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045A - 섬유상 담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상 담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045A
KR20220163045A KR1020210071430A KR20210071430A KR20220163045A KR 20220163045 A KR20220163045 A KR 20220163045A KR 1020210071430 A KR1020210071430 A KR 1020210071430A KR 20210071430 A KR20210071430 A KR 20210071430A KR 20220163045 A KR20220163045 A KR 20220163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ibrous carrier
carrier
filter
flow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752B1 (ko
Inventor
홍성완
Original Assignee
홍성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완 filed Critical 홍성완
Priority to KR102021007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752B1/ko
Priority to PCT/KR2022/007449 priority patent/WO2022255722A1/ko
Publication of KR20220163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07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comprising particulate additives, e.g.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01D2239/0492Surface coating material o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상 담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배기구에서 나오는 공기를 정화하고 집진부에 포집된 쓰레기 및 분진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물질 및 먼지의 비산을 억제하기 위한 유동형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집진부에 도입하는 구형의 섬유상 담체(21); 상기 담체의 먼지 흡착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이온성 물질(23); 담체에 흡착된 먼지의 탈착 억제를 위한 점착성 물질(24); 및 먼지와 함께 먼지통에 유입된 유해 세균 박멸 및 이의 비산 방지를 위한 살균세정 물질(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섬유상 담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Freely moving filter for removing fine dust comprising a fibrous carri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섬유상 담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배기구에서 나오는 공기를 정화하고 집진부에 포집된 쓰레기 및 분진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물질 및 먼지의 비산을 억제하기 위한 유동형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집진부에 도입하는 구형의 섬유상 담체(21); 상기 담체의 먼지 흡착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이온성 물질(23); 담체에 흡착된 먼지의 탈착 억제를 위한 점착성 물질(24); 및 먼지와 함께 먼지통에 유입된 유해 세균 박멸 및 이의 비산 방지를 위한 살균세정 물질(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공청소기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진공압을 발생시켜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 장치이다. 그 형태에 따라 크게 캐니스터형, 업라이트형, 실린더형, 핸디/스틱형으로 구분되며 먼지 집진 방법에 따라서는 먼지봉투 방식과 싸이클론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기능적인 측면에서 싸이클론 방식 청소기의 집진장치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원심분리기와 분리된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통으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캐니스터형인 경우 상기 기능 공간이 구분되어 있으며 핸디/스틱형에서는 공간의 제약으로 원심분리장치와 먼지통이 한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먼지 흡입 및 분리 과정을 단계별로 상술하면 집진장치에 흡입된 이물질이 싸이클론의 원심력에 의해 큰 먼지와 작은 먼지(또는 미세먼지)로 나뉘게 되고, 큰 먼지는 중력에 의해 먼지통에 쌓이면서 작은 먼지는 공기와 함께 싸이클론 중심부로 유도되어 필터를 통해 걸러지며 공기는 배기구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집진장치에서 큰 먼지와 미세먼지가 온전하게 분리되지 않으며 따라서 먼지통에 그대로 남아 있는 상당량의 미세먼지와 이에 포함된 유해세균들이 사용자가 먼지통을 비우는 과정에서 비산하면서 인체의 호흡기로 흡입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PM2.5(입경 2.5㎛)이하의 초미세먼지는 호흡시 폐 깊숙히 흡입되어 폐포나 기관지 등에 침착하여 폐암, 천식, 호흡곤란 등을 일으키고 면역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인체 위해성이 높고 표면적이 크므로 유해성 금속이나 가스상 오염 물질의 흡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체내 침착시 인체에 독성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환경부가 2011년 3월 초미세먼지의 대기환경 기준을 마련하여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진공청소기 사용 중 미세먼지 배출을 억제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배기구 전단에 헤파 필터 (HEPA Filter)를 설치하는 것으로 현재 대부분의 진공청소기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미세먼지를 99% 이상 차단하기 위해서는 H12 등급 이상의 고성능 헤파 필터를 사용해야 하는데 지속적인 성능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이를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특히 PM2.5 이하의 초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H14 등급 이상의 헤파 필터가 사용되어야 하나, 기술적인 문제와 원가부담 때문에 고가의 진공청소기 외에는 채택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진공청소기에 헤파 필터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필터를 감싸고 있는 프레임이나 주변 부품 사이에 미세한 유격이 있는 경우에는 미세먼지 차단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선행특허에서는 배기구를 통해 청소기 외부로 나오는 배기가스가 미청소 구역으로 배출되어 실내에 부유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기구 주변에 가이드 기구물을 설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1). 또 진공청소기 내에서 액적을 분사시켜 싸이클론에서 분리된 미세먼지를 흡입/응집함으로써 먼지를 분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를 위해서는 진공 청소기내에 물 저장부 및 분사장치 등이 설치되어야 하는 바, 구조가 복잡하고 실용성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특허문헌 2).
