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359A -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 Google Patents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359A
KR20220164359A KR1020210073041A KR20210073041A KR20220164359A KR 20220164359 A KR20220164359 A KR 20220164359A KR 1020210073041 A KR1020210073041 A KR 1020210073041A KR 20210073041 A KR20210073041 A KR 20210073041A KR 20220164359 A KR20220164359 A KR 20220164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rainage tube
hole
binding
suture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926B1 (ko
Inventor
김윤근
김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킴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킴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킴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7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2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5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with 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handl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1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 A61M1/912Connectors between dressing and drainage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1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 A61M1/917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whole bod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2017/081Tissue approxim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12Plasters use for use with needles, tubes or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51Plasters use for surgical sutures, e.g. butterfly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fixed on the skin having a cover for covering the hol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6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 A61M2025/027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using pads, patches, tapes or the like having slits to place the pad around a catheter puncturing site

Abstract

본 발명은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액관 제거 후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기 위한 피부봉함 유지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SURGICAL SKIN CLOSURE HAVING DRAIN TUBE FIXATION}
본 발명은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액관 제거 후 절개된 피부를 봉합하기 위한 피부봉함 유지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술에 의한 피부의 절개부위나 피부가 찢어져서 생긴 열상부위 및 피부가 칼에 의해 베어지거나 찔려서 생긴 창상부위 등과 같이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는, 벌어진 경계부분을 통한 과출혈방지, 벌어진 경계부분의 세균감염방지 등을 위하여 봉합해야 한다.
이처럼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를 봉합하기 위해서는 통상 봉합사를 이용하여 봉합하거나 피부 스테이플러(skin stapler)를 이용하여 봉합하고 있다. 봉합사를 이용하여 피부가 벌어진 상처부위의 벌어진 경계부분을 봉합하는 경우는 의사의 숙련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봉합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으며, 봉합사나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는 두 경우 모두 치료 후 봉합부분에 흉터가 남는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배액관을 제거한 후에는 배액관에 의해 생성되는 천공부위를 봉합하게 되는데, 이 천공 부위를 봉합사 또는 피부 스테이플러를 사용하여 봉합할 경우 추가로 천공을 만들게 되어 감염의 위험이 높고, 흉터가 남아 미용면에서 불리하며, 봉합사나 피부 스테이플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50604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액관을 고정함과 동시에, 배액관 제거시 별도의 봉합사 또는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지 않고, 배액과 제거와 동시에 피부를 봉합할 수 있는 피부봉합 유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는 중심부에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링(ring)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링(ring) 부재 양측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부재를 구비하는 결속부재; 상기 결속부재 상면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상기 체결부재 상면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제3 관통홀을 구비하며 배액관을 고정시키는 본체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 상면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제4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결속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기 본체부재를 체결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링 부재는 탄성 재질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길이부재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길이부재 상에 배치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면의 후면부에 상기 결속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길이부재가 안착되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후면부의 두께 방향으로 음각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부재와 맞물리도록 복수 개의 톱니홈을 구비하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와 결착가능한 결착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제3 관통홀 내에 위치하는 배액관 가이드 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는 본체면의 상향으로 배치되는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3 관통홀 외주면을 따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배액관 타이 케이블을 수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제1 측면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배액관 타이 케이블를 결속시키는 타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결착개구부와 끼움결합 하는 결착구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착구는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는 상기 결속부재 저면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배액관 공을 구비하는 부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부착패드는 상기 배액관 공 양측으로 구비되는 절취 가능한 결합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패드는 상기 길이부재의 압착에 따라 상기 배액관 공으로 압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액관 삽입 후 제거하는 경우 발생되는 피부의 천공 부위를 별도의 봉합사나 피부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지 않고 바로 피부를 봉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액관 제거 후 별도의 배액과 고정장치를 제저하지 않으므로, 피부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외부 노출에 따른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의 구성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봉합 유지기(10)와 배액관(20)의 실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c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배면 사시도이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부재의 작동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부재 상의 스토퍼 부재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부재 상의 스토퍼 부재의 정면 사시도의 확대도이다.
