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353A -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353A
KR20220164353A KR1020210073021A KR20210073021A KR20220164353A KR 20220164353 A KR20220164353 A KR 20220164353A KR 1020210073021 A KR1020210073021 A KR 1020210073021A KR 20210073021 A KR20210073021 A KR 20210073021A KR 20220164353 A KR20220164353 A KR 20220164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liver
extract
liver
composition
tur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재
전수화
차민석
전우진
박정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에스디씨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에스디씨,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에스디씨
Priority to KR102021007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4353A/ko
Publication of KR20220164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합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인간 간암 세포주를 이용한 지방간 억제 in vitro 실험(실험예 1)뿐만 아니라 지방간 유도 마우스를 이용한 지방간 억제 실험 (실험예 2)를 통하여 본 발명 조합의 강력한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확인하여,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치료 및 예방용 식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의약외품 등의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bined herbal extract consisting of Curcuma longa Linne and Citrus junos Tanaka for hepato-protective activity and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본 발명은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Mun, JE. et al. J Med Food 22(12), 1262-1270, 2019
[문헌 2] Mun, JE. et al. Nutrients 11, 2536; doi:10.3390/nu11102536, 2019
[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 10-2019-0142674호
[문헌 4] 한국공개특허 10-2006-0054339호
[문헌 5] 한국공개특허 10-2019-0125735호
[문헌 6] 한국 등록특허 제10-2112599호
[문헌 7] 한국 등록특허 제10-0854403호
[문헌 8]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6-0112032호
[문헌 9]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8-0107207호
[문헌 10]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3544호
[문헌 11] Ryuat al.. Applied chemistry, 9: 57-60 (2005)
[문헌 12] 김창렬. 식품의약안전처, pp 1-98 (2006)
[문헌 13] Chatterjee, S. et al,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2.487-490. 1999.
[문헌 14] 정보섭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782-783, 1998년).
우리나라 간질환 사망률은 인구 십만명 당 23.5명(남자 37.8명, 여자 9.0명)으로 매우 높으며, 40대 사망원인 1위(41.1명/10만명), 50대 사망원인 2위(72.4명/10만명), 30대 사망원인 3위(10명/10만명)를 차지하는 등 간질환은 한국 중년층 인구의 주요 사망원인이다.
지방간이란 지방의 과도한 섭취나 내인적으로 간내 지방합성이 증가하거나 배출이 감소되어 간세포 내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말한다. 지방간의 분류는 크게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나눌 수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음주와 무관하게 간내 중성지방이 축적되는 질환을 의미하고, 여기에는 단순 지방간(steatosis)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을 포함한다. 단순 지방간은 임상적으로 예후가 양호한 양성 질환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NASH는 진행성 간질환으로 간경변이나 간암을 유발하는 전구 질환으로 인지되고 있으며 간 염증 및 진행성 섬유증을 특징으로 하여, 간경변 및 말기 간 질환뿐만 아니라 간세포 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까지 진행될 수 있다. (Mun, JE. et al. J Med Food 22(12), 1262-1270, 2019)
NAFLD는 남성 및 여성 비만인에서 흔히 보고되는 질환으로 위험인자로 크게 비만,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대사증후군 발병 및 진행에 악영향을 주는 심각한 질환으로 발병 원인 및 진행, 및 이러한 상태들과의 인과관계 또는 시간적 관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NAFLD 또는 NASH를 질병제어 및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관심과 관련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Mun, JE. et al. Nutrients 11, 2536; doi:10.3390/nu11102536, 2019)
NAFLD 치료는 식사요법, 운동요법 등을 통한 체중감량과 생활습관 개선이 필수적이다.
현재에는 NAFLD 및 NASH를 겪는 환자에 대한 확립된 치료법이 없으므로,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 및 치료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2019-0142674호에는 유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발명; 한국공개특허 10-2006-0054339호에는 “강황과 스쿠알렌을 배합하고,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보호 및 개선용 강황 함유 조성물 발명”; 한국공개특허 10-2019-0125735호에는 “강황추출물 및 쌀눈대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발명”; 한국 등록특허 제10-2112599호에는 “석류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발명”; 한국 등록특허 제10-0854403호에는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발명”;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6-0112032호에는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용 조성물발명 ”;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8-0107207호에는 “당유자 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발명”;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3544호에는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발명”에 대한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본원에서 참고로만 인용되는 상기 선행 문헌 또는 선행 발명이 어디에도 본 발명의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의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및 예방 효과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는 없다.