먼지 포집체 중에 상존하는 진드기, 곰팡이 등의 퇴치와 아울러 청소 중 소취/방향 효과 구현을 위해 청소기 배기구 부위에 대전용 금속판을 설치, 이 표면에 살충, 살균 및 방향제 성분을 도포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기도 하다(특허문헌 3). 이와 관련하여 일본특허에서는 진공청소기 내부의 먼지봉투에서 발생하는 진드기와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여러 기술들이 제시되었지만, 진공 청소기 내의 포집체에 상주하는 진드기 및 여러 잡균을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특허문헌 4).
한편, 최근에 출시되는 고가의 스틱형 진공청소기 시스템에는 별도의 먼지 흡입 장치가 구성되어 있어, 비교적 용이하게 먼지통 내부의 먼지와 쓰레기를 상기 장치내 먼지 포집 봉투로 옮길 수 있으나, 이 역시 이송 과정에서 일부 먼지가 외부로 비산하고 아울러 먼지 포집 봉투의 교체 주기가 길어(보통 3~6개월) 근본적인 해결 방안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청소기 시스템의 구조 변경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 상승 없이 청소기의 미세먼지의 제거 효율을 향상하고 사용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특허공개 제2020-0044760호(공개일 2020.04.29) 국제특허공개 WO 2010/126222 A2(공개일 2010.11.04) 국내특허공개 제2000-0037813호(공개일 2000.07.05) 일본특허공개 평9-110620호(공개일 1997.04.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 진공청소기내 먼지통의 공간 제약상의 문제 및 유해한 미세먼지의 완전 제거가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고성능 헤파 필터를 설치하는 기술적인 문제 및 원가부담을 줄이면서,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진드기 및 잡균과 같은 유해세균을 퇴치할 수 있는 다기능의 유동형 필터(20)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형의 섬유상 담체(21)에, 먼지 흡착 성능 향상을 위한 이온성 물질(23) 1~15 중량%, 흡착 먼지의 탈착을 억제하기 위한 점착성 물질(24) 0.5~5.0 중량%; 포집된 먼지의 유해균 박멸을 위한 살균세정 물질(25) 1~10 중량%; 및 탈이온수(미도시) 70~97.5 중량%;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유동형 필터(20)를 제공한다.
상기 섬유상 담체는(21)는 지름 5~20 mm 모상 표면을 가진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상 담체(21)는 벌크밀도(bulk density)가 0.1~0.5 g/cm3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상 담체(21)는 합성섬유와 천연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으로, 스프레이 시험법에 의한 발수도 50~80으로 제어 가공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합성섬유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아크릴, 폴리비닐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천연섬유는 면사, 견사, 마, 양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온성 물질(23)은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을 가진 계면 활성 물질이거나,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 각각의 성질을 가진 모노머로부터 유화 중합된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성 물질(24)은 아크릴계 모노머를 기재로 가교 중합된 수지에서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세정 물질(25)은 구연산(C6H8O7)을 선택하거나, 당밀 또는 가수분해한 전분의 미생물 발효 공정에 의해 제조된 유기산 물질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A) 섬유상 담체(21)를 선정하는 단계; (B) 상기 섬유상 담체(21)를 전처리하는 단계; (C) 상기 전처리된 섬유상 담체(21)의 발수성을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섬유상 담체(21)를 이온화 물질(23)로 이온화하는 단계; (E) 점착성 물질(24)을 선정하고 이를 살균세정 물질(25)과 혼합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혼합물을 (D)단계의 이온화한 담체에 도포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20)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유동형 필터(20)는 진공청소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처리된 유동형 필터(20)를 사용함으로 인해, 기존 청소기 시스템의 구조 변경을 할 필요도 없이, 완벽한 미세먼지 흡착/제거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설계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진공청소기 가동 후 먼지통에 쌓인 분진 쓰레기의 먼지 비산을 방지하고 유해 세균도 함께 퇴치할 수 있으므로, 청정성, 편의성 및 쾌적성 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동형 필터(20)들이 진공청소기의 집진부에 도입되어 있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유동형 필터(20)을 구성하는 내부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유동형 필터(20)의 실제사진이다.