도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부재 상의 스토퍼 부재의 배면 사시도의 확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정면도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배면도이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결속부재와 지지부재의 결합모식도이다.
도 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걸림홈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타이 케이블이 구비된 본체부재의 실시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재의 타이 걸림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타이 케이블의 정면도이다.
도 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타이 케이블의 배면도이다.
도 4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타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사시도이다.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타이가 적용된 커버부재의 실시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본체부재 및 커버부재의 결합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본체부재 및 커버부재의 결합시 커버부재의 작동례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본체부재 및 커버부재의 결합 이후의 구성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패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패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패드 및 보조시트의 결합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시트의 구성도이다.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시트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를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의 구성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봉합 유지기(10)와 배액관(20)의 실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10)는 결속부재(100); 결속부재(100)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200); 지지부재(200) 상면에 배치되는 본체부재(300); 본체부재(300)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부재(400)를 포함하며, 결속부재(100) 저면에 배치되는 부착패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관통홀(110), 제2 관통홀(220), 제3 관통홀(320), 제4 관통홀(420) 및 배액관 공(520)을 중점을 공유하는 동심원(concentric circle)의 형상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23c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2a 및 도 2d를 참조하면, 결속부재(100)는 중심부에 제1 관통홀(110)을 형성하는 링(ring) 부재(120)를 포함하며, 링 부재(120)의 양측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부재(130, 140)을 포함하며, 길이부재(130, 140)는 제1 길이부재(130)와 제2 길이부재(140)로 구성될 수 있다.
결속부재(100)는 환자로부터 배액관(20)을 제거한 후 피부를 봉합하기 위한 것이며, 길이부재(130, 140)의 양단을 압축하는 외력을 가함으로써 배액관(20)의 삽관되어 절개된 피부를 밀착시켜 봉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 관통홀(110)은 배액관(20)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원(circle)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부재의 작동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2e를 참조하면, 제1 관통홀(110)은 링(ring) 부재(120)에 의하여 형성되며, 링(ring) 부재(12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외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으며, 링(ring) 부재(120)를 압축하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링(ring) 부재(120)는 압착되어 제1 관통홀(110)의 형상을 타원의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것일 수 있다.
길이부재(130)는 막대(stick) 형상 또는 스트랩(strap) 형상의 부재로서, 소정의 길이; 소정의 폭; 및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부재일 수 있다.
길이부재(130, 140)은 링(ring) 부재(12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 길이부재(130)와 링(ring) 부재(12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길이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1 길이부재(130)와 제2 길이부재(140)는 서로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길이부재(130)와 제2 길이부재(140)의 각각 링 부재(120)의 양측(일측 및 타측)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길이부재(130)와 제2 길이부재(140)를 통하여 링 부재(120)에 외력이 전달될 수 있으며, 압축하는 외력이 제1 길이부재(130)와 제2 길이부재(140)를 통하여 전달됨으로써 링 부재(120)는 압착되는 것일 수 있다.
길이부재(130, 140)는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슬리이딩 홈(131, 141)을 포함하며, 슬라이딩 홈(131, 141)은 길이부재(130, 140)의 직선 운동의 가이드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길이부재(130)는 길이방향의 양측면으로 2개의 슬라이딩 홈(131a, 131b)를 포함하며, 제2 길이부재(140)는 길이방향의 양측면으로 2개의 슬라이딩 홈(141a, 141b)를 포함한다.
길이부재(130, 140)는 길이방향의 말단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가압면(132, 142)을 포함하며, 가압면(132, 142)을 통하여 길이부재(130, 140)를 압축하는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가압면(132, 142)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결속부재(100)는 길이부재(130, 140) 상에 배치되는 스토퍼 부재(150, 160)를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길이부재(130) 상에 배치되는 제1 스토퍼부재(150), 제2 길이부재(140) 상에 배치되는 제2 스토퍼 부재(160)를 포함한다.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부재 상의 스토퍼 부재의 단면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f를 참조하면, 스토퍼 부재(150, 160)는 길이부재(130, 140)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스토퍼 부재(150, 160)는 길이부재(130, 140)의 저면(131, 141)과 연동되는 것이다.
