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394A -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394A
KR20220164394A KR1020210141065A KR20210141065A KR20220164394A KR 20220164394 A KR20220164394 A KR 20220164394A KR 1020210141065 A KR1020210141065 A KR 1020210141065A KR 20210141065 A KR20210141065 A KR 20210141065A KR 20220164394 A KR20220164394 A KR 20220164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element
base
track
faste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873B1 (ko
Inventor
칭-푸 왕
쥐-천 루
포-웬 샤오
치아-호 린
Original Assignee
에볼루티브 랩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볼루티브 랩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에볼루티브 랩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164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4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means of coilable or bendable legs or spiral shaped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45C2013/303Straps; Bands with strap loop for carrying an object by passing the hand through the loop, the loop resting partially around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ornment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액세서리는 제1 베이스, 제2 베이스,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를 포함한다.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각각 제1 베이스에 배치된다. 제1 가요성 요소는 제1 트랙을 가진다. 제2 가요성 요소는 제2 트랙을 가진다. 제2 베이스는 제1 트랙 및 제2 트랙과 맞물리는 패스너를 가진다. 제1 가요성 요소는 제1 트랙을 따른 패스너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제2 가요성 요소는 제2 트랙을 따른 패스너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Description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ACCESSORY FOR HANDHELD DEVICE}
본 발명은 핸드헬드 기기와 관련된 것이고, 특히,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1년 6월 4일에 출원된 대만 특허 출원 번호 110120510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문은 참조로서 병합된다.
오늘날 대부분의 핸드헬드 기기는, 오디오/비디오 플레이백, 전자 책 디스플레이 및 전자 게임과 같은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기기를사용하는 동안 이러한 기기를 지속적으로 손에 들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핸드헬드 기기는 핸드헬드 방식으로 사용될 때 부주의로 인해 낙하하여 파손될 수 있고, 핸드헬드 기기는 고정 방식으로 사용될 때 종종 가장 적절한 시야각으로 조정될 수 없다. 그러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추가적인 액세서리가 필요하다.
위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헬드 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액세서리는 제1 베이스, 제2 베이스,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를 포함한다.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각각 제1 베이스에 배치된다. 제1 가요성 요소는 제1 트랙을 가진다. 제2 가요성 요소는 제2 트랙을 가진다. 제2 베이스는 제1 트랙 및 제2 트랙과 맞물리는 패스너를 가진다. 제1 가요성 요소는 제1 트랙을 따른 패스너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제2 가요성 요소는 제2 트랙을 따른 패스너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가요성 요소의 일단은 제1 베이스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2 가요성 요소의 일단은 제1 베이스의 타단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의 사이에 위치되고,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가 인접할 때,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제2 베이스의 수용 공간 내에 놓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제2 베이스의 오목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일단의 깊이는 상기 오목부의 타단의 깊이와 서로 다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의 사이에 위치되고,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가 인접할 때,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각각, 제1 베이스의 수용 공간 및 제2 베이스의 제2 수용 공간 내에 각각 놓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수용 공간은 제1 베이스 내에 형성된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제2 수용 공간은 제2 베이스 내에 형성된 제2 오목부를 포함한다. 제2 오목부는 제2 오목부의 주변에 환형 돌출부를 담고, 환형 돌출부는 제1 베이스를 향해 돌출하고, 제1 오목부는 환형 돌출부를 수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트랙은 제1 가요성 요소 내에 형성된 중공 부분을 포함하고, 제2 트랙은 제2 가요성 요소 내에 형성된 중공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스너는 제1 트랙 및 제2 트랙과 맞물리도록, 제1 가요성 요소의 중공 부분 및 제2 가요성 요소의 중공 부분을 관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트랙은 제1 가요성 요소 내에 형성된 중공 부분을 포함하고, 제2 트랙은 제2 가요성 요소 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스너는, 제1 트랙 및 제2 트랙과 맞물리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의 중공부를 관통하고 제2 가요성 요소의 홈 내로 삽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는 몸체 및 배플을 갖고, 몸체 및 배플은 그들 사이의 공간의 경계를 정하고, 패스너는 공간 내의 배플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에는 배플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공 부분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포지셔닝 요소를 갖고, 제2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포지셔닝 요소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1 포지셔닝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포지셔닝 요소는 패스너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포지셔닝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포지셔닝 요소는 패스너의 돌출부를 포지셔닝하는 슬롯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시트형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 또는 제2 베이스는 긴 구조를 포함하고, 긴 구조의 두 개의 길이방향의 측면 각각은 만입부를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에는 칩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액세서리에는 제1 베이스, 제2 베이스, 및 두 개의 가요성 요소를 포함한다. 두 개의 가요성 요소는 각각 제1 베이스의 두 개의 단부 상에 배치되고, 가요성 요소 각각은 트랙을 가진다. 제2 베이스는 가요성 요소의 트랙과 맞물리기 위한 패스너를 가진다.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때, 패스너가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가요성 요소가 구부러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액세서리는 제1 베이스, 제2 베이스,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를 포함한다.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각각 제1 베이스에 배치된다. 제2 베이스는 몸체 및 배플을 갖고, 몸체 및 배플은 그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의 경계를 정하고,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관통한다.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 사이의 거리의 변경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가요성 요소는 패스너를 갖고, 제2 가요성 요소는 트랙을 가지며, 트랙은 패스너와 맞물린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은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각각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관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서, 제1 가요성 요소는 배플 및 제2 가요성 요소 사이에 위치되고, 제1 가요성 요소의 일단은 제1 베이스에 배치되고, 제1 가요성 요소의 타단은 제2 가요성 요소를 향해 돌출하는 패스너를 가지고, 제2 가요성 요소의 일단은 제1 베이스에 배치되며, 제2 가요성 요소의 타단은 제1 가요성 요소를 향해 돌출하는 제2 패스너를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서, 제1 가요성 요소는 배플과 제2 가요성 요소 사이에 위치되고, 제1 가요성 요소의 일단은 제1 베이스에 배치되고, 제1 가요성 요소의 타단은 배플을 향해 돌출하는 제1 패스너를 가지고, 제2 가요성 요소의 일단은 제1 베이스에 배치되고, 제2 가요성 요소의 타단은 몸체를 향해 돌출하는 제2 패스너를 가지며, 몸체는 제2 패스너와 맞물리기 위한 트랙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액세서리는 제1 베이스, 지지 조립체 및 제2 베이스를 포함한다. 지지 조립체는 지지 몸체,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를 가진다. 지지 몸체는 제1 베이스에 배치되고, 제1 가요성 요소는 지지 몸체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 가요성 요소는 지지 몸체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2 베이스는 베이스 몸체 및 배플을 가진다. 베이스 몸체와 배플은 그들 사이의 공간의 경계를 정하고,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그 공간을 관통한다.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 사이의 거리의 변경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몸체,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는 일체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조립체는 제1 연결 요소 및 제2 연결 요소를 더 포함한다. 제1 연결 요소는 제1 가요성 요소 및 지지 몸체 사이의 조인트를 덮고, 제2 연결 요소는 제1 가요성 요소 및 지지 몸체 사이의 조인트를 덮는다.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실시예가 아래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축척에 따라 그려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사실, 명료함을 위해, 특징의 크기는 적절하게 증감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단면도이다;
도 1d 및 도 1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작동 개략도이다;
도 1f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단면도이다;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작동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단면도이다;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작동 개략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요성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3g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포지셔닝하는 제1 트랙의 포지셔닝 요소의 확대된 개략도이다;
도 3h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요성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3i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를 포지셔닝하는 제2 트랙의 포지셔닝 요소의 확대된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단면도이다;
도 4e 및 도 4f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작동 개략도이다;
도 4g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베이스의 3차원 도면이다;
도 4h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베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4i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단면도이다;
도 5d 및 도 5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작동 개략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베이스가 제거된 액세서리의 개략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단면도이다;
도 6e 및 도 6f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작동 개략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단면도이다;
도 7d 및 도 7e 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작동 개략도이다;
도 7f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단면도이다;
도 8d 및 도 8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작동 개략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베이스의 3차원 도면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요성 요소와 맞물린 제2 베이스의 3차원 도면이다;
도 9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단면도이다;
도 9f 및 도 9g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작동 개략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각도로부터의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0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단면도이다;
도 10e 및 도 10f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작동 개략도이다;
도 10g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0h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0i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의 3차원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개략도이다.
