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191A -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191A
KR20220164191A KR1020210072650A KR20210072650A KR20220164191A KR 20220164191 A KR20220164191 A KR 20220164191A KR 1020210072650 A KR1020210072650 A KR 1020210072650A KR 20210072650 A KR20210072650 A KR 20210072650A KR 20220164191 A KR20220164191 A KR 20220164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window
housing
electronic devi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무현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2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4191A/ko
Priority to PCT/KR2022/003262 priority patent/WO2022255600A1/ko
Priority to EP22816263.2A priority patent/EP4277244A1/en
Priority to US17/702,946 priority patent/US11902639B2/en
Publication of KR2022016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3
    • H04N5/2254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제공하는 윈도우 프레임, 상기 윈도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의 빛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개구의 내벽에 대면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을 상기 내측면에 연결하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내측면과 상기 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내벽에 접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INDOW FOR OPTICAL MODUL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카메라와 같은 광학 모듈용 및/또는 디스플레이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각종 전자 장치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저장된 정보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 및 전자 지갑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다. 소형화, 박형화된 전자 장치의 휴대와 사용이 일상화하면서, 전자 장치의 외관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고급화, 다양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외관 디자인은, 형상이나 색상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다양한 구조물의 조화된 배치를 통해 고급화, 다양화될 수 있다.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구조물'이라 함은, 예를 들면, 각종 커넥터용 홀, 음향 입출력을 위한 홀, 기계적인 버튼, 카메라나 디스플레이를 위한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형상이나 경계선, 색상은 전자 장치의 외관에서의 설계 자유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카메라와 같은 광학 모듈이나 디스플레이를 위한 윈도우는,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투명한 사출물 또는 글래스 플레이트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하우징과 같은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구조물에 부착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윈도우의 전체 면적 대비 빛이 실제로 투과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될 수 있다. 예컨대, 부착 영역이 클수록 윈도우에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영역의 비율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 영역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윈도우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전자 장치 또는 하우징의 외관으로 드러날 수 있다. 예컨대, 부착 영역으로 인해 전자 장치의 외관을 구현하는데 있어 설계 자유도가 제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부착 영역이 장식 용도로 활용될 수 있지만, 시각적으로 불필요한 장식 요소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부착 영역을 줄여 외관에서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부착 영역을 줄이면서 견고하게 접합된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제공하는 윈도우 프레임, 상기 윈도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의 빛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개구의 내벽에 대면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을 상기 내측면에 연결하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내측면과 상기 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내벽에 접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면으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제공하는 윈도우 프레임, 상기 윈도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의 빛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개구의 내벽에 대면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을 상기 내측면에 연결하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내벽의 일부로서 형성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융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는 융착에 의해 다른 구조물(예: 하우징 또는 윈도우 프레임)에 의해 접합되어 윈도우 부착에 필요한 영역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한 접합 구조에서는 접합 영역은 대략 1mm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지만, 융착에 의한 접합 구조에서는 대략 0.5mm 정도 이내의 폭을 가지면서 일반적인 접합 구조와 동등한 또는 더욱 향상된 접합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동등 이상의 접합력을 가지면서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일반적인 접합 구조와 비교할 때, 향상된 접합력을 가지면서 부착 영역을 줄여 외관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가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가 부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가 부착되는 동작을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윈도우가 윈도우 프레임에 배치된 모습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가 부착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가 부착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가 윈도우 프레임과 융착된 패턴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가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반적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가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가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가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가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면(또는 전면)(110A), 제2 면(또는 후면)(110B), 및 제1 면(110A) 및 제2 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도 1의 제1 면(110A), 도 2의 제2 면(110B) 및 측면(1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1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래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는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110)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부 공간'이라 함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으로서 