스토퍼 부재는(150, 160)는 상측부(151, 161); 연결부(152, 162); 및 하측부(153, 163)로 구성되며, 하측부(153, 163)는 길이부재(130, 140)의 저면(131, 141)과 연결되는 것이며, 연결부(152, 162)는 하측부(151, 161)와 상측부(151, 161)를 연결한다.
하측부(153, 163)는 상측부(151, 161)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평면이며, 연결부(152, 162)는 하측부(153, 163)와 상측부(151, 161)을 연결하기 위하여 수직면이며, 상측부(151, 161)는 하측부(153, 163)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평면이다.
스토퍼 부재(150, 160)는 상측부(151, 161) 상의 일면에는 구비되는 톱니 형상을 갖는 걸림쇠(154, 16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측부(151, 161) 상의 타면에 구비되는 상향 돌출된 스토퍼 걸림턱(155, 165)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림쇠(154, 164)는 제1 스토퍼 부재(150)는 톱니 형상을 가지는 1 이상의 제1 걸림쇠(154)는 포함하며, 제2 스토퍼 부재(160)는 톱니 형상을 가지는 1 이상의 제2 돌출부(164)를 포함한다.
걸림쇠(154, 164)는 링 부재(120) 방향으로 빗면(154a, 164a)을 구비하며, 링 부재(120)의 반대 방향으로 수직면(154b, 164b)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길이부재(130, 140)에 대하여 링 부재(120)를 압착시키기 위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걸림쇠(154, 164)의 빗면(154a, 164a)으로 인하여 길이부재(130, 140)의 링 부재(120) 방향으로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으나, 걸림쇠(154, 164)의 수직면(154b, 164b)의 링 부재(120)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 부재(150, 160)는 탄성 재질일 수 있으며, 걸림쇠(154, 164)가 지지부재(200)의 누름쇠(2)와의 결속으로 인하여 스토퍼 부재(150, 160)의 아래로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부재 상의 스토퍼 부재의 정면 사시도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부재 상의 스토퍼 부재의 배면 사시도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g 및 도 2h를 참조하면, 스토퍼 부재(150, 160)는 연결부(152, 162)와 하측부(153, 163)에 접합되는 제1 스토퍼 지지부(156, 166)를 포함하며, 상측부(151, 161)와 연결부(152, 162)에 접합되는 제2 스토퍼 지지부(157, 167)를 포함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배면도이며,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결속부재와 지지부재의 결합모식도이며, 도 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걸림홈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0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지지면(210)을 포함하며, 지지면(21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2 관통홀(220)을 포함한다.
지지부(200)는 원(circle)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면(210)은 원(circle)의 면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제2 관통홀(220)은 배액관(20)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원(circle)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배액관(20)이 지지면(210)을 관통할 수 있는 개구부일 수 있다.
지지부재(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며, 지지부(200)의 측면부(230)를 포함하며, 측면부(230)의 하측에는 측면부(230)의 상측보다 돌출된 지지대(231)을 포함한다.
측면부(230)는 결속부재(100)의 길이부재(130, 140)가 수용되는 개구부(232, 233)를 포함하며, 개구부(232, 233)는 서로 동일선 상에 배치되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개구부(232) 제2 개구부(23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200)는 지지면(210)의 후면부(210b)에는 결속부재(100)를 수용하는 수용홈(240)을 포함하며, 수용홈(240)은 지지면(210)의 후면 중심부에 제2 관통홀(220) 보다 단축 지름이 큰 타원 형상의 메인홈(241); 및 상기 타원 메인홈(241)의 단축 지름을 축으로 하여 메인홈(241)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길이부재홈(242, 243)을 포함한다.
메인홈(241)은 결합부재(100)의 링 부재(12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메인홈(241)의 깊이는 결합부재(100)의 두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긴 것일 수 있다.
길이부재홈(242, 243)는 결합부재(100)의 길이부재(130, 14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길이부재홈(242, 243)의 깊이는 결합부재(100)의 두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긴 것일 수 있다.