아래의 개시는 제공된 발명 주제의 서로 다른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제공한다. 구성요소 및 구성의 구체적인 예시가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제시된다. 주의해야 할 것은, 구성요소 및 구성은 예시적이며 제한하려는 의도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2 특징 상에 또는 그 위에 형성되는 제1 특징은 제1 특징 및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여 형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 특징이, 제1 특징 및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는 방식으로 제1 특징 및 제2 특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실시예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숫자 및/또는 알파벳 기호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단순성과 명료성을 위한 것이고, 실시예 및/또는 구성 간의 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 설명에서 상세히 제공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특정 시나리오에서 광범위하게 구현될 수 있는 다수의 적용 가능한 개념을 제공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정 실시예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보다 나은 설명을 위해, "아래", "밑에", "위에", "상부", "하부", "왼쪽", "오른쪽" 등과 같은 상대적인 공간 용어가 도면 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면 내에 도시된 방향에 추가하여, 상대적 공간 용어는 사용 또는 조작 중인 기기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장치는 다른 수단(90도 회전 또는 다른 방향을 가짐)에 의해 오리엔테이션될 수 있고, 본 개시 내에서 사용되는 설명적인 상대적 공간 용어도 유사하게 대응하여 해석될 수 있다.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될 때, 그 요소는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둘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개재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수치적 범위 및 파라미터는 대략적인 값이고,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주어진 값은 가능한한 정확히 보고된다. 하지만, 일부 값은 개별적 테스트의 측정 값 내에서 발견된 표준 오차로 인해 불가피하게 특정 오차를 담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 또는 "대략"은 일반적으로 값이 ±10%, 또는 ±5%, 또는 ±1%, 또는 ±0.5% 이내의 정격 값(rated value) 또는 범위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어 "약" 또는 "대략"은 평균값이 허용 가능한 표준 오차 이내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고려된다. 작동/작업 실시예와는 별도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여기에 개시된 수치 범위, 수량, 값 및 백분율(예를 들어, 재료 수량, 지속 기간, 온도, 작동 조건, 수량 비율 등)은 모든 상황에서 "약" 또는 "대략"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정되는 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주어지는 수치 파라미터는 가변적인 근사값일 수 있다. 적어도, 수치 파라미터는 공통 반올림 수단에 의한 유효 자릿수의 보고된 수치에 따라 이해되어야 한다. 범위는 상기 개시에서 하나의 종점에서 다른 종점으로 또는 두 종점 사이로 표현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여기에 개시된 모든 범위는 종점을 포함한다. 표현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substantially coplanar)"은 동일한 평면을 따라 수 마이크론(μm) 이내(예를 들어, 동일한 평면을 따라 10μm, 또는 5μm, 또는 1μm, 또는 0.5μm 이내)의 두 개의 표면을 지칭할 수 있다. 수치 값 또는 특징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때, 이 용어는 값이 값의 평균값의 ±10%, 또는 ±5%, 또는 ±1%, 또는 ±0.5% 이내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가 사용자의 핸드헬드 기기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다. 액세서리는 핸드헬드 기기 또는 핸드헬드 기기에 장착되는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고, 제1 베이스, 제2 베이스, 및 두 개의 가요성 요소를 포함한다. 두 개의 가요성 요소는 제1 베이스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되고, 가요성 요소 각각은 트랙(track)을 가진다. 제2 베이스는 두 개의 가요성 요소의 트랙들을 맞물리는 패스너(fastener)를 가진다.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때, 패스너는 트랙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가요성 요소는 구부러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때, 패스너는 트랙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제1 변형(deformation)이 가요성 요소의 각각에 발생한다. 패스너가 트랙의 종점으로 슬라이딩할 때, 가요성 요소의 각각의 제1 변형은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요성 요소의 제1 변형을 기반으로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핸드헬드 기기를 특정 방향에 배치할 수 있다(도 11에 도시된 대로, A1이 액세서리이고 A2는 핸드헬드 기기임). 반면, 사용자가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때, 패스너는 트랙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제2 변형이 가요성 요소 각각에 발생한다. 제2 변형은 제1 변형으로부터 가요성 요소의 원래 상태로 가요성 요소를 복원한다.
도 1a 및 도 1b가 참조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1)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1)의 또 다른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액세서리(1)는 제1 베이스(11), 제2 베이스(13), 제1 가요성 요소(15), 및 제2 가요성 요소(17)를 포함한다. 제1 가요성 요소(15) 및 제2 가요성 요소(17)는 각각 제1 베이스(11)에 배치되고, 제1 베이스(11) 및 제2 베이스(13) 사이에 위치된다. 제1 가요성 요소(15)는 제1 트랙(151)을 가진다. 제2 가요성 요소(17)는 제2 트랙(171)을 가진다.
도 1c는 도 1b의 단면선 A-A'를 따라 취한 액세서리(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1B.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13)는 제1 트랙(151) 및 제2 트랙(171)과 맞물리는 패스너(131)를 가져서, 제1 가요성 요소(15) 및 제2 가요성 요소(17)는 패스너(131)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1 가요성 요소(15)는 제1 트랙(151)을 따른 패스너(131)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지고, 제2 가요성 요소(17)는 제2 트랙(171)을 따른 패스너(131)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더 나아가, 이들 실시예에서, 패스너(131)는 기둥형 트렁크(column-like trunk) 및 헤드를 가진다. 트렁크의 일단은 제2 베이스(13)의 몸체에 연결되고, 트렁크의 타단은 헤드에 연결되며, 트렁크는 제1 트랙(151) 및 제2 트랙(171) 내에 위치한다. 헤드의 외경은 제1 트랙(151) 및 제2 트랙(171)의 채널 너비보다 더 커서, 패스너(131)는 제1 트랙(151) 또는 제2 트랙(171)으로부터 쉽게 풀리지 않는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1)의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11) 및 제2 베이스(1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11)는 제1 가요성 요소(1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베이스(13)의 패스너(131)가 제1 가요성 요소(15)의 제1 트랙(15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131)는, 제1 가요성 요소(15)의 일단이 제1 베이스(11)와 함께 움직일 때 제1 트랙(15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131)가 제1 트랙(151)의 일단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대로, 제1 가요성 요소(15)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1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1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1)의 또 다른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작동과 대조적으로, 제1 베이스(11) 및 제2 베이스(1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11)는 제1 가요성 요소(1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베이스(13)의 패스너(131)는 제1 가요성 요소(15)의 제1 트랙(15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131)는 제1 가요성 요소(15)의 일단이 제1 베이스(11)와 함께 움직일 때 제1 트랙(15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131)가 제1 트랙(151)의 타단으로 슬라이딩할 때, 변형이 제1 가요성 요소(15)를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15)에 일어난다.
유사하게, 제1 베이스(11) 및 제2 베이스(1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제1 베이스(11)는 제2 가요성 요소(1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베이스(13)의 패스너(131)가 제2 가요성 요소(17)의 제2 트랙(17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131)는, 제2 가요성 요소(17)의 일단이 제1 베이스(11)와 함께 움직일 때 제2 트랙(17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131)는, 도 1b에 도시된 대로, 제2 트랙(171)의 일단으로 슬라이딩하고, 변형이 제2 가요성 요소(17)에 일어나며,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11)의 타단과 제2 베이스(13)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반면에, 제1 베이스(11) 및 제2 베이스(13)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 때, 제1 베이스(11)는 제2 가요성 요소(1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베이스(13)의 패스너(131)가 제2 가요성 요소(17)의 제2 트랙(17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131)는, 제2 가요성 요소(17)의 일단이 제1 베이스(11)와 함께 움직일 때 제2 트랙(17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변형이 제2 가요성 요소(17)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2 가요성 요소(17)에 변형이 일어난다.
도 1f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패스너(131')는 긴 구조(long structure)일 수 있고, 트렁크 및 헤드를 가진다. 트렁크 및 헤드는 모두 긴 구조이고, 트렁크는 제1 트랙(151) 및 제2 트랙(171) 내에 위치한다. 헤드의 외경은 제1 트랙(151) 및 제2 트랙(171)의 채널 너비보다 더 크기 때문에, 패스너(131')는 제1 트랙(151) 또는 제2 트랙(171)으로부터 쉽게 풀리지 않는다. 더욱이, 패스너(131') 및 중공형 트랙(hollow-shaped track)은 모두 긴 구조이기 때문에, 패스너(131')는 패스너(131')에 대해 흔들리거나 벗어나지 않도록 제1 가요성 요소(15) 및 제2 가요성 요소(17)를 보유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가 참조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2)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2)의 또 다른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액세서리(2)는 제1 베이스(21), 제2 베이스(23), 제1 가요성 요소(25), 및 제2 가요성 요소(2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21) 및 제2 베이스(23)는 긴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23)의 긴 구조의 두 개의 길이방향의 각각의 측면은 만입부(indentation)(237)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21)의 긴 구조의 두 개의 길이방향의 각각의 측면이 만입부를 갖거나, 또는 제1 베이스(21) 및 제2 베이스(23)의 긴 구조의 두 개의 길이방향의 각각의 측면이 만입부를 갖거나, 또는 제1 베이스(21)의 긴 구조 또는 제2 베이스(23)의 긴 구조 중 하나의 길이방향의 측면이 만입부를 갖고, 여기서 만입부의 설계는 사용자의 클램핑 조작(clamping operation)을 용이하게 한다. 제1 가요성 요소(25) 및 제2 가요성 요소(27)는 시트형 구조(sheet-like structure)를 포함하며, 제1 베이스(21) 상에 배치되면서 또한 제1 베이스(21) 및 제2 베이스(23) 사이에 위치된다. 제1 가요성 요소(25)는 제1 트랙(251)을 갖고, 제2 가요성 요소(27)는 제2 트랙(271)을 가진다.
