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598A -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 Google Patents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598A
KR20220161598A KR1020210068503A KR20210068503A KR20220161598A KR 20220161598 A KR20220161598 A KR 20220161598A KR 1020210068503 A KR1020210068503 A KR 1020210068503A KR 20210068503 A KR20210068503 A KR 20210068503A KR 20220161598 A KR20220161598 A KR 2022016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foreign matter
tank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881B1 (ko
Inventor
임수근
Original Assignee
임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근 filed Critical 임수근
Priority to KR1020210068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81B1/ko
Priority to PCT/KR2021/018718 priority patent/WO2022250230A1/ko
Priority to JP2023573414A priority patent/JP2024518856A/ja
Publication of KR2022016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01K61/95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02F3/085Fluidized b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리너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크리너유닛은 복수개의 사육수조의 바닥면에 유입구가 위치되며 사육수조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배출구가 위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크리너본체부와, 상기 크리너본체부의 내부공간을 상하부로 분리하여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배출수로부터 병약한장어 및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스크린과, 상기 크리너본체부와 연결되어 병약한 장어 및 이물질이 분리된 배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분리배출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cleaner unit and high density cycle filtration cultivation apparatus of the same}
본 발명은 장어양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장어의 서식환경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여 고밀도의 장어양식이 가능하며 병약한 장어의 선별이 가능한 크리너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산생물을 효율적으로 양식하기 위해서는 먹이섭식(사료, 영양제 등), 수질, 용존 산소량, 수온, pH, 사육밀도 등 다양한 조건이 충족되는 엄격한 사육환경이 요구되며, 이러한 사육환경이 맞지 않으면, 수산생물의 폐사율은 높아지고, 성장률과 성장크기에도 일정 한계가 발생한다.
유수식 양식장은 외부로부터 사육지에 물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개방식 양식장으로, 많은 양의 사육수가 요구되어 양식장이 위치한 자연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게되고, 양식 밀도가 낮으며, 사료찌꺼기와 배설물, 암모니아, 질소 발생에 따른 수계 오염의 문제와, 단위 면적당 낮은 생산성으로 결국 생산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의 대안으로 국내에서는 부족한 수자원 문제와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물의 재순환과 다양한 수처리 공정을 통해 안정적인 수질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순환 여과식 양식시스템이 상용화되고 있다.
순환 여과식 양식시스템은 유수식에 비해 고밀도 양식과 높은 에너지 절감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순환 여과식 양식시스템은 사육수조 내의 수질관리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수산생물을 양식하기 위한 사육수조와, 사육수조에서 발생하는 현탁 오물(사료찌꺼기, 배설물 등)을 중력침전조에서 장시간 자유 낙하, 침전시켜 물리적 처리를 한 다음, 여과조에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질소, 암모니아 등 물리적 방법으로 잘 처리되지 않는 유해 가스, 유해 성분을 생물학적으로 분해, 제거한 후 사육수를 다시 사육수조로 공급하여 계속적으로 재순환시킨다.
기존 순환 여과 양식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중력침전조에서 현탁 오물의 비중과 물의 비중이 크게 차이나지 않으므로 충분히 침전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큰 규모의 가용면적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간과 비용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실제 대부분의 순환 여과식 양식장에서는 사육수조의 총수량 대비 침전조의 총수량은 최소한 2배 이상이 요구되며, 상기 현탁 오물의 물리적 제거가 미흡하면 그 다음 생물학적 제거 공정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순환을 계속함에 따라 수질을 악화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077610호에는 고밀도 순환 여과방식에 의한 양식장이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89660호에는 순환여과장식과 단계적 해수순치를 통항 강하성 어류 양식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20-0029691호에는 고밀도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은 바닥면의 중앙 부위에 오물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사육수조; 상기 사육수조 일정 방향으로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버블 인젝터; 응집제를 투입하여 응집침전물과 상등수를 분리시키는 응집조; 응집침전물을 탈수하는 침전물 탈수기; 중력침전물과 상등수를 분리시키는 중력침전조; 및 상기 중력침전조로부로터 연결관로를 따라 유입되는 상등수에 여재를 투입하여 미처리된 질소, 암모니아를 분해 제거시키는 한편, 상기 여재를 활성화하고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마이크로 버블 인젝터가 구비된 여과조;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04970호에는 자화수를 이용하여 정장율 및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민물 뱀장어 양식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장어 양식장치들을 응집조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중력에 의해 침전시키고 있으므로 이물의 제거에 따른 효율이 저하되고, 양식중 발생되는 현탁오염의 정화불량으로 인하여 장어의 폐사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특히, 사육수조에 고밀도로 재배되고 있는 장어들 중, 폐사가 진행 중(폐사 직전)인 장어를 미리 선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폐사기 진행 중인 병든 장어를 미리 선별할 수 없으므로 인하여 사육수조 내의 장어들이 병에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0497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20-00296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8966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07761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육수조에서 양식되는 장어들로부터 병약한 장어를 짧은 시간 내에 선별하여 병의 확산과 장어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는 크리너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육조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즉, 배설물을 짧은 시간 내에 분리함으로써 사육수조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오염과 가스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크리너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어를 양식하기 물을 다단으로 처리하여 수질, 용존 산소량, 수온 등을 조절하여 최상의 사육조건을 유지하여 장어의 양식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크리너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육조에서 양식되는 장어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부질을 짧은 시간내에 제거하여 양식을 위한 물의 후처리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크리너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 양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의 크리너유닛은
