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217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8217A KR20210158217A KR1020200076694A KR20200076694A KR20210158217A KR 20210158217 A KR20210158217 A KR 20210158217A KR 1020200076694 A KR1020200076694 A KR 1020200076694A KR 20200076694 A KR20200076694 A KR 20200076694A KR 20210158217 A KR20210158217 A KR 202101582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me switch
- switch module
- button
- housing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101001045744 Sus scrofa Hepatocyte nuclear factor 1-beta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875 Eboni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et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 G06K9/0002—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79—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ontacts, e.g. interspersed fingers or helical networ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12—Positioning of individual dom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2—Reversed do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로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된 버튼 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된 돔 스위치 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실장된 브라켓; 및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된 베이스부;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맞닿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둘레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블록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전자 장치를 위한 버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크기가 소형화 되면서, 최적의 내부 공간이 필요해지고 있다.
전자 장치에 대한 소형화, 박형화 요구에 따라, 전자 장치의 두께는 얇아지고 전자 장치 내부의 실장 공간은 협소해질 수 있다.
전자 장치 내부에 실장될 수 있는 부품들, 예를 들면, 버튼은 돔 스위치에 기반할 수 있다. 버튼은 전자 장치의 두께가 얇아지거나 전자 장치 내부의 실장 공간이 협소한 상태에서, 그 동작의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미적 심미감을 높이기 위하여 하우징 외관의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포함하거나 하우징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 내부 공간은 더욱 협소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예를 들면, 돔 스위치 기반의 버튼은 버튼의 누름시 걸림(stuck), 또는 미끄러짐(slip)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의 누름시 걸림,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 버튼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향하는 전면 하우징과,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전면 하우징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후면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된 버튼 부재; 상기 공간에서 상기 버튼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된 돔 스위치 모듈; 상기 전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에 수직한 방향으로 실장된 브라켓; 및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된 베이스부;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맞닿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둘레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블록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은 상기 전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에 수직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돔 스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향하는 전면 하우징과,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전면 하우징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후면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된 버튼 부재; 상기 공간에서 상기 버튼 어셈블리의 내측면에 형성된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된 돔 스위치 모듈; 상기 전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에 수직한 방향으로 실장된 브라켓; 및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된 베이스부;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맞닿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둘레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블록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돔 스위치 모듈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돔 스위치 모듈의 두께 보다 낮게 형성된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는 전자 장치의 입력 버튼을 클릭하는 클릭감을 향상시키는 전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버튼 부재, 기판부, 및 스위치 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파선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가 버튼 클릭시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가 버튼 클릭시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파선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돌출부 및 리세스가 추가로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세스가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세스가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도 10a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세스가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돌출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돌출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돌출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촉부 주위에 지지부가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d는, 도 13a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접촉부의 단면 형상 및 재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접촉부의 단면 형상 및 재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c는, 도 14b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접촉부의 단면 형상 및 재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의 버튼 부재, 기판부, 및 스위치 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파선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가 버튼 클릭시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가 버튼 클릭시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파선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돌출부 및 리세스가 추가로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세스가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세스가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도 10a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세스가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돌출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돌출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돌출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촉부 주위에 지지부가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d는, 도 13a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접촉부의 단면 형상 및 재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접촉부의 단면 형상 및 재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c는, 도 14b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접촉부의 단면 형상 및 재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 1 방향을 향하는 제 1 면(또는 전면)(110A),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를 향하는 제 2 면(또는 후면)(110B), 및 제 1 면(110A) 및 제 2 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도 1의 제 1 면(110A), 제 2 면(110B) 및 측면(1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면(1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하우징(13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하우징(130)은 플레이트(1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2 면(1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하우징(16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하우징(160)은,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10C)은, 전면 하우징(130) 및 후면 하우징(160)과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부재(103)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하우징(160) 및 측면부재(103)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1), 오디오 모듈(107), 센서 모듈(104), 카메라 모듈(111), 키 입력 장치(105, 106), 인디케이터(109), 및 커넥터 홀(10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105, 106), 또는 인디케이터(109))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예를 들어, 전면 하우징(130)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면(110A) 및 플레이트(1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7)은, 마이크 홀 및 스피커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은, 외부 스피커 홀 및 통화용 리시버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과 마이크 홀이 하나의 홀로 구현되거나, 스피커 홀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센서 모듈(104)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4)은,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 1 면(110A)에 배치된 제 1 센서 모듈(1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 2 센서 모듈(미도시)(예: HRM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1)은, 제 2 면(110B)에 배치된 카메라 장치 및/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카메라 모듈(111)은 전자 장치(100)의 제 1 면(110A)에 배치된 카메라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1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05, 106)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된 사이드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05, 106)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키 입력 장치(105, 106)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버튼 어셈블리(200)를 구비할 수 있다. 버튼 어셈블리(200)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후술한다.