제1 가요성 요소(25)의 일단은 제1 베이스(21)의 일단(210)에 배치되고, 제2 가요성 요소(27)의 일단은 제1 베이스(21)의 타단(212)에 배치된다. 제2 베이스(23)는 수용 공간(accommodating space)(230)을 가지며, 제1 베이스(21) 및 제2 베이스(23)가 인접할 때 제1 가요성 요소(25) 및 제2 가요성 요소(27)는 수용 공간(230) 내에 수용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도 2c는 도 2b의 단면선 B-B'를 따라 취한 액세서리(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23)는 패스너(231), 몸체(233), 두 개의 측벽(234), 및 배플(baffle)(235)을 포함한다. 두 개의 측벽(234)은 몸체(233)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또한 몸체(233)와 함께 그 사이에 수용 공간(230)을 형성한다. 배플(235)은 두 개의 측벽(234)에 걸쳐(bridge) 있고, 배플(235) 및 몸체(233)는 함께 공간(232)의 경계를 정한다. 패스너(231)는 배플(235) 상에 그리고 공간(232) 내에 배치된다. 패스너(231)는 제1 트랙(251) 및 제2 트랙(271)과 맞물리기 위한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서, 제1 트랙(251)은 제1 가요성 요소(25) 내에 형성된 중공부(hollow portion)를 포함하고, 제2 트랙(271)은 제2 가요성 요소(27)에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고, 제1 가요성 요소(25) 및 제2 가요성 요소(27)는 상호 중첩되면서 또한 공간(232)을 관통한다. 패스너(231)는, 제1 트랙(251) 및 제2 트랙(271)과 맞물리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25)의 중공부 및 제2 가요성 요소(27)의 중공부를 관통한다. 제1 가요성 요소(25)는 제1 트랙(251)을 따른 패스너(231)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지고, 제2 가요성 요소(27)는 제2 트랙(271)을 따른 패스너(231)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2)의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21) 및 제2 베이스(2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21)는 제1 가요성 요소(2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베이스(23)의 패스너(231)가 제1 가요성 요소(25)의 제1 트랙(25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231)는 제1 가요성 요소(25)의 단부가 제1 베이스(21)와 함께 움직일 때 제1 트랙(25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231)가 제1 트랙(251)의 일단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대로, 제1 가요성 요소(25)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2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2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2)의 또 다른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작동과 대조적으로, 제1 베이스(21) 및 제2 베이스(2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21)는 제1 가요성 요소(2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베이스(23)의 패스너(231)가 제1 가요성 요소(25)의 제1 트랙(25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231)는 제1 가요성 요소(25)의 일단이 제1 베이스(21)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제1 트랙(25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231)가 제1 트랙(251)의 타단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제1 가요성 요소(25)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25)에 변형이 일어난다.
유사하게, 제1 베이스(21) 및 제2 베이스(2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제1 베이스(21)는 제2 가요성 요소(2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베이스(23)의 패스너(231)가 제2 가요성 요소(27)의 제2 트랙(27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231)는 제2 가요성 요소(27)의 일단이 제1 베이스(21)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제2 트랙(27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231)가 제2 트랙(271)의 일단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대로, 제2 가요성 요소(27)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21)의 타단(212) 및 제2 베이스(23)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베이스(21) 및 제2 베이스(23)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 때, 제1 베이스(21)는 제2 가요성 요소(2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베이스(23)의 패스너(231)가 제2 가요성 요소(27)의 제2 트랙(27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231)는, 제2 가요성 요소(27)의 일단이 제1 베이스(21)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제2 트랙(27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제2 가요성 요소(27)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2 가요성 요소(27)에 변형이 일어난다.
도 3a 및 도 3b가 참조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3)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3)의 또 다른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액세서리(3)는 제1 베이스(31), 제2 베이스(33), 제1 가요성 요소(35), 및 제2 가요성 요소(3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31) 및 제2 베이스(33)는 긴 구조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33)의 긴 구조의 두 개의 길이방향의 각각의 측면은 만입부(337)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31)의 긴 구조의 두 개의 길이방향의 각각의 측면이 만입부를 갖거나, 또는 제1 베이스(31) 및 제2 베이스(33)의 긴 구조의 두 개의 길이방향의 각각의 측면이 만입부를 갖거나, 또는 제1 베이스(31)의 긴 구조 또는 제2 베이스(33)의 긴 구조 중 하나의 길이방향 측면이 만입부를 가지고, 여기서 만입부의 설계는 사용자의 클램핑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제1 가요성 요소(35) 및 제2 가요성 요소(37)는 시트형 구조를 포함하고, 제1 베이스(31) 상에 배치되면서 또한 제1 베이스(31) 및 제2 베이스(33)의 사이에 위치된다. 제1 가요성 요소(35)는 제1 트랙(351)을 갖고, 제2 가요성 요소(37)는 제2 트랙(371)을 가진다.
제1 가요성 요소(35)의 일단은 제1 베이스(31)의 일단(310) 상에 배치되고, 제2 가요성 요소(37)의 일단은 제1 베이스(31)의 타단(312) 상에 배치된다. 제2 베이스(33)는 수용 공간(330)을 갖고, 제1 베이스(31) 및 제2 베이스(33)가 인접할 때 제1 가요성 요소(35) 및 제2 가요성 요소(37)는 수용 공간(330) 내에 수용된다.
도 3c가 참조되고, 도 3c는 도 3b의 단면선 C-C'를 따라 취한 액세서리(3)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33)는 패스너(331), 몸체(333), 두 개의 측벽(334), 및 배플(335)을 가진다. 두 개의 측벽(334)은 몸체(333)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또한 몸체(333)와 함께 수용 공간(330)을 형성한다. 배플(335)은 두 개의 측벽(334)에 걸쳐 있고, 배플(335) 및 몸체(333)는 함께 공간(332)의 경계를 정한다. 패스너(331)는 공간(332) 내의 배플(335) 상에 배치되고, 제1 트랙(351) 및 제2 트랙(371)과 맞물리기 위한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서, 제1 트랙(351)은 제1 가요성 요소(35) 내에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고, 제2 트랙(371)은 제2 가요성 요소(37) 내에 형성된 홈(groove)을 포함하고, 제1 가요성 요소(35) 및 제2 가요성 요소(37)는 상호 중첩되면서 또한 공간(332)를 관통한다. 패스너(331)는, 제1 트랙(351) 및 제2 트랙(371)과 맞물리기 위해, 먼저 제1 가요성 요소(35)의 중공부를 관통하고 이후 제2 가요성 요소(37)의 홈 내로 삽입된다. 제1 가요성 요소(35)는 제1 트랙(351)을 따른 패스너(331)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지고, 제2 가요성 요소(37)는 제2 트랙(371)을 따른 패스너(331)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3)의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31) 및 제2 베이스(3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31)는 제1 가요성 요소(3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베이스(33)의 패스너(331)가 제1 가요성 요소(35)의 제1 트랙(35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331)는, 제1 가요성 요소(35)의 일단이 제1 베이스(31)와 함께 움직일 때 제1 트랙(35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331)가 제1 트랙(351)의 일단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대로, 제1 가요성 요소(35)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3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3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3e가 참조되고, 도 3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3)의 또 다른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작동과 대조적으로, 제1 베이스(31) 및 제2 베이스(3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31)는 제1 가요성 요소(3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베이스(33)의 패스너(331)가 제1 가요성 요소(35)의 제1 트랙(35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331)는 제1 가요성 요소(35)의 일단이 제1 베이스(31)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제1 트랙(35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331)가 제1 트랙(351)의 타단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제1 가요성 요소(35)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35)에 변형이 일어난다.