사육수조의 바닥면에 유입구가 위치되며 사육수조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배출구가 위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크리너본체부와, 상기 크리너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수로부터 병약한 장어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필터유닛과,
상기 크리너본체부와 연결되어 병약한 장어 및 이물질이 분리된 배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분리배출관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리필터유닛은 크리너본체부에 설치되는 지지롤러들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수에 편승된 이물질과 병약한 장어를 선별할 수 있도록 배출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원통형의 드럼필터와, 상기 지지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드럼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드럼필터를 세척함과 아울러 필터링 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물배출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이물배출유닛은 원통형의 드럼필터의 상부측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와 대응되는 드럼필터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유입부를 가지는 이물회수호퍼와, 이물회수호퍼와 연결되어 세척수와 이물을 배출하는 이물배출관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크리너유닛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은 적어도 하나의 사육수조와,
사육수조의 바닥면에 유입구가 위치되며 사육수조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배출구가 위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크리너본체부와, 상기 크리너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수로부터 병약한 장어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필터유닛과,
상기 크리너본체부와 연결되어 병약한 장어 및 이물질이 분리된 배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분리배출관을 구비한 크리너 유닛과,
상기 크리너유닛의 분리배출관과 사육수조를 연결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분리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로부터 이물질을 침전시키기 위한 제1침전조와, 상기 제1침전조에 의해 침전이 이루어진 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분리유닛과, 상기 이물분리유닛에 의해 분리된 물에 포함된 미세슬러지를 흡착하며 암모니아를 탈기시키기 위한 고정상여과조와,
고정상여과조에 의해 여과가 이루어진 물로부터 암모니아 및 아질산을 제거하기 위한 유동상여과조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진 후 순환관을 통하여 리턴되는 물에 오존을 용해시켜 살균하는 오존발생 및 용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너유닛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는 장어의 밀식양식이 가능하며 물을 정화하여 연속사용이 가능하므로 장어양식을 위한 장소의 제한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사육수조 내에서 양식되고 있는 장어등 병약한 양어들을 선별할 수 있으므로 양식되는 장어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크리너유닛은 사육수소의 양식장어들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질들은 배출수의 철리 전에 필터링 할 수 있으므로 침전조, 고정상여과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장어의 분비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를 나타내 보인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의 사육수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의 크리너유닛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크리너 유닛의 단면도,
도 5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의 이물분리유닛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의 고정상 여과조의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여과제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리너유닛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육수조(20)와, 상기 사육수조(20)에 설치되어 양식되는 장어 중 병약한 장어들을 분리할 수 있는 크리너유닛(30)과, 상기 크리너유닛(30)의 분리배출관(35)와 사육수조(20)에 설치된 물공급관(21)과 연결되는 순환관(25)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분리배출관(35)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하 처리수라 칭함)로부터 이물질을 침전시키기 위한 제1침전조(40)와, 상기 제1침전조(40)에 의해 침전이 이루어져 1차 이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필터링 하기 위한 이물분리유닛(50)과 순환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이물분리유닛(50)에 의해 분리된 처리수에 포함된 미세슬러지를 흡착하며 암모니아를 탈기시키기 위한 고정상여과조(60)와, 상기 고정상여과조(60)에 의해 여과가 이루어진 처리수로부터 암모니아 및 아질산을 제거하기 위한 유동상여과조(70)와, 상기 유동상여과조(70)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진 처리수를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하기 위한 오존발생 및 용해기(80)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너유닛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10)의 사육수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을 물공급관의 사육수조(20)의 중앙부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사육수조(20)의 중앙부에는 설정수위 이상의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관(22)이 설치된다. 상기 사육수조(2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사육수조(20)는 수조내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아 청소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상기 크리너유닛(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육수조(20)에 양식중인 장어들 중 병약한 장어를 선별할 수 있는 것으로, 사육수조(20)의 내부측에 설치되는 크리너본체부(32)가 설치된다. 상기 크리너본체부(32)는 후술하는 배수관(31)으로부터 크리너본체부(32)의 내부로 원활하게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크리너본체부(33)의 일부가 사육수조(20)의 물에 잠기게 된다.