강황(薑黃 : Curcuma longa Linne)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열대작물로서 다년생 숙근성(宿根性) 초본 식물로 동인도지방에서 기원전 970년경 재배가 시작되었으며, 향신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동의보감, 대한약전, PDR for Herbal Medicines, WHO monographs on selected medicinal plants(Vol.1) 등에 질병치료에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유사 생약인 울금(Curcuma longa L.)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목으로서 원산지는 인도, 중국 및 일본 등이고, 고온다습한 남부 아시아, 아프리카 및 중남미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동인도 지방에서 재배가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Ryuat al.. Applied chemistry, 9: 57-60 (2005)). 울금은 한약재, 향신료 및 식용으로, 열대지방의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어 왔는데, 울금의 가루나 추출액은 "본초강목"과 "동의보감"등의 고서나 기타 동물 실험에서 이담작용, 위액 분비 촉진 작용, 이뇨 작용, 해독 기능, 항암 작용, 항염 작용 및 항산화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김창렬. 식품의약안전처, pp 1-98 (2006)). 또한, 울금의 뿌리, 줄기의 성분은 항산화와 세포보호 역할을 수행하는데, 주성분은 커큐민(curcumin)과 커큐민(curcumin) 유도체 및 아로마틱 튜메론 (Aromatic turmerone)으로 알려져 있다(Chatterjee, S. et al,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2.487-490. 1999.).
유자는 운향과의 식물인 유자나무 (Citrus junos Tanaka.)의 과실로서, 성분으로는 헤스페레딘(hesperidin), 구연산, 사과산, 호박산, 당류, 펙틴(pectin), 제라니올(geraniol), 리모넨(limonene) 쿠마린(coumarin) 등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제주도 및 전남지역에 분포하며 차와 같은 식품으로 음용되고 있다 (정보섭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782-783, 1998년).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합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인간 간암 세포주를 이용한 지방간 억제 in vitro 실험(실험예 1)뿐만 아니라 지방간 유도 마우스를 이용한 지방간 억제 실험 (실험예 2)를 통하여 본 발명 조합의 강력한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확인하여,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치료 및 예방용 식품, 의약품, 의약외품 등의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개개 생약에 추출 용매, 구체적으로, 정제수를 포함한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또는 주정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또는 주정의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 내지 90%(w/w) 물 및 에탄올 또는 주정의 혼합용매,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10 내지 80%(w/w) 물 및 에탄올 또는 주정의 혼합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뿐 아니라, 상기 추출물의 농축물 및 희석물, 및 상기 추출물, 농축물, 및 희석물의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추출물"은 생약에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상기 추출물의 건조물, 상기 추출물의 농축물 또는 희석물, 및 상기 농축물 또는 희석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강황 및 유자의 조합생약”은 바람직하게는, 강황 및 유자의 개개 생약 추출물 조합의 상대적 중량 혼합비(w/w)가 0.01 내지 100 : 0.01 내지 100 중량부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 0.1 내지 10 중량부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 0.5 내지 5 중량부,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10 : 1-2 중량부로 배합된 배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간 세포의 지방 이상 축적을 보이는 질환으로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 질환, 비알코올성 영양성 지방간 질환, 비알코올성 기아성 지방간 질환, 비알코올성 비만성 지방간 질환, 비알코올성 당뇨병성 지방간 질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비알코올성 간섬유화 및 비알코올성 간경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조합생약 추출물”은 (a)개개 생약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또는 주정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또는 주정의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 내지 90%(w/w) 물 및 에탄올 또는 주정의 혼합용매,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10 내지 80%(w/w) 물 및 에탄올 또는 주정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들의 조합 또는 (b) 배합된 조합 생약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또는 주정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또는 주정의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 내지 90%(w/w) 물 및 에탄올 또는 주정의 혼합용매,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10 내지 80%(w/w) 물 및 에탄올 또는 