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322A -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322A
KR20220164322A KR1020210072945A KR20210072945A KR20220164322A KR 20220164322 A KR20220164322 A KR 20220164322A KR 1020210072945 A KR1020210072945 A KR 1020210072945A KR 20210072945 A KR20210072945 A KR 20210072945A KR 20220164322 A KR20220164322 A KR 20220164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separator
compression
axis direction
separation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924B1 (ko
Inventor
이길호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광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광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광기계
Priority to KR1020210072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92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7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briquetting scrap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3/00Recovery of fats, fatty oils or fatty acids from wast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01M50/406Moulding; Embossing;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4Recovery of fats, fatty oils, fatty acids or other fatty substances, e.g. lanolin or w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분리막 에지를 분리막 폐기물로 압축 성형하고 오일을 분리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수되는 분리막 에지를 저장하는 분리막 에지 저장부, 상기 저장된 분리막 에지를 X축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1 압축부, 상기 X축 방향으로 압축된 분리막 에지를 Y축 방향으로 압축하여 분리막 폐기물을 생성하는 제2 압축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분리막 폐기물의 배출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도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SEPARATOR EDGE PRESS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막 에지를 분리막 폐기물로 압축 성형하고 오일을 분리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전과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하는 충전과정을 통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전지는, 전해질이 채워진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전극 조립체는, 양극, 분리막, 그리고 음극이 적층된 것으로서, 스택 앤 폴딩(Stack and Folding)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전극 조립체의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 전지 내부적으로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충전 및 방전 과정에서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분리막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물질로 제조될 수 있는데, 분리막의 제조 과정 중에서 분리막의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분리막 양측의 에지 영역을 컷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컷팅된 분리막 에지는, 에지 와인더에 의해 롤 상태로 회수되어 재생되거나 또는 폐기될 수 있다.
하지만, 분리막 에지가 에지 와인더에 감길 때, 분리막 에지에 일정한 텐션을 갖도록 당기면서 감아야 하는데, 분리막 에지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회수를 위해 감는 과정에서 분리막 에지가 연속적으로 감기지 않고 종종 파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분리막 에지가 회수되는 과정에서, 파단이 발생할 경우, 회수 작업을 중단하고 작업자가 직접 분리막 에지를 에지 와인더에 감아서 회수 작업을 재작동시켜야 하므로, 재작동을 위한 불필요한 시간 및 노동력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분리막 에지를 회수할 때, 분리막 에지가 감긴 롤의 두께가 일정 두께 이상이 되면 작업자가 직접 롤을 교체해야 하므로, 롤 교체 작업에도 많은 시간 및 노동력이 필요한 문제도 있었다.
또한, 회수된 분리막 에지에는, 분리막 제조 과정에서 혼합되는 오일이 함유되는데, 분리막 에지와 함께 분리막 에지에 함유되는 오일을 함께 폐기할 경우,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향후, 분리막 에지를 압축 성형함과 동시에 분리막 에지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분리막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분리막 폐기물을 자동 이송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며 분리막 에지으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90814호(2015년 02월 02일)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리막 에지를 압축 성형함과 동시에 분리막 에지로부터 오일을 분리함으로써, 분리막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분리막 폐기물을 자동 이송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며 분리막 에지으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는, 회수되는 분리막 에지를 저장하는 분리막 에지 저장부, 상기 저장된 분리막 에지를 X축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1 압축부, 상기 X축 방향으로 압축된 분리막 에지를 Y축 방향으로 압축하여 분리막 폐기물을 생성하는 제2 압축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분리막 폐기물의 배출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막 에지 저장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막 에지가 투입되는 분리막 에지 투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축부는, 상기 저장된 분리막 에지로 이동하여 상기 분리막 에지를 X축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1 압축판, 상기 제1 압축판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압축 