상기 크리너본체부(32)에는 내부공간의 일부를 상하부로 분리하는 분리판(33)이 설치되고, 상기 분리판(33)과 연결되어 배출관(31)을 통하여 분리판(33)의 상면측으로 유입되는 처리수로부터의 이물질과 병약한 장어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필터유닛(35)이 설치된다.
상기 분리판(33) 일측에는 상기 사육수조(20)의 바닥면에 유입부(31a)가 위치되며 상기 분리판(33)의 일측과 배출부(31b)가 결합되는 배수관(31)이 설치된다. 그리고 크리너본체부(32)는 배수관(31)로부터 내부공간을 원활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크리너본체부(32)의 분리판(33) 즉, 배출부(31b)가 사육수조(20)의 수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사육수조(2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크리너본체부(32)의 하면에는 상기 분리필터유닛(35)을 통과한 처리수를 정화를 위하여 순환관(25)과 연결되는 분리배출관(39)에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31)과 연결되는 부위의 분리판(34)은 배수관(31)을 통하여 배출되는 병약한 장어가 손상되지 않고 미끄러질 수 있도록 소정의 곡율을 가지는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리너본체부(32)에 설치되는 분리필터유닛(35)은 크리너본체부(32)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부(36)들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31)을 통하여 배출되는 처리수에 편승된 이물질과 병약한 장어를 선별할 수 있도록 배출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원통형의 드럼필터(38)와, 상기 지지롤러부(36)들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롤러(36a)를 구동시켜 상기 드럼필터(38)를 회전시키기 위한 를 시키기 위한 구동부(36d)를 포함하다. 그리고 상기 크리너본체부(32)에는 상기 드럼필터(38)를 세척함과 아울러 필터링 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물배출유닛(4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롤러부(36)들은 각각 크리너본체부(32)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필터(38)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롤러부(36)은 크리어본체부(32)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36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럼필터(38)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36a)와 상기 지지브라켓(36b)의 단부측에 설치되어 지지롤러(36a)에 의해 지지된 드럼필터(38)의 가장자리 내면을 지지하는 아이들롤러(39c)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롤러(36a)의 단부 즉, 상기 드럼롤러(38)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지지롤러(36a)의 단부는 상기 드럼필터(38)가 단부가 걸려 드럼필터(38)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의 지지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필터(38)은 원통형의 프레임(38a)에 매쉬필터가 장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메수필터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의 프레임의 양단부에는 상기 지지롤러(36a)가 지지되는 지지가이드(38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물배출유닛(40)은 원통형의 드럼필터(38)의 상부측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부(41)와, 상기 분사노즐부(41)와 대응되는 드럼필터(38)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상기 분사노즐부(41)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유입부를 가지는 이물회수호퍼(42)와, 이물회수호퍼(42)와 연결되어 세척수와 이물을 배출하는 이물배출관(43)을 구비한다. 이물회수호퍼(42)는 원통형의 드럼필터(38)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경사각을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경사진 이물회수호퍼(42)의 단부측에 이물배출관이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필터(38)의 내주면에는 필터링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회수호퍼(42)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돌출깃(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필터(38)의 내주면에는 배출관(31)을 통하여 처리수와 같이 배출된 장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연속 또는 불연속의 나선형 깃이 형성되어 드럼필터(38)의 후방측으로 장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드럼필터(38)의 후단부측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장어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슈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크리너유닛(30)은 크리너본체부(33)에는 이물배출유닛(35)의 드럼필터가 경사지게 설치되며, 배수관(31)의 배출구(31b)가 사육수조(20)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사육수조(20) 내의 물 즉, 처리수는 배수관(31)을 통하여 분리판(33)과 드럼필터(38) 측으로 배출되고, 이 배출된 배출수는 구동부(35d)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필터(38)을 통과한 후 순환관(25)와 연결된 분리배출관(35)을 통하여 배출되고, 후술하는 침전조(40), 고정상여과조(60), 유동상여과조(70), 오존발생기 및 용해기(80)을 지지면서 정화 및 살균된다.
