸브용 록킹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는 밸브몸체(3)상에 설치된 밸브-스핀들(7)과 연결되어 각운동 조절하여 밸브(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레버(2)를 갖는 각종 밸브(1)에 있어서, 상기 레버(2)에 형성되는 결합공(4)과, 상기 결합공(4)과 대응하는 밸브몸체(3)상에 형성되는 록킹홀(5)과, 상기 결합공(4)을 통하여 록킹홀(5)에 나사조임될 수 있는 키홈(6a)을 갖는 록킹수단(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고안은 각종 유체(액화천연가스, 수돗물 등)를 공급받는 사용자가 사용요금을 체납했을 시에 록킹수단(6)을 사용하여 간단, 신속하게 봉인할 수 있으며, 밸브(1)가 설치되는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록킹수단(6)을 상방 또는 측방에서 나사조임하여 록킹이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며, 밸브(1)의 폐쇄는 물론 개방 상태를 임의로 해제하지 못하도록 선택적인 록킹이 가능하여 부주의 등으로 인한 밸브(1) 개폐 오작동 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밸브용 록킹장치{Locking device of a valve}
본 고안은 밸브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각종 유체(액화천연가스, 액화석유가스 및 액상의 연료, 수돗물 등)를 개폐 단속하는 볼-밸브 상에 사용자가 사용요금을 미납 시에 유체공급을 폐쇄할 수 있도록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봉인은 물론, 유체의 공급 및 단속 상태를 임의로 전환하지 못하도록 록킹할 수 있으며, 더불어 상방 록킹 및 측방 록킹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밸브용 록킹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각종 유체를 단속하는 밸브에는 레버(=손잡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레버를 좌우로 선택 회전시켜 유체를 개방 및 폐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밸브를 사용하는 유체단속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요금 등을 미납하여 유체공급을 중단할 경우, 기존에는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업체에서 봉인 테이프를 사용하여 밸브에 테이핑만 하여 봉인을 행하고 있는 바, 이러한 봉인 테이프를 사용한 봉인의 경우는 사용자가 악의를 갖고 봉인테이프를 간단히 제거한 후 유체를 임의로 사용할 수 있어 봉인의 제 효과가 달성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 액화천연가스 등을 사용하는 가정 등에서 어린이들만 두고 외출을 할 경우 볼-밸브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외출을 하더라도 어린이들이 가스사용 시 부주의로 인하여 폭발 및 화재 등의 우려가 있어 크게 염려를 하게 되는 바, 이러한 어린이들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차단코자 할 시에 그에 상응하는 수단이 부재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밸브용 레버 봉인수단이 절실히 필요했던 것이며, 이에 본 고안의 고안자는 선출원(출원번호: 10-2003-1084, 10-2003-7774, 10-2003-10298)한 일명 '폴더형(folder type) 볼-밸브'의 레버를 응용하여 레버가 절첩된 상태에서는 회전이 불가하도록 봉인수단을 사용하여 간단히 봉인토록 하고, 봉인 상태를 사용자가 임의로 해제할 수 없도록 하여 봉인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볼-밸브용 봉인장치(출원번호: 10-2004-39822)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출원에서 레버는 일명 폴더형으로 절첩되는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밸브에 호환성이 없고, 개방 상태가 필요한 경우의 록킹 등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과, 밸브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른 호환성, 즉 상향 또는 측면 봉인이나 록킹이 필요한 경우 선택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 등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고안자가 선출원한 '폴더형(folder type) 볼-밸브' 및 기존의 각종 밸브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밸브용 록킹장치(locking device)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레버가 설치되는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호환성있게 봉인 및 록킹(locking)할 수 있으며, 밸브의 폐쇄는 물론 개방 상태를 임의로 해제하지 못하도록 선택적인 록킹이 가능한 등 밸브 사용상의 제반 편의성과 안전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밸브용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가 적용된 볼-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가 적용된 볼-밸브의 분해 사
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가 적용된 볼-밸브의 일부 파
절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가 적용된 볼-밸브의 일부 파
절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가 적용된 게이트-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록킹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가 일부 다른 실시예로서, 게
이트-밸브에 적용한 경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밸브 2: 레버
3: 밸브몸체 4: 결합공
5: 록킹홀 6: 록킹수단
6a: 키홈 6b: 스프링
6c: 록킹플레이트 6d: 고정볼트
6e: 결합공 6f: 암나사공
9: 자물쇠 10: 체결편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가 적용된 볼-밸브의 사시도,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가 적용된 볼-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가 적용된 볼-밸브의 일부 파절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가 적용된 게이트-밸브의 분해 사시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고안은 각종 볼-밸브, 게이트-밸브 등 다양한 밸브(1)의 레버(2)를 잠금 또는 해제상태에서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봉인 또는 록킹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레버(2)와 밸브몸체(3)상에 각각 결합공(4)과 암나사공과 같은 록킹홀(5)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4)을 통해 결합되어 록킹홀(5)에 나사조임될 수 있는 록킹볼트와 같은 록킹수단(6)을 구비한다.