도 3d 및 도 3e를 참조하면, 수용홈(240)은 길이부재홈(242, 243)의 내측벽에 대하여 결속부재(100)의 길이부재(130, 140)가 안착될 수 있는 가이드 돌출부(244, 245)를 포함하며, 가이드 돌출부(244, 245)는 길이부재(130, 140)의 슬라이딩 홈(131a, 141a)과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f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00) 상의 가이드 돌출부(244, 245)와 결속부재(100)의 슬라이딩 홈(131, 141)이 맞물려 결합하도록 하여, 지지부재(200)와 결속부재(1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g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00)는 후면부(210b)에 대하여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250, 260)을 포함하며, 걸림홈(250, 260)은 스토퍼 부재(150, 160)가 결속되는 것으로, 걸림홈(250, 260)은 길이부재홈(242, 243) 상의 후면부(210b)의 두께 방향으로 음각 형상일 수 있으며, 걸림홈(250, 260)은 톱니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톱니 홈(251, 261)을 포함한다.
톱니홈(251, 261)은 제2 관통홀(220) 방향으로 수직면(251a, 261a)을 가지는 것이며, 제2 관통홀(220) 반대방향으로 빗면(251b, 261b)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톱니홈(251, 261)은 스토퍼 부재(150, 160)의 걸림쇠(154, 164)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길이부재(130, 140)의 대칭 압축의 움직임은 허용하나, 압축 이전으로 되돌아가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지지부재(200)는 커버부재(400)와 결착가능한 결착개구부(270)을 포함하며, 결착개구부(270)는 커버부재(400)의 결합부재(440)가 수용될 수 있으며, 결착개구부(270)는 지지면(210)의 전면부(210a)와 하면부(210b)를 관통하는 개구부의 형태이다.
결착개구부(270)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제1 결착개구부(270a)과 제2 결착개구부(270b)을 포함한다. 결착개구부(270)은 후크 형상의 결착구(441)가 고정될 수 있는 후크 걸림턱(27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크 걸림턱은 커버부재(400)의 결착구(441)와 결속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타이 케이블이 구비된 본체부재의 실시도이며,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재의 타이 걸림부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타이 케이블의 정면도이며, 도 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타이 케이블의 배면도이며, 도 4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타이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체부재(30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본체면(310)을 포함하며, 본체면(31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3 관통홀(320)을 포함한다.
본체면(3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본체면(310)은 본체 상면(311)과 본체 저면(312)의 높이 차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본체 상면(311)과 본체 저면(312)을 연결하는 본체 측면(313)을 포함하며, 본체 저면(312)은 본체면(310)의 저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단차부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체면(310)은 외측으로 양단에 본체면(310)의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내측홈(314)을 포함한다. 내측홈(314)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제1 내측홈(314a) 및 제2 내측홈(314b)을 포함한다. 내측홈(314)은 결합부(400)의 결합부재(4)의 폭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제1 내측홈(314) 및 제2 내측홈(314)은 커버부재(400)의 체결부(440)가 인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3 관통홀(320)은 배액관(20)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원(circle)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배액관(20)이 본체면(310)을 관통할 수 있는 개구부일 수 있다.
본체부재(300)는 제3 관통홀(320) 내에 위치하며, 제3 관통홀(320)과 중점을 공유하는 동심원인 배액관 가이드공(321)을 포함하며, 배액관 가이드공(321)을 형성하는 가이드부(330)포함한다. 배액관 가이드공(321)은 제3 관통홀(320) 보다 직경이 작은 것일 수 있으며, 가이드부(330)는 고리(ring)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본체부재(300)는 가이드부(330)과 본체면(310)을 연결하는 지지대(340)을 포함한다. 지지대(340)는 제1 지지대(341), 제2 지지대(342), 제3 지지대(343)을 포함하며, 제1 지지대(341), 제2 지지대(342), 제3 지지대(343)는 각각 가이드부(330)의 외주면과 제3 관통홀(320)의 내주면을 연결하며, 제1 지지대(341), 제2 지지대(342), 제3 지지대(343)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가이드부(33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본체부재(300)는 본체면(310)의 상향으로 배치되는 제1 측벽(350) 및 제2 측벽(360)을 포함하며, 제1 측벽(350)과 제2 측벽(360)은 제3 관통홀(32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제1 측벽(350)의 일단(351)과 제2 측벽(360)의 일단(361)은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제1 측벽(350)의 타단(352)과 제2 측벽(360)의 타단(362)은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된다. 제1 측벽(350)의 일단(351)과 제2 측벽(360)의 일단(361)이 형성하는 소정의 간격은 제3 관통홀(32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며, 제1 측벽(350)의 일단(351)과 제2 측벽(360)의 일단(361)은 각각 본체면(310)의 일측으로 연장된다. 제1 측벽(350)의 타단(352)과 제2 측벽(360)의 타단(362)이 형성하는 소정의 간격은 제3 관통홀(32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며, 제1 측벽(350)의 타단(352)과 제2 측벽(360)의 타단(362)은 각각 본체면(310)의 타측으로 연장된다.