유사하게, 제1 베이스(31) 및 제2 베이스(3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제1 베이스(31)는 제2 가요성 요소(3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베이스(33)의 패스너(331)가 제2 가요성 요소(37)의 제2 트랙(37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331)는 제2 가요성 요소(37)의 일단이 제1 베이스(31)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제2 트랙(37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331)가 제2 트랙(371)의 일단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대로, 제2 가요성 요소(37)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31)의 타단 및 제2 베이스(33)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베이스(31) 및 제2 베이스(33)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 때, 제1 베이스(31)는 제2 가요성 요소(3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베이스(33)의 패스너(331)가 제2 가요성 요소(37)의 제2 트랙(37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331)는 제2 가요성 요소(37)의 일단이 제1 베이스(31)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제2 트랙(37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제2 가요성 요소(37)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2 가요성 요소(37)에 변형이 일어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요성 요소 및 패스너는 도 3f 및 도 3g에 도시된 대로, 그들 사이의 포지셔닝 요소를 사용하여 포지셔닝될 수 있다. 도 3f는 본 발명의 제1 가요성 요소(35')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g는 본 발명의 패스너(331') 및 제1 가요성 요소(35')의 제1 트랙(351') 사이의 포지셔닝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트랙(351')은 중공부이고, 제1 트랙(351')에는 패스너(331')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제1 포지셔닝 수단(351A')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포지셔닝 수단(351A')은 제1 트랙(351')의 일단에 형성된 확장 슬롯(dilated slot)을 포함하고, 확장 슬롯은 패스너(331')의 돌출 블록 형상을 받아주기 위한 것이다.
도 3h 및 도 3i가 참조된다. 도 3h는 본 발명의 제2 가요성 요소(37')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i는 본 발명의 패스너(331') 및 제2 가요성 요소(37')의 제2 트랙(371') 사이의 포지셔닝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2 트랙(371')은 홈이고, 패스너(331')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제2 포지셔닝 수단(371A')이 제2 트랙(371')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포지셔닝 수단(371A')은 제2 트랙(371')의 일단에 형성된 확장 슬롯을 포함하고, 확장 슬롯은 패스너(331')의 돌출 블록 형상을 받아주기 위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가 참조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4)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4)의 또 다른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각도로부터의 액세서리(4)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액세서리(4)는 제1 베이스(41), 제2 베이스(43), 제1 가요성 요소(45), 및 제2 가요성 요소(4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41) 및 제2 베이스(43)는 긴 구조를 포함하고, 제1 베이스(41) 또는 제2 베이스(43)의 긴 구조의 길이방향의 각각의 측면은 사용자의 클램핑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만입부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43)의 긴 구조의 길이방향의 두 개의 측면 각각은 만입부(437)를 가진다. 제1 가요성 요소(45) 및 제2 가요성 요소(47)는 시트형 구조를 포함하고, 제1 베이스(41) 상에 배치되면서 또한 제1 베이스(41) 및 제2 베이스(43) 사이에 위치된다. 제1 가요성 요소(45)는 제1 트랙(451)을 갖고, 제2 가요성 요소(47)는 제2 트랙(471)을 가진다.
제1 가요성 요소(45)의 일단은 제1 베이스(41)의 일단(410)에 배치되고, 제2 가요성 요소(47)의 일단은 제1 베이스(41)의 타단(412)에 배치된다. 제1 베이스(41)는 수용 공간(414)을 갖고, 제2 베이스(43)는 수용 공간(430)을 가지며, 제1 베이스(41) 및 제2 베이스가 인접할 때 제1 가요성 요소(45) 및 제2 가요성 요소(47)는 수용 공간(414, 430)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용 공간(414)은 제1 베이스(41) 내에 형성된 제1 오목부(recess)를 포함하고, 수용 공간(430)은 제2 베이스(43) 내에 형성된 제2 오목부를 포함한다. 제2 오목부는 제2 오목부의 주변에 환형 돌출부(439)를 담고, 환형 돌출부(439)는 제1 베이스(41)를 향해 돌출한다. 제1 오목부는 환형 돌출부(439)의 고리 모양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1 베이스(41) 및 제2 베이스(43)가 인접할 때 제1 오목부는 따라서 환형 돌출부(439)를 수용할 수 있다.
도 4d가 참조되고, 도 4d는 도 4b의 단면선 D-D'를 따라 취한 액세서리(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43)는 패스너(431), 몸체(433), 및 배플(435)을 가진다. 배플(435)은 제2 베이스(43)의 제2 오목부(즉, 수용 공간(430))의 두 개의 측면에 걸쳐 있고, 몸체(433) 및 배플(435)은 함께 공간(432)의 경계를 정한다. 패스너(431)는 공간(432) 내의 배플(435) 상에 배치되고, 제1 트랙(451) 및 제2 트랙(471)과 맞물리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몸체(433)에는, 사용자가 제1 트랙(451) 및 제2 트랙(471)을 그들 각각의 패스너(431)와의 맞물림을 위해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배플(435)에 대응하는 위치에, 패스너(431)를 노출시키기 위한 중공부(434)가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제1 트랙(451)은 제1 가요성 요소(45) 내에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고, 제2 트랙(471)은 제2 가요성 요소(47) 내에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고, 제1 가요성 요소(45) 및 제2 가요성 요소(47)는 상호 중첩되면서 또한 공간(432)을 관통한다. 패스너(431)는 제1 트랙(451) 및 제2 트랙(471)과 맞물리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45)의 중공부 및 제2 가요성 요소(47)의 중공부를 관통한다. 제1 가요성 요소(45)는 제1 트랙(451)을 따른 패스너(431)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지고, 제2 가요성 요소(47)는 제2 트랙(471)을 따른 패스너(431)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도 4e가 참조되고, 도 4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4)의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41) 및 제2 베이스(4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41)는 제1 가요성 요소(4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베이스(43)의 패스너(431)가 제1 가요성 요소(45)의 제1 트랙(45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431)는 제1 가요성 요소(45)의 일단이 제1 베이스(41)와 함께 움직일 때 제1 트랙(45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431)가 제1 트랙(451)의 일단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대로, 제1 가요성 요소(45)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4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4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f가 참조되고, 도 4f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4)의 또 다른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작동과 대조적으로, 제1 베이스(41) 및 제2 베이스(4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41)는 제1 가요성 요소(4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베이스(43)의 패스너(431)가 제1 가요성 요소(45)의 제1 트랙(45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431)는 제1 가요성 요소(45)의 일단이 제1 베이스(41)와 함께 움직일 때 제1 트랙(45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431)가 제1 트랙(451)의 타단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제1 가요성 요소(45)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45)에 변형이 일어난다.
유사하게, 제1 베이스(41) 및 제2 베이스(4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제1 베이스(41)는 제2 가요성 요소(4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베이스(43)의 패스너(431)가 제2 가요성 요소(47)의 제2 트랙(47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431)는 제2 가요성 요소(47)의 일단이 제1 베이스(41)와 함께 움직일 때 제2 트랙(47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431)가 제2 트랙(471)의 일단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대로, 제2 가요성 요소(47)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41)의 타단(412) 및 제2 베이스(43)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베이스(41) 및 제2 베이스(4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 제1 베이스(41)는 제2 가요성 요소(4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베이스(43)의 패스너(431)가 제2 가요성 요소(47)의 제2 트랙(47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431)는 제2 가요성 요소(47)의 일단이 제1 베이스(41)와 함께 움직일 때 제2 트랙(47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제2 가요성 요소(47)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2 가요성 요소(47)에 변형이 일어난다.
도 4g 및 도 4h가 참조된다. 도 4g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베이스(43)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4h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4g의 E-E' 단면선을 따라 취한 제2 베이스(43) 단면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용 공간(430)은 제2 베이스(43)의 오목부에 형성되고, 오목부의 일단의 깊이(H1)는 오목부의 타단의 깊이(H2)와 서로 달라서, 제1 가요성 요소(45) 및 제2 가요성 요소(47)가 수용 공간(430) 내에서 더 잘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43)는 핸드헬드 기기의 후면에 배치되고, 제1 베이스(41)에는 사용자 요구사항에 의존하여 물체를 놓기 위한 오목부가 제공된다. 도 4i가 참조되고, 도 4i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4)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41)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1 베이스(41)를 사용하여 칩 센싱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체(예를 들어, 신용 카드 칩 또는 EasyCard 칩과 같은 센서 칩(sch))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416)가 제공된다.
도 5a 및 도 5b가 참조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5)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5)의 또 다른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액세서리(5)는 제1 베이스(51), 제2 베이스(53), 제1 가요성 요소(55), 및 제2 가요성 요소(5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요성 요소(55) 및 제2 가요성 요소(57)는 각각 제1 베이스(51)에 배치되고, 제1 베이스(51) 및 제2 베이스(53) 사이에 위치된다. 제1 가요성 요소(55)의 일단은 제1 베이스(51)의 일단(510)에 배치되고, 제2 가요성 요소(57)의 일단은 제1 베이스(51)의 타단(512)에 배치된다. 제2 베이스(53)는 수용 공간(530)을 갖고, 제1 베이스(51) 및 제2 베이스(53)가 인접할 때 제1 가요성 요소(55) 및 제2 가요성 요소(57)는 수용 공간(530) 내에 수용된다.