도 4는 유동형 필터(20)를 제조하는 단계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 1~도 4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구형 모상의 다공질 섬유상 담체(21)에 이온성 물질(23), 점착성 물질(24), 살균세정 물질(25)을 침적 또는 정착시켜 만든 후에 이를 진공청소기의 집진부에 도입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동형 필터(20)들이 진공청소기의 집진부에 도입되어 있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청소기가 작동되면, 상기 유동형 필터(20)들은 그 내부에서 자유롭게 활동하게 된다.
여기서의 섬유상 담체(21)는 기공의 크기, 발수도의 제어가 가능한 물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섬유상 담체(21) 물질로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아크릴,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기재로 한 합성섬유와 면사, 견사, 마, 양모 등을 기재로 한 천연섬유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담체는 미세먼지를 여과, 포집할 수 있는 10 ㎛ 이하 크기의 기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담체는 먼지통 내에서 자유롭게 원활히 움직이는 특성을 가져야 하므로 벌크밀도(bulk density)이 0.1~0.5 g/cm3 범위로 제한된다. 벌크밀도 0.5 g/cm3 를 초과하면 필터 내부에 충분한 기공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0.1 g/cm3 미만에서는 필터 표면에 도포되는 물질의 코팅 제어가 어려워 기능상 제약이 발생한다.
상기 담체의 크기는 진공청소기 브러시나 호스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아야 하며 외형은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모상(毛相) 표면을 가진 지름 5~20mm 구형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담체에 도포할 물질 중 살균세정 성분은 먼지통으로 이송된 후 싸이클론 원심력에 의해 담체로부터 탈리되어야 하므로 적당한 발수 성능을 갖고 있어야 한다. 발수 성능은 스프레이법에 의한 발수도 50~80이 바람직하며 발수도 50 미만에서는 먼지통 내의 살균 정화가 어렵고, 발수도 80을 초과하면 먼지통내 수분 과다로 진공청소기의 손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먼저 섬유상 담체(21)의 미세먼지 흡착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표면에 이온성 물질(23)을 코팅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초미세먼지는 화학적으로 이온, 금속, 탄소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이온 성분은 40~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양이온(Cation)과 음이온(Anion)이 결합한 화합물로 존재한다. 이온 성분 중에서도 특히 황산이온(SO42-), 질산이온(NO3-), 암모늄이온(NH4+) 성분이 전체 이온 물질의 94%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담체에 제거 대상 이온과 반대 전하를 갖는 이온성 물질(23)을 침적시키고 집진부에 도입함으로써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온성 물질(23)은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을 가진 계면 활성제이거나,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 각각의 성질을 가진 모노머로부터 유화 중합된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제로는 poly DADMAC(diallyldimethyl ammonium chloride), polyvinyl amine, polyacrylamide 등의 유기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염화알루미늄 (aluminum chloride),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 염화철(iron chloride) 등의 무기계를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제로는 PSS(poly sodium 4-styrene sulfonate), 포스페이트(phosphate),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카르복실레이트(carboxylate), 설포네이트(sulphonate) 등과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양쪽성 이온제로는 수용액에서 이온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섬유상 담체 (21)의 표면에 양이온성과 음이온성 특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물질로서 베타인(betaine), 아민옥사이드(amine oxide), 아세틸화 아미노산(acetylated amino