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301A -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301A
KR20220162301A KR1020210070611A KR20210070611A KR20220162301A KR 20220162301 A KR20220162301 A KR 20220162301A KR 1020210070611 A KR1020210070611 A KR 1020210070611A KR 20210070611 A KR20210070611 A KR 20210070611A KR 20220162301 A KR20220162301 A KR 20220162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cation
space
organic matter
vacuum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899B1 (ko
Inventor
오형윤
박부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오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오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오딘
Priority to KR102021007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89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311Purifying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51/0025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은, 유기물이 수용된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정제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로서, 상기 정제관이 위치되는 공간이 구획되어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에서 상기 유기물을 정제하기 위한 서로 다른 과정이 진행되는 본체모듈 및 상기 구획된 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공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내부 기압을 상기 구획된 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모듈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정제관이 상기 구획된 공간 사이를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ORGANIC MATTER 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격리된 공간에서 서로 다른 정제과정을 진행하여 하나의 정제장비를 통해 진행하는 과정을 일괄적으로 진행하며,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유기물이 수납된 정제관을 이동시켜 시간적 소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발광 소자의 경우, 발광층 물질의 순도가 발광 특성과 밝기에 영향을 주게 되며, 특히, OLED의 경우 유기재료 중에 불순물이 혼입되어 있으면, 그 불순물이 캐리어의 트랩이 되거나 소광의 원인이 되어 소자의 발광 강도 및 발광 효율이 크게 저하되어 유기물을 정제하여 사용하는 정제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이는 진공 상태에서 승화되어 재결정하는 승화정제방법을 이용하여 불순물과 유기물을 서로 분리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4시간의 절차가 필요하며, 모두 수동으로 동작하고,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 소요와 경제적인 소요가 크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동일한 챔버 내에서 여러 차례 다른 과정들이 진행되며, 이에 따라 챔버의 내부를 세척하는 시간과 챔버 내부의 환경을 매번 조절해야 한다는 단점으로 인해 시간적 소요는 더 크게 발생될 수밖에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유기물을 정제하는 과정을 단축하거나 과정의 편의를 통한 시간단축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서로 격리된 공간에서 서로 다른 정제과정을 진행하여 하나의 정제장비를 통해 진행하는 과정을 일괄적으로 진행하며,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유기물이 수납된 정제관을 이동시켜 시간적 소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정제방법은, 유기물이 수용된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정제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로서, 상기 정제관이 위치되는 공간이 구획되어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에서 상기 유기물을 정제하기 위한 서로 다른 과정이 진행되는 본체모듈 및 상기 구획된 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공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내부 기압을 상기 구획된 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모듈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정제관이 상기 구획된 공간 사이를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의 배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정제관을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레일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정제관이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을 1차 정제하는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성공간, 상기 조성공간과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은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정제관이 상기 레일유닛을 통해 상기 조성공간에서 내부로 이동되고, 내부를 제2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을 2차 정제하는 정제공간 및 상기 정제공간과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은 2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을 회수하도록 제3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회수공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상기 회수공간이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서로 다른 진공환경으로 조성되기 위해 각각이 개폐유닛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에서 수행되는 상기 정제과정의 종료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에서 각각 진행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모두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유닛을 개방시켜 상기 레일유닛을 통해 상기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회수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종료된 경우, 내부의 상기 정제관을 회수하기 위해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대기압과 유사하도록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성공간은, 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동작되어 상기 유기물을 가열하도록 열기를 제공하는 히팅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동작되어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도록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부 및 상기 조성공간과 상기 펌프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히팅부에 의해 증발되는 수분을 응결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펌프부는, 