인디케이터(109)는,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단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디케이터(109)는 하우징(110)의 전면(110A) 및/또는 후면(110B)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인디케이터(109)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108)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홀,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커넥터 홀(예를 들어, 이어폰 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1), 상기 디스플레이(101)를 둘러싸는 플레이트(102), 브라켓(120), 전면 하우징(130), 인쇄회로기판(140) 및/또는 다양한 전자 부품들, 배터리(150), 후면 하우징(160) 및 버튼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브라켓(12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의 위치가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 하우징(130)과 브라켓(120)의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브라켓(120)이 전면 하우징(130)의 후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브라켓(120)은, 전자 장치(100) 내부에 배치되어 전면 하우징(130)과 연결될 수 있거나, 전면 하우징(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20)은,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20)은, 일면에 디스플레이(101)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브라켓(120)이 전면 하우징(130)의 후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브라켓에 인쇄 회로 기판 및/또는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전자 부품들에는, 카메라 모듈, 각종 센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5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1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150)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3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후면 하우징(160)은 전면 하우징(130)과 함께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10)을 구성하여 하우징 외부의 물리적/화학적 충격으로부터 전자 장치(100) 내부의 다양한 부품들을 전부 또는 일부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한 전자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면 하우징(160)은 복수의 전자 부품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일 수 있다. 후면 하우징(160)은 다수의 외부 벽들(또는 측벽들)을 가지며, 상기 외부의 벽들은 전자 장치(200)의 외관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하우징(160)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벽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벽은 상기 외부 벽들과의 사이에 전자 장치(200) 내부에 다양한 부품들을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내부벽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은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후면 하우징(160)은 측면 부재(161)(예: 도 1의 측면 부재(103))와 후면 플레이트(16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부재(161)는 측면(110C)을 형성하고, 후면 플레이트(162)는 제 2 면(110B)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측면(110C)은 제 2 면(110B)과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110C)은 제 2 면(110B)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면(110B)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면과도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면(110C)에 경사를 주어 하우징(110)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버튼 어셈블리(200)는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되, 적어도 일부가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튼 어셈블리(200)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 어셈블리(200)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서로 독립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후면 하우징(16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어셈블리(200)를 수용하기 위한 안착 홈(seating recess) 및 버튼에 엑세스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 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 홈은 후면 하우징(160)의 전자 장치의 외형을 정의하는 외부의 벽들과 후면 하우징(160)의 상이한 내부 부품들을 위한 수용 공간을 분리하는 내부 벽들 중 하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와 같은 소형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에 대한 소형화, 박형화 요구에 따라, 전자 장치의 두께는 매우 얇아질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미적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하우징 외관에 곡면을 많이 포함할 수 있는데, 곡면에 인접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더욱 협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의 측면(110C)이 인접한 하우징의 면(예: 제 2 면(110B))과 수직하게 형성되지 않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협소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전자 장치의 측면(110C)에 장착되는, 예를 들면, 돔 스위치 모듈을 구비하는 버튼 어셈블리(200)는 전자 장치(100) 내부의 실장 공간이 협소함에 따라 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실장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버튼의 동작중에 걸림(stuck) 현상과, 미끌림(slip)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버튼 어셈블리(200)가 전자 장치(100)의 측면(110C)에 배치됨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200)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200)의 버튼 부재(210), 기판부(230), 및 스위치 모듈(25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판부(230)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버튼 어셈블리(200)는 버튼 부재(210), 기판부(230), 스위치 모듈(250), 브라켓(260) 및 블록 부재(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60)은 버튼 어셈블리(200)가 아닌 하우징(110)의 일부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버튼 부재(210)는 제 3 방향(상기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과 경사진)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버튼 홀(112)에 삽입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튼 부재(210)에는 버튼 부재(210)의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버튼 탑(211) 및 버튼 부재가 장착된 위치를 벗어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어셈블리(200)는, 버튼 어셈블리(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기판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부(230)는 전자 장치(100) 내부의 다른 전자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부(230)는 플렉서블 기판부(230)가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230)의 일면에는 버튼 부재(210) 및 돔 스위치 모듈(250)이 실장될 수 있다. 