디스플레이(10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면(1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1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10C)은, 전면 플레이트(102) 및 후면 플레이트(1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면 부재")(1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후면 플레이트(111) 및 측면 베젤 구조(1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는, 상기 제1 면(1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2개의 제1 영역(110D)(예: 곡면 영역)들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는, 상기 제2 면(1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2개의 제2 영역(110E)(예: 곡면 영역)들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 (또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111))가 상기 제1 영역(110D)들 (또는 상기 제2 영역(110E)들)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영역(110D)들 또는 제2 영역(110E)들 중 일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118)는, 상기와 같은 제1 영역(110D) 또는 제2 영역(110E)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예: 커넥터 홀(108)이 형성된 측면) 쪽에서는 제1 두께 (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영역(110D) 또는 제2 영역(110E)을 포함한 측면(예: 키 입력 장치(117)가 배치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1), 오디오 모듈(103, 107, 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155), 키 입력 장치(117), 발광 소자(106), 및 커넥터 홀(108, 1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117), 또는 발광 소자(106))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1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면(110A), 및 상기 측면(110C)의 제1 영역(110D)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01)의 모서리를 상기 전면 플레이트(102)의 인접한 외곽 형상과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가 노출되는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01)의 외곽과 전면 플레이트(102)의 외곽간의 간격이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예: 활성 영역) 또는 화면 표시 영역을 벗어난 영역(예: 비활성 영역)의 일부에 리세스 또는 개구부(opening)를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 또는 상기 개구부(opening)와 정렬되는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155), 및 발광 소자(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배면에, 오디오 모듈(114),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05, 155), 및 발광 소자(1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1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104)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1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영역(110D)들 및/또는 상기 제 2 영역(110E)들에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3, 107, 114)은, 마이크 홀(103) 및 스피커 홀(107,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103)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에서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107, 114)은, 외부 스피커 홀(107) 및 통화용 리시버 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피커 홀(107, 114)과 마이크 홀(103)이 하나의 홀로 구현되거나, 스피커 홀(107, 114)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센서 모듈(104)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은,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에 배치된 제1 센서 모듈(1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2 면(110B)에 배치된 또 다른 센서 모듈(미도시)(예: HRM 센서 또는 지문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는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예: 디스플레이(101))뿐만 아니라 제2 면(1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1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5, 155)은, 전자 장치(100)의 제1 면(110A)에 배치된 제1 카메라 장치(105), 및 제2 면(110B)에 배치된 제2 카메라 장치(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카메라 장치(155)는 예를 들면, 적외선 광원, 적외선 수신기, 플리커 탐지 센서 및/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5, 155)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110B)에는 도시되지 않은 플래시가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렌즈들 (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1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17)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17)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17)는 디스플레이(1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6)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108, 1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커넥터 홀(1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커넥터 홀(예를 들어, 이어폰 잭)(10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 및/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210)(예: 도 1의 하우징(110))은, 전면 플레이트(220)(예: 도 1의 전면 플레이트(102)), 후면 플레이트(280)(예: 도 2의 후면 플레이트(111)), 및 전면 플레이트(220)와 후면 플레이트(280)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구조(213)(예: 도 1의 측면(110C))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하우징(210)은 전면 플레이트(220), 후면 플레이트(280) 및 측면 구조(213) 외에도, 전자 장치(200)의 외관으로 드러나는 구성(예: 카메라 윈도우(255)) 또는 사용자가 직접 접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플레이트(220)는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으며,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래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280)는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 또는 상기 나열된 물질들의 선택적인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불투명할 수 있다. 