주정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의 약학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합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먼저, 건조생약시료인 강황 및 유자의 지상부, 과실, 전초, 잎, 줄기, 뿌리, 근경 등, 구체적으로는, 강황 줄기, 뿌리 또는 근경 및 유자의 과실을 각각 세척 및 건조한 후에, 개개 강황 및 갈근 시료 부피의 1 내지 20배 (w/v)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배 (w/v) 중량의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로 5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약 60-10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열수 추출법, 냉침 추출법 또는 초음파 추출법,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법을 수행하여 열수 추출액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2 단계에서 얻은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물을 수득하는 제 2단계; 상기 여과물을 동결건조, 상온건조 또는 열풍건조,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건조상태의 생약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3단계; 개개 건조된 강황 및 갈근 추출물 조합의 상대적 중량 혼합비(w/w)가 0.01 내지 100 : 0.01 내지 100 중량부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 0.1 내지 10 중량부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 0.5 내지 5 중량부,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10 : 1-2 중량부로 배합하는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제조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합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인간 간암 세포주를 이용한 지방간 억제 in vitro 실험(실험예 1)뿐만 아니라 지방간 유도 마우스를 이용한 지방간 억제 실험 (실험예 2)를 통하여 본 발명 조합의 강력한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확인하여,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99% 중량으로 포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외용제제에는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5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황 및 유자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황 및 유자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따라서, 또한, 본 발명은 강황 및 유자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캔디류의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식품, 가공식품, 환자식품, 일반적인 식자재 등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식품 또는 음료의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중량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제는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기타 영양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종류의 식품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롤로오스,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 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이 포함된 기능성 식품으로는 빵, 떡류, 건과류, 캔디류, 초콜릿류, 츄잉껌, 쨈류와 같은 과자류 아이스크림류, 빙과류, 아이스크림 분말류와 같은 아이스크림 제품류 우유류, 저지방 우유류, 유당분해우유, 가공유류, 산양유, 발효유류, 버터유류, 농축유류, 유크림류, 버터유, 자연치즈, 가공치즈, 분유류, 유청류와 같은 유가공품류 식육가공품, 알가공품, 햄버거와 같은 식육제품류 어묵, 햄, 소세지, 베이컨 등의 어육가공품과 같은 어육제품류 라면류, 건면류, 생면류, 유탕면류, 호화건먼류, 개량숙면류, 냉동면류, 파스타류와 같은 면류 과실음료, 채소류음료, 탄산음료, 두유류, 요구르트 등의 유산균음료, 혼합음료와 같은 음료 간장, 된장, 고추장, 춘장, 청국장, 혼합장, 식초, 소스류, 토마토케첩, 카레, 드레싱과 같은 조미식품 마가린, 쇼트닝 및 피자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합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인간 간암 세포주를 이용한 지방간 억제 in vitro 실험(실험예 1)뿐만 아니라 지방간 유도 마우스를 이용한 지방간 억제 실험 (실험예 2)를 통하여 본 발명 조합의 강력한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확인하여,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치료 및 예방용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 건강보조식품, 식품 첨가제 등의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 1은 본 발명 조합생약 추출물의 제조공정도이며;
도 2은 FFA 처리 세포에 Mix (강황 및 유자 복합물)를 처리한 후 세포 내 ROS 수준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대조군 대비 FFA 처리 군에서 세포 내 ROS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Mix로 전처리 (50, 100, 150 및 200 μg/mL)한 경우에는, 세포 내 ROS 형성이 FFA 단독 처리군에 비해 용량-의존적으로 억제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는 FFA 처리 세포에 Mix를 처리한 후 지질 축적을 확인한 결과이다. 지질 축적은 대조군 대비 FFA 처리군에서 눈에 띄게 증가한 반면, Mix를 보충한 경우에는 용량-의존적으로 지질 축적을 감소시킨 결과를 나타낸다.