도 4a에는 기판부(230)가 플렉서블하게 접힘에 따라 버튼 부재(210) 및 돔 스위치 모듈(250)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 실시예가 도시되나, 도 4b에는 기판부(230)가 펼쳐진 상태에서 버튼 부재(210) 및 돔 스위치 모듈(250)이 동일한 방향을 향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버튼 어셈블리(200)는 전면 하우징(130) 및 후면 하우징(160)에 의해 규정된 공간 내에서 후면 하우징(160)의 안착 홈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어셈블리(200)는 상기 안착 홈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면 하우징(160)의 버튼 홀(112)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버튼 어셈블리(200)는 안착 홈에 배치된 하우징 내의 버튼 어셈블리(200)의 구조를 강화시키고 블록 부재(270)를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 벽에 장착된 브라켓(260)(예: 도 2의 브라켓(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260)은 비금속 및/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버튼 어셈블리(200)는 블록 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 부재(270)는 돔 스위치 모듈(250)과 브라켓(260) 사이에 배치되고, 브라켓(260)의 일면(예: 후술하는 도 5a의 일면(260A))에 결합된 베이스부(271), 돔 스위치 모듈(200)의 적어도 일부와 맞닿는 접촉부(272), 및 접촉부의 주변에 형성된 지지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260)의 일면에는 제 1 접착 부재(26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접착 부재(261)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 부재(270)가 브라켓(260)에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부재(270)는 돔 스위치 모듈(250)과 접촉하고 사용자가 버튼 부재(210)에 힘을 작용시키더라도 브라켓(260)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블록 부재(270)와 브라켓(26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제 1 접착 부재(261)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버튼 부재(210), 기판부(230), 및 스위치 모듈(250)의 적층 구조가 도시된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판부(230)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튼 어셈블리(200)는 지문 센서 유닛(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 유닛(220)은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버튼 부재(210)로부터 입력된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지문 센서 유닛(220)의 일 예로서, 광학식 지문 인식 센서가 제안될 수 있다. 빛을 이용한 광학식 지문 인식 센서가 제안될 수 있다. 빛을 이용한 광학식 지문 인식 센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빛을 조사하여 사용자 지문의 적어도 일부(예: 융선부(ridge portion) 또는 골선부(valley portion))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지문 센서 유닛(220)의 또 다른 예로서, 정전 용량식 지문 인식 센서가 제안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에 닿은 융선부 또는 골선부의 굴곡에 따라 각 전극별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지문 센서 유닛(220)의 또 다른 예로서, 초음파 지문 인식 센서가 제안될 수 있다. 초음파 지문 인식 센서는 융선부 또는 골선부의 굴곡에 맞추어 수신하는 초음파량을 기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사용자 지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기판부(230)는 제 1 FPCB(231) 및 제 2 FPCB(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FPCB(231)에는, 일 실싱에 따르면, 지문 센서 유닛(220)이 실장될 수 있고, 제 2 FPCB(231)에는 돔 스위치 모듈(250)이 실장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함께 참조하면, 제 1 FPCB(231)와 제 2 FPCB(232) 사이에는 제 1 FPCB(231)와 제 2 FPCB(232)를 연결하기 위한 가요성 부분(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부분(233)의 적어도 일부분은 "U"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요성 부분(233)이 "U"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함에 따라, 기판부(230) 전체의 길이 또는 체적을 줄이는 데 유리할 수 있다. 하나의 기판부(230)를 이용해, 기판부(23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두 방향을 바라보도록 형성된 지문 센서 유닛(220)과 돔 스위치 모듈(250)의 다른 전자 부품에 대한 전기적인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판부(230)는 금속(예: 강철, 알루미늄, 합금 등), 플라스틱, 또는 유리 섬유로 만들어진 플레이트에 의해 강화될 수도 있다.
기판부(230)의 일측에는 제 1 FPCB(231) 및 제 2 FPCB(232) 사이를 접착하기 위한 제 1 접착 부재(2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접착 부재(240)를 포함하여, 다수의 부품들이 적층 결합된 버튼 어셈블리(200)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접착 부재(240)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해당될 수 있다.
돔 스위치 모듈(250)은 제 2 FPCB(232)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돔 스위치 모듈(250)은 접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돔 시트(이하 후술하는 도 5b의 돔 시트(251))와 돔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돔 스위치 케이스(이하 후술하는 도 5b의 돔 스위치 케이스(2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돔 스위치 모듈(250)은 제 2 FPCB(232) 또는 돔 스위치 케이스에 구비된 회로부에 배치된 스위치 전극(이하 후술하는 도 5b의 스위치 전극(25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돔 스위치 모듈(250)은 돔 시트에 부착되고, 상기 블록 부재와 함께 돔 시트에 대한 견고한 접촉면을 형성하는 액추에이터(이하 후술하는 도 5b의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돔 시트 및/또는 외관 스킨(이하 후술하는 도 5b의 외관 스킨(252))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보호하는 캡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파선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버튼 부재(210)는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 표면에 배치되어, 버튼 부재(210)에 의해 버튼 어셈블리(200)가 전체적으로 전자 장치(100) 내부 공간(S)에서 동작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하였지만, 상기 내부 공간(S)은 전면 하우징(110) 및 후면 하우징(16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버튼 부재(210)는 하우징(110)의 버튼 홀(112)에 배치된 버튼 탑(211)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탑(211)은 판 형상으로서, 그 터치 표면(211A)은 사용자에 의해 눌릴 수 있다. 버튼 부재(210)는 버튼 탑(211)의 측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플랜지(21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플랜지(212)는 버튼 누름시 버튼 누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버튼 어셈블리(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FPCB(231) 및 제 2 FPCB(232)는 제 1 접착 부재(240)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가요성 부분(23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 1 FPCB(231) 및 제 2 FPCB(232)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클릭 동작을 제공하고, 버튼 어셈블리(200)의 경사 영역에 배치된 지문 센서 유닛(220)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적층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돔 스위치 모듈(250)에 포함된 돔 시트(251)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무로 제조된 외관 부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와 같은 외관 스킨(252)을 가질 수 있다.
돔 시트(251)는 돔 시트에 더 큰 강도 및 탄성을 제공하기 위해 금속 돔(metal dome)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돔은 상기 외관 스킨(252)의 하부에 금이나 다른 적절한 전도성 재료가 부착된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돔은 돔 스위치 케이스의 상단으로부터 볼록하게 위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돔 시트(251)는 접착제에 의해 돔 스위치 케이스(254)와 함께 부착될 수 있고, 금속 돔은 돔 스위치 케이스의 상부 표면에서 납땜됨으로써 돔 스위치 케이스의 납땜 패드에 실장될 수 있다.
