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016A -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016A
KR20220163016A KR1020210071346A KR20210071346A KR20220163016A KR 20220163016 A KR20220163016 A KR 20220163016A KR 1020210071346 A KR1020210071346 A KR 1020210071346A KR 20210071346 A KR20210071346 A KR 20210071346A KR 20220163016 A KR20220163016 A KR 20220163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assembly
information
data
assembly component
wire har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152B1 (ko
Inventor
김동우
서원철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1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15/00Data processing: presentation processing of document, operator interface processing, and screen saver display processing
    • Y10S715/961Operator interface with visual structure or function dictated by intended use
    • Y10S715/964CAD or CAM, e.g. interactive design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을 복사하고, 상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카피부; 취득한 상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테이블(Table)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테이블을 상기 배선조립체 배선조립체 구성품을 나타내는 2D 도면 상에 배치하는 테이블배치부;를 포함하는,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은, 서버에 각각의 구성품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등의 추가 공정이 요구되지 않게 되어, 데이터 입력 또는 재구성 등을 위해 필요한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없이도 실시간 PL 정보 및 RL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WIRE HARNESS BOAR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WITH AUTOMATIC CONVERSION SYSTEM}
본 발명은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조립체 구성품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으로부터 취득한 설계 정보를 테이블로 변환하여 배치하는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 선박 및 자동차 등에는 각종 전자장비들이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각종 전자장비들을 신호나 전원을 송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전선이나 케이블들을 일정 단위로 묶어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일정 단위로 전선이나 케이블을 묶는 것을 배선조립체(혹은 Wire Harness)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배선조립체는 각종 전자장비들이 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치 인간의 혈관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이때, 배선조립체를 시공하기 위해선 각각의 배선조립체 설계 구성품에 대한 PL, RL 정보를 포함하는 와이어 하니스 보드(HRBD, Harness board)가 필요하다.
기존의 경우엔 통상 Catia program 등의 프로그램과 WIMS(Wire Harness Information Managemnet System)와 같은 서버를 사용하여 와이어 하니스 보드(HRBD)가 제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ATIA 파일을 사용하여 와어이 하니스 번들 형상(Wire harness bunlde)을 생성하고, WIMS에서 구성되는 PRL 테이블 정보(Part List, Routing List)를 추출(export)하여 엑셀 파일로 저장한다. 이후, 생성된 와이어 하니스 번들 형상에 엑셀로 저장된 PRL 테이블을 복사 및 붙여넣기(copy&paste)를 하여 필요한 위치에 배치하는 방식이다.
위와 같은 방식은 WIMS 서버에서 PL, RL를 사용하여 PRL 테이블을 만들어 제공된다. 다만, 이 경우 가사 PL 형식 또는 RL 형식이 변경되거나 WIMS 서버에서 PRL 테이블 형성에 필요한 PL을 등록해 주지 않으면, PRL 테이블을 만들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 WIMS 서버는 해당 시스템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유지되지 않으면, 배선조립체 구성품 제작에 필요한 정보들의 신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엑셀 파일에서 PRL 테이블을 직접 복사 및 붙여넣기를 해서 CATIA Wire harness 형상에 배치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인한 휴먼 에러(human error)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HRBD 제작에 일정 수준 이상의 시간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1483호(2014.11.07. 등록)
본 발명은 배선조립체 설계 구성품에 대한 정보를 테이블로 변환하여 배치하는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을 복사하고, 상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카피부; 취득한 상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테이블(Table)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테이블을 상기 배선조립체 배선조립체 구성품을 나타내는 2D 도면 상에 배치하는 테이블배치부;를 포함하는,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카피부는, 상기 2D 도면의 형상 정보, PL 정보(Part list) 및 RL 정보(Routing list)를 상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로 취득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카피부는, 형상 정보를 기초로 배선조립체 구성품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배선조립체 구성품 별로 대응하는 PL 정보 및 RL 정보를 각각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2D 도면을 상기 변환된 테이블이 배치된 상태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을 복사하는 제1 단계; 상기 복사한 2D 도면으로부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단계; 상기 취득한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각각 기설정된 어레이에 배치하여 테이블로 변환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테이블을 상기 복사한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2D 도면에 배치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2D 도면에 대한 형상 정보, PL 정보(Part list) 및 RL 정보(Routing list)를 취득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은, 서버에 각각의 구성품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등의 추가 공정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데이터 입력 또는 재구성 등을 위해 필요한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없이도 실시간 PL 정보 및 RL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와이어 하니스 보드는, 시공자가 직관적으로 설계 정보를 배선조립체 구성품 별로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이를 이용한 와이어 하니스 제작 공정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의 기술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의 일례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의 화면이다.
