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969A -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러, 실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러, 실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1969A KR20220161969A KR1020210070370A KR20210070370A KR20220161969A KR 20220161969 A KR20220161969 A KR 20220161969A KR 1020210070370 A KR1020210070370 A KR 1020210070370A KR 20210070370 A KR20210070370 A KR 20210070370A KR 20220161969 A KR20220161969 A KR 202201619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uch
- secondary battery
- lithium secondary
- type lithium
- electrode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4—Thermal after-treatments
- B29C66/0342—Cooling, e.g. transporting through welding and cooling zo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3—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 B29C66/4332—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by folding a sheet ov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전극탭이 부착된 전극조립체;알루미늄층과 실란트층을 포함하며, 전극탭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파우치; 전극탭이 노출되지 않은 파우치 사이드측의 실란트가 용융되어 전극조립체측으로 유동한 후 응고되어 파우치에 융기된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 및 전극탭이 노출되지 않은 파우치 사이드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돌출부를 포함하는 폴딩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사이드측을 실링하는 방법 및 장치, 이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파우치를 이루는 실란트가 전극조립체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리튬이차전지의 외장재의 형태로는 각형/원통형과 파우치형이 있다. 파우치형은 알루미늄 혹은 철을 사용하는 각형/원통형 전지에 비해 그 외형의 치수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고 열융착 방식으로 파우치를 밀봉하므로 발열 및 가스발생시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벤팅되어 폭발 위험이 낮다. 또한, 파우치형은 각형/원통형에 비해 공간의 낭비가 적으며, 가볍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는 전극집합체를 파우치에 내장시킨 후 사이드측을 열융착 방식으로 실링하여 제조되는데, 이때 파우치를 이루는 실란트(PP 등의 소재)가 용융 후 응고되어 실링되는 것이다. 그런데, 열융착시 압착에 의해 실란트가 좌우로 유동하며, 일부 실란트는 셀 내부로 유입되어 응고된 실란트가 알루미늄층과 전해액의 접촉을 막는 내층을 파괴하거나, 알루미늄층 파괴의 원인이 되어 리튬이차전지 내로 수분이 유입할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배터리 셀 내부로 유입되는 실란트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 및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실링 방법 등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는 전극탭이 부착된 전극조립체; 알루미늄층과 실란트층을 포함하며, 전극탭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파우치; 전극탭이 노출되지 않은 파우치 사이드측의 실란트가 용융되어 전극조립체측으로 유동한 후 응고되어 파우치에 융기된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 및 전극탭이 노출되지 않은 파우치 사이드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돌출부를 포함하는 폴딩부;를 포함한다.
폴딩부는 전극조립체를 감싸고 남은 파우치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면; 제1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면; 제2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면; 및 제3절곡면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절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제2절곡면에 위치하며, 제1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0도 내지 15도이고,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45도 내지 120도일 수 있다.
돌출부는 제1절곡면에 위치하며, 제1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15도 내지 45도이고,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65도 내지 105도일 수 있다.
돌출부는 제2절곡면에 위치하며,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3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파우치와 폴딩부에 접착되어 파우치와 폴딩부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를 실링하기 위한 실러는 하면에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된 상부실러; 상면에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된 하부실러; 및 상부실러와 하부실러의 측면에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방열홈;을 포함한다.
상부실러와 하부실러에 형성된 만입홈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방열홈은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실링 시 전극조립체가 위치하는 방향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를 실링하기 위한 방법은 디게싱이 완료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파우치 사이드측을 1차로 열융착 실링하는 제1실링단계; 제1실링단계가 완료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파우치 사이드측을 2차로 열융착 실링하는 제2실링단계; 및 제2실링단계가 완료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파우치 사이드측을 폴딩하는 폴딩단계;를 포함한다.
제1실링단계에서는 파우치 사이드측에 가해지는 압력이 같도록 열융착 실링되며, 제2실링단계에서는 전극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파우치 사이드측일수록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도록 열융착 실링될 수 있다.
