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261A - 담관 내시경 튜브 - Google Patents

담관 내시경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261A
KR20220163261A KR1020220059447A KR20220059447A KR20220163261A KR 20220163261 A KR20220163261 A KR 20220163261A KR 1020220059447 A KR1020220059447 A KR 1020220059447A KR 20220059447 A KR20220059447 A KR 20220059447A KR 20220163261 A KR20220163261 A KR 20220163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endoscope
bile duct
various embodiments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범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22/00780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55805A1/ko
Publication of KR2022016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2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5Oversleeves mounted on the endoscope prior to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1Guiding arrangement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는, 제1 튜브단부 및 제2 튜브단부가 형성된 튜브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본체는, 상기 제1 튜브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관찰홀, 및 상기 제2 튜브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내시경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담관 내시경 튜브{Tube For Direct Peroral Cholangioscopy}
본 발명은 담관을 관찰할 수 있는 담관 내시경 삽입을 보조하기 위한 튜브에 관한 것이다.
담도 내시경은 직시하에 담도계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하였다. 담관내부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으로 1)경피경간(transhepatic) 담관배액관을 통하여 소구경 내시경을 삽입해서 관찰하는 방법, 2)모내시경(mother scope)과 자내시경(baby scope)을 이용한 모자 방식(mother-baby system)으로 담관 검사를 시행하는 방법, 3)직접 소구경의 내시경을 모자 방식없이 위-십이지장을 통하여 십이지장의 유두팽대부까지 진입을 하여 담관내로 삽입을 하는 방법(direct per-oral cholangioscopy)이 있다.
그러나 경피경간 담관내시경법은 침습성이 높고, 간내담관확장이 있어야 하고, 경피경간담관배액관 삽입후 최소 3-5일 지난 후 시술이 가능하며, 방사선 피폭이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많이 발생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합병증 발생으로 말미암아 시술에 제한이 많다.
모자 방식의 경구 담도 내시경은 모내시경을 십이지장으로 삽입후 유두팽대부에 대하여 내시경 유두 괄약근 절개술(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시행 후에 이곳으로 직시형인 자내시경을 측시형인 모내시경의 겸자공을 통해 담도 내로 삽입하여 병변의 관찰 및 치료를 시도하는 방법이다. 최근 Spyglass system (Boston Scientific, USA)은 획기적인 1 회용 자내시경을 사용한 담관내시경방법으로 담관내부를 실시간 직접 관찰 및 직시하 조직검사를 가능하게 하여 담관내시경분야의 진단방법에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또 다른 방법인 소구경내시경을 이용한 직접 담관내시경 삽입법은 위-십이지장 굴곡부를 통과하여 담관내로 내시경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고난이도의 삽입기술이 필요하여 배우기 어렵고, 내시경의 손상이 심하여 저변확대가 어려워 일반적으로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많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시술의 높은 침습성과 합병증, 제한사항 등으로 보편적으로 시행하기 어렵고, 1회용 내시경인 Spyglass system (Boston Scientific, USA)은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여전히 조작이 어려우며, 담관 내부를 촬영한 영상의 화질이 일반내시경처럼 선명하지 않고, 비용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소구경내시경을 이용한 직접 담관내시경 삽입법은 화질면에서는 우수하나 배우기 어렵고, 내시경의 손상이 심하여 일반적으로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많다.
이에,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제조가 간편하여 일회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기존의 개발된 소구경 내시경 기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담관 내부를 선명한 화질로 촬영할 수 있도록 기존의 소구경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하여 담관내로 삽입을 보조하는 담관 내시경 튜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는, 제1 튜브단부 및 제2 튜브단부가 형성된 튜브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본체는, 상기 제1 튜브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관찰홀, 및 상기 제2 튜브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내시경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튜브단부를 통해 제1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본체에서, 상기 제1 튜브단부에 인접한 적어도 일 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굴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본체는, 상기 제2 튜브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공기 주입부 및 상기 제1 튜브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벌룬을 포함하고, 상기 벌룬은 상기 공기 주입부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주입부를 통해 주입된 기체를 통해, 상기 벌룬의 부피가 증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본체는 주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홀은 상기 제2 튜브단부로부터 상기 제1 튜브단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입홀을 통해, 제2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찰홀을 통해, 상기 제2 내시경이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 일단에 결합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에는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에는 길이 방향으로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담관 내시경 튜브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제조가 간편하여 일회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비교적 간편하게 내시경을 담관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보조하며, 기존의 소구경 내시경 기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담관 내부를 선명한 화질로 촬영할 수 있고 직시하에 담관내부의 병변에 대하여 조직검사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어 튜브의 보관이 용이하며 인체 내부의 장기의 형상에 상응하는 3차원적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인체 내부에 큰 자극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므로 위장관의 점막에 상처없이 인체 내부에 배치 가능하고, 튜브를 통과하는 내시경 기기의 카메라가 손상되지 않고 십이지장까지 원활히 이동 가능하고, 이동한 내시경 기기는 관찰홀을 통해 담관 내부로 진입하여 선명한 화질로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가 인체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를 도시한다.