도 4는 도 3의 A 화면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방법을 시간순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설계 정보 취득 단계의 일 실시예를 시간순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방법은, 별도의 서버를 거치지 않고 HRBD(Wire Harness board)(2) 제작을 위해 필요한 2D 도면(1)을 복사한 후,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3)에 대한 PRL 테이블(4)을 실시간으로 자동 변환하여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내장된 제작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제작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의 기술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Wire harness board, HRBD) 제작장치는 설계 DB를 포함하는 2D 도면(1)을 복사하고 그 설계 데이터를 정보로 획득하는 데이터카피부(10), 상기 획득한 정보를 기설정된 어레이에 따라 배치하여 테이블(4)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20), 상기 변환된 테이블(4)을 와이어 하니스 보드(2)의 복사한 2D 도면상에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테이블배치부(30)를 발명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구성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와이어 하니스 보드(2)는, 필요에 따라 실제 와이어 하니스와 실물과 동일한 크기 비율(1:1)의 2D 도면으로 출력되어, 출력본을 시공자가 실제 와이어 하니스 제조 공정에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는, 자동 변환된 테이블(4)이 삽입된 상태인 와이어 하니스 보드(2)의 2D 도면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 제어부(40)는 시공자가 본 발명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와 인터페이스를 공유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와이어 하니스 보드(2)의 2D 도면을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시공자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와이어 하니스 보드(2)를 실제 실물 크기와 동일한 출력본이나, 별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작업 현장에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배선조립체 구성품(3)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1)의 일례를 나타낸 화면을 도시한다.
데이터카피부(1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1)을 복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계자들이 기존의 설계 디자인 시스템(예컨대, Capital HarnessXC 등)을 이용해 제작한 것으로,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1)을 복사한다.
이때, 데이터카피부(10)는 복사한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2D 도면(1)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정보로 획득하는 알고리즘이 내장된 것일 수 있다. 즉, 데이터카피부(10)는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1)으로부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2D 도면을 복사함과 동시에, 상기 2D 도면(1)이 포함하고 있는 설계 데이터를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화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을 위한 테이블 변환 및 상기 변환된 테이블의 배치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의 화면을, 도 4는 도 3의 A 화면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을 각각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카피부(10)는 배선조립체 구성품(3)의 2D 도면상 형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카피부(10)는 배선조립체 구성품(3)의 2D 도면상 형상을 나타내는 이미지 정보를 획득함과 동시에, 획득된 상기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설게 대상 배선조립체 구성품(3)을 각각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카피부(10)는, 배선조립체 구성품(3)의 2D 도면의 PRL 정보(Part list, Routing list) 정보를 각각 더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정보의 형상으로부터 인식된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3)에 대해 각각 대응하는 PRL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PL 정보(Part list)는 배선조립체 구성품(3)의 자재 정보를 포함한다. 즉, 데이터카피부(10)는 복사한 2D 도면에 나타난 형상으로부터 인식된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3)에 대한 각각의 자재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PL 정보는 2D 도면상에 나타난 각 구성품의 자재 번호와 각 번호에 대응하는 자재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Backshell(커넥터 몸체), Receptacle connector(리셉터클 커넥터), Heat shrinkable tube(열 수축 튜브), Cavity plug(캐비티 플러그) 등의 각 구성품의 자재 명칭일 수 있다.