폴딩단계는 전극조립체를 감싸고 남은 파우치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0도 내지 15도가 되도록 하며, 제1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45도 내지 120도를 이루도록 하고, 돌출부는 제2절곡면에 위치하도록 폴딩할 수 있다.
폴딩단계는 전극조립체를 감싸고 남은 파우치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15도 내지 45도가 되도록 하며, 제1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65도 내지 105도를 이루도록 하고, 돌출부는 제1절곡면에 위치하도록 폴딩할 수 있다.
폴딩단계는 전극조립체를 감싸고 남은 파우치의 일단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제1절곡면을 형성하며, 제1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30도 내지 60도를 이루도록 하고, 돌출부는 제2절곡면에 위치하도록 폴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는, 실링 단계시 배터리 셀 내부로 유입되는 실란트의 양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전기화학적 성능 및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링 방법에 따라 실링된 리튬이차전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러.
도 4는 제2실링단계를 완료한 파우치 사이드측.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폴딩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링 방법의 흐름도.
도 10은 제1실링단계 및 제2실링단계를 가시적으로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러.
도 4는 제2실링단계를 완료한 파우치 사이드측.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폴딩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링 방법의 흐름도.
도 10은 제1실링단계 및 제2실링단계를 가시적으로 도시한 것.
이하, 상술한 목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 있어 동일 분야의 공지된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발명의 핵심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변경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링 방법에 따라 실링된 리튬이차전지이다.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열융착 실링 시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높은 압력에 의해 실란트(10)가 파우치 내층 배터리셀 내부로 유출되어 응고될 수 있다. 이 경우, 응고된 실란트가 향후 공정에서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실링된 파우치의 사이드측(30)을 폴딩하는 과정에서, 응고된 실란트가 지렛대 역할을 하면서 파우치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이 크랙을 통해 전해액이 알루미늄층(20)과 접촉하게 되면서 리튬이차전지의 불량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파우치의 알루미늄층(20)에 크랙이 발생하게 되면 외부에서 수분이 배터리셀 내부로 유입되므로, 가스발생 및 전해액이 밖으로 빠져나오는 누액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튬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이 떨어지고,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하고,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란트의 배터리셀 내부로 유출을 방지하는 것과 실링된 파우치의 사이드측을 적절히 폴딩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는 전극탭(110)이 부착된 전극조립체(100); 알루미늄층(210)과 실란트층(220)을 포함하며, 전극탭(110)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극조립체(100)를 감싸는 파우치(200); 전극탭(110)이 노출되지 않은 파우치 사이드측의 실란트가 용융되어 전극조립체(100)측으로 유동한 후 응고되어 파우치(200)에 융기된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400); 및 전극탭(110)이 노출되지 않은 파우치 사이드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돌출부(400)를 포함하는 폴딩부(5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100)를 향하는 배터리셀 내측으로 실란트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란트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링 방법으로, 도 3과 같은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실러(600)를 사용하여 파우치 사이드측을 열융착 실링한다.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를 실링하기 위한 실러(600)는 하면에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640)이 형성된 상부실러(610); 상면에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640)이 형성된 하부실러(620); 및 상부실러(610)와 하부실러(620)의 측면에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방열홈(63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실러(610)와 하부실러(620)에 형성된 만입홈(64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방열홈(630)은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실링 시 전극조립체(100)가 위치하는 방향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우치(200) 사이드측은 하부실러(620) 상면에 로딩되어 상부실러(610)가 