acid),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aminopropionates) 등과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흡착된 먼지의 탈착을 억제하기 위해서 점착성 물질(24)이 필요하고, 이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기재로 가교 중합된 수지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소부틸렌과 무수말레산의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알파 올레핀계, 우레탄 수지계, 셀룰로오스계, 에틸렌-초산비닐수지계, 에폭시계, 염화비닐수지계, 클로로프렌 고무계, 실리콘계, 페놀계, 폴리아미드계, 스티렌-부타디엔 고무계 등에서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에는 생활 환경 속에 잔존하는 수많은 진드기와 잡균 등이 청소하는 과정에서 흡입되어 담체에 형성하게 되고, 포집된 먼지 중의 각종 진드기 및 잡균은 청소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다시 배기구를 통행 밖으로 빠져나와 실내 공기를 재오염시켜 알레르기성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물질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살균세정 물질(25)로, 인체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성분보다는, 식품에 사용하는 살균제인 과산화수소(H2O2),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차아염소산칼슘(Ca(ClO)2), 차아염소산수(HOCl), 이산화염소수(ClO2), 오존수(O3), 과산화초산(CH3COOOH), 및 구연산(C6H8O7)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친환경성이 우수한 당밀 또는 가수분해한 전분의 미생물 발효 공정에 의해 제조된 유기산 물질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진드기용 살충제로 쓰이고 있는 피리미포스 메틸(Primiphos Methyl), 아스카로산(Ascarosan), 벤조산 에스테르(Benzoic Acid Ester), 파라검(Pargerm), 나타마이신(Natamycine), 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 및 피레스로이드계 물질인 퍼메트린(Permethrin), 프탈트린(Phthalthrin), 페노트린(Phenothrin) 등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1~10중량%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도 2는 상기의 섬유상 담체(21), 이온성 물질(23), 점착성 물질(24), 살균세정 물질(25) 성분들이 각각의 층을 이루고 있는 내부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섬유상 담체(21), 이온성 물질(23), 점착성 물질(24), 살균세정 물질(25) 순으로 서로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 3은 상기의 구조 형태로 제조된 유동형 필터(20)의 실제사진이다.
이하, 유동형 필터(20)를 제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도 4는 유동형 필터(20)를 제조하는 단계의 흐름도이다.
먼저 (A)단계는 섬유상 담체(21)를 선정하는 단계로, 이미 시판되고 있는 원사의 권취공정을 통해 제조된 구형 섬유상 물질(일명 '폼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멜트블로운 공정을 거쳐 제조된 합성섬유의 섬유상 물질을 담체로 사용 가능하다. 미세먼지 담체로서의 형상과 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추가 공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섬유상 담체(21)의 물성 조건과 이를 충족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B)단계는 섬유상 담체(21)를 전처리하는 단계로, 이온성 물질(23)을 섬유상 담체(21)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섬유 표면에 묻어 있는 호제(또는 불순물) 등을 사전에 제거할 필요가 있다. 호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효소발호법, 산화발호법, 알칼리법 등이 있으며 섬유 구성 물질에 따라 그에 알맞은 방법을 선택하여 담체의 전처리를 실시한다.
(C)단계는 섬유상 담체(21)의 발수성을 제어하는 단계로서, 섬유상 담체(21)에 도포할 물질 중 살균세정 성분을 먼지통 내에서 탈리하기 위해서 담체의 발수 성능을 스프레이법에 의한 발수도 50~80 범위로 처리한다. 발수제로는 피리딘계(Zelan, Velan 등), 실리콘 수지계(methylhydrogen polysiloxane, MHPS), 불소수지계(scotchgar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불소수지계 발수제 사용 시에는 표면에너지에 따라 피막형성의 견뢰도가 달라지므로 발수제 성분의 구조, 분포형태, 양 및 직물의 구조 등을 고려해야 한다. 발수제의 농도는 1~5 wt% 범위 농도 환경에서 희석한 발수제에 필터를 담그고 pick-up율을 맞추어 100℃에서 5~10 분간 건조한 후 120~160℃에서 열처리를 실시한다.