외부의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조성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팅부는, 유도 가열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은 복수개가 서로 병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정제하는 정제방법으로서, 상기 조성공간의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을 1차 정제하는 1차 정제단계, 상기 1차 정제단계에서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을 상기 정제공간에서 제2진공환경을 조성하여 2차 정제하는 2차 정제단계, 상기 2차 정제단계에서 정제된 상기 유기물을 상기 회수공간에서 냉각하고, 상기 회수공간의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정제관을 회수하는 냉각회수단계 및 상기 1차 정제단계, 상기 2차 정제단계 및 상기 냉각회수단계의 종료여부를 판단하고, 종료여부에 따라 상기 유기물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키는 전달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1차 정제단계가 종료되어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이 상기 정제공간으로 이동되면, 상기 정제관을 상기 조성공간 내부에 배치하여 상기 1차 정제단계, 상기 2차 정제단계, 상기 냉각회수단계가 개별적으로 반복되는 정제과정을 수행하는 반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유기물 정제방법은 서로 격리된 공간에서 서로 다른 정제과정을 진행하여 하나의 정제장비를 통해 진행하는 과정을 일괄적으로 진행하며,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유기물이 수납된 정제관을 이동시켜 시간적 소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조성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정제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회수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정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1차 정제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2차 정제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냉각회수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정제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히팅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조성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정제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회수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정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1차 정제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2차 정제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냉각회수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방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은 유기물(O)이 수용된 정제관(R)을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켜 정제하는 정제장비로서, 상기 정제관(R)이 위치되는 공간이 구획되어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에서 상기 유기물(O)을 정제하기 위한 서로 다른 과정이 진행되는 본체모듈(100) 및 상기 구획된 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공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내부 기압을 상기 구획된 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모듈(1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이 상기 본체모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정제관(R)이 상기 구획된 공간 사이를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모듈(100)은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키는 레일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일유닛(120)은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구획된 공간 사이에서 상기 정제관(R)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모듈(100)의 상기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정제관(R)이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O)을 1차 정제하는 조성공간(140), 상기 조성공간(140)과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은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정제관(R)이 상기 레일유닛(120)에 의해 이동되어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를 제2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을 2차 정제하는 정제공간(160) 및 상기 정제공간(160)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2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도록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는 회수공간(18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은 서로 구획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정제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내부가 폐쇄적으로 독립된 진공 상태로 진행되어야 하며, 상기 조성공간(140)에서는 상기 정제관(R)을 삽입하여야 하고, 상기 회수공간(180)에서는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을 구분하도록 서로를 폐쇄시키면서도 상기 정제관(R)이 이동되는 동안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정제관(R)을 삽입하거나 회수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개방되는 개폐모듈(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을 나누어 설명하자면, 먼저 상기 조성공간(120)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공간(1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상기 개폐유닛(190)이 구비되되,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조성공간(140)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개방부(19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조성공간(140)과 상기 정제공간(160) 사이에는 각각에서 진행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서로를 구획시키면서도 각각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구획부(194)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공간(140)에서는 상기 제1 진공환경을 조성하고, 1차 정제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조성공간(140)에 위치된 상기 정제관(R)에 열을 제공하여 상기 정제관(R) 내부에 수납된 상기 유기물(O)을 가열하는 히팅부(142), 상기 조성공간(140)을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펌프부(144) 및 상기 펌프부(144)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 중의 물질을 응결시키는 냉각부(146)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성공간(140)의 