하강하며 하부실러(620)와 상부실러(610)의 열압착에 의해 실란트층(220)의 실란트가 용융된 후 응고되어 실링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실러(610)와 하부실러(620)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만입홈(640)이 형성되어, 전극조립체(100)측으로 유동하는 실란트가 만입홈(64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 응고되어 돌출부(40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만입홈(640)은 전극조립체(100)으로 유동하는 실란트를 흡수하기 위한 돌출부(400)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전극조립체(100)측으로 유동하는 실란트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극조립체(100)에 가까이 위치하는 실란트의 유동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방열홈(630)을 마련한다. 방열홈(630)은 가열된 상부실러(610)와 하부실러(620)의 국소 부위 열에너지를 방출하여 방열홈(630)이 위치하는 주변 부위의 온도를 다른 부위보다 낮게하여, 실란트의 용융을 더디게함으로써 전극조립체(100)에 가까이 위치하는 실란트의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파우치의 사이드측이 상부실러(610)와 하부실러(620)에 의해 압착될 때, 방열홈(630) 주변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기 때문에 실란트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가장 적으므로, 외측에서 전극조립체(100)측으로 밀려들어오는 실란트의 유동을 막음으로써, 실란트가 배터리셀 내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열융착된 파우치 사이드측은 도 4와 같은 형상을 갖게된다. 열융착된 파우치 사이드측을 폴딩하여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실링을 마무리하게 된다. 이때 폴딩된 파우치 사이드측은 폴딩부(500)를 이루게되며, 폴딩부(500)는 전극조립체를 감싸고 남은 파우치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면(510); 제1절곡면(510)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면(520); 제2절곡면(520)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면(530); 및 제3절곡면(530)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절곡면(54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돌출부(400)는 제1절곡면(510) 또는 제2절곡면(520)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400)가 위치하는 절곡면과 제1절곡면(510) 및 제2절곡면(520)이 전극조립체(100)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여러가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는 도 5와 같으며, 돌출부(400)는 제2절곡면(520)에 위치하며, 제1절곡면(510)과 전극조립체(100)가 이루는 각이 0도 내지 15도이고, 제2절곡면(520)과 전극조립체(100)가 이루는 각이 45도 내지 120도일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도 6과 같으며, 돌출부(400)는 제1절곡면(510)에 위치하며, 제1절곡면(510)과 전극조립체(100)가 이루는 각이 15도 내지 45도이고, 제2절곡면(520)과 전극조립체(100)가 이루는 각이 65도 내지 105도일 수 있다.
또한, 삼 실시예는 도 7과 같으며, 돌출부(400)는 제2절곡면(520)에 위치하며, 제2절곡면(520)과 전극조립체(100)가 이루는 각이 3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돌출부(400)의 위치와 제1절곡면(510) 및 제2절곡면(520)이 전극조립체(100)와 이루는 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에서 그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파우치(200)와 폴딩부에 접착되어 파우치와 폴딩부를 고정하는 고정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파우치(200)와 폴딩부(500)에 소정의 장력이 걸리도록 접착되어 폴딩부(500)가 다시 풀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를 실링하기 위한 방법은 디게싱이 완료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파우치 사이드측을 1차로 열융착 실링하는 제1실링단계(S100); 제1실링단계(S100)가 완료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파우치 사이드측을 2차로 열융착 실링하는 제2실링단계(S200); 및 제2실링단계(S200)가 완료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파우치 사이드측을 폴딩하는 폴딩단계(S300);를 포함한다.
제1실링단계(S100)에서는 파우치 사이드측에 가해지는 압력이 같도록 열융착 실링되며, 제2실링단계(S200)에서는 전극조립체(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파우치 사이드측일수록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도록 열융착 실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10을 참조하면, 제1실링단계(S100)에서는 파우치 사이드측 면에 같은 압력이 가해지도록 수평하게 실링될 수 있으며, 제2실링단계(S200)에서는 파우치 사이드측 면에, 전극조립체(100)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압력이 크게 작용하도록 상부실러(610)가 기울어져 하강하여 실링될 수 있는 것이다.
제1실링단계(S100)를 통하여 파우치 사이드측을 일차적으로 실링할 수 있으며, 특히 방열홈(630)이 상단에 위치하는 파우치 사이드측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 의하여 실란트의 유동이 최소화되며, 전극조립체(100)로부터 멀어질수록 실란트의 유동성이 커지며, 유동성이 커진 실란트는 전극조립체(100)측으로 유동하여 응고되어 돌출부(400)를 형성하게 된다.