측면 구조(213)는 전면 플레이트(220) 및 후면 플레이트(280)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측면 구조(213)는 후면 플레이트(28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나 통신 모듈과 같은 하드웨어 또는 각종 전자 부품은 전자 장치(200)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일부의 하드웨어 또는 전자 부품은 시각적으로 또는 공간적으로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30)(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1))는 전면 플레이트(22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전자 장치(200)(예: 하우징(210))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전면 플레이트(220)의 상당 부분을 통해 시각적으로 전자 장치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측면 구조(213)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200)의 내부로 배치된 지지 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11)는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 구조(2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지지 부재(211)의 일면에 결합되고, 지지 부재(211)의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240)이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2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카메라(231, 232, 233)로 이루어진 카메라 조립체(2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참조번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 조립체(203)와 인접하게 배치된 적외선 광원, 적외선 수신기 및/또는 플리커 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조립체(203)는 전자 장치(200)의 길이 방향(Y)을 따라 배열된 제1 카메라(231), 제2 카메라(232) 및/또는 제3 카메라(2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일면(예: 후면)에서 피사체를 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 조립체(203) 또는 카메라(231, 232, 233)들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 및/또는 커넥터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적외선 광원과 적외선 수신기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거리 정보를 생성 또는 검출할 수 있으며, 플리커 탐지 센서는 인공 조명의 깜박임을 검출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이나 결함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조립체(203)는 하우징(210)의 내부로 배치되면서, 빛을 수신하거나 출력하기 위한 광학 부품(들)으로서, 후면 플레이트(280)의 개구 영역(281)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적외선 광원, 적외선 수신기 및/또는 플리커 탐지 센서는 카메라 조립체(203)와 함께 개구 영역(281)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개구 영역(281)을 폐쇄하되, 카메라 조립체(203)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는 윈도우 프레임(251) 및/또는 윈도우(255)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프레임(251) 및/또는 윈도우(255)는 하우징(210)의 일부일 수 있으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카메라 조립체(203)를 보호하고, 전자 장치(200)의 외관에서는 장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프레임(251)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후면 플레이트(280)의 내측면(또는 지지 부재(211))에 배치되어 개구 영역(281)을 폐쇄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윈도우 프레임(251)은 카메라(231, 232, 233)들, 적외선 광원, 적외선 수신기 및/또는 플리커 탐지 센서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251c)를 제공할 수 있다. 개구(251c)(들)는 실질적으로 개구 영역(281) 상에 위치됨으로써, 하우징(210)(예: 후면 플레이트(28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윈도우 프레임(251)은 카메라(231, 232, 233)들, 적외선 광원, 적외선 수신기 및/또는 플리커 탐지 센서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개구(251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윈도우 프레임(251)은 하나의 개구(251c)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프레임(251)이 하나의 개구(251c)를 포함하는 경우 카메라(231, 232, 233)들, 적외선 광원, 적외선 수신기 및/또는 플리커 탐지 센서는 개구(251c)의 서로 다른 영역을 통해 외부의 빛을 수신하거나 외부로 광학적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프레임(251)은 베이스 플레이트(251a)와 돌출부(251b)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51a)는 돌출부(251b)의 외측면으로부터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flange)를 의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251b)는 베이스 플레이트(251a)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개구(251c)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251b)는 베이스 플레이트(251a) 상에서 -Z축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개구(251c)가 제공되는 구조에서, 개구(251c)들은 돌출부(251b)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돌출부(251b)는 하나의 개구(251c)를 정의하도록(adapted to define) 또는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251c)(들)는 돌출부(251b)에 둘러싸인 영역에서 윈도우 프레임(251) 및/또는 베이스 플레이트(251a)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51a)가 후면 플레이트(280) 또는 지지 부재(211)에 배치되면, 돌출부(251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면 플레이트(280)의 개구 영역(281)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251b) 또는 개구(251c)(들)는 실질적으로 전자 장치(200) 또는 하우징(210)의 외부 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255)는 윈도우 프레임(251)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윈도우(255)는 실질적으로 돌출부(251b)에 배치되어 개구(251c)(들)를 폐쇄하되, 실질적으로 투명한 물질, 예를 들어 글래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로 제작되어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255)는 개구(251c)(들)를 폐쇄하여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으로부터 격리하되, 카메라(231, 232, 233)들, 적외선 광원, 적외선 수신기 및/또는 플리커 탐지 센서를 위한 광학적인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윈도우 프레임(251)과 윈도우(255) 사이에 제공된 더미 플레이트(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미 플레이트(253)는 윈도우(255)를 윈도우 프레임(251)에 부착시키는 접합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더미 플레이트(253)는 윈도우(255)의 내측면에서 지정된 영역에 배치 또는 형성된 장식 필름, 증착층, 도금층, 인쇄층 및/또는 도장층을 포함함으로써 윈도우(255)의 외관에서 장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 따라, 더미 플레이트(253)의 적어도 일부는 윈도우(255)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 개구(251c)(들)에 상응하는 영역은 실질적으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에서 윈도우(255)가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윈도우(255)가 부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윈도우(255)는 레이저(L)를 이용한 용접 또는 융착에 의해 윈도우 프레임(25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255)의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 궤적(25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융착 궤적(257)은 실질적으로 폐곡선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융착 궤적(257)은 실질적으로 폐곡선을 이루게 형성된 경사면(예: 제1 경사면(351a)과 제2 경사면(353a))에 형성된 것으로, 경사면(351a, 353a)들은 윈도우(255)의 형상에 상응하는 폐곡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255)를 윈도우 프레임(251)에 부착함에 있어 레이저(L)를 이용한 용접 또는 융착이 언급되고 있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합 부재로서 제공된 더미 플레이트(253)를 통해 윈도우(255)가 윈도우 프레임(251)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255)는, 하우징(예: 도 1 내지 도 3의 하우징(110, 21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내측면(255a), 내측면(255a)의 반대 방향(예: 하우징(210)의 외부 공간)을 향하는 외측면(255b), 및/또는 내측면(255a)과 외측면(255b)을 연결하는 측면(255c)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윈도우(255)가 글래스 플레이트로 제작될 때, 글래스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질 수 있다. 