도 4은 Mix 처리에 의한 지방간에서의 항산화 활성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HF 처리군에서는 CAT, SOD, GST, GPx, GR, GSH의 수치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지만, Mix 를 병용한 경우에는 간 항산화제의 감소를 완전히 예방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개개 생약 추출물의 제조
전남 진도군에서 재배하고 있는 강황 (Curcuma longa Linne)과 전남 완도군에서 채취한 유자 (Citrus junos Sieb. ex Tanaka)을 이용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고 혼합하여 강황 등 복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1. 강황 추출분말의 제조
강황 (Curcuma longa Linne, 전남 진도군 재배)을 식수로 세척하고 세척된 강황을 원반기(AFM-114 정우기계)를 이용하여 3~5 mm크기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강황을 건조기(SI-70S2 신일종합건조기)에서 70~90℃로 12~18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강황을 추출기(COSMOS-700 경서이엔피)에 넣고 강황 중량 대비 10배 중량(w/w)의 증류수를 넣고 100℃에서 5시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100 mesh 여과망을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농축기(COSMOS-700 경서이엔피)에 넣고 20 brix로 농축하였다. 농축된 농축액(표 1 참조)에 고형분 대비 20% 덱스트린을 넣고 혼합한 후 분무 건조하여 하기 실시예 2의 시료에 사용하였다.
시료 수율 및 명명
연번 시료 추출용매 수율(%) 명명
1 강황 증류수 16.2 CL
1-2. 유자 추출분말의 제조
유자 (Citrus junos Sieb. ex Tanaka 전남 완도군 재배)을 식수로 세척하고 세척된 유자를 원반기(AFM-114 정우기계)를 이용하여 3~5 mm크기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유자를 건조기(SI-70S2 신일종합건조기)에서 70~90℃로 12~18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유자를 추출기(COSMOS-700 경서이엔피)에 넣고 강황 중량 대비 10배 중량(w/w)의 증류수를 넣고 100℃에서 5시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100 mesh 여과망을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농축기(COSMOS-700 경서이엔피)에 넣고 20 brix로 농축하였다. 농축된 농축액(표 2 참조)에 고형분 대비 20% 덱스트린을 넣고 혼합한 후 분무 건조하여 하기 실시예 2의 시료에 사용하였다.
시료 수율 및 명명
연번 시료 추출용매 수율(%) 명명
1 유자 증류수 32.5 CJ
실시예 2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전남 진도군에서 재배하고 있는 강황 (Curcuma longa Linne)과 전남 완도군에서 채취한 유자 (Citrus junos Sieb. ex Tanaka)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얻은 건조 강황 및 유자를 표 3의 일정 배합비로 배합하여 배합된 시료들을 혼합기(더블콘믹서 성창기계)에 넣고 혼합하여 생약조합의 추출물 CLJ(MIX로도 지칭)를 각각 얻어 이들을 하기 실험예 시료에 사용하였다.
배합 시료 수율 및 명명
연번 시료 명명
1 강황 물 추출물 : 유자 물 추출물 = 5:5 MIX
실험예 1. 인간 간암 세포주를 이용한 지방간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 시료의 인간 간암 세포주를 이용한 지방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Mun, JE. et al. J Med Food 22(12), 1262-1270, 2019)
1.1. 세포 배양
최소 필수 배지 (MEM, gibco), 소 태아 혈청 (FBS, Hyclone), 항생제 (Hyclone), 트립신-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및 Hank의 균형 잡힌 소금 용액(H6648)은 Gibco BRL에서, 2,3-비스[2-메톡시-4-니트로-5-설포페닐]- 2H-테트라졸륨-5- 카복시닐리드 나트륨 내부 염 또는 XTT(X4626), H2O2,(HX0636) 4-니트로 카테콜, 2',7'-디클로로 플루오레세인디 아세테이트 (DCF)의 나트륨 염, 나트륨 올 레이트, 나트륨 팔미테이트 및 Oil Red O(O0625)는 Sigma-Aldrich에서 구입하였다.
1.2. 시료처치
지방간 유도를 위한 대조군으로 FFA(free fatty acid), 실험군으로 MIX50, MIX 100, MIX 150, MIX 200은 각각 실시예 시료(CLJ)를 각각 50, 100, 150 및 200 μg / mL 씩 처치한 군을 의미한다
1.3. 세포 배양 및 FFA 처리에 의한 지방 축적 유발
인간 간암 세포주 (HepG2 세포, HB8065)는 ATCC에서 얻었으며, 세포는 10% FBS와 1% 페니실린 /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MEM으로 5% CO2의 가습 분위기 하에서 37℃에서 10cm 세포배양용 접시에서 배양하였다. HepG2 세포를 well당 1X105 세포로 24 well 배양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시험관 내 간 지방증 모델에서 과도한 지질 축적을 유도하였다.