제2실링단계(S200)를 통하여 파우치 사이드 외측으로 갈수록 높은 압력을 가함으로써 외측의 실링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실란트가 배터리셀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폴딩단계(S300)는 전극조립체를 감싸고 남은 파우치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0도 내지 15도가 되도록 하며, 제1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45도 내지 120도를 이루도록 하고, 돌출부는 제2절곡면에 위치하도록 폴딩할 수 있다.
또한, 폴딩단계는 전극조립체를 감싸고 남은 파우치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15도 내지 45도가 되도록 하며, 제1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65도 내지 105도를 이루도록 하고, 돌출부는 제1절곡면에 위치하도록 폴딩할 수 있다.
또한, 폴딩단계는 전극조립체를 감싸고 남은 파우치의 일단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제1절곡면을 형성하며, 제1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30도 내지 60도를 이루도록 하고, 돌출부는 제2절곡면에 위치하도록 폴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러 및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링 방법을 통하여 배터리셀 내부로 실란트가 유동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전해액과 알루미늄층간 접촉이 차단되므로 잠재적인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전기화학적 특성 및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 높은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 사이드측의 폴딩을 통해 폴딩부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리튬이차전지의 에너지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전극조립체
200 : 파우치
300 : 고정부
400 : 돌출부
500 : 폴딩부
200 : 파우치
300 : 고정부
400 : 돌출부
500 : 폴딩부
Claims (14)
- 전극탭이 부착된 전극조립체;
알루미늄층과 실란트층을 포함하며, 전극탭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파우치;
전극탭이 노출되지 않은 파우치 사이드측의 실란트가 용융되어 전극조립체측으로 유동한 후 응고되어 파우치에 융기된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 및
전극탭이 노출되지 않은 파우치 사이드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돌출부를 포함하는 폴딩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딩부는 전극조립체를 감싸고 남은 파우치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면;
제1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면;
제2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절곡면; 및
제3절곡면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절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청구항 2에 있어서,
돌출부는 제2절곡면에 위치하며,
제1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0도 내지 15도이고,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45도 내지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청구항 2에 있어서,
돌출부는 제1절곡면에 위치하며,
제1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15도 내지 45도이고,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65도 내지 10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청구항 2에 있어서,
돌출부는 제1절곡면에 위치하며,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30도 내지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파우치와 폴딩부에 접착되어 파우치와 폴딩부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청구항 1의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를 실링하기 위한 실러로서,
하면에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된 상부실러;
상면에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된 하부실러; 및
상부실러와 하부실러의 측면에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방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러.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부실러와 하부실러에 형성된 만입홈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러. - 청구항 7에 있어서,
방열홈은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실링 시 전극조립체가 위치하는 방향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러. - 청구항 7의 실러를 이용하여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를 실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게싱이 완료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파우치 사이드측을 1차로 열융착 실링하는 제1실링단계;
제1실링단계가 완료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파우치 사이드측을 2차로 열융착 실링하는 제2실링단계; 및
제2실링단계가 완료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파우치 사이드측을 폴딩하는 폴딩단계;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링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실링단계에서는 파우치 사이드측에 가해지는 압력이 같도록 열융착 실링되며,
제2실링단계에서는 전극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파우치 사이드측일수록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도록 열융착 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링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폴딩단계는 전극조립체를 감싸고 남은 파우치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0도 내지 15도가 되도록 하며,
제1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45도 내지 120도를 이루도록 하고,
돌출부는 제2절곡면에 위치하도록 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링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폴딩단계는 전극조립체를 감싸고 남은 파우치의 일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15도 내지 45도가 되도록 하며,
제1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65도 내지 105도를 이루도록 하고,
돌출부는 제1절곡면에 위치하도록 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링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폴딩단계는 전극조립체를 감싸고 남은 파우치의 일단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제1절곡면을 형성하며,