본체부재(300)는 제1 측벽(350)의 일단(351)과 제1 측벽(350)의 타단(352)에 구비되는 타이 고정부(370)를 포함한다. 타이 고정부(370)는 배액관 타이 케이블(390)을 결속시키는 것일 수 있다.
타이 고정부(370)는 제1 측벽 일단(351)의 내측벽(351a)과 제1 측벽 타단(352)의 내측벽(352a)에 각각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타이 고정부(370)는 제1 측벽 일단(351)의 내측벽(351a)에 배치되는 제1 타이 고정부(371) 및 제1 측벽 타단(352)의 내측벽(352a)에 배치되는 제2 타이 고정부(372)로 구성된다.
제1 타이 고정부(371)의 일단(371a)은 제1 측벽 일단(351)의 내측벽(351a)에 접합되며, 제1 타이 고정부(371)의 타단(371b)은 제1 측면 일단(351)의 내측벽(351a)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타이 고정부(372)의 일단(372a)은 제1 측벽 타단(352)의 내측벽(352a)에 접합되며, 제2 타이 고정부(372)의 타단(372b)은 제1 측면 타단(352)의 내측벽(352a)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타이 고정부(370)는 톱니 형상을 가지는 타이 걸림부(371c, 372c)를 각각 포함한다.
본체부재(300)는 본체면(310)의 상면에 배치되며 커버부재(400)과 결속 가능한 복수개의 상향 돌출부(380)를 포함하며, 상향 돌출부(380)는 제1 상향 돌출부(381); 제2 상향 돌출부(382); 제3 상향 돌출부(383); 및 제4 상향 돌출부(384)를 포함한다. 제1 상향 돌출부(381); 제2 상향 돌출부(382); 제3 상향 돌출부(383); 및 제4 상향 돌출부(384)는 원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본체부재(300)는 타이 고정부(370)에 결속되어 배액관(20)을 고정하는 배액관 타이 케이블(390)을 포함한다.
배액관 타이 케이블(390)은 유연 소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의 스트랩 부재(391)를 포함하며, 스트랩 부재(391)의 일면(391a)에 타이 걸림부(371c, 372c)의 결속될 수 있는 톱니 형상의 타이 스토퍼(392)를 포함한다.
배액관 타이 케이블(390)은 양단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손잡이부(39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액관 타이 케이블(39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관통부(39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통부(394)는 배액관 타이 케이블(380)을 일단을 관통시켜 배액관(20)을 둘러쌓을 수 있도록 하는 고리 형상의 배액관 타이 케이블(390)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배액관 타이 케이블(390)은 스트랩 부재(391)의 타면(391b) 배치되는 케이블 돌출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배면도이며,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사시도이며,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타이가 적용된 커버부재의 실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커버부재(40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덮개면(410)을 포함하며, 덮개면(41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제4 관통홀(420)을 포함한다.
제4 관통홀(420)은 배액관(20)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원(circle)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배액관(20)이 상부면(410)을 관통할 수 있는 개구부일 수 있다.
커버부재(400)은 덮개면(410)의 외주면을 따라 덮개면(410)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벽(430)을 포함한다.