상기 록킹수단(6)은 일반적인 드라이버나 렌치 등과 같은 공구 등으로 나사분리할 수 없도록 키홈(6a)을 헤더부에 형성하며 도시치 아니한 별도의 전용 키이(key)로만 나사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공(4) 및 록킹홀(5)은 밸브(1)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등 그 방향은 선택하여 하나만 형성할 수 있으며, 도시한 도 1,2에서는 상하 및 좌우 방향 모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결합공(4) 및 록킹홀(5)을 사용목적에 따라 밸브(1)가 개방상태에서 록킹, 또는 폐쇄상태에서 록킹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형성하여 록킹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는 이와 같은 밸브용 록킹장치를 게이트-밸브(gate-valve)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7은 본 고안의 밸브용 록킹장치를 밸브(1)의 레버(2)상에 설치하되, 록킹수단(6)을 록킹핀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와 같은 경우는 결합공(4) 및 이에 대응하는 록킹홀(5)에 록킹핀 타입으로 이루어진 록킹수단(6)을 스프링(6b)으로 탄력 설치되게 결합하고, 상기 록킹수단(6) 상부에서 록킹플레이트(6c)를 고정볼트(6d)를 사용하여 결합공(6e)과 암나사공(6f)을 통해 나사조임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와 함께 부가적으로 사용,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록킹수단으로써, 이는 레버(2)와 밸브몸체(3)상에 각각 자물쇠(9)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을 갖는 체결편(10)을 대응부상에 형성한 것이며, 도 9는 이러한 자물쇠(9)를 다양한 밸브 중에서 게이트-밸브에 적용한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면중의 부호 7은 밸브-스핀들, 8은 레버(2)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각종 유체를 사용자가 사용하다가 사용요금을 체납할 경우, 공급업체에서 체납금이 납부될 시 까지 유체공급을 중단하기 위한 봉인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체를 개방 및 폐쇄상태에서 임의로 전환되지 못하도록 록킹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록킹장치를 봉인수단으로 사용할 경우는 레버(2)를 밸브 폐쇄상태로 전환한 후 록킹볼트로 이루어진 록킹수단(6)을 레버(2)와 밸브몸체(3)에 대응 형성된 결합공(4) 및 암나사공으로 이루어진 록킹홀(5)을 통하여 나사조임하면 사용자가 임의로 밸브(1)를 개방 불가한 상태로 봉인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밸브(1)를 개방 또는 폐쇄상태에서 임의로 전환할 수 없도록 록킹코자 할 경우에는 레버(2)를 회전시켜 밸브가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에서 록킹수단(6)을 결합공(4) 및 록킹홀(5)을 통하여 나사조임하면 밸브(1)는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에서 임의 전환이 불가하도록 록킹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4) 및 록킹홀(5)은 밸브(1)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방 또는 측방으로 선택 형성되므로 벽면이나 기타 지형지물로 인하여 상방 또는 측방에서 록킹수단(6)을 선택적으로 나사조임하여 록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폭 넓게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6,7과 같이 밸브용 록킹장치를 록킹핀 타입의 록킹수단(6)을 사용하여 록킹코자 할 경우는 록킹수단(6)을 레버(2)상의 결합공(4) 및 이에 대응하는 밸브몸체(3)상의 스프링(6b)이 탄력설치된 록킹홀(5)에 결합한 후 록킹수단(6) 상부에서 록킹플레이트(6c)를 고정볼트(6d)를 사용하여 결합공(6e)과 암나사공(6f)을 통해 나사조임하면 간단히 록킹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록킹상태를 해제코자 할 시는 고정볼트(6d)를 나사분리하면 록킹핀 타입의 록킹수단(6)이 스프링(6b)의 탄성에 의해 상부로 올라오게 되므로 록킹수단(6)을 록킹홀(5)과 결합공(4)으로부터 분리하면 간단히 언록킹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본 고안의 록킹장치와 더불어 보다 안전한 록킹을 위하여 자물쇠(9)를 사용할 수도 있는 바, 그러한 경우는 레버(2)와 밸브몸체(3)상에 각각 대응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체결편(10) 상으로 자물쇠(9)를 잠금하면 된다.