내측면(255a)과 측면(255c) 또는 외측면(255b)과 측면(255c)이 연결된 모서리가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룰 때, 해당 모서리 부분은 외부 충격에 더 취약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서리 부분을 둔각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윈도우(255)의 취약성이 보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면(255a)과 측면(255c) 사이에 제1 경사면(351a)이 형성됨으로써, 윈도우(255)의 표면에서 면과 면(예: 내측면(255a)과 측면(255c))이 만나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둔각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윈도우(255)는 외측면(255b)과 측면(255c)을 연결하는 추가의 경사면(351b)을 포함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윈도우(255)의 취약성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경사면(351a, 351b)들은 측면(255c)의 일부로서 해석될 수 있으며, 측면(255c)은 개구(251c)의 내벽과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충격에 대한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내측면(255a), 외측면(255b) 및/또는 측면(255c)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제1 경사면(351a) 또는 추가의 경사면(35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경사면(351a)과 추가의 경사면(351b)은 대략 0.1mm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사면(351a)과 추가의 경사면(351b)의 길이'라 함은 측면(255c)으로부터 경사면(351a, 351b)을 지나 내측면(255a) 또는 외측면(255b)에 이르는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의 융착 궤적(257)은 실질적으로 제1 경사면(351a)에 상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경사면(351a)은 추가의 경사면(351b)보다 더 클 수 있으며, 대략 0.2~0.4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351a, 351b)들의 길이는 외부 충격에 대한 취약성을 보완하거나, 후술하는 레이저 융착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 또는 윈도우 프레임(251)은 제1 경사면(351a)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35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면(353a)은 예를 들면, 개구(251c)의 내벽 중 일부일 수 있으며, 및/또는 돌출부(251b)의 내측면 중 일부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2 경사면(353a)은 개구(251c)의 내벽 중 다른 부분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1 경사면(351a)에 접합 또는 융착될(fused)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255)가 윈도우 프레임(251)에 배치되면, 제1 경사면(351a)이 실질적으로 제2 경사면(353a)에 접촉하게 배치되며, 레이저(L)를 조사함으로써, 제2 경사면(353a)의 일부가 레이저(L)의 열에 의해 융해되었다 다시 경화되는 과정에서 윈도우(255)가 윈도우 프레임(251)에 접합 또는 융착될 수 있다. 레이저(L)를 조사하기 전, 윈도우(255)는 윈도우 프레임(251) 상에서 지정된 위치에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이저(L)가 조사되는 동안 윈도우(255)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및/또는 윈도우(255)를 가압하여 윈도우 프레임(251)에 밀착시킴으로써 설계 위치에서 변위(displacement) 또는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에서 윈도우(255)가 부착되는 동작을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윈도우(255)가 윈도우 프레임(251)에 배치된 모습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작업대(411) 상에 윈도우 프레임(251) 및/또는 후면 플레이트(280)가 배치된 상태에서, 윈도우(255)가 윈도우 프레임(25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예: 도 5의 제1 경사면(351a)과 제2 경사면(353a))의 조합에 의해 융착 전이라도 윈도우(255)는 윈도우 프레임(251) 상에서 지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융착 동작에서, 윈도우 프레임(251)의 용융 수지 또는 융용 금속의 거동을 실질적으로 예측하기 어렵고, 용융 수지 또는 융용 금속의 거동은 윈도우(255)의 정렬 위치를 왜곡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가 조사되는 동안 윈도우(255)는 가압 지그(421)에 의해 윈도우 프레임(251)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압 지그(421)는, 예를 들면, 윈도우(255)와 직접 접촉하는 제1 가압 부재(421a)와, 빛(예: 레이저)를 투과시키는 제2 가압 부재(4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421a)는 그 폭이나 길이가 윈도우보다 작을 수 있으며, 레이저가 조사되는 경로(LP)는 제1 가압 부재(421a)의 둘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윈도우(255)의 가장자리(예: 도 5의 제1 경사면(351a)) 및/또는 윈도우 프레임(251)(예: 도 5의 제2 경사면(353a))에 상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2 가압 부재(421b)는 후면 플레이트(280)의 외부에서 윈도우(255)나 윈도우 프레임(251)을 가리는 폭이나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투명한 또는 레이저를 투과시키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가압 지그(421)에 의해 윈도우(255)의 유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윈도우(255)는 윈도우 프레임(251) 상의 지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융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255)가 융착에 의해 윈도우 프레임(251)과 결합됨에 있어, 근적외선 영역대(예: 대략 0.75~1.5um 파장)의 레이저가 이용될 수 있으며, 윈도우 프레임(251)의 재질(예: 합성수지나 금속 물질)을 고려하여, 대략 50~400w의 범위에서 적절한 출력의 레이저가 융착 부위에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의 출력값은 윈도우 프레임(251)의 재질의 물성치(예: 녹는점)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조사 장비에서 출력되는 레이저의 직경은 대략 0.02~0.04mm일 수 있으며, 대략 0.03mm 직경의 레이저가 조사될 때, 윈도우 프레임에서 열에 반응하는 부위의 직경은 대략 0.2mm일 수 있다. 조사된 레이저는 실질적으로 윈도우(255) 또는 제1 경사면(351a)을 투과하여 제2 경사면(353a)에 도달함으로써, 제2 경사면(353a)의 일부를 융해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수치, 예를 들어, 레이저의 출력이나 파장, 조사되는 레이저의 직경에 관한 수치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 프레임(251)의 재질에 따라, 레이저의 조사 시간이나 속도의 조합에 따라, 및/또는 윈도우(255)와 윈도우 프레임(251) 사이에 요구되는 접합력에 따라 위 예시된 수치(들)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지그(421)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융착을 실시함으로써, 윈도우(255)와 윈도우 프레임(251) 사이의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 프레임(255)의 용융 수지나 용융 금속이 다시 경화하는 과정에서 더 강한 접합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하지 않은 상태로 접합된 구조와 비교할 때, 가압 상태를 유지하면서 접합함으로써 접합력이 대략 1~2kfg 정도 향상되는 실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레이저 융착의 효율이나 접합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구성이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예: 제2 경사면(353a))은 높은 레이저 흡수율을 가지도록 무광, 유색 계열의 색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표면 가공을 통해 제1 경사면(351a)에 요철이나 헤어라인이 형성된 경우 제1 경사면(351a)은 실제 육안(naked eye)으로 보여지는 면적보다 넓은 접합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레이저 조사 패턴 또는 궤적을 이용하여 윈도우(255)와 윈도우 프레임(251)의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실시예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좀더 살펴보게 될 것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에서 윈도우(255)가 부착되는 동작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윈도우(255)가 부착되는 동작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레이저를 