내부에는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레일유닛(12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히팅부(142)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성공간(140)에 위치된 상기 정제관(R)을 향해 열기를 제공하여 상기 정제관(R) 내부에 위치된 상기 유기물(O)을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팅부(142)는 열선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2에서는 상기 조성공간(140)을 둘러싸는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조성공간(140)과 직접적으로 맞닿도록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열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조성공간(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조성공간(140)을 둘러싼 케이스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펌프부(144)는 한 쌍의 스크류가 회전되면서 상기 조성공간(140)의 공기를 상기 조성공간(140)의 외부로 이동시켜 상기 조성공간(140)을 상기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부(144)는 종래의 건식펌프를 바탕으로 기술하여 설명할 예정이나, 필요에 따라 오일펌프와 같이 진공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또 다른 펌프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냉각부(146)는 상기 히팅부(142)에 의해 상기 조성공간(140)에 열기가 제공되면서 공기 중에 증발된 수분이나 그 외 다른 화학적 물질이 상기 펌프부(144)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기 펌프부(144)에 이동되기 전에 냉각시켜 수분이나 화학적 물질 등의 불순물을 응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조성공간(140) 내부는 외부의 요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조성공간(140)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제공간(1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성공간(140)에서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을 2차 정제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조성공간(140)에 해당하는 상기 정제과정이 종료된 상기 정제관(R)이 상기 레일유닛(120)에 의해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이동되고, 상기 정제공간(160)의 내부를 제2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O)을 2차 정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제공간(160)은 상기 제1 진공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진공상태를 조성하여 본 정제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조성공간(140)보다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고진공 펌프부(162), 상기 조성공간(140)과 대응되는 펌프부(164), 냉각부(166) 및 히팅부(168)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히팅부(142, 168), 상기 펌프부(144, 164) 및 상기 냉각부(146, 166)는 서로 효과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각각 상기 조성공간(140)에 구비되는 경우는 제1 히팅부(142), 제1 펌프부(144), 제1 냉각부(146)로 명칭하고, 상기 정제과정(16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2 히팅부(168), 제2 펌프부(164), 제2 냉각부(166)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와 같이 구분하는 것은 서로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지만 상기 조성공간(140)과 상기 정제공간(160)에 구비되는 상기 히팅부(142, 166), 상기 펌프부(144, 164), 상기 냉각부(146, 166)는 서로 대응되는 구성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발명의 설명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해 구분하는 것일 뿐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제공간(160)은 상기 조성공간(140)에서 1차 정제된 상기 정제관(R)이 이동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상기 조성공간(140)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조성공간(140)과 상기 구획부(194)에 구분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정제공간(160)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을 수행한 이후에는 상기 회수공간(180)으로 상기 정제관(R)이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조성공간(140)과 상기 정제공간(160) 사이에 상기 구획부(194)가 구비되는 것과 유사하게 상기 정제공간(160)과 상기 회수공간(180) 사이에는 상기 구획부(194)가 구비되어 서로가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공간(160)도 상기 조성공간(140)과 유사하게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정제공간(160)을 가로지도록 상기 레일유닛(12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공간(1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관(R)이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정제공간(16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획부(194)에 의해 서로 격리되어 있을 수 있고, 타단부는 개방 가능하도록 상기 개방부(192)가 구비되어 상기 회수공간(180)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하여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공간(180)은 앞서 상기 조성공간(140)에서 제1 진공환경이 조성되어 1차 정제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정제공간(160)에서 제2 진공환경이 조성된 상태에서 2차 정제과정을 수행한 것과 유사하게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정제과정이 종료된 상기 유기물(O)을 회수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지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회수공간(180)에서는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하여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기 때문에 내부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과 동일한 상태로 제3 진공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앞서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정제공간(160)에서 가열된 상기 정제관(R)을 냉각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수공간(180)은 전달부(182)를 통해 상기 조성공간(14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펌프부(144)와 연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펌프부(144)를 통해서 상기 제3 진공환경을 조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독립된 제3 펌프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펌프부(144)는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흡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수행되는 