커버부재(400)은 덮개면(410)의 외측에서 덮개면(410)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측벽(430)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체결부(440)는 덮개면(410)의 양측부에 구비되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에 제1 체결부(440a) 및 제2 체결부(440b)를 포함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본체부재 및 커버부재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체결부(440)는 결합홈(270)과 결착되는 것이며, 결합홈(270)과 결착을 위하여 결착구(4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착구(441)를 통하여 결착개구부(270)와 끼움결합하는 것일 수 있으며, 결착구(441)는 결착개구부(270)와 유기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결착개구부(270)와의 결합을 통하여 지지부재(200), 본체부재(300) 및 커버부재(400)를 결속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착구(441)는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결착구(441)는 본체부재(200)의 내측홈(314)에 인입되고, 지지부재(200)의 결착개구부(270)에 삽입 결합되어, 지부재(200), 본체부재(300) 및 커버부재(400)를 결속할 수 있다.
체결부(440)는 외측면에 대하여 가압면(442)을 더 포함하며, 제1 가압면(442a)과 제2 가압면(442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400)는 탄성 재질일 수 있으며, 가압면(442)에 대하여 외력이 가해지면 결착개구부(270)와 끼움결합된 결착구(411)의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를 결착개구부(270)로부터 후퇴시켜 커버부재(400)과 지지부(200)의 결착을 해체할 수 있다.
커버부재(400)는 배액관(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띠 형상의 보조타이(30)가 관통할 수 있는 덮개면(4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체결고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400)는 덮개면(410)의 저면부(410b)에 배치되며 상향 돌출부(38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을 제공하는 체결홈(460)을 포함한다. 체결홈(460)은 제1 체결홈(461); 제2 체결홈(462); 제3 체결홈(463); 및 제4 체결홈(46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홈(461); 제2 체결홈(462); 제3 체결홈(463); 및 제4 체결홈(464)는 결합공이 육각형일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패도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패드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패드 및 보조시트의 결합도이며,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시트의 구성도이며,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시트의 상세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부착패드(50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부착면(510)을 포함하고, 부착면(510) 중심부에 구비되는 배액관 공(520)을 포함한다.
배액관 공(520)은 제1 관통홀(110), 제2 관통홀(220), 제3 관통홀(320), 제4 관통홀(420)과 중점을 공유하는 동심원일 수 있으며, 배액관 공(520)은 배액관(20)이 부착면(510)을 관통할 수 있는 개구부일 수 있다.
부착패드(500)는 배액관 공(520) 양측으로 구비되는 절취 가능한 결합패드(530)를 포함한다.
결합패드(530)는 결속부재(100)의 길이부재(130, 140)가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며, 길이부재(130, 140)에 대하여 가압되는 외력에 의하여 길이부재(130, 140)의 움직임에 따라 결합패드(530)가 압착되도록 이동되는 것일 수 있으며, 결합패드(530)의 압착에 따라서, 배액관(20)의 제거에 따라 형성되는 피부의 천공(절개) 부위를 밀착하여 피부의 천공(절개) 부위가 봉합되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부착배드(500) 부착면(510) 저면에 구비되는 보조시트(540)를 포함한다. 보조시트(540)는 부착면(510)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인 것일 수 있다.