조사하는 동작에서, 윈도우(255)의 유동을 제한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압 지그(421)가 이용됨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무게추(423) 또는 도 9의 석션(suction)(425)이 활용될 수 있으며, 무게추(423)의 무게 또는 석션(425)의 흡착력은 용융 수지나 용융 금속의 거동에도 윈도우(255)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에서 윈도우(255)가 윈도우 프레임(251)과 융착된 패턴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예를 들면, 융착 궤적(예: 도 4의 융착 궤적(257))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융착 궤적(257)은 사용자의 육안으로 볼 때 윈도우(255)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형성하는 직선(들) 또는 곡선(들)의 조합으로 보여지지만, 부분적으로 확대해 보면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융착 궤적(257)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 10 내지 도 13의 패턴은 실질적으로 레이저가 조사되는 패턴으로서, 도 10의 선형(line type) 패턴(257a), 도 11의 지그재그(zigzag) 패턴(257b), 도 12의 워블(wobble) 패턴(257c) 및/또는 도 13의 사인(sine) 패턴(257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0의 라인 패턴(257a)으로 레이저가 조사되는 경우, 지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레이저가 동시에 또는 평행하게 조사되거나 하나의 레이저를 조사하되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복수의 레이저 조사 라인으로 이루어진 융착 궤적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융착 면적이 클수록 윈도우(255)와 윈도우 프레임(251) 사이의 접합력이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255)와 윈도우 프레임(251) 사이의 접합력을 고려하여, 레이저 조사 패턴이나 횟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윈도우(255)는 실질적으로 투명하므로, 융착 궤적(257)이 윈도우(255)의 내측면에 위치되더라도 윈도우(255)를 투과하여 외부에 보여질 수 있다. 예컨대, 융착 궤적(257)이 전자 장치(200) 또는 하우징(예: 도 1 내지 도 3의 하우징(110, 210))의 외관으로 드러나는 것을 고려하여, 레이저 조사 패턴이나 횟수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555)가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에서, 복수의 개구(551c)와 각각의 개구(551c)에 상응하는 윈도우(555)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윈도우 프레임(551)은 복수의 돌출부(55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구(551c)들 중 일부는 돌출부(551b)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의 개구(551c)(들)는 돌출부(551b)들 중 어느 하나에 둘러싸인 영역에서 베이스 플레이트(551a)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후면 플레이트(580)는 각각의 돌출부(551b) 또는 개구(551c)에 상응하는 개구 영역(581)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부(551b)들 또는 개구(551c)들은 개구 영역(581)들 중 하나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프레임(551)은, 베이스 플레이트(551a)가 후면 플레이트(580)의 내측면에 마주보는 상태로 후면 플레이트(580)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 프레임(551)이 후면 플레이트(580)에 결합되면 돌출부(551b)는 개구 영역(581)들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개구(551c)들 중 일부는 돌출부(551b)가 없는 영역에서 베이스 플레이트(551a)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 영역(581)들 중 어느 하나와 정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윈도우(555)들은 개구(551c)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형상으로서, 윈도우 프레임(551)에 결합되어 개구(551c)들을 폐쇄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윈도우(555)는 돌출부(551b)들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윈도우(555)의 제1 경사면(555a)(예: 도 5의 제1 경사면(351a))과 돌출부(551b)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2 경사면(553a)(예: 도 5의 제2 경사면(353a))이 레이저에 의해 융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윈도우(555)의 배치 구조는 선행 실시예를 통해 살펴본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경사면(553a)이 형성된 영역에서, 하우징(예: 도 3의 하우징(210)) 또는 후면 플레이트(580)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개구(551c)의 폭(w)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555)가 외측에서 윈도우 프레임(55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경사면(553a)이 제1 경사면(555a)에 접촉됨으로써 윈도우(555)의 배치 또는 접합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 또는 윈도우 프레임(551)은 제2 경사면(553a)으로부터 연장된 제3 경사면(553b)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경사면(553b)은 제2 경사면(553a)보다 하우징(210) 또는 후면 플레이트(58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경사면(553b)이 형성된 영역에서, 하우징(예: 도 3의 하우징(210)) 또는 후면 플레이트(580)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개구(551c)의 폭(w)은 점차 커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555)가 제공하는 전체 면적 또는 크기 대비, 윈도우 프레임(551)의 내측으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영역은, 윈도우(555)와 윈도우 프레임(551)의 접합 면적(또는 폭(BA1))에 대하여 배타적일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555)가 제공하는 전체 면적 또는 크기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영역과 접합 폭(BA1)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접합 폭(BA1)이 클수록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의 외관에서 설계 자유도가 저하됨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555)와 윈도우 프레임(551)은 레이저(L)를 조사함으로써 제1 경사면(555a)과 제2 경사면(553a)이 접합될 수 있으며, 접합 폭(BA1)이 대략 0.4~0.5mm일 때 윈도우(555)와 윈도우 프레임(551) 사이에 대략 4~5kgf의 접합력이 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어떤 실시예에서, 실제 레이저가 조사되거나 융착이 이루어지는 부분은 도 16에 예시된 접합 폭(BA1)보다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531)(예: 도 3의 카메라(231, 232, 233)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1매의 렌즈를(533a)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531b)와, 렌즈 어셈블리(531b)에 광축(O) 정렬된 이미지 센서(531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531)는 윈도우(555) 및/또는 렌즈 어셈블리(531b)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의 빛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551c) 또는 윈도우(555)에 상응하는 전자 부품으로서 카메라(531)가 예시되지만, 적외선 광원, 적외선 수신기 및/또는 플리커 탐지 센서와 같은 광학 모듈이 개구(551c)들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한 실시예에서, 렌즈 어셈블리(531b)는, 예를 들면, 경통(533b)과, 경통(533b)에 배치된 복수의 렌즈(533a)를 포함하며 윈도우(555)의 내측면에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개구(551c) 또는 윈도우(555)는 렌즈 어셈블리(531b) 및/또는 이미지 센서(531a)와 광축(O) 상에 정렬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531a)는 윈도우(555)와 렌즈 어셈블리(531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입사된 빛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어셈블리(531b)는 케이싱(531c)을 통해 이미지 센서(531a)와 결합될 수 있으며, 케이싱(531c) 상에서 광축(O) 방향으로 진퇴운동할 수 있다.