도 5c가 참조되고, 도 5c는 도 5b의 단면선 F-F'를 따라 취한 액세서리(5)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53)는 몸체(533), 두 개의 측벽(534), 및 배플(535)을 가진다. 두 개의 측벽(534)은 몸체(533)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또한 몸체(533)와 함께 수용 공간(530)을 형성한다. 배플(535)은 두 개의 측벽(534)에 걸쳐 있고, 배플(535) 및 몸체(533)는 함께 공간(532)의 경계를 정한다. 제1 가요성 요소(55) 및 제2 가요성 요소(57)는 상호 중첩되면서 또한 공간(532)을 관통한다. 제1 가요성 요소(55) 및 제2 가요성 요소(57)는 제1 베이스(51) 및 제2 베이스(53) 사이의 거리의 변경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도 5d가 참조되고, 도 5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5)의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51) 및 제2 베이스(5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51)는 제1 가요성 요소(5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1 가요성 요소(55)는 배플(535) 및 몸체(5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5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1 가요성 요소(55)의 일단이 제1 베이스(51)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대로 제1 가요성 요소(55)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5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5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e가 참조되고, 도 5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5)의 또 다른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작동과 대조적으로, 제1 베이스(51) 및 제2 베이스(5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51)는 제1 가요성 요소(5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1 가요성 요소(55)는 배플(535) 및 몸체(5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5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1 가요성 요소(55)의 일단이 제1 베이스(51)과 함께 움직일 때 제1 가요성 요소(55)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55)에 변형이 일어난다.
유사하게, 제1 베이스(51) 및 제2 베이스(5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제1 베이스(51)는 제2 가요성 요소(5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가요성 요소(57)는 배플(535) 및 몸체(5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5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2 가요성 요소(57)의 일단이 제1 베이스(51)와 함께 움직일 때, 도 5b에 도시된 대로 제2 가요성 요소(57)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5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5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베이스(51) 및 제2 베이스(5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 제1 베이스(51)는 제2 가요성 요소(5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가요성 요소(57)는 배플(535) 및 몸체(5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5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2 가요성 요소(57)의 일단이 제1 베이스(51)과 함께 움직일 때 제2 가요성 요소(57)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2 가요성 요소(57)에 변형이 일어난다.
도 6a 및 도 6b가 참조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6)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6)의 또 다른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액세서리(6)는 제1 베이스(61), 제2 베이스(63), 제1 가요성 요소(65), 및 제2 가요성 요소(67)를 포함한다. 도 6c가 참조되고, 도 6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제2 베이스(63)가 제거된 액세서리(6)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요성 요소(65) 및 제2 가요성 요소(67)는 각각 제1 베이스(61)에 배치되고, 제1 베이스(61) 및 제2 베이스(63) 사이에 위치된다. 제1 가요성 요소(65)의 일단은 제1 베이스(61)의 일단(610)에 배치되고, 제2 가요성 요소(67)의 일단은 제1 베이스(61)의 타단(612)에 배치된다. 제2 베이스(63)는 수용 공간(630)을 갖고, 제1 베이스(61) 및 제2 베이스(63)가 인접할 때 제1 가요성 요소(65) 및 제2 가요성 요소(67)는 수용 공간(630) 내에 수용된다. 제1 가요성 요소(65)는 제1 트랙(651)을 가진다. 제2 가요성 요소(67)는 패스너(671)를 가진다.
도 6d가 참조되고, 도 6d는 도 6b에서 단면선 G-G'를 따라 취한 액세서리(6)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63)는 몸체(633), 두 개의 측벽(634), 및 배플(635)을 가진다. 두 개의 측벽(634)은 몸체(633)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또한 몸체(633)와 함께 수용 공간(630)을 형성한다. 배플(635)은 두 개의 측벽(634)에 걸쳐 있고, 배플(635) 및 몸체(633)는 함께 공간(632)의 경계를 정한다. 제1 가요성 요소(65) 및 제2 가요성 요소(67)는 상호 중첩되면서 또한 공간(632)을 관통한다. 제2 가요성 요소(67)의 패스너(671)는, 제1 가요성 요소(65) 및 제2 가요성 요소(67)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제1 가요성 요소(65)의 제1 트랙(651)과 맞물리기 위한 것이다. 제1 가요성 요소(65)는 제1 트랙(651)을 따른 패스너(671)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지고, 제2 가요성 요소(67)는 제1 트랙(651)을 따른 패스너(671)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도 6e가 참조되고, 도 6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6)의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61) 및 제2 베이스(6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61)는 제1 가요성 요소(65)의 일단 및 제2 가요성 요소(6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가요성 요소(67)의 패스너(671)가 제1 가요성 요소(65)의 제1 트랙(65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671)는 제1 가요성 요소(65)의 일단 및 제2 가요성 요소(67)의 일단이 제1 베이스(61)와 함께 움직일 때 제1 트랙(65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671)가 제1 트랙(651)의 일단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대로, 제1 가요성 요소(65) 및 제2 가요성 요소(67)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61) 및 제2 베이스(63)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f가 참조되고, 도 6f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6)의 또 다른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61) 및 제2 베이스(6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61)는 제1 가요성 요소(65)의 일단 및 제2 가요성 요소(6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가요성 요소(67)의 패스너(671)가 제1 가요성 요소(65)의 제1 트랙(65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패스너(671)는 제1 가요성 요소(65)의 일단 및 제2 가요성 요소(67)의 일단이 제1 베이스(61)와 함께 움직임에 따라 제1 트랙(65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패스너(671)가 제1 트랙(651)의 타단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제1 가요성 요소(65) 및 제2 가요성 요소(67)를 그들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65) 및 제2 가요성 요소(67)에 변형이 일어난다.
도 7a 및 도 7b가 참조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7)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7)의 또 다른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액세서리(7)는 제1 베이스(71), 제2 베이스(73), 제1 가요성 요소(75), 및 제2 가요성 요소(7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요성 요소(75) 및 제2 가요성 요소(77)는 각각 제1 베이스(71)에 배치되고, 제1 베이스(71) 및 제2 베이스(73) 사이에 위치된다. 제1 가요성 요소(75)의 일단은 제1 베이스(71)의 일단(710)에 배치되고, 제2 가요성 요소(77)의 일단은 제1 베이스(71)의 타단(712)에 배치된다. 제2 베이스(73)는 수용 공간(730)을 갖고, 제1 베이스(71) 및 제2 베이스(73)가 인접할 때 제1 가요성 요소(75) 및 제2 가요성 요소(77)가 수용 공간(730) 내에 수용된다.
도 7c가 참조되고, 도 7b에서 단면선 H-H'를 따라 취해진 액세서리(7)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73)는 몸체(733), 두 개의 측벽(734), 배플(735A), 및 또 다른 배플(735B)을 가진다. 두 개의 측벽(734)은 몸체(733)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몸체(733)와 함께 수용 공간(730)을 형성한다. 배플(735A) 및 배플(735B)은 각각 두 개의 측벽(734)에 걸쳐 있다. 배플(735B)은 배플(735A) 및 몸체(733) 사이에 위치된다. 배플(735A) 및 배플(735B)은 그들 사이의 공간(732A)의 경계를 정하고, 몸체(733) 및 배플(735B)은 그들 사이의 공간(732B)의 경계를 정한다. 제1 가요성 요소(75)는 공간(732A)을 관통하고, 제2 가요성 요소(77)는 공간(732B)을 관통한다. 제1 가요성 요소(75) 및 제2 가요성 요소(77)는 제1 베이스(71) 및 제2 베이스(73) 사이의 거리의 변경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도 7d가 참조되고, 도 7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7)의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71) 및 제2 베이스(7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71)는 제1 가요성 요소(7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1 가요성 요소(75)는 배플(735A)과 배플(735B)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732A)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1 가요성 요소(75)의 일단이 제1 베이스(71)와 함께 움직일 때, 도 7b에 도시된 대로 제1 가요성 요소(75)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7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7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7e가 참조되고, 도 7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7)의 또 다른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작동과 대조적으로, 제1 베이스(71) 및 제2 베이스(7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71)는 제1 가요성 요소(7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1 가요성 요소(75)는 배플(735A) 및 배플(735B)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732A)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1 가요성 요소(75)의 일단이 제1 베이스(71)과 함께 움직일 때 제1 가요성 요소(75)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75)에 변형이 일어난다.