상기 정제과정의 종료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의 상기 정제과정 각각이 모두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유닛(190)을 개방시켜 상기 레일유닛(120)을 통해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140)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종료되고,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이동되면 또 다른 상기 유기물(O)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조성공간(140)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회수공간(160)에서도 유사하게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조성공간(140)에 구비되는 상기 개방부(192)는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이동된 이후에 개방되어 상기 정제공간(160)에 제2 진공환경이 과도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회수공간(180)은 상기 정제공간(160)의 작업이 종료되기 이전에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하여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는 것이 상기 정제공간(160)의 제2 진공환경을 과도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성공간(140)의 상기 개방부(192)는 상기 정제과정이 모두 종료된 이후, 상기 조성공간(140)의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이동되어야 개방되지만, 상기 회수공간(180)은 상기 정제공간(160)의 상기 정제관(R)이 이동되기 이전에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하여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모듈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성공간(140)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을 제어하여 제1 진공환경을 조성하고, 상기 정제공간(160)에서는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을 위해 제2 진공환경을 조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회수공간(160)은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도록 제3 진공환경을 조성하되, 외부의 대기압과 유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를 활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성공간(140)의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O)을 1차 정제하는 1차 정제단계(S10), 상기 1차 정제단계(S10)에서 1차적으로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을 상기 정제공간(160)에서 제2 진공환경을 조성하여 2차 정제하는 2차 정제단계(S20), 상기 2차 정제단계(S20)에서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을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냉각하고, 상기 회수공간(180)의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이 수용된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는 냉각회수단계(S30) 및 상기 1차 정제단계(S10), 상기 2차 정제단계(S20) 및 상기 냉각회수단계(S30)의 종료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판단여부에 따라 상기 유기물(O)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정제과정에 맞게 이동시키는 전달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차 정제단계(S10)는 상기 조성공간(140)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일 수 있으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물(O)을 1차 정제하는 예비 정제과정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1차 정제단계(S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물(O)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조성공간(140)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장입과정(S11), 상기 조성공간(140)을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도록 상기 제1 펌프부(144)를 동작시키는 제1 진공환경 조성과정(S12), 제1 진공환경이 조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히팅부(142)를 동작시켜 상기 유기물(O)을 가열하는 제1 가열과정(S13) 및 앞서 조성된 제1 진공환경을 통해 상기 유기물(O)을 예비 정제하는 예비 정제과정(S1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 정제단계(S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정제단계(S10)가 종료된 이후,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구획부(194)가 개방되어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이동되는 상기 전달단계(S40)가 수행되고, 상기 정제공간(160)이 상기 구획부(194)에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펌프부(164) 및 고진공 펌프부(162)를 통해 제2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제2 진공환경 조성과정(S21), 상기 제2 히팅부(168)를 통해 상기 유기물(O)을 2차 가열하는 제2 가열과정(S22) 및 상기 제2 진공환경이 조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열과정(S22)을 지속하여 상기 유기물(O)을 2차 정제하는 본 정제과정(S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진공환경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진공환경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대기압 상태, 즉, 더 높은 진공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회수단계(S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정제단계(S10) 및 상기 2차 정제단계(S20)를 통해 가열된 상기 정제관(R)을 냉각시키는 냉각과정(S31), 상기 회수공간(180)의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는 제3 진공환경 조성과정(S32) 및 상기 제3 진공환경 조성과정(S32)을 통해 외부 대기압과 유사한 상태에서 냉각된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도록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하는 회수과정(S3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1차 정제단계(S10), 상기 2차 정제단계(S20), 상기 냉각회수단계(S30)는 모두 개별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정제단계(S10), 상기 2차 정제단계(S20), 상기 냉각회수단계(S30)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1차 정제단계(S10), 상기 2차 정제단계(S20), 상기 냉각회수단계(S30)가 개별적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도록 상기 조성공간(140)에 상기 정제관(R)을 장입하고,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는 반복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앞서 상술한 바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정제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히팅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물(O)을 