도 17은 일반적인 전자 장치에서 윈도우(655)가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651)를 윈도우 프레임(651)에 결합함에 있어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653b)가 활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윈도우 프레임(651)은 베이스 플레이트(651a)와, 베이스 플레이트(651a)의 일면에서 돌출된 돌출부(651b) 및 돌출부(651b)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차면(653a)을 포함할 수 있다. 단차면(653a)는 실질적으로 윈도우(655)의 내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접착 테이프(653b)가 윈도우(655)의 가장자리를 단차면(653a)에 접합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653b)는 윈도우(655)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원단을 재단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재단 동작에서는 접착 테이프(653b)의 최소 폭이 대략 0.8mm 정도 요구될 수 있다. 더욱이, 재단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제작 오차, 또는 접착 테이프(653b)를 윈도우(655) 또는 윈도우 프레임(651)(예: 단차면(653a))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정렬 오차를 고려하여, 윈도우 프레임(651) 상에서는 대략 0.9~1.2mm의 접합 폭(BA2)을 확보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접착 테이프(653b)를 대체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윈도우(655)를 윈도우 프레임(651)에 부착할 수 있다. 하지만 개구(651c)에 상응하는 영역(또는 빛이 투과하는 영역)에서 윈도우(655)가 접착제에 오염될 수 있어,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 구조에서는, 윈도우(655)의 오염 방지를 위한 추가의 구조물이나 접착제 도포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할 수 있다.
도 16과 도 17에 예시된 실시예를 통해 비교되는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653b) 또는 접착제를 이용한 결합 구조와 비교할 때, 레이저 융착을 이용한 접합 구조(예: 도 5 또는 도 16의 결합 구조)는 대략 0.4~0.8mm만큼 접합 폭(BA1, BA2)이 감소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의 외관에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접착 테이프(653b)를 이용한 접합 구조는 접합 환경이나 시점에 따른 접합력의 편차 또는,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온도에 따라 접합력의 편차가 클 수 있으며, 최대 접합력은 대략 5kgf 정도이나 접합 당시의 환경이나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온도에 따라 접합력이 2.8kgf까지 저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융착을 이용한 윈도우(255, 555)와 윈도우 프레임(251, 551)의 결합 구조는 접합 환경이나 사용 환경에 따른 편차가 개선되어 대략 4~5kgf 정도의 접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윈도우(255, 555)를 윈도우 프레임(251, 551)에 결합함에 있어 레이저 융착을 이용함으로써, 접합 폭이 줄어 전자 장치의 외관에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면서 구조물들(예: 윈도우(255, 555)와 윈도우 프레임(251, 551)) 사이의 접합력의 저하나 접합력의 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700)(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에서 윈도우(720)(예: 도 1 또는 도 3의 전면 플레이트(102, 220))가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윈도우(예: 도 5 또는 도 16의 윈도우(255, 555))는 카메라(예: 도 3 또는 도 15의 카메라(231, 232, 233, 531))에 상응하게 배치된 구성이 예시되었다. 하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 또는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예: 도 1 또는 도 3의 디스플레이(101, 230))용 윈도우를 다른 구조물(예: 도 1 내지 도 3의 하우징(110, 210))에 결합하는데에도 레이저 융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700)의 디스플레이(730)는 실질적으로 윈도우(720)(예: 도 1 또는 도 3의 전면 플레이트(102, 22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윈도우(720)의 상당 부분을 통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윈도우(720)는 가장자리의 내측에 형성된 제1 경사면(751a)을 포함하며, 제1 경사면(751a)은 실질적으로 융착 또는 접합 동작에서 레이저의 입사 경로(LP)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참조 번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700)는 하우징(710)의 내벽에 형성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경사면(751a)이 제2 경사면에 접촉된 상태로 윈도우(720)가 하우징(7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경사면(751a)이 제2 경사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입사 경로(LP)를 통해 레이저가 조사되면, 하우징(710)(예: 제2 경사면)의 일부가 융해, 경화되면서 윈도우(720)가 하우징(710)에 접합 또는 융착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800)(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에서 윈도우(820)(예: 도 1 또는 도 3의 전면 플레이트(102, 220))가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830) 또는 윈도우(820)(예: 도 1 또는 도 3의 전면 플레이트(102, 220))의 일부분은 곡면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으며, 윈도우(820)의 가장자리 중 일부가 접합면(851a)(예: 도 5의 제1 경사면(351a))으로서 제공되어 하우징(810)과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접합면(851a)은 레이저의 입사 경로(LP)에 위치되며 레이저가 조사됨으로써 하우징(810)의 일부분이 융해, 경화되는 과정에서 윈도우(820)가 하우징(810)에 접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900)(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에서 윈도우(920)(예: 도 1 또는 도 3의 전면 플레이트(102, 220))가 부착된 모습을 예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내측면에 디스플레이(930)가 배치된 윈도우(920)(예: 도 1 또는 도 3의 전면 플레이트(102, 220))는 측면(955c) 및/또는 제1 경사면(951a)이 하우징(910)의 내벽 또는 경사면에 접촉 또는 접합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951a)은 측면(955c)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레이저는 서로 평행한 또는 서로 교차하는 2개의 경로(LP)를 통해 입사되어 하우징(910)의 일부분을 융해할 수 있으며, 윈도우(920)의 측면(955c)과 제1 경사면(951a)이 하우징(910)에 융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는, 하우징(예: 도 1 내지 도 3의 하우징(110, 210)),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예: 도 3 내지 도 5 및/또는 도 14 내지 도 16의 개구(251c, 551c))를 제공하는 윈도우 프레임(예: 도 3 내지 도 5 및/또는 도 14 내지 도 16의 윈도우 프레임(251, 551)), 상기 윈도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예: 도 3 내지 도 5 및/또는 도 14 내지 도 16의 윈도우(255, 555)),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의 빛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모듈(예: 도 3 또는 도 15의 카메라(231, 232, 233, 531))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예: 도 5의 내측면(255a))과, 상기 개구의 내벽에 대면하는 측면(예: 도 5의 내측면(255a))과, 상기 측면을 상기 내측면에 연결하는 제1 경사면(예: 도 5의 제1 경사면(351a))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내측면과 상기 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내벽에 접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내벽의 일부로서 형성된 제2 경사면(예: 도 5의 제2 