(D)단계는 상기 (C)단계의 섬유상 담체(21)를 이온화 물질(23)로 이온화하는 단계로, 집진부 내의 제거 대상 성분에 따라 필터의 양이온화, 음이온화, 양쪽성이온화 공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 가능한 각각의 이온성 물질(23)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인 일실시예로 섬유상 담체(21)를 4급 암모늄염으로 양이온화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양이온화제를 물에 1~15 중량%로 희석하여 섬유상 담체(21)를 해당 욕비 조건에서 3분간 침적시킨다. 섬유상 담체(21)를 탈수한 후 세정을 실시하고 건조한다.
(E)단계는 점착성 물질(24)을 선정하고 이를 살균세정 물질(25)과 혼합하는 단계이다. 점착성 물질(24)로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기재로 한 수지류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arboxyvinyl polymer 계열로서 시판중인 Carbomer 940, Carbomer 98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점착성 물질(24)은 전체 담체 코팅 조성물(22) 대비 0.5~5.0 중량% 범위내에서, 살균세정 물질(25) 1~10 중량%와 혼합하여 사용하고 이 혼합물의 pH는 6.5~7.0 로 조절한다.
마지막으로 (F)단계는 상기 (E)단계의 혼합물을 (D)단계의 이온화 필터에 도포하여 최종적으로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20)를 제조한다.
상기의 화학물질들과 해당 공정을 거쳐 제조된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20)을 진공청소기(10) 내부에 흡입, 사용함으로써 배기구에서 나오는 공기를 정화하면서도, 집진부에 포집된 쓰레기 및 분진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의 비산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진공청소기
20 유동형 필터
21 섬유상 담체
22 담체 코팅 조성물
23 이온성 물질
24 점착성 물질
25 살균세정 물질

Claims (12)

  1. 구형의 섬유상 담체(21)에,
    먼지 흡착 성능 향상을 위한 이온성 물질(23) 1~15 중량%;
    흡착 먼지의 탈착을 억제하기 위한 점착성 물질(24) 0.5~5.0 중량%;
    포집된 먼지의 유해균 박멸을 위한 살균세정 물질(25) 1~10 중량%; 및
    탈이온수(26) 70~97.5 중량%;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2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담체(21)는 지름 5~20 mm 모상 표면을 가진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필터(2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담체(21)는 벌크밀도(bulk density)가 0.1~0.5 g/cm3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필터(2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담체(21)는 합성섬유와 천연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으로, 스프레이 시험법에 의한 발수도 50~80으로 제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필터(2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아크릴, 폴리비닐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천연섬유는 면사, 견사, 마, 양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필터(20)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물질(23)은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을 가진 계면 활성 물질이거나,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 각각의 성질을 가진 모노머로부터 유화 중합된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필터(2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물질(24)은 아크릴계 모노머를 기재로 가교 중합된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필터(20)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세정 물질(25)은 구연산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필터(20)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세정 물질(25)은 당밀 또는 가수분해한 전분의 미생물 발효 공정에 의해 제조된 유기산 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필터(20)
  10. (A) 섬유상 담체(21)를 선정하는 단계;
    (B) 상기 섬유상 담체(21)를 전처리하는 단계;
    (C) 상기 전처리된 섬유상 담체(21)의 발수성을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섬유상 담체(21)를 이온화 물질(23)로 이온화하는 단계;
    (E) 점착성 물질(24)을 선정하고 이를 살균세정 물질(25)과 혼합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혼합물을 (D)단계의 이온화한 담체에 도포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20)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10)