실린더 로드, 그리고 상기 제1 압축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압축 실린더 로드를 X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제1 압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압축부는, 상기 제1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분리막 에지가 위치하는 압축 성형부, 상기 압축 성형 공간으로 이동하여 압축된 분리막 에지를 Y축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2 압축판, 상기 제2 압축판 일측에 연결되는 제2 압축 실린더 로드, 그리고 상기 제2 압축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압축 실린더 로드를 Y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제2 압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제1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분리막 에지가 위치하는 압축 성형 공간의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Z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도어, 상기 도어 일측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그리고 상기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를 Z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막 에지 저장부와 상기 제1, 제2 압축부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분리막 에지로부터 분리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 회수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오일 배출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1차 및 2차 분리된 오일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오일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오일 저장부는, 상기 저장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일 배출관, 그리고 상기 오일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부의 앞단에 위치하여 상기 생성된 분리막 폐기물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분리막 폐기물을 운반 장치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분리막 에지를 압축 성형함과 동시에 분리막 에지로부터 오일을 분리함으로써, 분리막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분리막 폐기물을 자동 이송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며 분리막 에지으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막 에지의 폐기물로 최소화하고, 오일을 분리하며, 분리막 폐기물을 자동 이송하는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의 분리막 폐기물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는, 회수되는 분리막 에지를 저장하는 분리막 에지 저장부(310), 저장된 분리막 에지를 X축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1 압축부(330), X축 방향으로 압축된 분리막 에지를 Y축 방향으로 압축하여 분리막 폐기물을 생성하는 제2 압축부(320), 그리고 생성된 분리막 폐기물의 배출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도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는, 분리막 에지 저장부(3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분리막 에지가 투입되는 분리막 에지 투입관(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압축부(330)는, 저장된 분리막 에지로 이동하여 분리막 에지를 X축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1 압축판(338), 제1 압축판(338)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압축 실린더 로드(332), 그리고 제1 압축 실린더 로드(332)에 연결되어 제1 압축 실린더 로드(332)를 X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제1 압축 실린더(3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압축부(330)는, 저장된 분리막 에지를 제2 압축부(320) 앞단에 위치하는 압축 성형 공간(360)으로 이동하도록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제2 압축부(320)는, 제1 압축부(330)에 의해 압축된 분리막 에지가 위치하는 압축 성형 공간(360), 압축 성형 공간(360)으로 이동하여 압축된 분리막 에지를 Y축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2 압축판(326), 제2 압축판(326) 일측에 연결되는 제2 압축 실린더 로드(322), 그리고 제2 압축 실린더 로드(322)에 연결되어 제2 압축 실린더 로드(322)를 Y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제2 압축 실린더(3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압축부(320)는, 압축된 분리막 에지를 도어부(34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압축할 수 있다.
이어, 도어부(340)는, 제1 압축부(330)에 의해 압축된 분리막 에지가 위치하는 압축 성형 공간의 배출구를 폐쇄하기 위해 Z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도어(346), 도어(346) 일측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342), 그리고 실린더 로드(342)에 연결되어 실린더 로드(342)를 Z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실린더(3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346)는, 배출구(364)를 폐쇄하기 위해 Z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압축부(320)에 의해 분리막 에지가 압축되면 배출구(364)를 개방하기 위해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346)는, 제1 압축부(330) 및 제2 압축부(320)가 구동되기 이전에 배출구(364)를 폐쇄하기 위해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는, 분리막 에지 저장부(310)와 제1, 제2 압축부(330, 320)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의 하부에는, 분리막 에지로부터 분리되는 오일을 오일 저장부(400)로 배출하는 다수의 오일 배출홀(362, 336)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오일 배출홀들은, 제1 압축부(330)가 위치하는 하우징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오일 배출홀(336)과, 제2 압축부(320) 앞단의 압축 성형 공간에 위치하는 