금속 돔은 버튼 부재(210)가 블록 부재(270)를 향해 가압될 때, 하우징(110)에 장착된 블록 부재(270)로부터 눌리는 힘을 받을 수 있다. 금속 돔이 눌림에 따라 돔 시트(251)가 붕괴될 수 있다. 돔 시트(251)가 붕괴된 상태(collapsed state)일 때, 상기 금속 돔 시트는 스위치 전극(257)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 또는 버튼은 "ON" 또는 "Active"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돔 스위치 케이스(254)에는 스위치 전극(257)과 기판부(230)(예: 제 2 FPCB(2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 1 전도성 배선(first conductive trace, 255)과 제 2 전도성 배선(second conductive trace, 2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도성 배선(255)의 일단은 돔 시트(2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전도성 배선(256) 일단은 돔 스위치 전극(25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전도성 배선(255)의 타단과 제 2 전도성 배선(256)의 타단은 기판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문 센서 유닛(220)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 유닛(220)은 버튼 부재(210)와 돔 스위치 모듈(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예를 들면, 지문 센서 유닛(22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230)의 일 측면에 실장될 수 있다. 또 한 예를 들면, 지문 센서 유닛(220)은 기판부(230)의 양 측면에 실장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 유닛(220)은 적어도 일부가 버튼 부재(210)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 부재(210)의 일면(211A)에 지문 센서 유닛(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튼 부재(210)의 내측에는 지문 센서 유닛(220)을 기판부(230)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라인(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문 센서 유닛(220)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직접 받아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버튼 부재(210)는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도록 지문 센서 유닛(220)과 연결된 복수의 전도성 라인(2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문 센서 유닛(220)과 버튼 부재(210)는 접합, 테이핑, 초음파 용접 등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지문 센서 유닛(220)은 버튼 부재(210)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버튼 부재(210)는, 예를 들어, 외부 사람의 손가락 접촉으로부터 전달된 버튼 작동 에너지를 수신하고, 이 버튼 작동 에너지를 돔 스위치 모듈(250)에 전달하고, 이 버튼 작동 에너지를 통해 돔 시트(251)를 붕괴시켜 돔 스위치를 스위칭 시킬 수 있다. 돔 스위치 모듈(250)이 작동 또는 붕괴 위치에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버튼 부재(210)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릴 때,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극복하기 위한 충분한 압력이 돔 스위치 모듈(250)의 돔 시트(251)에 가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돔 시트(251)는 외압(outward pressure)을 형성하는 압축 스프링처럼 동작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돔 시트(251)는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부(272)와 접촉하는 돔 시트(251)의 표면은 일정 시간 후에 변형될 수 있다. 돔 시트(251)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또는 반복 사용됨에 따라 접촉부(272)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거나, 돔 스위치 모듈(250)의 중심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돔 스위치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돔 시트(251)가 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스위치 전극(257)과의 접촉 면적이 제한되어, 돔 시트(251)와 스위치 전극 간의 전기적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돔 스위치 모듈(250)은 돔 시트(251)의 팁(tip) 영역에 부착된 액추에이터(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253)는 블록 부재(270)와의 돔 시트(251)에 대한 견고한 접촉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253)는 돔 전극을 스위치 전극(257)과 만나도록 지지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253)는 돔 시트(251)의 중심 위치에서 일정한 두께를 가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 부재(270)는 버튼 부재(210)의 이동을 제한하고, 돔 시트(251)의 붕괴에 따른 스위치 모듈(250)의 압축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2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71)는 브라켓(260)과 베이스(271) 사이에 배치된 제 2 접착 부재(261)에 의해 브라켓(260)과 결합될 수 있다. 단, 베이스(271)와 브라켓(260)간의 결합에 대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27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체결부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브라켓(260)과 결합될 수도 있다.
블록 부재(270)는 접촉부(272) 및 지지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272)는 돔 스위치 모듈(250)과 블록 부재(270)간 접촉되는 표면(272A)을 정의할 수 있다. 접촉부(272)는 돔 스위치 모듈(250)의 액추에이터(25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부(272)가 액추에이터(253)에 접촉시 액추에이터(253) 표면의 단부 및/또는 액추에이터(253)의 다른 복수의 부분에서 접촉하게 됨으로써 버튼 어셈블리(200)의 입력 상태 및 돔 시트(251)의 붕괴 상태에서 접촉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촉부(272)는 돔 스위치 모듈(250)의 붕괴된 형상과 복수 개의 접점을 가질 수 있다. 또 한 예를 들면, 접촉부(272)의 면은 돔 스위치 모듈(250)과 적어도 일부분에서 대면할 수 있다.