RL 정보(Routing list)는 배선조립체 구성품(3)의 와이어 회로 정보(Wire 및 Pin 정보)를 포함한다. 즉, 데이터카피부(10)는 복사한 2D 도면에 나타난 형상으로부터 인식된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3)에 대해 와이어 정보와 핀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RL 정보는 2D 도면상에 나타난 각 구성품의 자재에 사용된 핀 코드와 각 코드에 대응하는 와이어 번호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데이터카피부(10)는 설계 데이터로부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2D 도면을 복사하고, 상기 복사된 2D 도면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형상 정보, PL 정보 및 RL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즉, 데이터카피부(10)는 형상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3)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배선조립체 구성품(3) 별로 대응하는 PL 정보 및 RL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이 적용되는 와이어 하니스 제작 공정에는, 서버에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에 대한 데이터를 별도로 입력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등의 추가 공정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데이터 입력 또는 재구성 등을 위해 필요한 공정 시간을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데이터 업데이트 작업 없이도 실시간 PL 정보 및 RL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데이터변환부(20)는 복사한 배선조립체 구성품(3)의 2D 도면에 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테이블(4)을 구성하는 알고리즘이 내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변환부(20)는 형상 정보를 기초로 인식된 배선조립체 구성품(3)을 소정의 단위로 나누어 유닛화 한다. 이후, 데이터변환부(20)는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3) 유닛 단위별로, 그에 매칭되는 설계 데이터 정보를 기설정된 어레이(array)에 배치하여 테이블(4)로 변환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3)에 대한 PL 정보 및 RL 정보를 테이블(4)로 변환한다. 즉,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3)에 대한 PRL 정보가 기설정된 어레이에 배치되어 테이블(4) 단위를 구성하고, 상기 테이블(4)은 각각 대응하는 배선조립체 구성품(3) 유닛 단위에 매칭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4)은, 좌측에 자재 번호와 명칭을 포함하는 PL 정보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우측에는 Pin 코드와 와이어 번호 등이 마찬가지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구성하는 테이블(4)의 어레이 설정의 일례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어레이가 적용될 수 있음이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작되는 와이어 하니스 보드(2)에는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3)의 제작에 필요한 정보가 테이블(4) 형태로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3) 별로 매칭되어, 2D 도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테이블배치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3)의 제작에 필요한 정보가 배치된 테이블(4)을, 와이어 하니스 보드(2)의 2D 도면에 배치하는 알고리즘이 내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배치부(30)는 각각의 테이블(4)을 매칭되는 배선조립체 구성품(3)에 근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매칭되는 배선조립체 구성품(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테이블배치부(30)는 시공자가 2D 도면 상에서 직관적으로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3)와 테이블(4)의 매칭 관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4)의 배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 테이블배치부(30)는 기설정된 시스템에 의해 테이블(4)의 배치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 본 발명의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인터페이스 제어부(40)를 통해 설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테이블배치부(30)를 통한 각각 배선조립체 구성품(3)에 대한 테이블(4)의 배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와이어 하니스 보드(2)는, 시공자가 직관적으로 설계 정보를 배선조립체 구성품(3) 별로 쉽게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를 이용한 와이어 하니스 제작 공정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후술하는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술한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의 실시예가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인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방법을 시간순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방법은,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을 복사하는 제1 단계(S10); 상기 복사한 2D 도면으로부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단계(S20); 상기 취득한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각각 기설정된 어레이에 배치하여 테이블로 변환하는 제3 단계(S30); 및 상기 변환된 테이블을 상기 복사한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2D 도면에 배치하는 제4 단계(S40)를 방법의 기본 단계를 이루는 구성으로 포함한다.
제1 단계(S10)에 있어서, 배선조립체 구성품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을 복사한다. 이때, 설계자들이 기존의 설계 디자인 시스템(예컨대, Capital HarnessXC 등)을 이용해 제작한 것으로,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을 복사한다.
제2 단계(S20)에 있어서, 복사한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2D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계 데이터를 정보로 획득한다. 이때, 제2 단계는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2D 도면에 대한 형상 정보, PL 정보(Part list) 및 RL 정보(Routing list)를 설계 데이터를 정보로 취득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설계 정보 취득 단계(S20)의 일 실시예를 시간 순서에 따라 나타낸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설계 정보를 취득하는 제2 단계(S20)에 있어, 우선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2D 도면의 이미지로부터 형상 정보를 취득한다(S21). 다음으로 취득된 형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설계 대상이 되는 배선조립체 구성품을 인식한다(S22). 이후, 인식된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에 대응하는 PL 정보 및 RL 정보를 획득한다(S33).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단계(S20)는, 2D 도면으로부터 배선조립체 구성품을 각각 인식하고, 인식된 배선조립체 구성품을 소정의 단위로 구분하여, 상기 구분된 구성품 단위에 각각 대응하는 PRL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제3 단계(S30)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 단위로 취득한 정보를 각각 기설정된 어레이에 배치하여 테이블로 변환한다. 즉,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에 대한 PRL 정보가 기설정된 어레이(array)에 배치되어 테이블 단위를 구성됨으로써, 상기 테이블은 각각 대응하는 구성품 단위에 매칭된다.