경사면(353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내벽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접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내벽의 일부로서 형성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내벽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융착(예: 도 5의 레이저(L)에 의한 융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개구의 폭(예: 도 16의 폭(w))이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융착된 궤적(예: 도 4의 융착 궤적(257))은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이룰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선형(line type) 패턴, 워블(wobble) 패턴, 지그재그(zigzag) 패턴 또는 사인(sine)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예: 도 10 내지 도 13의 레이저 조사 패턴)으로 융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된 제3 경사면(예: 도 16의 제3 경사면(553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경사면은 상기 제2 경사면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3 경사면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개구의 폭이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모듈은, 적어도 1매의 렌즈(예: 도 15의 렌즈(533a))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마주보게 배치된 렌즈 어셈블리(예: 도 15의 렌즈 어셈블리(531b)), 및 상기 렌즈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마주보게 배치된 이미지 센서(예: 도 15의 이미지 센서(531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내벽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융착된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경사면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된 제3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개구의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경사면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개구의 폭이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융착된 궤적은 선형 패턴, 워블 패턴, 지그재그 패턴 또는 사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이룰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예: 도 4 또는 도 14의 베이스 플레이트(251a, 551a)),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돌출부(예: 도 4 또는 도 14의 돌출부(251b, 551b))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돌출부에 둘러싸인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서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융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융착된 궤적은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이룰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개구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윈도우의 외부에서 입사된 빛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는, 하우징(예: 도 1 내지 도 3의 하우징(110, 210)),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예: 도 1, 도 3 및/또는 도 18 내지 도 20의 디스플레이(101, 230, 730, 830, 930)),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면으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예: 도 3 내지 도 5 및/또는 도 14 내지 도 16의 개구(251c, 551c))를 제공하는 윈도우 프레임(예: 도 3 내지 도 5 및/또는 도 14 내지 도 16의 윈도우 프레임(251, 551)), 상기 윈도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예: 도 3 내지 도 5 및/또는 도 14 내지 도 16의 윈도우(255, 555)),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의 빛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모듈(예: 도 3 또는 도 15의 카메라(231, 232, 233, 531))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예: 도 5의 내측면(255a))과, 상기 개구의 내벽에 대면하는 측면(예: 도 5의 내측면(255a))과, 상기 측면을 상기 내측면에 연결하는 제1 경사면(예: 도 5의 제1 경사면(351a))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내벽의 일부로서 형성된 제2 경사면(예: 도 5의 제2 경사면(353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융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개구의 폭(예: 도 16의 폭(w))이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융착된 궤적(예: 도 4의 융착 궤적(257))은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이룰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예: 도 4 또는 도 14의 베이스 플레이트(251a, 551a)),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돌출부(예: 도 4 또는 도 14의 돌출부(251b, 551b))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돌출부에 둘러싸인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윈도우(예: 도 3 내지 도 5 및/또는 도 14 내지 도 16의 윈도우(255, 555))에 상응하게 배치되는 광학 모듈로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카메라(예: 도 3 또는 도 15의 카메라(231, 232, 233, 531))(들)가 예시되고 있지만, 윈도우에 상응하게 배치되는 광학 모듈은 적외선 광원, 적외선 수신기, 플리커 탐지 센서, 근조도센서, HRM센서 및/또는 지문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0, 200, 700, 800: 전자 장치
110, 210, 710, 810, 910: 하우징
101, 230, 730, 830, 930: 디스플레이
231, 232, 233, 531: 카메라
251, 551: 윈도우 프레임 255, 555: 윈도우
257: 융착 궤적 L: 레이저
351a, 555a: 제1 경사면 353a, 553a: 제2 경사면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제공하는 윈도우 프레임;
    상기 윈도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의 빛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개구의 내벽에 대면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을 상기 내측면에 연결하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내측면과 상기 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내벽에 접합된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내벽의 일부로서 형성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내벽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접합된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내벽의 일부로서 형성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내벽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융착된(fused)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개구의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융착된 궤적은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는 전자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선형(line type) 패턴, 워블(wobble) 패턴, 지그재그(zigzag) 패턴 또는 사인(sine)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으로 융착된 전자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된 제3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경사면은 상기 제2 경사면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3 경사면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개구의 폭이 커지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은,