유사하게, 제1 베이스(71) 및 제2 베이스(7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제1 베이스(71)는 제2 가요성 요소(7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가요성 요소(77)가 배플(735B) 및 몸체(7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732B)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2 가요성 요소(77)의 일단이 제1 베이스(71)와 함께 움직임에 따라, 도 7b에 도시된 대로 제2 가요성 요소(77)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7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7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베이스(71) 및 제2 베이스(7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 제1 베이스(71)는 제2 가요성 요소(7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가요성 요소(77)는 배플(735B) 및 몸체(7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732B)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2 가요성 요소(77)의 일단이 제1 베이스(71)와 함께 움직일 때 제2 가요성 요소(77)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2 가요성 요소(77)에 변형이 일어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7f에 도시된 대로, 공간(732A)을 관통하는 제1 가요성 요소(75)의 일단은 멈춤 구조(stopping structure)(751)를 가진다. 제1 베이스(71) 및 제2 베이스(7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멈춤 구조(751)는 제1 가요성 요소(75)가 공간(732A)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플(735A)을 누른다. 유사하게, 공간(732B)을 관통하는 제2 가요성 요소(77)의 일단은 제2 가요성 요소(77)가 공간(732B)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플(735B)을 누르기 위한 멈춤 구조(미도시)를 가진다.
도 8a 내지 도 8c가 참조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8)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8)의 또 다른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8c는 도 8b의 I-I' 단면선을 따라 취한 액세서리(8)의 단면도이다. 액세서리(8)는 제1 베이스(81), 제2 베이스(83), 제1 가요성 요소(85), 및 제2 가요성 요소(8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요성 요소(85) 및 제2 가요성 요소(87)는 각각 제1 베이스(81)에 배치되고, 제1 베이스(81) 및 제2 베이스(83) 사이에 위치된다. 제1 가요성 요소(85)의 일단은 제1 베이스(81)의 일단(810)에 배치되고, 제2 가요성 요소(87)의 일단은 제1 베이스(81)의 타단(812)에 배치된다. 제2 베이스(83)는 수용 공간(830)을 가지고, 제1 베이스(81) 및 제2 베이스(83)가 인접할 때 제1 가요성 요소(85) 및 제2 가요성 요소(87)는 수용 공간(830) 내에 수용된다. 제2 베이스(83)는 몸체(833), 두 개의 측벽(834), 및 배플(835)을 가진다. 두 개의 측벽(834)은 몸체(833)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또한 몸체(833)와 함께 수용 공간(830)을 형성한다. 배플(835)은 두 개의 측벽(834)에 걸쳐 있고, 배플(835) 및 몸체(833)는 함께 공간(832)의 경계를 정한다.
제1 가요성 요소(85) 및 제2 가요성 요소(87)는 상호 중첩되면서 또한 공간(832)을 관통한다. 공간(832)에서, 제1 가요성 요소(85)는 배플(835) 및 제2 가요성 요소(87) 사이에 위치되고, 제2 가요성 요소(87)는 제1 가요성 요소(85) 및 몸체(833)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베이스(81)에 배치된 제1 가요성 요소(85)의 일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1 가요성 요소(85)의 타단은 제2 가요성 요소(87)를 향해 돌출된 제1 패스너(85P)를 가진다. 제1 베이스(81)에 배치된 제2 가요성 요소(87)의 일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가요성 요소(87)의 타단은 제1 가요성 요소(85)를 향해 돌출된 제2 패스너(87P)를 가진다.
도 8d가 참조되고, 도 8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8)의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81) 및 제2 베이스(8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81)는 제1 가요성 요소(8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1 가요성 요소(85)는 배플(835) 및 몸체(8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8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1 가요성 요소(85)의 일단이 제1 베이스(81)와 함께 움직임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대로 제1 가요성 요소(85)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8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8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8e가 또한 참조되고, 도 8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8)의 또 다른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작동과 대조적으로, 제1 베이스(81) 및 제2 베이스(8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81)는 제1 가요성 요소(8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1 가요성 요소(85)가 배플(835) 및 몸체(8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8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1 가요성 요소(85)의 일단이 제1 베이스(81)와 함께 움직일 때 제1 가요성 요소(85)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85)에 변형이 일어난다.
유사하게, 제1 베이스(81) 및 제2 베이스(8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제1 베이스(81)는 제2 가요성 요소(8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가요성 요소(87)가 배플(835) 및 몸체(8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8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2 가요성 요소(87)의 일단이 제1 베이스(81)와 함께 움직임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대로 제2 가요성 요소(87)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8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8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베이스(81) 및 제2 베이스(83)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 때, 제1 베이스(81)는 제2 가요성 요소(8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가요성 요소(87)가 배플(835) 및 몸체(8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8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2 가요성 요소(87)의 일단이 제1 베이스(81)와 함께 움직일 때 제2 가요성 요소(87)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구시키기 위해 제2 가요성 요소(87)에 변형이 일어난다.
이들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81) 및 제2 베이스(8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제1 가요성 요소(85)의 제1 패스너(85P) 및 제2 가요성 요소(87)의 제2 패스너(87P)는 제1 가요성 부재(85) 및 제2 가요성 요소(87)의 슬라이딩 동안 서로 접근하고, 제1 패스너(85P) 및 제2 패스너(87P)는 공간(832) 내에서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8c에 도시된 대로, 제1 패스너(85P)와 제2 패스너(87P)는, 제1 가요성 요소(85) 및 제2 가요성 요소(87)가 공간(83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832) 내에서 접하게 될 때 상호 맞춰질 수 있다.
도 9a 및 도 9b가 참조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9)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9)의 또 다른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액세서리(9)는 제1 베이스(91), 제2 베이스(93), 제1 가요성 요소(95), 및 제2 가요성 요소(9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요성 요소(95) 및 제2 가요성 요소(97)는 각각 제1 베이스(91)에 배치되고, 제1 베이스(91) 및 제2 베이스(93) 사이에 위치된다. 제1 가요성 요소(95)의 일단은 제1 베이스(91)의 일단(910)에 배치되고, 제2 가요성 요소(97)의 일단은 제1 베이스(91)의 타단(912)에 배치된다. 제2 베이스(93)는 수용 공간(930)을 갖고, 제1 베이스(91) 및 제2 베이스(93)가 인접할 때 제1 가요성 요소(95) 및 제2 가요성 요소(97)가 수용 공간(930) 내에 수용된다.
도 9c 내지 도 9e가 참조된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베이스(93)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9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요성 요소(97)와 맞물린 제2 베이스(93)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9e는 도 9b의 단면선 J-J'를 따라 취한 액세서리(9)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93)는 몸체(933), 두 개의 측벽(934), 및 배플(935)을 가진다. 두 개의 측벽(934)은 몸체(933)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또한 몸체(933)와 함께 수용 공간(930)을 형성한다. 배플(935)은 두 개의 측벽(934)에 걸쳐 있고, 배플(935) 및 몸체(933)는 함께 공간(932)의 경계를 정한다. 제1 가요성 요소(95) 및 제2 가요성 요소(97)는 공간(932)을 관통한다.
공간(932)에서, 제1 가요성 요소(95)는 배플(935) 및 제2 가요성 요소(97) 사이에 위치되고, 제2 가요성 요소(97)는 제1 가요성 요소(95) 및 몸체(933)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베이스(91)에 배치된 제1 가요성 요소(95)의 일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1 가요성 요소(95)의 타단은 배플(935)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패스너(95P)를 가진다. 제1 베이스(91)에 배치된 제2 가요성 요소(97)의 일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가요성 요소(97)의 타단은 몸체(933)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패스너(97P)를 가진다. 몸체(933)는 제2 패스너(97P)와 맞물리기 위한 트랙(933R)을 가진다. 트랙(933R)은 몸체(933) 내에 형성된 중공부 또는 몸체(933) 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트랙(933R)은 몸체(933)의 중공부에 형성된다.
도 9f가 참조되고, 도 9f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9)의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91) 및 제2 베이스(9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91)는 제1 가요성 요소(9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1 가요성 요소(95)가 배플(935) 및 몸체(9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9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1 가요성 요소(95)의 일단이 제1 베이스(91)와 함께 움직임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대로 제1 가요성 요소(95)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9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9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91) 및 제2 베이스(9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1 가요성 요소(95)의 제1 패스너(95P)는 공간(932) 내에서 제1 가요성 요소(95)의 슬라이딩 동안 배플(935)에 접근한다. 이와 같이, 도 9b에 도시된 대로, 배플(935)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패스너(95P)는, 제1 가요성 요소(95)가 공간(93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플(935) 측면 상에서 배플(935)에 접한다.
도 9g가 참조되고, 도 9g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9)의 또 다른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작동과 대조적으로, 제1 베이스(91) 및 제2 베이스(9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91)는 제1 가요성 요소(95)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1 가요성 요소(95)가 배플(935) 및 몸체(9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9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1 가요성 요소(95)의 일단이 제1 베이스(91)과 함께 움직일 때 제1 가요성 요소(95)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95)에 변형이 일어난다.