상기 정제관(R)에 수납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를 통해 상기 유기물(O)을 정제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먼저 상기 1차 정제단계(S10)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유기물(O)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조성공간(140)으로 장입하는 상기 장입과정(S11)을 수행하고,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조성공간(14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성공간(140)의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는 제1 진공환경 조성과정(S12)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펌프부(144)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냉각부(146)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히팅부(142)를 통해 상기 유기물(O)을 가열하는 제1 가열과정(S13)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지속하는 상기 예비 정제과정(S14)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정제단계(S10)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성공간(140)에 위치되었던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상기 레일유닛(120)을 통해 이동시키고, 상기 구획부(194)는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공간(160)에 위치된 상태에서 폐쇄되어 상기 조성공간(140)과 상기 정제공간(160)을 격리하는 상기 전달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조성공간(140)은 상기 개방부(192)를 통해 내부를 개방하여 새로운 상기 정제관(R)을 내부에 위치시키고 앞서 상술한 상기 제1 정제단계(S10)를 재차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구획부(194)가 개방되며, 상기 조성공간(140)과 상기 정제공간(160)의 내부 기압은 서로 평균치를 유지하도록 변화되며, 상기 정제공간(160)은 상기 제2 펌프부(164) 및 고진공 펌프부(162)를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동작되어 제2 진공환경을 조성하며, 상기 정제공간(160)의 내부 기압은 상대적으로 평균상태의 대기압보다 낮아진 상태이므로 제2 진공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내부 기압을 낮추는 과정의 시간적 소요가 줄어들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제공간(160)에서는 상기 제2 진공환경 조성과정(S21)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히팅부(168)를 동작시켜 상기 제2 가열과정(S22)을 진행하며, 이와 같은 상태를 지속하는 본 정제과정(S23)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조성공간(140)에서는 상기 제1 정제단계(S10)가 수행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정제단계(S20)가 종료된 경우, 상기 회수공간(180)으로 상기 정제관(R)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정제공간(160)과 상기 회수공간(180) 사이에 위치된 상기 구획부(194)를 개방하여 상기 정제공간(160)과 상기 회수공간(180)의 내부 기압은 다시 평균으로 맞춰질 수 있으며, 상기 레일유닛(120)에 의해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공간(160)에서 상기 회수공간(180)으로 이동되고 난 후에는 상기 구획부(194)를 통해 서로를 격리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수공간(180)에서는 상기 냉각회수단계(S30)를 수행하고, 상기 조성공간(140)에서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또 다른 상기 정제관(R)이 이동되어 상기 정제공간(160)에서는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수행되는 상기 냉각회수단계(S30)와 동시에 상기 2차 정제단계(S2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공간(140)에서도 상기 2차 정제단계(S20)와 상기 냉각회수단계(S30)와 함께 상기 1차 정제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서로 구획된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상기 정제과정이 개별적으로 진행되며, 지속적으로 상기 정제단계를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공간(180)은 2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을 회수하는 공간이므로, 상기 히팅부(142, 168)에 의해 가열된 상기 정제관(R)을 냉각시키는 상기 냉각과정(S31)을 수행하면서도, 상기 개방부(192)가 열리면서 외부와의 기압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질소 및 비활성 가스로 대기압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정제공간(160) 모두 독립적인 진공환경인 제1 진공환경 및 제2 진공환경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단계(S04)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의 진공환경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상기 구획부(194)가 기압차에 의해 개방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달단계(S04)가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의 진공환경을 서로 동일한 제4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는 전달 진공환경 조성과정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은 각각이 개방되어 외부의 대기압과 유사한 환경으로 변화하며, 상기 정제공간(160)은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회수공간(180)과 상기 구획부(194)에 의해 독립적으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정제공간(160)은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회수공간(18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공환경의 변화가 최소화되어 정제과정에서 제2 진공환경을 재 조성하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하여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고, 상기 개방부(192)가 폐쇄된 이후에 제1 펌프부(144)를 이용하여 제1 진공환경을 재차 조성하고, 상기 정제 공간(160)의 고진공 펌프부(162)의 작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제4 진공환경을 조성하여 상기 정제공간(160)과 상기 회수공간(180) 사이의 상기 구획부(194)가 개방되어 상기 정제관(R)이 상기 레일유닛(12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나, 상기 제1 히팅부(142)와 상기 제2 히팅부(168)는 직접 전류를 통해 가열되는 열선 형태가 아닌 외부의 유도가열코일(C)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정제공간(160)에 열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가열코일(C)은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정제공간(160)의 외부, 즉, 케이스의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도가열코일(C)이 구비되는 위치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상기 제1 히팅부(142) 및 상기 제2 히팅부(168)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를 바탕으로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60)은 