    적어도 1매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마주보게 배치된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마주보게 배치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내벽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융착된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경사면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된 제3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개구의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경사면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개구의 폭이 커지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융착된 궤적은 선형 패턴, 워블 패턴, 지그재그 패턴 또는 사인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는 전자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돌출부에 둘러싸인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게 형성된 전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서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융착된 전자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융착된 궤적은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는 전자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복수의 상기 개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윈도우의 외부에서 입사된 빛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면으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제공하는 윈도우 프레임;
    상기 윈도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의 빛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개구의 내벽에 대면하는 측면과, 상기 측면을 상기 내측면에 연결하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내벽의 일부로서 형성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경사면과 융착된 전자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개구의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융착된 궤적은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는 전자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돌출부에 둘러싸인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게 형성된 전자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전자 장치.
KR1020210072650A 2021-06-04 2021-06-04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64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650A KR20220164191A (ko) 2021-06-04 2021-06-04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2/003262 WO2022255600A1 (ko) 2021-06-04 2022-03-08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2816263.2A EP4277244A1 (en) 2021-06-04 2022-03-08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window for optical module
US17/702,946 US11902639B2 (en) 2021-06-04 2022-03-24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indow for optica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650A KR20220164191A (ko) 2021-06-04 2021-06-04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191A true KR20220164191A (ko) 2022-12-13

Family

ID=8432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650A KR20220164191A (ko) 2021-06-04 2021-06-04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64191A (ko)
WO (1) WO20222556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318B1 (ko) * 2012-02-16 2019-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카메라 왜곡 현상 방지를 위한 윈도우
KR102607582B1 (ko) * 2016-08-30 2023-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CN206878885U (zh) * 2017-06-16 2018-01-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前置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US10425561B2 (en) * 2017-09-08 2019-09-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502894B1 (ko) * 2018-05-02 2023-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평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5600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9085B2 (en) Camera bracket including audio signal path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amera bracket
EP3483783B1 (en) Display device
US11159660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containing metallic materials
US11736599B2 (en) Cover glass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608694B1 (ko)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센서에 의해 반사된 광을 차단하기 위한 편광 부재 및 위상 지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225265B2 (ja) 光源窓塗料
KR102559386B1 (ko)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29347B1 (ko) 전자 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패키지
CN113226766B (zh) 装饰膜及包括该装饰膜的电子装置
TWI662353B (zh) 光學影像感測模組
KR102650458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0263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indow for optical module
KR20220164191A (ko) 광학 모듈용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58354B1 (ko)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58217A (ko) 전자 장치
US20230031125A1 (en) Ornamental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19593A (ko) 장식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088012A1 (en) Transparent member,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nd thermforming method of transparent member
US1187740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KR20230012787A (ko) 쉴드 캔이 내장된 적외선 광원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49286A (ko) 사출물 및 그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
KR20220086319A (ko)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하우징의 제조방법
KR20220153919A (ko) 하우징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17066A (ko) 글라스 성형 장치
KR20240047274A (ko)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