하우징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오일 배출홀(36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는,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여 1차 및 2차 분리된 오일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오일 저장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오일 저장부(400)는, 저장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일 배출관과, 오일 배출관에 연결되어 오일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는, 도어부(340)의 앞단에 위치하여 생성된 분리막 폐기물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370)와, 컨베이어(370)에 의해 이송된 분리막 폐기물을 운반 장치로 이동시키는 크레인(38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는, 도어부(340)의 앞단에 일측에 위치하여 생성된 분리막 폐기물을 외부로 이송시키기 전에 분리막 폐기물을 밴딩하는 밴딩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는, 회수되는 분리막 에지를 저장하고, 분리막 에지의 저장량이 기준량에 도달하면 저장된 분리막 에지를 압축하여 분리막 에지로부터 오일을 2차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막 에지를 분리막 폐기물로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리막 에지를 압축 성형함과 동시에 분리막 에지로부터 오일을 분리함으로써, 분리막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분리막 폐기물을 자동 이송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며 분리막 에지으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막 에지의 폐기물로 최소화하고, 오일을 분리하며, 분리막 폐기물을 자동 이송하는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의 분리막 폐기물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는, 먼저, 회수되는 분리막 에지를 분리막 에지 저장부(3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은, 분리막 에지 저장부(310)에 저장된 분리막 에지의 저장량이 기준량에 도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출구(364)를 폐쇄하기 위해 도어부(340)의 도어(346)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축 성형 공간(360)의 배출구(364)를 폐쇄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은, 분리막 에지의 저장량이 기준량에 도달하면 제1 압축부(330)를 구동시켜 저장된 분리막 에지를 X축 방향으로 압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압축부(330)는, 저장된 분리막 에지를 제2 압축부(320) 앞단에 위치하는 압축 성형 공간(360)으로 이동하도록 압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분리막 에지를 X축 방향으로 압축될 때, 분리막 에지로부터 분리되는 오일을 다수의 오일 배출홀(362, 336)들을 통해 하우징 하부의 오일 저장부(400)로 수집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은, 제2 압축부(320)를 구동시켜 X축 방향으로 압축된 분리막 에지를 Y축 방향으로 압축하여 분리막 폐기물(20)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은, 제2 압축부(320)에 의해 분리막 에지가 압축되면 배출구(364)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부(340)의 도어(346)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생성된 분리막 폐기물(20)을 개방된 배출구(36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배출구(364)를 통해 배출된 분리막 폐기물을 밴딩기를 이용하여 밴딩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은, 도어부(340)의 앞단에 위치하는 컨베이어(370)를 통해 분리막 폐기물(20)을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은, 크레인(380)에 의해 이송된 분리막 폐기물(20)을 운반 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는, 회수되는 분리막 에지를 저장하고, 분리막 에지의 저장량이 기준량에 도달하면 저장된 분리막 에지를 압축하여 분리막 에지로부터 오일을 2차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막 에지를 분리막 폐기물로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리막 에지를 압축 성형함과 동시에 분리막 에지로부터 오일을 분리함으로써, 분리막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분리막 폐기물을 자동 이송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며 분리막 에지으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막 에지의 폐기물로 최소화하고, 오일을 분리하며, 분리막 폐기물을 자동 이송하는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10: 분리막 에지 저장부
320: 제2 압축부
322:제2 압축 실린더 로드
324: 제2 압축 실린더
326: 제2 압축판
330: 제1 압축부
332: 제1 압축 실린더 로드
334: 제1 압축 실린더
338: 제1 압축판
340: 도어부
342: 실린더 로드
344: 실린더
346: 도어
350: 분리막 에지 투입관
360: 압축 성형 공간

Claims (7)

  1. 회수되는 분리막 에지를 저장하는 분리막 에지 저장부;
    상기 저장된 분리막 에지를 X축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1 압축부;
    상기 X축 방향으로 압축된 분리막 에지를 Y축 방향으로 압축하여 분리막 폐기물을 생성하는 제2 압축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분리막 폐기물의 배출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에지 저장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리막 에지가 투입되는 분리막 에지 투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부는,
    상기 저장된 분리막 에지로 이동하여 상기 분리막 에지를 X축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1 압축판;
    상기 제1 압축판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압축 실린더 로드; 그리고,
    상기 제1 압축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압축 실린더 로드를 X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제1 압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축부는,
    상기 제1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분리막 에지가 위치하는 압축 성형 공간;
    상기 압축 성형 공간으로 이동하여 압축된 분리막 에지를 Y축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2 압축판;