지지부(273)는 블록 부재(270)의 경도(hardness)를 높이고 블록 부재(270)의 접촉 표면으로부터 돔 스위치 모듈(250)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부(272)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가 버튼 클릭시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가 버튼 클릭시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부재(210)가 하우징(예: 160)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실장된 경우, 사용자가 버튼 부재(210)의 중앙 부분이 아닌 편심된 부분을 누르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돔 시트(251)가 블록 부재(270)의 중심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게 되고, 블록 부재(27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버튼 부재(210)에는 힘이 불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힘이 불균일하게 전달됨에 따라 돔 스위치 모듈(250)은 블록 부재(270)의 접촉 표면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미끄러짐(slip)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버튼 부재(210)는 일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 부재(210)의 하단을 클릭하면, 돔 스위치 모듈(250)의 적어도 일부분이 블록 부재(270)의 접촉 표면으로부터 미끄러질 수 있다. 블록 부재(270)는 브라켓(26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버튼 부재(210), 기판부, 스위치 모듈(250)의 조립체 부분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버튼 어셈블리(200)가 회전하면, 버튼 어셈블리의 일 부분이 전면 하우징(130)에 닿게 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면부호 P로 표시되는 버튼 어셈블리의 일 부분이 전면 하우징(130)에 접촉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또한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돔 스위치 모듈(250)이 접촉부 표면으로부터 미끄러져 버튼 부재(210)가 끼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버튼 어셈블리(200)가 버튼 홀(112)에 끼일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살펴보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버튼 부재(270)를 클릭할 때 안정성을 확보하고 하우징에의 조립을 쉽게 하기 위하여, 접촉부(272)가 버튼 부재(210)의 터치 표면(211A)과 평행한 면(272A)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튼 부재(210)의 터치 표면(211A)은 하우징의 내벽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으며, 이에 접촉부의 접촉면(예: 도 5a의 272A) 또한 하우징의 내벽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의 내벽은 도 5a 내지 도 7에 도시된 전면 하우징(130)의 내벽(110C), 또는 후면 하우징(160)의 내벽(110D), 또는 브라켓(260)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블록 부재(270)의 접촉부(272)를 버튼 부재(210)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블록 부재(270)의 접촉부(272)의 중앙 부분을 버튼 부재(210)의 중심축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 부재(270)와 스위치 모듈(250) 간의 접촉면적은 보다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 부재(210)의 중앙 부분이 아닌 편심된 부분을 누르더라도 돔 스위치 모듈(250)이 접촉부(270)의 표면에서 미끌어짐 량이 저감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베이스부(271)의 일면(271A)은 전면 하우징(130)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160)에 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271)의 일면(271A)이 전면 하우징(130)에 수직하다는 것은 제 1 방향(110A)에 수직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71)의 일면(271A)이 후면 하우징(130)에 수직하다는 것은 제 2 방향(110B)에 수직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촉부(272)가 상기 버튼 부재(210)의 터치 표면(211A)에 대해서 평행한 면을 가지는 한편, 상기 돔 스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272)의 접촉면(272A)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271A)과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버튼 부재(210)의 터치 표면(211A)에 대해서는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부(272)는 돔 스위치 모듈(250)의 일부분(예: 캡(253))과 접촉할 때 일부 눌려질 수 있도록 특정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당한 힘으로 버튼 부재(210)를 누르면, 블록 부재(270)는 돔 스위치 모듈(250)의 엑추에이터(253)에 상당한 응력을 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253)를 변형 시키거나 돔 시트(251)를 파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촉부(272)의 특정 탄성으로 인해 접촉부 표면의 변형시 압력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게 되고(이때 오목해짐), 돔 시트(251)의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돔 스위치 모듈(250)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접촉부(272)는 경질 고무로 만들어져 돔 스위치 모듈(25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 어셈블리(200)는 접촉 표면으로부터 돔 스위치 모듈(250)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부(272) 주위에 마련된 지지부(2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내부의 버튼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파선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273)는 접촉부(272)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고 접촉부(272)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버튼 어셈블리(200)의 다양한 조립 예시, 예를 들어, 버튼 어셈블리가 하우징의 측벽(또는 외벽)과 경사지게 조립될 때, 돔 스위치 모듈(250)은 접촉 표면의 특정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73)는 반드시 접촉부(272) 주위 전체를 둘러서 배치될 필요가 없고, 한정된 방향에 따른 스위치 유닛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만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위치에 배치된 지지부(273)에 대해서는 이하 후술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273)는 돔 스위치 모듈(250)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273A)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73)가 돌출부(273A)를 포함함으로써 지지부(273)는 접촉부(272)의 접촉면(272A)보다 높은 지지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273)의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273A) 의해 가로막혀 돔 스위치 모듈(250)이 접촉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돌출부(273A)를 이용하여 접촉면(272A)으로부터 블록 부재(270)상의 돔 스위치 모듈(250)의 미끄러짐 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블록 부재(270)가 스위치 모듈(250)이 