유도 2일째, 세포가 약 80% confluency에 도달했을 때 Mix용액으로 2시간 동안 전처리 한 후 1mM FFA 혼합물을 각 well에 첨가하였다. FFA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올레산 나트륨과 팔미트산 나트륨 (올레에이트 : 팔미 테이트= 2 : 1 비율)을 1% BSA 함유 배지에 넣고, FFA 혼합물은 배양 배지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1% BSA로만 처리)
1.4. 세포 내 ROS 형성 측정
형광 프로브 (DCF-DA)를 사용하여 세포 내 ROS 수준을 확인하였다. 24 well 플레이트에 well당 1X105 세포 농도로 접종시킨 HepG2 세포를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각각 50, 100, 150 및 200 μg/mL MIX 및 1 mM FFA 혼합물로 처리하였고, 2시간 후 세포를 37℃에서 30분 동안 30 μM DCF-DA(D6883, Sigma)에 노출시켰다. 세포의 형광 강도는 형광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 (BioTek Instruments)로 측정하였다 (여기 파장: 485 nm, 방출 파장: 530 nm).
1.5. 세포 내 지방축적 측정
세포 내 중성 지질 축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HepG2 세포를 각각 24 시간 동안 50, 100, 150 및 200 μg / mL MIX 및 1mM FFA 혼합물로 처리한 후 10 % 포르말린으로 30분간 고정 및 Oil Red O 용액으로 40분간 염색하였다. Oil Red O 시약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염색된 세포를 PBS(SH30256, Hyclone)로 3회 세척 한 후 현미경 (Leica DMi1)으로 확인하였다. 60%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지질 방울을 추출하고 510 nm에서 색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1) FFA 처리 세포에서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MIX 복합물의 효과
FFA 처리 세포에서 MIX에 의한 세포 내 ROS 수준의 변화는 도 1 및 표 4에 나타냈다.
대조군 대비 FFA 처리 군에서 세포 내 ROS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세포를 50, 100, 150 및 200 μg/mL MIX로 전처리한 경우, 세포 내 ROS 형성이 FFA 단독 처리군에 비해 용량-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ROS 수준의 변화
시료처리군 CON FFA MIX50 MIX100 MIX150 MIX200
100±4.7 191±8.2 145±7.1 128±8.5 103±5.9 99±9.5
(2) FFA 처리 세포에서의 지질 축적에 대한 강황 및 유자 복합물의 효과
지질 축적은 대조군 대비 FFA 처리군에서 눈에 띄게 증가한 반면, MIX를 보충한 경우에는 용량-의존적으로 지질 축적을 감소시켰다 (도 2 및 표 5). FFA 처리군의 Oil Red O 염색 이미지는 다른 군보다 세포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반면, MIX로 전처리된 그룹은 지질 방울이 적어 지질 축적의 감소를 나타낸다 (도 2 및 표 5)
FFA 처리 세포에서의 지질 축적의 변화
시료처리군 CON FFA MIX50 MIX100 MIX150 MIX200
100±9.7 236±5.8 216±2.7 206±7.1 188±6.1 186±4.2
실험예 2. 지방간 유도 마우스를 이용한 지방간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 시료의 지방간 유도 마우스를 이용한 지방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Mun, JE. et al. Nutrients 11, 2536; doi:10.3390/nu11102536, 2019)
2.1. 동물 실험 및 샘플 수집
7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25 g)는 Orient Bio에서 구입하고, 실험 전 1주일간 적응시켰다. 동물은 통제된 실험실 조건 (20~25℃, 55%~60% 습도 및 12시간의 조명/어두운 조명 사이클)에서 스테인리스 스틸케이지에 보관되었다.
동물은 전남대학교에서 제정한 “동물 실험 가이드 라인”(CNU IACUC-YB-2020-35)에 따라 관리되었다.
실험을 위해 마우스를 다음과 같이 무작위로 5개 그룹 (그룹당 n = 10)으로 나누고, 각 그룹의 동물에게 12주간 자유롭게 먹이를 제공하였다. (1) CON : 정상적인 식이를 먹인 마우스 (AIN-76A식이); (2) HF : 전체 kcal의 60% 지방 식이를 먹인 마우스 (D12492 식이); (3) MIX-LOW: 고지방 식이 + MIX (300 mg/kg/b.w./일)을 먹인 마우스; (4) MIX-HIGH : 고지방 식이 + MIX (900 mg/kg/b.w./일)을 먹인 마우스; (5) SILY : 고지방 식이와 실리마린 (50 mg/kg/b.w./일)을 먹인 마우스.