    상기 제2 압축판 일측에 연결되는 제2 압축 실린더 로드; 그리고,
    상기 제2 압축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압축 실린더 로드를 Y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제2 압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제1 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분리막 에지가 위치하는 압축 성형 공간의 배출구를 폐쇄하기 위해 Z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도어;
    상기 도어 일측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그리고,
    상기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를 Z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에지 저장부와 상기 제1, 제2 압축부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분리막 에지로부터 분리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 회수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오일 배출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1차 및 2차 분리된 오일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오일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KR1020210072945A 2021-06-04 2021-06-04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KR102493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945A KR102493924B1 (ko) 2021-06-04 2021-06-04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945A KR102493924B1 (ko) 2021-06-04 2021-06-04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322A true KR20220164322A (ko) 2022-12-13
KR102493924B1 KR102493924B1 (ko) 2023-01-31

Family

ID=8443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945A KR102493924B1 (ko) 2021-06-04 2021-06-04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9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814B1 (ko) 2013-09-02 2015-02-16 장태우 리튬이차전지용 폐분리막으로부터 합성수지와 오일을 분리하는 방법
KR20160049824A (ko) * 2014-10-28 2016-05-10 정태문 이차전지 폐분리막으로부터 폴리올레핀과 파라핀을 재생하는 방법
KR20180088266A (ko) * 2017-11-23 2018-08-03 주식회사 남녕테크 스크랩 압축방법
CN207925568U (zh) * 2018-02-01 2018-09-28 安徽铭海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锂电池隔膜的纵向拉伸预热装置
KR20200001419A (ko) * 2018-06-27 2020-01-06 원정식 이차전지 폐분리막 재활용방법
CN111319895A (zh) * 2020-04-09 2020-06-23 德阳旌卫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小区垃圾分类处理的环保生态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814B1 (ko) 2013-09-02 2015-02-16 장태우 리튬이차전지용 폐분리막으로부터 합성수지와 오일을 분리하는 방법
KR20160049824A (ko) * 2014-10-28 2016-05-10 정태문 이차전지 폐분리막으로부터 폴리올레핀과 파라핀을 재생하는 방법
KR20180088266A (ko) * 2017-11-23 2018-08-03 주식회사 남녕테크 스크랩 압축방법
CN207925568U (zh) * 2018-02-01 2018-09-28 安徽铭海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锂电池隔膜的纵向拉伸预热装置
KR20200001419A (ko) * 2018-06-27 2020-01-06 원정식 이차전지 폐분리막 재활용방법
CN111319895A (zh) * 2020-04-09 2020-06-23 德阳旌卫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小区垃圾分类处理的环保生态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924B1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89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ssembling and separating components of batteries
KR101774262B1 (ko)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 전극 탭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전극 탭을 가공하는 방법
KR102217443B1 (ko) 이차전지 가스제거장치 및 가스제거방법
US9793571B2 (en) Apparatus for bonding separators in electrical devices
KR101578179B1 (ko) 2차전지 권취시스템에서 전지롤 권취 과정에서의 발생되는 이물질 제거장치
KR102493924B1 (ko)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압축 장치
KR102519579B1 (ko) 폐배터리 전극 수거시스템
JP2023517320A (ja) セル製造装置及び方法
EP4201640A1 (en) Pouch case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uch case
KR101397823B1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CN114747062A (zh) 制造二次电池的方法及制造二次电池的预脱气装置
US6541152B1 (en) Cylindrical battery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177819B1 (ko) 각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493923B1 (ko)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수집 장치
KR102421369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지그
KR20220154584A (ko)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KR102438356B1 (ko) 이차전지용 분리막 에지 회수 시스템
KR102293513B1 (ko)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단위 용접 장치를 포함하는 전지팩 용접 장치
KR102416147B1 (ko) 리드탭 제작용 메탈 컷팅 장치
KR101600536B1 (ko) 2차전지 권취시스템의 분리막 커터 브러싱 장치
KR20220012615A (ko) 전지셀 테이핑 장치
KR20200033022A (ko) 전극 조립체 제조용 권취 장치
CN110970680A (zh) 电池芯的拆解方法
KR20230067982A (ko) 분리막 커팅장치
KR102261506B1 (ko) 전극시트를 고정하는 흡착 패드를 포함하는 노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