접촉면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면 돔 스위치 모듈(250)이 손상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73A)는 기 지정된 치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73)는 블록 부재(270)를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해 접촉부(272)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273)의 돌출부(273A)는 접촉부(272)의 접촉면(272A)의 바깥 영역의 경도를 향상시키고 이 부분에서의 미끄러짐 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지지부(273)의 돌출부(273A)는 접촉부(272)의 표면(272A)보다 높게 돌출되고, 버튼의 누름 상태(예: 돔 시트의 붕괴 상태)에서 돔 시트(251)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73)가 돔 시트(251)에 과도한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부(272)에서 지지부(273)의 가장 높은 표면까지의 높이(d2)는 돔 스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돔 스위치 모듈(250)의 돔 구조의 두께(d1)보다 크지 않아야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돔 스위치 모듈(250)이 지지부(273)에 접촉할 때, 지지부(273)와 돔 시트(251) 사이의 접촉 안정성을 높이고 돔 스위치 모듈(250)의 미끄러짐 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촉부(272)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단한 구조를 가진 지지부(273)의 지지면(후술하는 도 9의 지지면(273C))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지지부(273)는 (a)라인, (b)라인 및 (c)라인의 조합된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돌출부(273A)를 형성함으로써 볼록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a)라인은 지지부(273)의 외주연 표면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b)라인은 지지부의 상부 표면(또는 내주연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273A)의 높이는 지지부(273)의 외부에서 내부로 감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273)의 지지면은 지지부(27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돔 시트의 접선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라인은 돔 시트(251)의 접선(d)와 평행할 수 있다. (c)라인은 (b)라인 보다 기울기 값으로서 더 높은 기울기 값을 가질 수 있다. (c)라인은 (b)라인과 함께 돔 스위치 모듈(250)에 대한 밀림 방지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c)라인을 구비함으로써 돔 스위치 모듈(250)이 접촉부(272)의 접촉 면(272A)으로부터 미끄러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세스(273B)가 추가로 형성된 지지부(27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 부재(270)의 접촉부(272)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모듈(250)이 접촉부(272)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돔 스위치 모듈(250)의 돔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하여, 접촉부(272)가 돔 스위치 모듈 상에서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273)의 단단한 물질에 의해 돔 스위치 모듈(250)이 접촉면(272A)로부터 더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73)는 높은 경도를 제공하기 위해 단단한 고무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버튼 부재(210) 및 돔 스위치 모듈(250)이 버튼 어셈블리(200)를 형성하기 위해 블록 부재(270)와 조립될 때,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접촉부(272)와 돔 스위치 모듈(250) 사이에 일정한 중첩이 존재할 수 있다. 돔 스위치 모듈(250)과 중첩되는 접촉부(272)는 탄성을 갖는 부분이 변형될 수 있으나, 접촉부(272) 보다 더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지지부(273)는 변형되지 않거나, 접촉부(272)에 비해 변형 정도가 작을 수 있다.
지지부(273)가 돔 시트(251)와 접촉하여 손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부(272)로부터 지지부(273)의 가장 높은 표면까지의 높이는 액추에이터(253)가 눌린 상태에서 블록 부재(270)가 돔 시트(251)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돔 스위치 모듈(250)의 돔 구조의 두께보다 높지 않아야 한다. 여기서 돔 구조의 두께란 돔 시트(251) 및 액추에이터(253)의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 돔 스위치 모듈(250)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273)의 높이를 증가시키면, 돔 스위치 모듈(250)의 붕괴 상태에서 지지부(273)의 돌출부(273A)가 돔 스위치 모듈(250)을 일시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클릭시 돔 스위치 모듈(250)의 동작에 영향을 미쳐(예: 돔 시트(251)의 변형에 방해가 되어) 사용자의 클릭감의 저하시킬 수 있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273)는 돔 스위치 모듈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273A)와 돌출부(273A)의 배면에 형성된 리세스(273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73)는 돔 스위치 모듈(250)이 접촉부(272)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리세스(273B)를 포함함으로써 돔스위치 모듈(250)과 접촉시 지지부(273)가 리세스(273B) 방향으로 밀리도록 하여 돔 스위치 모듈(250)에 대한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273)가 리세스(273B)를 포함함으로써, 지지부(273)가 충분히 크더라도 돌출부(273A)의 지지면(273C)이 돔 스위치 모듈(250)의 동작에 영향을끼쳐, 사용자의 클릭감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73)는 돌출부(273A)의 지지면(273C) 배면에 리세스(27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세스(273B)는 제 1 가장자리(a first edge, e1), 제 2 가장자리(a second edge, e2) 및 제 3 가장자리(a third edge, e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세스(273B)가 형성된 위치는 돌출부(273A)가 보다 유연하게 변형되도록 하기 위해 접촉부(272)의 접촉면(272A)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세스(273B)의 제 1 가장자리(e1)는 접촉부(272)의 접촉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세스(273B)의 제 2 가장자리(e2)는 지지부(273)의 돌출부(273A)의 변형을 유지하기 위해 지지부(273)의 돌출부(273A)의 지지면(273C)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세스(273B)의 제 3 가장자리(e3)는 돌출부(273A)를 동일한 두께(T)로 형성하기 위해 지지부(273)의 제 2 지지면(273D)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갭 G1은, 돌출부(273A)의 지지면(273C)과 돔 시트(251) 사이의 최소 거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갭 G2는, 돔 시트(251)가 접힌 상태에서 돌출부(273A)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갭 G2는 제 1 가장자리(e1)와 제 2 가장자리(e2) 사이의 최소 거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갭 G3은, 리세스(273B) 개구부의 가장 큰 치수일 수 있다.
돔 시트(251)가 접촉부(272)와 접촉하여 눌린 상태에서, 돔 시트(251)와 지지부(273)가 겹치지 않도록 하려면, 돔 스위치 모듈(253)의 돔 구조의 두께(d1)보다, 상기 갭 G1 및 갭 G2의 합이 더 커야할 수 있다.