서로 구획된 공간으로 개별적으로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각각의 걸리는 시간적 차이가 있더라도 종래의 기술에 따라 제작된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는 본 발명의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와 같이 구획된 공간별 상기 정제과정이 수행되지 않아 발생하는 시간적 소요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여러 차례 언급하였지만 상기 1차 정제단계(S10), 상기 2차 정제단계(S20) 및 상기 냉각회수단계(S30)는 서로 개별적으로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구분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기 정제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고진공 펌프부(162)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을 제4 진공환경으로 조성하고, 구획부(192)가 개방되면서 인접한 공간끼리 영향을 주어 서로의 내부 기압을 평균으로 형성하므로, 상기 정제공간(160)의 진공환경을 과도하게 변경하지 않으면서 공정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진공환경, 제2 진공환경, 제3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걸리는 시간적 소요 또한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장점도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회수공간(160)의 경우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자동화되어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정제관(R)을 장입하고,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기 위한 별도의 챔버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 유도가열코일
O: 유기물
R: 정제관
100: 본체모듈
120: 레일유닛
140: 조성공간
142: 제1 히팅부
144: 제1 펌프부
146: 제1 냉각부
160: 정제공간
162: 고진공 펌프부
164: 제2 펌프부
166: 제2 냉각부
168: 제2 히팅부
180: 회수공간
182: 전달부
190: 개폐유닛
192: 개방부
194: 구획부
S10: 1차 정제단계
S11: 장입과정
S12: 제1 진공환경 조성과정
S13: 제1 가열과정
S14: 예비 정제과정
S20: 2차 정제단계
S21: 제2 진공환경 조성과정
S22: 제2 가열과정
S23: 본 정제과정
S30: 냉각회수단계
S31: 냉각과정
S32: 제3 진공환경 조성과정
S33: 회수과정
S40: 전달단계

Claims (12)

  1. 유기물이 수용된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정제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로서,
    상기 정제관이 위치되는 공간이 구획되어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에서 상기 유기물을 정제하기 위한 서로 다른 과정이 진행되는 본체모듈; 및
    상기 구획된 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공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내부 기압을 상기 구획된 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모듈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정제관이 상기 구획된 공간 사이를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의 배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정제관을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레일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정제관이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을 1차 정제하는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성공간;
    상기 조성공간과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은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정제관이 상기 레일유닛을 통해 상기 조성공간에서 내부로 이동되고, 내부를 제2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을 2차 정제하는 정제공간; 및
    상기 정제공간과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은 2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을 회수하도록 제3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회수공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상기 회수공간이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서로 다른 진공환경으로 조성되기 위해 각각이 개폐유닛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에서 수행되는 상기 정제과정의 종료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에서 각각 진행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모두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유닛을 개방시켜 상기 레일유닛을 통해 상기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회수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종료된 경우, 내부의 상기 정제관을 회수하기 위해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대기압과 유사하도록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공간은,
    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동작되어 상기 유기물을 가열하도록 열기를 제공하는 히팅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동작되어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도록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부; 및
    상기 조성공간과 상기 펌프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히팅부에 의해 증발되는 불순물을 응결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외부의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조성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유도 가열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은 복수개가 서로 병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정제하는 정제방법으로서,
    상기 조성공간의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을 1차 정제하는 1차 정제단계;
    상기 1차 정제단계에서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을 상기 정제공간에서 제2진공환경을 조성하여 2차 정제하는 2차 정제단계;
    상기 2차 정제단계에서 정제된 상기 유기물을 상기 회수공간에서 냉각하고, 상기 회수공간의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정제관을 회수하는 냉각회수단계; 및
    상기 1차 정제단계, 상기 2차 정제단계 및 상기 냉각회수단계의 종료여부를 판단하고, 종료여부에 따라 상기 유기물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키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물 정제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정제단계가 종료되어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이 상기 정제공간으로 이동되면, 상기 정제관을 상기 조성공간 내부에 배치하여 상기 1차 정제단계, 상기 2차 정제단계, 상기 냉각회수단계가 개별적으로 반복되는 정제과정을 수행하는 반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방법.