이러한 자물쇠(9)는 본 고안의 록킹수단(6)과 같이 사용할 수도 있지만, 단독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밸브용 록킹장치는 다양한 밸브(1)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각종 유체(액화천연가스, 수돗물 등)를 공급받는 사용자가 사용요금을 체납했을 시에 록킹수단(6)을 사용하여 간단, 신속하게 봉인할 수 있으며, 밸브(1)가 설치되는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록킹수단(6)을 상방 또는 측방에서 나사조임하여 록킹이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호환성이 매우 우수하며, 밸브(1)의 폐쇄는 물론 개방 상태를 임의로 해제하지 못하도록 선택적인 록킹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한 밸브(1) 개폐 오작동 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4)

  1. 밸브몸체(3)상에 설치된 밸브-스핀들(7)과 연결되어 각운동 조절하여 밸브(1)를 개폐작동할 수 있도록 한 레버(2)를 갖는 각종 밸브(1)에 있어서;
    상기 레버(2)에 형성되는 결합공(4)과,
    상기 결합공(4)과 대응하는 밸브몸체(3)상에 형성되는 록킹홀(5)과,
    상기 결합공(4)을 통하여 록킹홀(5)에 나사조임될 수 있는 키홈(6a)을 갖는 록킹수단(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3)상에 형성되는 록킹홀(5)은 암나사공이며, 상기 록킹홀(5)에 나사조임되는 록킹수단(6)은 록킹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록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3)상에 형성되는 록킹홀(5)에는 스프링(6b)을 탄력 설치되게 결합하고, 록킹핀으로 이루어지는 록킹수단(6)을 결합하고,
    상기 록킹수단(6) 상단에서 록킹플레이트(6c)를 고정볼트(6d)를 사용하여 결합공(6e)과 암나사공(6f)을 통해 나사조임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록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와 밸브몸체(3)상에는 자물쇠(9)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을 갖는 체결편(10)을 대응부상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용 록킹장치.
KR20-2004-0027423U 2004-09-23 2004-09-23 밸브용 록킹장치 KR200370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423U KR200370289Y1 (ko) 2004-09-23 2004-09-23 밸브용 록킹장치
CNU2005201053411U CN2872019Y (zh) 2004-09-23 2005-09-16 具有锁定机构的阀门
CNA2005101041654A CN1807951A (zh) 2004-09-23 2005-09-16 具有锁定机构的阀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423U KR200370289Y1 (ko) 2004-09-23 2004-09-23 밸브용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289Y1 true KR200370289Y1 (ko) 2004-12-13

Family

ID=3683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423U KR200370289Y1 (ko) 2004-09-23 2004-09-23 밸브용 록킹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70289Y1 (ko)
CN (2) CN2872019Y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4448A (zh) * 2016-05-24 2016-08-17 重庆市山城燃气设备有限公司 一种锁控止回接头球阀
CN105805340B (zh) * 2016-05-24 2018-11-20 重庆市山城燃气设备有限公司 一种防盗拆锁控止回球阀
CN105805339B (zh) * 2016-05-24 2018-11-20 重庆市山城燃气设备有限公司 一种锁控球阀
CN111255908A (zh) * 2019-12-09 2020-06-09 宁波耀通管阀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自锁固定的球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872019Y (zh) 2007-02-21
CN1807951A (zh)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2610B2 (ja) 止水栓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給水設備
CN104203767B (zh) 防窃启的封闭件
US6276662B1 (en) Valve or tap with blocking device for the stopper
US3349947A (en) Closure
CA2235273C (en) Device for locking channel opening-closing handle of fluid controller
CN202109022U (zh) 防盗球阀
MX2007006839A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un elemento roscado.
KR200370289Y1 (ko) 밸브용 록킹장치
US6648009B1 (en) Tamper-proof ball valve
US6920894B1 (en) Valve security device
US7469876B2 (en) Lock valve; a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a valve device
US4499918A (en) Mixing faucet
KR200461646Y1 (ko) 기어타입 버터플라이밸브
JP2000329251A (ja) ガス栓
EP1065421B1 (en) Lockable operating unit for a valve
KR100545771B1 (ko) 볼밸브용 봉인장치
US20060145109A1 (en) Lock device for flow passage opening/closing handle of fluid controller
KR20110080942A (ko) 가스밸브 봉인장치
JPH10332000A (ja) ガス栓
KR200359731Y1 (ko) 볼밸브용 봉인장치
WO2009104213A1 (en) Reduced-encumbrance plate valve
KR100618651B1 (ko) 밸브용 봉인장치
JP7477146B2 (ja) 開閉弁
KR101167725B1 (ko) 밸브의 개폐핸들 잠금기구
US20090045369A1 (en) Plumbing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