또한, 리세스(273B)는 사출 또는 레이저 제조법으로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갭 G3은 갭 G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세스가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세스가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도 10a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세스가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세스(273B)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73)는 삼각 단면을 가진 리세스(273B)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단면을 가진 리세스(273B), 그리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진 리세스(27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리세스(273B)에 대한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블록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블록 부재(270)는 베이스(271)의 일면에 형성된 접촉부(272)와 접촉부 주위에 배치된 지지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272)는 베이스(271)의 일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형성되며, 접촉부(272)의 접촉면은 상기 베이스(271)의 일면(예:도 5a의 일면(271A))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73)는 접촉부(27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촉부(272)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73)는 베이스(271)로부터 돌출된 접촉부(272)보다 더욱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2a 내지 도 13d의 실시예를 통해, 지지부(273)의 다양한 형상 및 배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돌출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돌출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돌출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273)의 돌출부(273A)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단면을 가진 돌출부(273A)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진 돌출부(273A), 그리고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단면을 가진 돌출부(27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돌출부(273A)에 대한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촉부 주위에 지지부가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a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d는, 도 13a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부재(270)는 접촉부(272)의 주변에 형성된 지지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250)은 사용자의 버튼 클릭시에 접촉부(272)의 접촉 표면(272A) 상에서 일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73)는 접촉부(272)의 주변 둘레를 따라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지 않고,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속적으로 배치되도 충분할 수 있다. 즉, 지지부(273)는 접촉부(272)의 전체 주변 둘레를 따라 배치되지 않고 주변의 일 부분에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부(273)의 위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7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접촉부(27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72)의 상단 둘레의 형상을 따라 지지부(273)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72)의 상단 및 하단 둘레 형상을 따라 두 개의 지지부(273)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접촉부의 단면 형상 및 재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접촉부의 단면 형상 및 재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c는, 도 14b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접촉부의 단면 형상 및 재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지지부(273)는 접촉부(272)와 다른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273)는 접촉부(272) 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더 높을 수 있다. 지지부(273)는 접촉부(272)보다 더 높은 경도를 갖도록 경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촉부(272)는 스위치 유닛이 블록 부재와 중첩 될 수 있고, 접촉부 표면을 변형시킴으로써 압력의 일부를 흡수 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272)는 돔의 균열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지지부(273)는 액추에이터(253)이 지지부(273)의 표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촉부(272) 보다 경도가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촉부(272)는 실리콘, 러버 및 우레탄와 같은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지지부(273)는 PC, ABS, 아크릴, 금속과 같은 소재를 포함하여 접촉부(272)보다 상대적으로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접촉부(272)와 지지부(273)의 소재는, 전자 장치(100)의 종류, 및/또는 내수명성, 내충격성 버튼 어셈블리(200)에 요구되는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5a의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제 1 방향(예: 도 5a의 제 1 방향(110A))을 향하는 전면 하우징(예: 도 5a의 전면 하우징(130))과,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인 제 2 방향(예: 도 5a의 제 2 방향(110B))을 향하고 상기 전면 하우징과의 사이에 공간(예: 도 5a의 공간(S))을 형성하는 후면 하우징(예: 도 5a의 후면 하우징(160))을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110)); 상기 후면 하우징(16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된 버튼 부재(예: 도 5a의 버튼 부재(210)); 상기 공간에서 상기 버튼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기판부(예: 도 4a의 기판부(230)); 상기 기판부에 실장된 돔 스위치 모듈(예: 도 5a의 돔 스위치 모듈(250)); 상기 전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에 수직한 방향으로 실장된 브라켓(예: 도 5a의 브라켓(260));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된 베이스부(예: 도 5a의 베이스부(271));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맞닿는 접촉부(예: 도 5a의 접촉부(272)); 및 상기 접촉부의 둘레에 형성된 지지부(예: 도 5a의 지지부(273));를 포함하는 블록 부재(예: 도 5a의 블록 부재(270))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271)의 일면(예: 도 5a의 일면(271A))은 상기 전면 하우징(130)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160)에 수직하고, 상기 접촉부(272)는 상기 돔 스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버튼 부재(210) 및 상기 기판부(230) 사이에 배치된 지문 인식 센서(예: 도 5a의 지문 인식 센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문 인식 센서(220)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 1 FPCB 및 상기 돔 스위치 모듈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 2 FPC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FPCB 및 상기 제 2 FPCB 사이를 접착하기 위한 제 1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버튼 부재(210)는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탑(button top, 211)과, 하우징 내부에서 버튼 누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버튼 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돔 스위치 모듈은, 접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돔 시트; 상기 돔 시트를 실장하기 위한 돔 스위치 케이스; 및 상기 돔 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스위치 전극;을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돔 스위치 모듈은, 상기 돔 시트의 팁을 감싸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돔 스위치 케이스에는 상기 스위치 전극과 상기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전도성 배선과 제 2 전도성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273)는 돔 스위치 모듈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돔 스위치 모듈의 캡의 두께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표면 아래에 형성된 리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 주위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블록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 2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후면 하우징은 측면 부재와 후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제 1 방향(110A)을 향하는 전면 하우징(130)과,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인 제 2 방향(110B)을 향하고 상기 전면 하우징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하우징(160)을 포함하는 하우징(110); 상기 후면 하우징(16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된 버튼 부재(210); 상기 공간에서 상기 버튼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기판부(230); 상기 기판부에 실장된 돔 스위치 모듈(250); 상기 전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에 실장된 브라켓(260); 및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된 베이스부(271);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맞닿는 접촉부(272); 및 상기 접촉 부분의 둘레에 형성된 지지부(273);를 포함하는 블록 부재(27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273)는 돔 스위치 모듈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돔 스위치 모듈의 캡의 두께 보다 낮게 형성된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발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발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1: 전자 장치