도 3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의 제1 튜브단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가 인체의 위장 및 십이지장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의 제2 튜브단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에 결합되는 마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에 결합되는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하는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가 인체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담관 내시경 튜브(10)가 인체에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담관 내시경 튜브(10)는 인체의 구강을 통해 삽입되어, 식도, 위장을 지나 십이지장에 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담관 내시경 튜브(10)는 튜브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본체(100)의 재질은 탄성이 있으며, 굴곡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본체(100)의 재질은 실리콘(Silicone),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P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스티렌부타디엔공중합체(Styrene Butadiene Copolymer, SBC), 고무(Rubber), 라텍스(Latex) 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담관 내시경 튜브(10)의 길이는 대략 1m일 수 있다. 담관 내시경 튜브(10)의 외경은 대략 10~20mm일 수 있다. 담관 내시경 튜브(10)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를 도시한다. 도 3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의 제1 튜브단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가 인체의 위장 및 십이지장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담관 내시경 튜브(10) 및 튜브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담관 내시경 튜브(10) 및 튜브 본체(1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담관 내시경 튜브(10)를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1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구강에서 십이지장(예: 도 4의 십이지장(1200))까지 내시경 시술시 인체 장기 내부의 형상에 맞추어 굴곡되므로, 인두부 굴곡부를 지나 식도 상부, 중부, 하부 및 위 식도접합부 굴곡부, 위장(예: 도 4의 위장(1100))의 각부의 굴곡부, 위장전정부의 굴곡부, 위장-십이지장 경계인 유문부위 굴곡부, 십이지장의 제1부와 제2부 사이의 심한 굴곡부, 십이지장(1200) 제2부의 완만한 굴곡부 등에서도 튜브의 내강 모양이 변형되지 않아 내시경 기기가 인체 내부에 효과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10)는 구강에서 십이지장(1200) 제2부, 제3부 또는 제4부까지 배치되며, 담관 내시경 튜브(10)는 제1 튜브단부(101)로부터 유입된 내시경 기기를 관찰홀(200)까지 가이드하여 관찰홀(200)의 주변에 위치하는 유두팽대부(예: 도 4의 유두팽대부(1310))를 통하여 담관(예: 도 4의 담관(1320))의 내부를 직접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10)는 유연하고 완만하게 굴곡될 수 있어 튜브의 급격 꺾임 없이 내시경 기기가 관찰홀(200)까지 막힘 및 손상 없이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담관 내시경 튜브(10)는 제1 튜브단부(101), 제2 튜브단부(102), 제1 굴곡부(110), 제2 굴곡부(120), 관찰홀(200), 주입홀(210), 벌룬(300), 내시경 주입부(410), 및 공기 주입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튜브단부(101)가 인체의 구강을 통해 인체에 먼저 삽입되어, 십이지장(1200)에 도달할 수 있고, 제1 튜브단부(101)가 십이지장(1200)에 도달하면 제2 튜브단부(102)는 인체의 구강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튜브본체(100)의 제1 튜브단부(101)는 인체의 구강을 통해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장착한 상태로 삽입되어 십이지장(1200)까지 도달할 수 있고, 튜브본체(100)의 형상은 인체 장기들이 형성하는 통로의 형태를 완만하면서 최적의 3차원적인 곡선 형태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대로 담관 내시경 튜브(10)가 인체(피시술자)에 삽입되면, 제1 굴곡부(110)는 인체의 십이지장(1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굴곡부(120)는 인체의 위장(11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굴곡부(110)는 대략 80도에서 110도로 굴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굴곡부(110)의 굴곡 정도는 바람직하게 98도일 수 있다. 제1 굴곡부(110)가 굴곡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담관 내시경 튜브(10)의 제1 튜브단부(101)는 위장(1100)에서 십이지장(1200)으로 급격하게 굴곡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시술자)의 의도대로 담관 내시경 튜브(10)가 인체(피시술자)에 삽입되면, 관찰홀(200)은 유두팽대부(13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벌룬(300)은 십이지장 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관찰홀(200)은 튜브 내부를 지나는 소화 내시경 기기가 튜브 내에서 관찰홀(200)을 통해 또는 관찰홀(200)을 통과하여 담관(1320)의 내부를 관찰하기 위해 튜브본체(100)에 형성된 개구일 수 있다. 관찰홀(200)은 튜브본체(100)의 말단부에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관찰홀(200)은 튜브본체(100)가 인체에 삽입되는 경우, 십이지장(1200) 제2부와 제3부 사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튜브본체(100)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십이지장(1200)에 위치한 유두팽대부(1310)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찰홀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관찰홀이 원형인 경우에는 직경이 대략 2mm 내지 11 mm로 형성될 수 있다. 