유사하게, 제1 베이스(91) 및 제2 베이스(9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제1 베이스(91)는 제2 가요성 요소(9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가요성 요소(97)가 배플(935) 및 몸체(9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9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2 가요성 요소(97)의 일단이 제1 베이스(91)와 함께 움직임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대로 제2 가요성 요소(97)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9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9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91) 및 제2 베이스(9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제2 가요성 요소(97)의 제2 패스너(97P)는 공간(932) 내에서 제2 가요성 요소(97)가 슬라이딩하는 동안 트랙(933R)을 따라 트랙(933R)의 일단에 접근한다. 이와 같이, 도 9d에 도시된 대로, 몸체(933)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패스너(97P)는, 제2 가요성 요소(97)가 공간(93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랙(933R) 상에서 트랙(933R)의 일단에 접한다.
이에 반해, 제1 베이스(91) 및 제2 베이스(9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 제1 베이스(91)는 제2 가요성 요소(97)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가요성 요소(97)는 배플(935) 및 몸체(9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9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2 가요성 요소(97)의 일단이 제1 베이스(91)와 함께 움직일 때, 제2 가요성 요소(97)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2 가요성 요소(97)에 변형이 일어나고 제2 패스너(97P)는 트랙(933R)을 따라 트랙(933R)의 타단을 향해 슬라이딩한다.
도 10a 내지 도 10c가 참조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10)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10)의 또 다른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각도로부터의 액세서리(10)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액세서리(10)는 제1 베이스(101), 제2 베이스(103), 및 지지 조립체(support assembly)를 포함한다. 지지 조립체는 지지 몸체(105A), 제1 가요성 요소(105B), 및 제2 가요성 요소(105C)를 포함한다. 지지 조립체는 제1 베이스(101)에 배치되고, 제1 베이스(101) 및 제2 베이스(103) 사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몸체(105A)는 제1 베이스(51)에 배치되고, 제1 가요성 요소(105B)는 지지 몸체(105A)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2 가요성 요소(105C)는 지지 몸체(105A)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2 베이스(103)는 수용 공간(1030)을 갖고, 제1 베이스(101) 및 제2 베이스(103)가 인접할 때 제1 가요성 요소(105B) 및 제2 가요성 요소(105C)가 수용 공간(1030) 내에 수용된다.
도 10d가 참조되고, 도 10b의 단면선 K-K'를 따라 취한 액세서리(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103)는 베이스 몸체(1033), 두 개의 측벽(1034), 및 배플(1035)을 가진다. 두 개의 측벽(1034)은 베이스 몸체(1033)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베이스 몸체(1033)와 함께 수용 공간(1030)을 형성한다. 배플(1035)은 두 개의 측벽(1034)에 걸쳐 있고, 배플(1035) 및 베이스 몸체(1033)는 함께 공간(1032)의 경계를 정한다. 제1 가요성 요소(105B) 및 제2 가요성 요소(105C)는 공간(1032)을 관통한다. 제1 가요성 요소(105B) 및 제2 가요성 요소(105C)는 제1 베이스(101) 및 제2 베이스(103) 사이의 거리의 변경에 기초하여 구부러진다.
도 10e가 참조되고, 도 10e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10)의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101) 및 제2 베이스(10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101)는 제1 가요성 요소(105B)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1 가요성 요소(105B)가 배플(1035) 및 베이스 몸체(10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10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1 가요성 요소(105B)의 일단이 제1 베이스(101)와 함께 움직임에 따라, 도 10b에 도시된 대로 제1 가요성 요소(105B)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10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10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0f가 참조되고, 도 10f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10)의 또 다른 작동 개략도를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작동과 대조적으로, 제1 베이스(101) 및 제2 베이스(10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화살표로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101)는 제1 가요성 요소(105B)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1 가요성 요소(105B)가 배플(1035) 및 베이스 몸체(10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10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1 가요성 요소(105B)의 일단이 제1 베이스(101)와 함께 움직일 때 제1 가요성 요소(105B)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1 가요성 요소(105B)에 변형이 일어난다.
유사하게, 제1 베이스(101) 및 제2 베이스(103)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때, 제1 베이스(101)는 제2 가요성 요소(105C)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당긴다. 제2 가요성 요소(105C)가 배플(1035) 및 베이스 몸체(10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10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2 가요성 요소(105C)의 일단이 제1 베이스(101)와 함께 움직임에 따라, 도 10b에 도시된 대로 제2 가요성 요소(105C)에 변형이 일어나고, 이러한 변형은 제1 베이스(101)의 일단 및 제2 베이스(103)의 일단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 베이스(101) 및 제2 베이스(10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때, 제1 베이스(101)는 제2 가요성 요소(105C)의 일단을 움직이도록 밀어낸다. 제2 가요성 요소(105C)가 배플(1035) 및 베이스 몸체(103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공간(1032)을 관통하기 때문에, 제2 가요성 요소(105C)의 일단이 제1 베이스(101)와 함께 움직일 때 제2 가요성 요소(105C)를 그것의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제2 가요성 요소(105C)에 변형이 일어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몸체(105A), 제1 가요성 요소(105B), 및 제2 가요성 요소(105C)는 독립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몸체(105A), 제1 가요성 요소(105B), 및 제2 가요성 요소(105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g에 도시된 대로, 지지 조립체는 제1 연결 요소(105D) 및 제2 연결 요소(105E)를 더 포함한다. 제1 가요성 요소(105B) 및 제2 가요성 요소(105C)와 지지 몸체(105A)의 연결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제2 연결 요소(105E)는 제1 가요성 요소(105B) 및 지지 몸체(105A) 사이의 조인트(joint)를 덮고, 제1 연결 요소(105D)는 제2 가요성 요소(105C) 및 지지 몸체(105A) 사이의 조인트를 덮는다. 일부 구현 예시에서, 연결 요소(105D, 105E)는 가요성 스트립 요소,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h 및 도 10i에 도시된 대로, 제1 베이스(101)는 지지 조립체의 지지 몸체(105A)를 수용하기 위한 홈(101R)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지지 조립체가 제1 베이스(101)에 배치될 때, 지지 몸체(105A)가 제1 베이스(101)의 홈(101R) 내에 배치되어서, 제1 베이스(101) 및 제2 베이스(103)가 서로 인접하는 동안 더 밀접하게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세서리의 패스너는 하나 이상의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고, 트랙은 패스너(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랙을 포함할 수 있고, 위의 실시예에서 주어진 값은 트랙(들) 또는 패스너(들)의 개수에 대한 제한을 부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위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현 형태의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동등한 배열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망라되며,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될 것이다.

Claims (20)

  1.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로서,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에 각각 배치된,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 - 여기서 상기 제1 가요성 요소는 제1 트랙을 갖고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는 제2 트랙을 가짐 -; 및
    상기 제1 트랙 및 상기 제2 트랙과 맞물리는 패스너(fastener)를 갖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가요성 요소는 상기 제1 트랙을 따른 상기 패스너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지고,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는 상기 제2 트랙을 따른 상기 패스너의 슬라이딩에 기초하여 구부러지는, 액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성 요소의 일단은 상기 제1 베이스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요성 요소의 일단은 상기 제1 베이스의 타단에 배치되는, 액세서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성 요소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는 상기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가 인접할 때, 상기 제1 가요성 요소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는 상기 제2 베이스의 수용 공간 내에 놓이는, 액세서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성 요소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는 상기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가 인접할 때, 상기 제1 가요성 요소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제2 수용 공간 내에 놓이는, 액세서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공간은 상기 제1 베이스 내에 형성된 제1 오목부(recess)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 공간은 상기 제2 베이스 내에 형성된 제2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2 오목부의 주변에 환형 돌출부를 담고, 상기 환형 돌출부는 상기 제1 베이스를 향해 돌출하며, 상기 제1 오목부는 환형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액세서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랙은 상기 제1 가요성 요소 내에 형성된 중공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랙은 상기 제2 가요성 요소 내에 형성된 중공 부분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제1 트랙 및 상기 제2 트랙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가요성 요소의 상기 중공 부분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의 상기 중공 부분을 관통하는, 액세서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는,
    몸체; 및
    배플(baffle)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몸체 및 상기 배플은 그들 사이의 공간의 경계를 정하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공간 내의 상기 배플에 배치되는, 액세서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랙은 상기 제1 가요성 요소 내에 형성된 중공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랙은 상기 제2 가요성 요소 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제1 트랙 및 상기 제2 트랙과 맞물리도록, 상기 제1 가요성 요소의 상기 중공 부분을 관통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2 가요성 요소의 상기 홈 내로 삽입되는, 액세서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는,
    몸체; 그리고
    배플(baffle)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몸체 및 상기 배플은 그들 사이의 공간의 경계를 정하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공간 내의 상기 배플에 배치되는, 액세서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포지셔닝 요소를 갖고, 상기 제2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포지셔닝 요소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포지셔닝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포지셔닝 요소는 상기 패스너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것인, 액세서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포지셔닝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포지셔닝 요소는 상기 패스너의 돌출부를 받아주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는, 액세서리.