제1절곡면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면과 전극조립체가 이루는 각이 30도 내지 60도를 이루도록 하고,
돌출부는 제1절곡면에 위치하도록 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0370A KR20220161969A (ko) | 2021-05-31 | 2021-05-31 |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러, 실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US17/526,345 US20220384884A1 (en) | 2021-05-31 | 2021-11-15 |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sealer, sealing method and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by the same |
DE102021213230.8A DE102021213230A1 (de) | 2021-05-31 | 2021-11-24 | Abdichtungsvorrichtung für lithium-akkumulatoren vom beuteltyp, abdichtungsverfahren und damit hergestellter lithium-akkumulator vom beuteltyp |
CN202111440960.6A CN115483446A (zh) | 2021-05-31 | 2021-11-30 | 袋式锂二次电池密封机、密封方法及由其制造的袋式锂二次电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0370A KR20220161969A (ko) | 2021-05-31 | 2021-05-31 |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러, 실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1969A true KR20220161969A (ko) | 2022-12-07 |
Family
ID=8399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0370A KR20220161969A (ko) | 2021-05-31 | 2021-05-31 |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러, 실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384884A1 (ko) |
KR (1) | KR20220161969A (ko) |
CN (1) | CN115483446A (ko) |
DE (1) | DE102021213230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3041A (ko) | 2015-05-11 | 2016-11-2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파우치 실링 장치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96028B2 (ja) * | 2000-02-14 | 2005-09-1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フィルム封止構造を有す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US8771866B2 (en) * | 2010-03-30 | 2014-07-08 | Samsung Sdi Co., Ltd.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
US9005805B2 (en) * | 2010-08-30 | 2015-04-14 | Lg Chem, Ltd. | Secondary battery of novel structure |
KR101428458B1 (ko) * | 2012-01-04 | 2014-08-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외주면에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60077871A (ko) * | 2014-12-24 | 2016-07-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에너지가 증대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
CN109997242B (zh) * | 2016-12-20 | 2023-06-20 | Sk新能源株式会社 | 袋型二次电池 |
KR102642969B1 (ko) * | 2018-03-27 | 2024-03-04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배터리 셀 및 그 제조 방법 |
-
2021
- 2021-05-31 KR KR1020210070370A patent/KR2022016196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11-15 US US17/526,345 patent/US2022038488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1-11-24 DE DE102021213230.8A patent/DE102021213230A1/de active Pending
- 2021-11-30 CN CN202111440960.6A patent/CN115483446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3041A (ko) | 2015-05-11 | 2016-11-2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파우치 실링 장치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21213230A1 (de) | 2022-12-01 |
CN115483446A (zh) | 2022-12-16 |
US20220384884A1 (en) | 2022-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6949B1 (ko) |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JP5147365B2 (ja) | 金属容器の封止方法 | |
CN104412410B (zh) | 电池 | |
JP5520721B2 (ja) | 密閉型電池 | |
KR20070102768A (ko) | 파우치형 전지 | |
KR20160133041A (ko) | 파우치 실링 장치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 |
US20120248076A1 (en) | Laser welding method and battery made by the same | |
KR101669351B1 (ko) | 밀폐형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JP6281542B2 (ja) |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 |
KR20220145410A (ko) | 전기화학 장치 및 전자 장치 | |
KR20220161969A (ko) |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실러, 실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
JP6535388B2 (ja) | 二次電池のシール装置 | |
JP2007040360A (ja) | 真空断熱材とそれを適用した断熱容器および冷蔵庫 | |
US10749152B2 (en) | Seal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 |
KR102578771B1 (ko) |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원통형 전지의 제조 방법 | |
KR102348074B1 (ko) | 파우치 실링 장치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 |
KR20230080589A (ko) | 파우치형 전지의 밀봉장치 | |
JP4198652B2 (ja) | 密閉型電池 | |
KR101784818B1 (ko) | 멤브레인 앵커 캡 및 이를 이용한 멤브레인 설치 방법 | |
JP6825813B2 (ja) | シール装置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 |
CN220065875U (zh) | 软包电池 | |
JP7561371B2 (ja) | 電池 | |
JP2007073322A (ja) | 電池の封止方法 | |
CN212136483U (zh) | 一种封装有铝塑膜的软包电芯 | |
JP7567879B2 (ja) | 電池、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