사육수조(20)에 설치된 물배출관(22)과 인접되며 상대적으로 깊은 중앙부에 배출부(31b)가 위치되는 배수관(31)을 통하여 배출되는 처리수에는 장어의 배설물과 먹지 못한 사료와, 상대적으로 병약한 장어들이 편승되어 배출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장어는 습성상 배출되는 관로를 흐르는 물의 방향과 역방향을 유영습성, 특히 관로의 이동 시 물의 상류측으로 이동하는 습관이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병약한 장어들은 상기 배수관(31)의 유입부(31a)로부터 유입되어 배출부(31b)로 토출되는 물의 흐름에 저항하지 못하고, 크리너유닛의 분리판(33)의 상면과 이와 연결되는 드럼필터(38)의 내주면 측으로 배출된다. 양식되는 많은 장어들이 배수관(31)으로 유입되어 유영하게 되는데, 상기 병약한 장어들은 배수관(31)을 통하여 배수되는 처리수에 편승되어 분리판(33)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스크린(34)으로 배출된 장어는 분리되어 별도로 관리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31)을 통하여 드럼필터(38)을 통과한 처리수에는 양식되는 장어들의 배설물을 포함한 이물질들이 편승되어 드럼필터(38)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드럼필터(38)에 의해 걸러진 배설물과 이물질은 드럼필터(38)의 내부에서 드럼필터(38)와 같이 회전하여 상승하게 되고, 이물회수호퍼(42)에 담기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드럼필터(38)의 막힘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분사노즐(41)로부터 고압의 세척수가 드럼필터(38)의 외주면측으로부터 내면측으로 분분사되고, 드럼필터(38) 내의 이물질과 드럼필터(38)를 막고 있는 이무질은 세척수와 같이 상기 이물회수호퍼(4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이물재출관(4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침전조(40)는 분리배출관(35)을 통하여 배출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순환관(25)와 연결되며 상부가 개방된 탱크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침전조는 콘크래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어를 양식하는 사육수조(20)에는 장어들로부터 발생된 배설물, 분비물과 급이되는 사료의 부식 등이 상기 크리너유닛(20)의 이물배출유닛(35)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걸러진 상태이므로 상기 침전조(40)와 상기 이물분리유닛(55)은 별도로 설치하지 않거나 그 구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침전조(51)은 상기 크리너유닛(20)의 이물배출유닛(35)에 의해 미리 걸러지지 않은 작은 배설물 또는 미분의 사료 등의 고형슬러지를 침전시켜 제거됨으로써 1차 부패원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물제거유닛(50)은 침전조(50)에 의해 고형슬러지가 제거된 양식을 위한 물로부터 미세슬러지 즉, 40마이크로비터까지 작은 미세슬러지를 제거한다.
이러한 이물제거장치(5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6)과, 지지프레임(56)에 고정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구조의 고정축(57a)과, 고정축(57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측으로 처리대상수가 유입되고 외주면에 고정축(57a)에 지지된 지지프레임(57c)에 의해 지지된 필터망(57b)이 장착된 드럼(57)과, 드럼(57)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58)와, 드럼(58)의 상방에 설치되어 드럼(57)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필터망(57b)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배관(59a)과, 드럼(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세척수에 의해 필터망(57b)으로부터 탈리되는 이물질을 받아내는 수집호퍼(59b)와, 고정축(57a)과 수집호퍼(59b)를 연결하여 이물질이 고정축(57a)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지지관(57)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물제거유닛(55)은 드럼(57)으로 유입되는 물 즉, 침전조(51)로부터 유입되는 처리대상수가 드럼의 필터망(57b)에 의해 필터링되고, 필터망(57b)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중공부를 가지는 고정축(57a)과 연결된 수집호퍼(59b)로 유입된다. 이때에 상기 수지호퍼(59b)과 대응되는 외측에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배관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필터망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수집호퍼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상기 고정상여과조(60)은 상기 이물제거유닛(55)에 의해 미세한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대상수를 이온화 작용에 의해 흡착분해하며 무산소조로 활용하여 암모니아를 탈기시킨다.