사망 직후 각 동물의 아래 대정맥에서 혈액 샘플을 수집하고, 15분 동안 3000 rpm에서 원심 분리했다. 혈청 및 각 조직은 즉시 무게를 재고 추가 분석까지 -80℃에서 보관했다.
2.2. 효소 활성 분석 및 H&E 염색
(1) 효소, 간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총 콜레스테롤 분석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san kit)와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an kit))는 assay kit (Asan Pharmaceutical)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혈액 및 간의 TG, 총 콜레스테롤, HDL-CHO, LDL-CHO의 분석을 위해, 동결된 간 조직을 PBS와 함께 균질화하고 30분간 13,000 rpm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간 지질은 Folch 방법(Mun, JE. et al. Nutrients 11, 2536; doi:10.3390/nu11102536, 2019)으로 추출하여 정량화했다. 혈액 및 간 TG(AM157S) , 총 콜레스테롤 (TC, L-701212) 및 HDL-CHO 수치(AM203)는 분석 키트 (아산 약품)로 측정했다. LDL-CHO 수치는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5 + HDL)의 계산법에 의해 나타냈다.
2) 항산화 효소 활성 측정
항산화 활성 분석을 위해 간을 PBS에서 균질화하고, 현탁액을 13,000 g에서 4℃에서 15분 동안 원심 분리하고 상청액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SOD 활동은 Alam 방법으로, CAT 활성은 Garg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간 글루타티온-S-전이 효소 (GST), GPx 및 GR의 활성은 각각 Molina Al Batran, Calberg 및 Mannervik의 방법에 의해 결정되었다.
감소된 글루타티온 (GSH) 수준은 Akerboom및 Sies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지질 과산화를 측정하기 위해 말론 디알데히드 (MDA)의 농도를 티오바르비 투르산 반응성 물질 형성으로 모니터링하고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계산했다. (Draper, Hadley 방법)
(3) H&E 염색
H&E 염색을 위해 간을 10% 포름 알데히드에 고정하고 파라핀에 박은 다음 10 μm 섹션으로 절단한 절편을 H&E (Hematoxylin and Eosin, ab245880)로 염색한 다음 현미경(Leica DMi1)으로 관찰했다.
<실험 결과>
(1) HF-유발 간독성에 대한 강황 및 유자 복합물의 효과
혈청 AST 및 ALT 활성은 간 손상 및 간 독성의 유용한 생물학적 지표이다. 이러한 효소 활성은 HF식이를 제공받은 마우스에서 현저하게 증가했지만, 8주간 CLW을 동시에 투여한 경우에는 이러한 지표의 혈청 수준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표 6).
혈청 AST 및 ALT 활성의 변화
AST ALT
CON 56.14 ± 6.33c 30.14 ± 3.86b
HFD 102.08 ± 2.83a 55.31 ± 5.79a
MIX-L 89.50 ± 2.23ab 43.58 ± 5.04ab
MIX-H 88.65 ± 2.10b 31.07 ± 4.78b
SILY 85.53 ± 5.57b 39.02 ± 3.02ab
특히, 300 mg/kg b.w./day의 용량으로 MIX를 보충하면 HF-유발 독성으로 손상된 간 기능이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표 7에서 볼 수 있듯이 HF 그룹의 간 TG 및 TC 수준은 대조군보다 높았지만 MIX의 동시 투여한 경우에는 TG 및 TC 수준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CLW을 보충한 경우 간에서 지질 축적이 억제되었음을 시사한다.