KR1020210070611A 2021-06-01 2021-06-01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 KR102657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611A KR102657899B1 (ko) 2021-06-01 2021-06-01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611A KR102657899B1 (ko) 2021-06-01 2021-06-01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301A true KR20220162301A (ko) 2022-12-08
KR102657899B1 KR102657899B1 (ko) 2024-04-17

Family

ID=8443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611A KR102657899B1 (ko) 2021-06-01 2021-06-01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8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734A (ja) * 1999-07-22 2001-04-03 Hoei Shokai:Kk 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KR20120061137A (ko) * 2010-10-25 2012-06-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승화정제장치 및 승화정제장치용 내부관유닛
KR20130049935A (ko) * 2011-11-07 2013-05-15 황순규 승화정제용 관체
KR20150064501A (ko) * 2013-12-03 2015-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승화 정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제 방법
KR20200030438A (ko) * 2018-09-12 2020-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승화 정제 장치 및 승화 정제 방법
KR102176768B1 (ko) * 2020-01-28 2020-11-10 정훈도 승화정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734A (ja) * 1999-07-22 2001-04-03 Hoei Shokai:Kk 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KR20120061137A (ko) * 2010-10-25 2012-06-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승화정제장치 및 승화정제장치용 내부관유닛
KR20130049935A (ko) * 2011-11-07 2013-05-15 황순규 승화정제용 관체
KR20150064501A (ko) * 2013-12-03 2015-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승화 정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제 방법
KR20200030438A (ko) * 2018-09-12 2020-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승화 정제 장치 및 승화 정제 방법
KR102176768B1 (ko) * 2020-01-28 2020-11-10 정훈도 승화정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899B1 (ko)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165B1 (ko) 조명 장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0959824B1 (ko) 유기 전계 발광 재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KR100637714B1 (ko) 기판 처리 장치
JP5311919B2 (ja) 発光装置の作製方法
US8872138B2 (en) Gas delivery for uniform film properties at UV curing chamber
CN107068556A (zh) 原子层蚀刻3D结构:水平和竖直表面上Si和SiGe和Ge平滑度
EP1074042A1 (en) Synchronous multiplexed near zero overhead architecture for vacuum processes
CN110112053A (zh) 组合处理腔室和处置腔室
KR20060090111A (ko) 기판 처리 장치
CN1651154A (zh) 将材料涂布于对象上的装置与方法
JP4570403B2 (ja) 蒸発装置、蒸着装置および蒸着装置における蒸発装置の切替方法
KR20220162301A (ko)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
JP5042195B2 (ja) 蒸着マスク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TW202213509A (zh) 具有串接處理區域的電漿腔室
WO2013176443A1 (en) Sublim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304350B1 (ko) 대량 승화 정제 장치
US20170222185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substrat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US20040206743A1 (en) Light irradiation type thermal processing apparatus
US24496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uorescent lamps
KR20140039777A (ko) 승화 정제 장치
KR101516713B1 (ko) 유기발광소자 봉지공정의 인라인 질소정화시스템
KR20150114415A (ko) 기판 처리 시스템
US80165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rmal processing of objects in chambers
KR20210119203A (ko) 진공자외선을 이용한 정전기제거장치의 온오프 제어 시스템
CN101765898A (zh) 放电灯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