관찰홀(200)을 통해, 소화 내시경이 출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벌룬(300)은 담관 내시경 튜브(10)의 제2 튜브단부(102)에 인접하게 배치된 공기 주입부(420)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주입부(420)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벌룬(300)으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공기 주입부(420)로부터 벌룬(300)으로 공기가 전달되어, 벌룬(300)의 부피는 증가할 수 있다. 벌룬(300)의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벌룬(300)은 십이지장 구부와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벌룬(300)은 튜브본체(100)의 들레를 따라 균일하게 팽창 또는 수축할 수 있다. 벌룬(300)은 십이지장(1200) 구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입으로 팽창되면 둘레를 따라 십이지장 구부에 접하며 고정될 수 있고, 튜브본체(100)는 벌룬(300)에 의해 십이지장(1200)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십이지장(1200)을 지나는 내시경 기기가 담관 내시경 튜브(10) 내부를 따라 관찰홀(200)까지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본체(100)는 벌룬(300)에 공기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내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내관(미도시)은 튜브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튜브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내관(미도시)의 일단부는 벌룬(300)에 연결될 수 있다. 내관(미도시)의 타단부는 공기 주입부(42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벌룬(300)이 팽창되어 튜브본체(100)가 인체 내에서 고정되면, 튜브본체(100)와 함께 인체에 삽입되었던 일반 상부내시경을 인체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시술자)가 벌룬(300)이 팽창된 튜브본체(100)를 인체 밖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잡아당기면, 인체 내부에 삽입된 튜브본체(100)의 길이는 짧아지고, 인체 내부에 삽입된 튜브본체(100)는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인체 밖으로 잡아당겨진 튜브본체(100)의 길이는 대략 10cm ~ 30cm 일 수 있다. 잡아당겨지는 튜브본체(100)의 길이는 인체(피시술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튜브본체(100)가 잡아 당겨짐에 따라, 튜브본체(100)에 형성된 주입홀(210)이 인체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입홀(210)은, 제2 튜브단부(102)로부터 대략 10cm~30cm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튜브본체(100)가 인체(피시술자)에 삽입됨에 따라, 주입홀(210)은 인체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벌룬(300)의 부피가 증가한 후, 사용자(시술자)에 의해 튜브본체(100)가 인체 외부로 잡아당겨짐에 따라, 주입홀(210)이 인체(피시술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인체(피시술자) 외부로 노출된 주입홀(210)을 통해 소화 내시경이 튜브본체(100)에 삽입될 수 있다. 주입홀(210)을 통해 튜브본체(100)에 삽입된 소화 내시경은 튜브본체(100)를 따라, 제1 튜브단부(101)에 접근할 수 있다. 소화 내시경은 제1 튜브단부(101)에 인접하게 형성된 관찰홀(200)에 인접하게 접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찰홀(200)에 인접하게 접근된 소화 내시경은 관찰홀(200)을 통해 유두팽대부(1310)를 관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화 내시경은 관찰홀(200)을 통과하여 유두팽대부(1310)를 통해 담관(1320)에 삽입될 수 있다. 담관(1320)에 삽입된 소화 내시경은 사용자(시술자)의 조작에 따라, 담관(1320)에서 각종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의 제2 튜브단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에 결합되는 마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담관 내시경 튜브에 결합되는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튜브본체(100), 제2 튜브단부(102), 주입홀(210), 내시경 주입부(410), 및 공기 주입부(420)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튜브본체(100), 제2 튜브단부(102), 주입홀(210), 내시경 주입부(410), 및 공기 주입부(42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본체(100)의 제1 튜브단부(101)에 인접하게 튜브본체(100)에 결합되는 마개(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마개(500)는 튜브본체(100)의 제1 튜브단부(101)와 끼움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마개(500)가 튜브본체(100)와 결합됨에 따라, 튜브본체(100) 내부의 공기 누출이 방지되어, 내시경 도중 튜브본체(100) 내부의 공기가 튜브본체(100) 외부로 누출되어 튜브본체(100)의 내측면끼리 접촉하여 붙어버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개(500)는 튜브본체(100)의 제1 튜브단부(10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튜브본체(100)의 유입구에 삽입되어 유입구를 틀어 막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개(500)에는 튜브본체(100)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는 가이드 홀(510)이 형성되어 내시경 기기가 가이드 홀(510)을 통해 유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본체(100)의 외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눈금이 형성될 수 있고, 눈금을 통해 튜브가 인체 내부에 삽입된 삽입된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튜브본체(100)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방사선 마커를 부착할 수 있다. 방사선 마커는 빛을 투과될 수 있어 환자 내부 장기에 배치된 튜브의 각각의 굴곡부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기술을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기술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기술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담관 내시경 튜브