간 TG 및 TC 수준의 변화
TG TC HDL-CHO LDL-CHO
CON 111.34±1.75c 151.75±1.65c 95.59±1.19a 42.80±2.29c
HFD 177.82±8.45a 240.87±4.58a 72.55±3.58b 132.43±10.89a
MIX-L 148.22±6.50b 186.61± 7.88b 95.20±4.08a 66.28±4.15b
MIX-H 129.33±3.59c 186.51±3.64b 105.31±4.09a 59.33±4.60b
SILY 119.54±2.52c 193.04±1.74b 96.18±3.35a 71.97±4.23b
(4) 조직 병리학적 외양에 대한 강황 및 유자 복합물의 효과
대조군 마우스의 간은 비정상적인 외양이나 조직 병리학적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HF 식이요법은 매우 많은 지질 방울에 의해 입증된 것처럼 마우스의 지방간을 유발하였다 (표 8). 이렇게 HF식이에 의해 유도된 간 지질 방울은 MIX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900 mg/kg b.w./day의 용량으로 MIX를 투여했을 때, 간 상태는 정상 간 조직으로 개선되었다.
간 조직 병리학적 외양에 미치는 효과
TG TC HDL-CHO LDL-CHO
CON 10.63±0.05d 14.96±1.05c 10.77±0.46a 2.84±0.72b
HFD 24.84±1.14a 24.92±1.14a 3.83±0.15b 16.02±0.99a
MIX-L 18.56±0.57b 18.42±0.62b 10.14±1.02a 5.86±0.96b
MIX-H 17.92±0.78bc 19.78±0.63b 12.70±1.66a 5.77±1.12b
SILY 14.66±1.12c 18.78±0.53b 9.80±1.29a 6.15±0.96b
(5) 강황 및 유자 복합물 처리에 의한 지방간의 항산화 활성 변화
HF식이를 먹인 생쥐의 간 항산화제의 기능은 도 4에 요약하였다. HF 처리군에서는 CAT, SOD, GST, GPx, GR, GSH의 수치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지만, MIX (300 mg/kg b.w./day)를 병용한 경우에는 간 항산화제의 감소를 완전히 예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간보호제로 잘 알려진 실리마린(S0292, Sigma)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했다.
MIX의 항산화 수준은 실리마린과 유사했다. HF식이 요법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는 대조군 대비 산화 스트레스의 핵심 바이오마커인 MDA 수준을 크게 증가 시킨 반면, MIX의 보충은 MDA의 상승을 부분적으로 억제하였다 (도 4). 이러한 결과는 MIX가 간의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함을 보여준다. 간 보호제로 잘 알려진 실리마린을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고 또한, HF식이 요법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는 대조군 대비 MDA 수준 (산화 스트레스의 핵심 바이오마커)을 크게 증가 시킨 반면, Mix는 그러한 MDA의 상승을 부분적으로 억제한 결과를 나타낸다.
지방간의 항산화 활성 변화
CAT SOD GSH GR GPx GST MDA
CON 4170.73±326.37 76.64±3.88 2.51±0.12 4.13±0.17 1.58±0.05 2.66±0.03 0.92±0.05
HFD 3121.90±160.91 53.35±4.05 2.06±0.04 3.50±0.15 1.28±0.04 2.27±0.04 1.35±0.05
MIX-L 4280.48±291.83 76.91±3.44 2.49±0.04 4.30±0.07 1.56±0.02 2.76±0.06 1.31±0.06
MIX-H 4401.18±173.11 71.49±2.64 2.32±0.03 4.25±0.12 1.54±0.03 2.72±0.08 1.04±0.03
SILY 4332.28±451.74 61.81±2.32 2.47±0.12 3.99±0.04 1.60±0.07 2.79±0.18 0.92±0.03
본 발명의 추출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 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CLJ---------------------------------------------- 20 ㎎
유당 -------------------------------------------- 100 ㎎
탈크 ---------------------------------------------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CLJ ------------------------------------------- 10 ㎎
옥수수전분 -------------------------------------- 100 ㎎
유당 --------------------------------------------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주사제의 제조
CLJ ------------------------------------------- 10 ㎎
만니톨 ------------------------------------------ 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 2974 ㎎
Na2HPO4.12H2O ------------------------------------ 26 ㎎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CLJ ------------------------------------------- 20 ㎎
이성화당 ------------------------------------------ 10 g
만니톨 --------------------------------------------- 5 g
정제수 --------------------------------------------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CLJ---------------------------------------------- 1000 ㎎
비타민 혼합물 -------------------------------------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 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 0.5 ㎎
비타민 B12 --------------------------------------- 0.2 ㎍
비타민 C ----------------------------------------- 10 ㎎
비오틴 ------------------------------------------- 10 ㎍
니코틴산아미드 ---------------------------------- 1.7 ㎎
엽산 --------------------------------------------- 50 ㎍
판토텐산 칼슘 ----------------------------------- 0.5 ㎎
무기질 혼합물 ------------------------------------- 적량
황산제1철 -------------------------------------- 1.75 ㎎
산화아연 --------------------------------------- 0.82 ㎎
탄산마그네슘 ----------------------------------- 25.3 ㎎
제1인산칼륨 -------------------------------------- 15 ㎎
제2인산칼슘 -------------------------------------- 55 ㎎
구연산칼륨 --------------------------------------- 90 ㎎
탄산칼슘 ---------------------------------------- 100 ㎎
염화마그네슘 -----------------------------------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CLJ ----------------------------------------------- 100 ㎎
비타민 C ------------------------------------------- 15 g
비타민 E(분말) ------------------------------------ 100 g