101: 디스플레이
110: 하우징
130: 전면 하우징
160: 후면 하우징
200: 버튼 어셈블리
210: 버튼 부재
220: 지문 인식 센서
230: 기판부
240: 제 1 접착 부재
250: 돔 스위치 모듈
260: 브라켓
261: 제 2 접착 부재
270: 블록 부재
271: 베이스부
272: 접촉부
273: 지지부
101: 디스플레이
110: 하우징
130: 전면 하우징
160: 후면 하우징
200: 버튼 어셈블리
210: 버튼 부재
220: 지문 인식 센서
230: 기판부
240: 제 1 접착 부재
250: 돔 스위치 모듈
260: 브라켓
261: 제 2 접착 부재
270: 블록 부재
271: 베이스부
272: 접촉부
273: 지지부
Claims (20)
-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향하는 전면 하우징과,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전면 하우징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후면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된 버튼 부재;
상기 공간에서 상기 버튼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된 돔 스위치 모듈;
상기 전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에 수직한 방향으로 실장된 브라켓; 및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된 베이스부;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맞닿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둘레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블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은 상기 전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에 수직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돔 스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부재 및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된 지문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문 인식 센서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 1 FPCB 및 상기 돔 스위치 모듈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 2 FPCB를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FPCB 및 상기 제 2 FPCB 사이를 접착하기 위한 제 1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부재는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탑과, 하우징 내부에서 버튼 누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버튼 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 모듈은,
접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돔 시트;
상기 돔 시트를 실장하기 위한 돔 스위치 케이스; 및
상기 돔 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스위치 전극;을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 모듈은,
상기 돔 시트의 팁을 감싸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 케이스에는 상기 스위치 전극과 상기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전도성 배선과 제 2 전도성 배선을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돔 스위치 모듈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돔 스위치 모듈의 캡의 두께 보다 낮게 형성된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표면 아래에 형성된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 주위의 일부에 배치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블록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 2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하우징은 측면 부재와 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향하는 전면 하우징과,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전면 하우징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후면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된 버튼 부재;
상기 공간에서 상기 버튼 어셈블리의 내측면에 형성된 기판부;
상기 기판부에 실장된 돔 스위치 모듈;
상기 전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면 하우징에 실장된 브라켓; 및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된 베이스부; 상기 돔 스위치 모듈과 맞닿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 부의 둘레에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블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돔 스위치 모듈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돔 스위치 모듈의 두께 보다 낮게 형성된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부재 및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된 지문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지문 인식 센서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 1 FPCB 및 상기 돔 스위치 모듈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 2 FPCB를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 모듈은,
접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돔 시트;
상기 돔 시트를 실장하기 위한 돔 스위치 케이스; 및
상기 돔 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스위치 전극;을 포함하는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접촉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 버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6694A KR20210158217A (ko) | 2020-06-23 | 2020-06-23 | 전자 장치 |
US17/354,369 US11756752B2 (en) | 2020-06-23 | 2021-06-22 | Electronic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6694A KR20210158217A (ko) | 2020-06-23 | 2020-06-23 | 전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8217A true KR20210158217A (ko) | 2021-12-30 |
Family
ID=7902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6694A KR20210158217A (ko) | 2020-06-23 | 2020-06-23 |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756752B2 (ko) |
KR (1) | KR2021015821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800377B (zh) * | 2022-01-04 | 2023-04-21 |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 按鍵 |
TWI782852B (zh) * | 2022-01-13 | 2022-11-01 |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 按鍵模組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81465B2 (ja) | 2010-07-23 | 2012-02-22 | シャープ株式会社 | 押しボタン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
KR20140057826A (ko) * | 2012-11-05 | 2014-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
KR102514733B1 (ko) * | 2016-02-19 | 2023-03-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588423B1 (ko) * | 2016-12-22 | 2023-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통한 부품 실장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
-
2020
- 2020-06-23 KR KR1020200076694A patent/KR2021015821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1
- 2021-06-22 US US17/354,369 patent/US11756752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398756A1 (en) | 2021-12-23 |
US11756752B2 (en) | 2023-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2894B1 (ko) | 평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609288B1 (ko) | 하우징을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EP3888339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assembly | |
EP3689116B1 (en) | Electronic device with waterproof structure | |
KR102650458B1 (ko)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485901B1 (ko) |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
US11646297B2 (en) | Glass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1756752B2 (en) | Electronic device | |
KR20210012316A (ko) | 광학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00143075A (ko) |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20230188633A1 (en) |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fixing structure for fixing substrate | |
KR20210014030A (ko) | 스피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702870B1 (ko) |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
KR20210099962A (ko) |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547628B1 (ko) | 도전성 부분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20125440A (ko) | 그라운드 연결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20210090485A (ko) |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20129941A (ko) | 트레이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00014017A (ko) | 유연기판이 적용된 언더글래스 지문 센서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EP4014158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ngerprint sensor | |
KR20230013475A (ko) | 음향 부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40155683A (ko) |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30008440A (ko) | 윈도우 글라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200014022A (ko) | 언더글래스 초음파 방식 지문 센서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00014016A (ko) | 언더글래스 광학 방식 지문 센서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