제4 단계(S40)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제작에 필요한 정보가 배치된 테이블을,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2D 도면에 배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4 단계(S40)는 각각의 테이블을 매칭되는 배선조립체 구성품에 근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매칭되는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은, 서버에 각각의 구성품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등의 추가 공정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은, 서버에 각각의 구성품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등의 추가 공정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데이터 입력 또는 재구성 등을 위해 필요한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 없이도 실시간 PL 정보 및 RL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와이어 하니스 보드는, 시공자가 직관적으로 설계 정보를 배선조립체 구성품 별로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이를 이용한 와이어 하니스 제작 공정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D 도면
2: 와이어 하니스 보드
3: 배선조립체 구성품
4: 테이블
10: 데이터카피부
20: 데이터변환부
30: 테이블배치부
40: 인터페이스 제어부

Claims (6)

  1.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을 복사하고, 상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카피부;
    취득한 상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테이블(Table)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테이블을 상기 배선조립체 배선조립체 구성품을 나타내는 2D 도면 상에 배치하는 테이블배치부;를 포함하는,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카피부는, 상기 2D 도면의 형상 정보, PL 정보(Part list) 및 RL 정보(Routing list)를 상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카피부는, 형상 정보를 기초로 배선조립체 구성품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배선조립체 구성품 별로 대응하는 PL 정보 및 RL 정보를 각각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2D 도면을 상기 변환된 테이블이 배치된 상태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5.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도면을 복사하는 제1 단계;
    상기 복사한 2D 도면으로부터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단계;
    상기 취득한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설계 데이터를 각각 기설정된 어레이에 배치하여 테이블로 변환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테이블을 상기 복사한 배선조립체 구성품의 2D 도면에 배치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2D 도면에 대한 형상 정보, PL 정보(Part list) 및 RL 정보(Routing list)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방법.
KR1020210071346A 2021-06-02 2021-06-02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KR102608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346A KR102608152B1 (ko) 2021-06-02 2021-06-02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346A KR102608152B1 (ko) 2021-06-02 2021-06-02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016A true KR20220163016A (ko) 2022-12-09
KR102608152B1 KR102608152B1 (ko) 2023-12-01

Family

ID=8444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346A KR102608152B1 (ko) 2021-06-02 2021-06-02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1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196A (ja) * 2001-11-07 2003-05-16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設計方法
KR20140106147A (ko) * 2013-02-26 2014-09-0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l 테이블 자동삽입기능을 이용한 배선조립체 치공구용 hrbd을 위한 캣도면 자동생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80643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하네스 설계 소프트웨어 자동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196A (ja) * 2001-11-07 2003-05-16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設計方法
KR20140106147A (ko) * 2013-02-26 2014-09-0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l 테이블 자동삽입기능을 이용한 배선조립체 치공구용 hrbd을 위한 캣도면 자동생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1483B1 (ko) 2013-02-26 2014-11-1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l 테이블 자동삽입기능을 이용한 배선조립체 치공구용 hrbd을 위한 캣도면 자동생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80643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링 하네스 설계 소프트웨어 자동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152B1 (ko)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5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lateral validation of wire harness design outputs
US7552024B2 (en) Circuit board diagnostic operating center
US8201136B2 (en) CA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duct for designing printed circuit board
US201400685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lating Software Code
CN110244936B (zh) 用于支持visio流程图自动导入dcs算法组态软件的方法和装置
CN1977223A (zh) 电气现场设备
US8301422B2 (en) Process for creating a library of algorithmic representations of electronic equipment
KR20220163016A (ko) 자동변환 시스템을 갖춘 와이어 하니스 보드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US93238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e translation
KR20030085618A (ko) 와이어 하네스의 생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JPH0869486A (ja) コネクタ情報確認装置
KR101980112B1 (ko) 와이어링 설계요청서 업로드 장치 및 방법
JP2004287585A (ja) カード設計検証方法及びカード設計検証システム
KR101956902B1 (ko) 와이어링 설계요청서 업로드 장치 및 방법
JP5557384B2 (ja) ワイヤハーネス導通検査方法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導通検査プログラム
KR20190025888A (ko) 와이어링 설계요청서 업로드 장치 및 방법
KR101980115B1 (ko) 와이어링 설계요청서 업로드 장치 및 방법
KR101980117B1 (ko) 와이어링 설계요청서 업로드 장치 및 방법
KR101940121B1 (ko) 와이어링 시스템 중량 산출 장치
KR101980119B1 (ko) 와이어링 설계요청서 업로드 장치 및 방법
KR101980120B1 (ko) 와이어링 설계요청서 업로드 장치 및 방법
JP2705548B2 (ja) 印刷回路基板設計支援装置
KR20190016474A (ko) 와이어링 시스템 중량 산출 장치
KR20190016472A (ko) 와이어링 시스템 중량 산출 장치
KR20190016475A (ko) 와이어링 시스템 중량 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