  14.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로서,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에 각각 배치된, 제1 가요성 요소 및 제2 가요성 요소; 및
    몸체 및 배플(baffle)을 갖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몸체 및 상기 배플은 그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의 경계를 정하고, 상기 제1 가요성 요소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관통하고;
    상기 제1 가요성 요소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는 상기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기초하여 구부러지는, 액세서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요성 요소는 패스너(fastener)를 갖고,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는 트랙을 갖고, 상기 트랙은 상기 패스너와 맞물리는, 액세서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은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요성 요소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는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을 각각 관통하는, 액세서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가요성 요소는 상기 배플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가요성 요소의 일단은 상기 제1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요성 요소의 타단은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를 향해 돌출하는 제1 패스너를 갖고, 상기 제2 가요성 요소의 일단은 상기 제1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요성 요소의 타단은 상기 제1 가요성 요소를 향해 돌출하는 제2 패스너를 갖는, 액세서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가요성 요소는 상기 배플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가요성 요소의 일단은 상기 제1 베이스에 배치되고, 제1 가요성 요소의 타단은 상기 배플을 향해 돌출하는 제1 패스너를 갖고, 상기 제2 가요성 요소의 일단은 상기 제1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요성 요소의 타단은 상기 몸체를 향해 돌출하는 제2 패스너를 가지며, 상기 몸체는 상기 제2 패스너와 맞물리기 위한 트랙을 갖는, 액세서리.
  19.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로서,
    제1 베이스;
    지지 조립체 - 상기 지지 조립체는, 상기 제1 베이스에 배치된 지지 몸체;
    상기 지지 몸체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가요성 요소; 및 상기 지지 몸체의 타단에 연결된 제2 가요성 요소를 포함함 -; 및
    베이스 몸체 및 배플(baffle)을 갖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몸체 및 상기 배플은 그들 사이의 공간의 경계를 정하고, 상기 제1 가요성 요소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는 상기 공간을 관통하고;
    상기 제1 가요성 요소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는 상기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기초하여 구부러지는, 액세서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조립체는,
    상기 제1 가요성 요소 및 상기 지지 몸체 사이의 조인트를 덮는 제1 연결 요소; 및
    상기 제2 가요성 요소 및 상기 지지 몸체 사이의 조인트를 덮는 제2 연결 요소
    를 더 포함하는, 액세서리.
KR1020210141065A 2021-06-04 2021-10-21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 KR102556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120510 2021-06-04
TW110120510A TWI766717B (zh) 2021-06-04 2021-06-04 用於手持裝置之配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394A true KR20220164394A (ko) 2022-12-13
KR102556873B1 KR102556873B1 (ko) 2023-07-17

Family

ID=7771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065A KR102556873B1 (ko) 2021-06-04 2021-10-21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486532B1 (ko)
EP (1) EP4098926A1 (ko)
JP (1) JP3235994U (ko)
KR (1) KR102556873B1 (ko)
CN (1) CN115442990A (ko)
TW (1) TWI7667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6717B (zh) * 2021-06-04 2022-06-01 愛進化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手持裝置之配件
TWI805102B (zh) * 2021-11-30 2023-06-11 愛進化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一手持裝置之立架、包含該立架之保護殼及用以支撐一手持裝置之手段
TWI824762B (zh) * 2022-10-07 2023-12-01 愛進化科技股份有限公司 手持裝置之配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45715A1 (en) * 2015-06-01 2016-12-01 Flytech Technology Co., Ltd. Protective case
KR20170031782A (ko) * 2014-08-01 2017-03-21 알렌 히르쉬 모바일 장치를 고정하는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한 장치
US20180302114A1 (en) * 2017-04-13 2018-10-18 Gregory F. Nielsen Swivel Case For Phone
CN109008099A (zh) * 2018-06-21 2018-12-18 歌尔科技有限公司 防脱落腕带设备及具有该设备的儿童智能手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5854A1 (en) * 2007-09-06 2009-04-16 Paul Wilbur Forbes Formable Stand System
CN102022603A (zh) 2009-09-10 2011-04-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架
US8428664B1 (en) * 2010-02-27 2013-04-23 Philip W. Wyers Case assembly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10800024B2 (en) * 2010-08-19 2020-10-13 Michael Shayne KARMATZ Compacting grip for handheld devices
US8567832B2 (en) * 2011-01-24 2013-10-29 Robert E. Kannaka Hand grip for electronic devices
US8950638B2 (en) * 2012-09-25 2015-02-10 Loopy Cases Llc Finger loop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KR101433358B1 (ko) * 2012-10-12 2014-08-25 기희창 보관함을 갖는 핸드폰 케이스
GB201307605D0 (en) * 2013-04-26 2013-06-12 Safetray Products Ltd Stabilising Device
US20150335138A1 (en) * 2014-05-23 2015-11-26 Charles D. Juarbe Carrying Case Assembly
JP2016173459A (ja) * 2015-03-17 2016-09-29 ヤマハ株式会社 物品のスタンド構造
US10237384B2 (en) * 2016-03-09 2019-03-19 Josh Holder Hands-free mount for mobile devices
KR101705819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푸시
WO2020009795A1 (en) 2018-07-03 2020-01-09 Popsockets Llc Collapsable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20009820A1 (en) * 2018-07-06 2020-01-09 Popsockets Llc Slidable or rotatable grip accessory on the back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202018005699U1 (de) * 2018-12-10 2019-01-07 Andre Bar Aufklappbare Halteriemen für handgehaltene Geräte
US10774871B1 (en) * 2019-03-15 2020-09-15 Quest Usa Corp. Sliding hinge collapsible discs
US11274697B2 (en) * 2019-03-15 2022-03-15 Ikey Srour Flexible flange collapsible discs
USD905040S1 (en) * 2019-08-22 2020-12-15 Catalyst Medium Four, Inc.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10855821B1 (en) * 2019-08-30 2020-12-01 Superior Communications, Inc. Mobile device stand
KR102090540B1 (ko) * 2020-01-07 2020-05-15 여창기 휴대폰용 홀더
CN212086269U (zh) * 2020-05-20 2020-12-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保护壳
EP4231872A1 (en) * 2020-10-21 2023-08-30 Black Jet Innovations, Inc. Mobile device grip and stand
US20220304457A1 (en) * 2021-03-29 2022-09-29 Otter Products, Llc Collapsible and extendable device grip
TWI766717B (zh) * 2021-06-04 2022-06-01 愛進化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手持裝置之配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782A (ko) * 2014-08-01 2017-03-21 알렌 히르쉬 모바일 장치를 고정하는 사용자를 보조하기 위한 장치
US20160345715A1 (en) * 2015-06-01 2016-12-01 Flytech Technology Co., Ltd. Protective case
US20180302114A1 (en) * 2017-04-13 2018-10-18 Gregory F. Nielsen Swivel Case For Phone
CN109008099A (zh) * 2018-06-21 2018-12-18 歌尔科技有限公司 防脱落腕带设备及具有该设备的儿童智能手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02651B2 (en) 2023-10-31
EP4098926A1 (en) 2022-12-07
JP3235994U (ja) 2022-01-20
TW202248792A (zh) 2022-12-16
US20230009175A1 (en) 2023-01-12
US20240011597A1 (en) 2024-01-11
KR102556873B1 (ko) 2023-07-17
US11486532B1 (en) 2022-11-01
TWI766717B (zh) 2022-06-01
CN115442990A (zh)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6873B1 (ko) 핸드헬드 기기를 위한 액세서리
US11503884B2 (en) Mounting and locking mechanism, casing, and wearable device
US6705890B2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connector housing structure
US7523528B2 (en) Thumb release mounting apparatus
US7647676B2 (en) Thumb release mounting apparatus
US7677920B2 (en) Adapter capable of storing and positioning cables, and adapter having a cable organizing device
US7571522B2 (en) Quick draw cradle apparatus
US20050122669A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and sliding mechanism thereof
JP2007065443A (ja) レンズカバー構造
CN112130620A (zh) 卷折拉伸定位结构及使用其的电子装置
US20210028807A1 (en) Mobile phone holder with sliding opening
US7055979B2 (en) Lantern detachable cap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JP2001297307A (ja) アダプタおよび電子カードモジュール
JP2003232309A (ja) 保持具
US7957782B2 (en) Binding strap used in connection with SpO2 sensor
US20080070630A1 (en) Mobile phone and information store card drawing mechanism
JPH0210747Y2 (ko)
KR20030007763A (ko) 수납 케이스
US3606554A (en) Ball-point pen
CN205595546U (zh) 一种连接器的卡合装置及电子设备
JP4343779B2 (ja) 光受信機における光ケーブル挿通路
US20080142664A1 (en) Supports for electronic devices
KR200189231Y1 (ko) 비디오용 자기헤드
JPH08101282A (ja) 蓋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