보조시트(540)는 2 개의 단위시트(541, 542)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제1 단위시트(541)와 제2 단위시트(542)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것이며 각각 중심부에 시트공(543a, 543b)를 포함한다. 제1 단위시트(541)와 제2 단위시트(542)는 각각 중앙선(“C”)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서로 중앙선(“C”)이 맞닿도록 접합된 것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 단위시트(541)와 제2 단위시트(542) 각각의 중심부의 시트공(543a, 543b)의 접합으로 인하여 배액관 보조공(543)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시트(540)는 부착시트(500)를 인간의 피부에 부착하시 전에 부착시트(5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고,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피부봉합 유지기
100: 결속부재
200: 지지부재
300: 본체부재
400: 커버부재
500: 부착패드

Claims (16)

  1. 중심부에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링(ring)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링(ring) 부재 양측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부재를 구비하는 결속부재;
    상기 결속부재 상면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상기 체결부재 상면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제3 관통홀을 구비하며 배액관을 고정시키는 본체부재; 및
    상기 결속부재 상면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제4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결속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기 본체부재를 체결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탄성 재질인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길이부재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길이부재 상에 배치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면의 후면부에 상기 결속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길이부재가 안착되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후면부의 두께 방향으로 음각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부재와 맞물리도록 복수 개의 톱니홈을 구비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와 결착가능한 결착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제3 관통홀 내에 위치하는 배액관 가이드 공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는 본체면의 상향으로 배치되는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3 관통홀 외주면을 따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배액관 타이 케이블을 수용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제1 측면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배액관 타이 케이블를 결속시키는 타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결착개구부와 끼움결합 하는 결착구가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는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 저면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배액관 공을 구비하는 부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패드는 상기 배액관 공 양측으로 구비되는 절취 가능한 결합패드를 포함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패드는 상기 길이부재의 압착에 따라 상기 배액관 공으로 압착되는 것인,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KR1020210073041A 2021-06-04 2021-06-04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KR10261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041A KR102616926B1 (ko) 2021-06-04 2021-06-04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041A KR102616926B1 (ko) 2021-06-04 2021-06-04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359A true KR20220164359A (ko) 2022-12-13
KR102616926B1 KR102616926B1 (ko) 2023-12-21

Family

ID=8443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041A KR102616926B1 (ko) 2021-06-04 2021-06-04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9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500B1 (ko) * 2015-07-13 2016-05-10 아성양행 주식회사 개량된 피부 스트레칭 폐쇄 장치
KR101948281B1 (ko) * 2018-11-14 2019-02-14 조설학 의료용 배액관 고정장치
KR102239889B1 (ko) * 2021-02-03 2021-04-13 주식회사 디픽스 배액관 고정기능을 갖는 피부 봉합 유지기
KR20210050604A (ko) 2019-10-28 2021-05-10 (주)픽스앤케어 의료용 튜브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500B1 (ko) * 2015-07-13 2016-05-10 아성양행 주식회사 개량된 피부 스트레칭 폐쇄 장치
KR101948281B1 (ko) * 2018-11-14 2019-02-14 조설학 의료용 배액관 고정장치
KR20210050604A (ko) 2019-10-28 2021-05-10 (주)픽스앤케어 의료용 튜브고정장치
KR102239889B1 (ko) * 2021-02-03 2021-04-13 주식회사 디픽스 배액관 고정기능을 갖는 피부 봉합 유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926B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7114B2 (en) Expandable surgical access port
ES2761251T3 (es) Dispositivo de grapado circular que incluye material de refuerzo
US9622784B2 (en) Locking member for a bone fixation device
ES2629215T3 (es) Dispositivo quirúrgico endoscópico para sutura en bolsa de tabaco
JP5080253B2 (ja) 隣接する骨板を固定するためのインプラント
KR101619500B1 (ko) 개량된 피부 스트레칭 폐쇄 장치
US9259212B2 (en) Vascular wound closing apparatus and method
WO2005117726A3 (en) A surgical device for capturing, positioning and aligning portions of a horizontally severed human sternum
JP2019515711A (ja) 橈骨および尺骨圧迫バンド
AU2005279860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osing a tissue opening
JP2004504883A (ja) 頭蓋弁締め具及び該締め具用器具
EP2629680B1 (en) Wound clamp
JP2011036654A (ja) バットレス材料を保持する縫合糸のクリンプおよび解放
KR101758236B1 (ko) 의료용 피부 봉합구
EP2667786A2 (en) Vascular wound clos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6090845A1 (zh) 一次性包皮环切吻合器
TW20093033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tures using self adhesive pads with anchors
RU2381756C1 (ru) Сшивающий аппарат
KR20220021197A (ko) 외과 수술용 피부 봉합기
KR20180124358A (ko) 배액관 고정용 피부 봉합 유지기
KR20220164359A (ko) 배액관 고정이 가능한 피부봉합 유지기
JP2017148356A (ja) 止血器
EP2615983A1 (en) Lattice stitch and surgical tension limiting device
US10213194B2 (en) Surgical retraction systems including sternal retractors and hemostatic inserts
KR20150105757A (ko) 피부 봉합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