젖산철 ------------------------------------------ 19.75 g
산화아연 ------------------------------------------ 3.5 g
니코틴산아미드 ------------------------------------ 3.5 g
비타민 A ------------------------------------------ 0.2 g
비타민 B1 ----------------------------------------- 0.25 g
비타민 B2 ------------------------------------------ 0.3 g
물 --------------------------------------------------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7. 씨리얼의 제조
CLJ --------------------------------------------- 7.51 g
쌀 ---------------------------------------------- 40.49 g
현미 -------------------------------------------- 24.29 g
수수 --------------------------------------------- 2.02 g
보리 --------------------------------------------- 2.02 g
찹쌀 --------------------------------------------- 2.02 g
소금 --------------------------------------------- 0.49 g
깨 ----------------------------------------------- 0.16 g
설탕 -------------------------------------------- 17.75 g
해바라기유 --------------------------------------- 1.21 g
물 ------------------------------------------------- 정량
통상의 씨리얼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압출성형, 1차건조, 숙성, 파칭, 시럽코팅, 2차건조 과정, 포장한 다음 본 발명의 씨리얼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8. 초코 크런치의 제조
CLJ -------------------------------------------------- 5.00 g
쌀 ---------------------------------------------------- 21.50 g
정백당 ----------------------------------------------- 23.02 g
혼합전지분유 ---------------------------------------- 27.78 g
코코아버터 ------------------------------------------ 15.35 g
식물성경화유 -------------------------------------- 13.02 g
레시틴 --------------------------------------------- 0.15 g
폴리글리세린축합리시놀레인산에스테르 --------- 0.15 g
바닐린 --------------------------------------------- 0.03 g
제제예 9. 과자류의 제조
CLJ --------------------------------------------------- 5.00 g
전분 ---------------------------------------------------- 83.00 g
쌀가루 ------------------------------------------------- 10.00 g
천일염 ------------------------------------------------- 0.5 g
유자시즈닝 ------------------------------------------------- 1.5 g

Claims (4)

  1.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 및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3.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4. 강황 및 유자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
KR1020210073021A 2021-06-04 2021-06-04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64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021A KR20220164353A (ko) 2021-06-04 2021-06-04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021A KR20220164353A (ko) 2021-06-04 2021-06-04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353A true KR20220164353A (ko) 2022-12-13

Family

ID=8443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021A KR20220164353A (ko) 2021-06-04 2021-06-04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43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0392B2 (ja) 肥満抑制組成物
KR102024987B1 (ko)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220226409A1 (en) Composition for stimulating of myogenesis and prevention of muscle damage containing ginseng extract
JP2005330289A (ja)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101075554B1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310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22408B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1112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20164353A (ko)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8199B1 (ko)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7296611B2 (ja) 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
KR101972657B1 (ko) 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018404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102501548B1 (ko) 대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290222B1 (ko)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3005555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ontaining aster koraiensis nakai extract
US11285188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artemisiae capillaris herba and citrus unshiu peel complex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8971B1 (ko) 호박, 엉겅퀴, 단호박, 양파, 토마토, 돼지감자, 비트 및 생강을 포함하는 배변유도 및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100686362B1 (ko) 청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70130082A (ko)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20161909A (ko) 강황 및 유자로 구성된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