  12. 제 1항 또는 제 11항의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20)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1020210071430A 2021-06-02 2021-06-02 섬유상 담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4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430A KR102640752B1 (ko) 2021-06-02 2021-06-02 섬유상 담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PCT/KR2022/007449 WO2022255722A1 (ko) 2021-06-02 2022-05-25 섬유상 담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430A KR102640752B1 (ko) 2021-06-02 2021-06-02 섬유상 담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045A true KR20220163045A (ko) 2022-12-09
KR102640752B1 KR102640752B1 (ko) 2024-02-27

Family

ID=8432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430A KR102640752B1 (ko) 2021-06-02 2021-06-02 섬유상 담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0752B1 (ko)
WO (1) WO202225572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0620A (ja) 1995-10-20 1997-04-28 Rengo Co Ltd 電気掃除機用の抗微生物剤およびその用途
KR20000037813A (ko) 1998-12-02 2000-07-05 성재갑 진공청소기용 살충 및 살균 방향제 조성물
KR200388769Y1 (ko) * 2005-03-31 2005-07-07 이석실 진공청소기
KR20090034595A (ko) * 2007-10-04 2009-04-08 유충열 수중의 부유물질이나 공기 중의 초미립자를 여과하면서살균효능을 갖는 정화필터
WO2010126222A2 (ko) 2009-04-29 2010-11-0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습식분리형 집진장치
KR20200044760A (ko) 2020-04-20 2020-04-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먼지비산 방지기능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2962A (ja) * 2000-04-18 2001-10-31 Sekisui Chem Co Ltd 粉塵除去用粘着剤
US7845351B2 (en) * 2005-08-31 2010-1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Germicidal face mask
KR20100001034A (ko)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엔에코 발수코팅 및 저온촉매복합필터가 내장된 공기정화기
JP2018509499A (ja) * 2015-02-25 2018-04-05 ウニベルジテート バイロイト 金属化された、連続気泡発泡体及び繊維状基材
KR102085544B1 (ko) * 2019-03-22 2020-03-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형 미세먼지 필터 탑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0620A (ja) 1995-10-20 1997-04-28 Rengo Co Ltd 電気掃除機用の抗微生物剤およびその用途
KR20000037813A (ko) 1998-12-02 2000-07-05 성재갑 진공청소기용 살충 및 살균 방향제 조성물
KR200388769Y1 (ko) * 2005-03-31 2005-07-07 이석실 진공청소기
KR20090034595A (ko) * 2007-10-04 2009-04-08 유충열 수중의 부유물질이나 공기 중의 초미립자를 여과하면서살균효능을 갖는 정화필터
WO2010126222A2 (ko) 2009-04-29 2010-11-0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습식분리형 집진장치
KR20200044760A (ko) 2020-04-20 2020-04-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먼지비산 방지기능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752B1 (ko) 2024-02-27
WO2022255722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677B1 (ko) 습식 공기세척기
JP6204493B2 (ja) 水イオンの空気清浄機
KR101321493B1 (ko) 초미립자 여과 및 살균효과가 우수한 공기필터
JP2013504343A (ja) トイレを消毒・脱臭する方法と装置
KR20140024403A (ko) 항균 필터 매체 및 필터 모듈
WO2004078320A1 (ja) 空気清浄部材、空気清浄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2008188082A (ja) マスク
KR20180029939A (ko) 습식 공기세척기
JP6899418B2 (ja) 空気清浄機
KR101986780B1 (ko) 융합형 나노워셔 공기청정기
JP5044647B2 (ja) 花粉吸着材及びマスク
JP6247025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及び除菌方法
KR101352776B1 (ko)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20220163045A (ko) 섬유상 담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유동형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CN207963111U (zh) 一种空调室内机清洗杀菌装置
KR20090034595A (ko) 수중의 부유물질이나 공기 중의 초미립자를 여과하면서살균효능을 갖는 정화필터
CN107537225A (zh) 一种空气净化纺织滤布及其制备方法
JP3473726B2 (ja) 空気清浄機用エアーフィルタ
CN1253210C (zh) 复合空气净化消毒的方法及装置
JP2005161022A (ja) 空気清浄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WO2022098299A1 (en) Copper nanoparticle formulation to promote rapid pathogen inactivation
JP6604819B2 (ja) 白金ナノ粒子担持エレクトレット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US20070157817A1 (en) Air purifying device
JP2004204401A (ja) 花粉吸着材
CN105757812A (zh) 湿式空气吸附净化消毒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