100: 튜브본체
101: 제1 튜브단부
102: 제2 튜브단부
110: 제1 굴곡부
120: 제2 굴곡부
200: 관찰홀
210: 주입홀
300: 벌룬
410: 내시경 주입부
420: 공기 주입부
500: 마개
510: 가이드 홀
1100: 위장
1200: 십이지장
1310: 유두팽대부
1320: 담관

Claims (10)

  1. 담관 내시경 튜브로서,
    제1 튜브단부 및 제2 튜브단부가 형성된 튜브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본체는,
    상기 제1 튜브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관찰홀; 및
    상기 제2 튜브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내시경 주입부를 포함하는 담관 내시경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튜브단부를 통해 제1 내시경이 삽입되는 담관 내시경 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에서, 상기 제1 튜브단부에 인접한 적어도 일 부분은 소정의 각도로 굴곡된 담관 내시경 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는, 상기 제2 튜브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공기 주입부 및 상기 제1 튜브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벌룬을 포함하고,
    상기 벌룬은 상기 공기 주입부와 연결된 담관 내시경 튜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부를 통해 주입된 기체를 통해, 상기 벌룬의 부피가 증가되는 담관 내시경 튜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는 주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홀은 상기 제2 튜브단부로부터 상기 제1 튜브단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담관 내시경 튜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홀을 통해, 제2 내시경이 삽입되는 담관 내시경 튜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홀을 통해, 상기 제2 내시경이 돌출되는 담관 내시경 튜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일단에 결합되는 마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에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담관 내시경 튜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에는 길이 방향으로 눈금이 형성된 담관 내시경 튜브.
KR1020220059447A 2021-06-02 2022-05-16 담관 내시경 튜브 KR20220163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7805 WO2022255805A1 (ko) 2021-06-02 2022-06-02 담관 내시경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1730 2021-06-02
KR1020210071730 2021-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261A true KR20220163261A (ko) 2022-12-09

Family

ID=8444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447A KR20220163261A (ko) 2021-06-02 2022-05-16 담관 내시경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32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8767A1 (en) Endoscope accessory and medical device kit
US4773394A (en)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e intubator
US6293907B1 (en) Endoscope cover having protrusions
JP6884144B2 (ja) 内視鏡頂部の取付け装置
US20100087706A1 (en) Lead Access
KR101849489B1 (ko) 극세경 내시경 보조 시스템 및 사용 방법
US20120123463A1 (en) Mechanically-guided transoral bougie
US201601989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xing and shortening bowel at the time of endoscopy
ITMI980130A1 (it) Tubo per l'alimentazione intestinale in particolare per il trattamento nutrizionale o medicinale di un paziente
JP2009523033A (ja) 経自然口的な医療行為及び穿刺具
JP2011036601A (ja) 挿入経路確保装置及び外套管
WO2006090822A1 (ja) 大腸内視鏡検査補助具
JP5052105B2 (ja) 経鼻内視鏡用ガイドチューブ
JP2005334475A (ja) 内視鏡
KR20220163261A (ko) 담관 내시경 튜브
US8460248B2 (en) Endoscopic bite guard and related methods of use
WO2022255805A1 (ko) 담관 내시경 튜브
US20190246883A1 (en) Alimentary Engagement Device
US20170172621A1 (en) Instrument head single loader
JP7412425B2 (ja) カテーテルおよびチューブイントロデューサ
RU80325U1 (ru) Одноразовая трансэзофагеальная трубка
CN215191386U (zh) 内窥镜及内窥镜系统
US12004712B2 (en) Medical device kit with endoscope accessory
JP2021108798A (ja) 内視鏡挿入用補助具
CN209108126U (zh) 一种空肠营养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