상기 고정성여과조(60)은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대상수 내의 슬러지를 흡착하여 분해하고, 처리대상수 내의 암모니아를 무산소 조건에서 탈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처리대상수가 채워진 여과조(61)에 고정성여과제(65)가 침지 및 중첩되며 적층된 형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성 여과재(6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용 로프(62)에 의해 복수가 중첩되고, 여과조(61) 상단에 거치된 거치파이프(63)에 현수용 로프(62)를 묶어 여과조(61) 내의 일정 위치에 현수된 상태로 설치된다.
고정성여과제(65)는 여과대상수가 수용되는 여과조(61) 내에 침지 및 복수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여과대상수 내의 슬러지를 흡착하여 분해하고, 여과대상수 내의 암모니아를 탈기시키기 위한 것으로, 처리수가 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복수의 메인홀(66b)이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홀(66b)들 사이의 영역에 각각 처리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서브홀(66c)이 형성된 베이스(66a)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홀(66b)의 내측 영역에 형성되며, 처리수가 통과 및 처리수 내의 슬러지가 흡착될 수 있도록 망상으로 형성된 메인망체(6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6a)의 타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메인홀(66b)들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며, 처리수가 통과 및 처리수 내의 슬러지가 흡착될 수 있도록 망상으로 형성된 서브망체(67);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유동상여과조(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성여과제(60)과 순환관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유동상여과조(70)의 내부에 소정패턴의 담체들이 저장되어 미생물에 의해 처리대상수를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상여과조(70)에는 폭기를 위한 폭기관(71)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유동상여과조(70)는 처리대상수의 약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연속적인 포기가 이루어지며 담체에 부착된 부유물과 미생물에 의해 암모니아 및 아질산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동상여과조(70)에 의해 처리가 이루어진 처리대상수는 수질조정조(80)로 유입된다. 그리고 수질조정조(80)으로 유입된 처리대상수는 수질조정조에 설치된 보일러(81)의 열교환기(82)에 의해 수온이 조절된다. 그리고 오존발생 및 용해기(90)와 연결되며 수질정화조(90)에 위치되는 오존발생노즐(91)로부터 오존이 분사되어 처리대상수를 살균하게 된다. 그리고 처리수를 살균한 오존은 산소로 환원되어 처리대상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여주게 된다.
상기 수질조정조(90)에 의해 수질이 조정되고 살균이 이루어진 처리대상수는 순환관로상에 설치된 산소용해기(100)들을 거친 후 물공급관(21)을 통하여 사육수조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는 사육수조의 내부에서 양식되고 있는 장어들 중 병약한 장어들을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으므로 장어들의 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각 사육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대상부를 다단으로 정화 및 살균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밀식양식이 가능하며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배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사육수조의 바닥면에 유입구가 위치되며 사육수조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배출구가 위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크리너본체부와, 상기 크리너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수로부터 병약한 장어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필터유닛과,
    상기 크리너본체부와 연결되어 병약한 장어 및 이물질이 분리된 배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분리배출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의 크리너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필터유닛은 크리너본체부에 설치되는 지지롤러들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수에 편승된 이물질과 병약한 장어를 선별할 수 있도록 배출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원통형의 드럼필터와, 상기 지지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드럼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드럼필터를 세척함과 아울러 필터링 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물배출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의 크리너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배출유닛은 원통형의 드럼필터의 상부측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부와, 상기 분사노즐부와 대응되는 드럼필터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유입부를 가지는 이물회수호퍼와, 이물회수호퍼와 연결되어 세척수와 이물을 배출하는 이물배출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의 크리너유닛.
  4. 적어도 하나의 사육수조와,
    사육수조의 바닥면에 유입구가 위치되며 사육수조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배출구가 위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크리너본체부와, 상기 크리너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수로부터 병약한 장어와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필터유닛과, 상기 크리너본체부와 연결되어 병약한 장어 및 이물질이 분리된 배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분리배출관을 구비한 크리너 유닛과,
    상기 크리너유닛의 분리배출관과 사육수조를 연결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분리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로부터 이물질을 침전시키기 위한 제1침전조와, 상기 제1침전조에 의해 침전이 이루어진 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분리유닛과, 상기 이물분리유닛에 의해 분리된 물에 포함된 미세슬러지를 흡착하며 암모니아를 탈기시키기 위한 고정상여과조와,
    고정상여과조에 의해 여과가 이루어진 물로부터 암모니아 및 아질산을 제거하기 위한 유동상여과조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진 후 순환관을 통하여 리턴되는 물에 오존을 용해시켜 살균하는 오존발생 및 용해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너유닛을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필터유닛은 크리너본체부에 설치되는 지지롤러들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수에 편승된 이물질과 병약한 장어를 선별할 수 있도록 배출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원통형의 드럼필터와, 상기 지지롤러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지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드럼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드럼필터를 세척함과 아울러 필터링 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물배출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너유닛을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KR1020210068503A 2021-05-27 2021-05-27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KR102647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503A KR102647881B1 (ko) 2021-05-27 2021-05-27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PCT/KR2021/018718 WO2022250230A1 (ko) 2021-05-27 2021-12-10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JP2023573414A JP2024518856A (ja) 2021-05-27 2021-12-10 クリーナ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循環ろ過式高密度うなぎ養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503A KR102647881B1 (ko) 2021-05-27 2021-05-27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598A true KR20220161598A (ko) 2022-12-07
KR102647881B1 KR102647881B1 (ko) 2024-03-14

Family

ID=8422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503A KR102647881B1 (ko) 2021-05-27 2021-05-27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18856A (ko)
KR (1) KR102647881B1 (ko)
WO (1) WO20222502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220B1 (ko) 2023-10-31 2024-02-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수식 양식장용 캡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667A (ja) * 2001-01-31 2002-08-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魚介類の飼育装置
KR100969829B1 (ko) * 2009-09-09 2010-07-20 대한민국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KR20100114413A (ko) * 2009-04-15 2010-10-25 이용해 양어장용 드럼 스크린
KR101489660B1 (ko) 2013-03-19 2015-02-04 박진우 순환여과방식과 단계적 해수순치를 통한 강하성어류(무태장어) 양식 방법
KR101610681B1 (ko) * 2015-11-19 2016-04-08 자이아쿠아팜 유한회사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어류 양식용 수조
KR101704970B1 (ko) 2016-05-20 2017-02-0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자화수를 이용하여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민물뱀장어 양식장치
KR20170022051A (ko) * 2015-08-19 2017-03-02 서준용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
KR20170077610A (ko) 2015-12-28 2017-07-06 (주)한국하이드로텍 고밀도 순환 여과방식에 의한 양식장
KR20170135112A (ko) * 2016-05-30 2017-12-08 영어조합법인 천지연 장어 양식장
KR20200029691A (ko) 2018-09-11 2020-03-19 한성훈 고밀도 순환 여과식 양식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7313A (en) * 1996-12-27 2000-09-12 Goldman; Joshua Method and apparatus for aquaculture and for water treatment related thereto
KR101418381B1 (ko) * 2011-12-30 2014-07-16 어업회사법인 (주)한빛수산 친환경 쏘가리 양식시스템
CN105052812A (zh) * 2015-07-30 2015-11-18 黄才洪 过滤装置及过滤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667A (ja) * 2001-01-31 2002-08-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魚介類の飼育装置
KR20100114413A (ko) * 2009-04-15 2010-10-25 이용해 양어장용 드럼 스크린
KR100969829B1 (ko) * 2009-09-09 2010-07-20 대한민국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KR101489660B1 (ko) 2013-03-19 2015-02-04 박진우 순환여과방식과 단계적 해수순치를 통한 강하성어류(무태장어) 양식 방법
KR20170022051A (ko) * 2015-08-19 2017-03-02 서준용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
KR101610681B1 (ko) * 2015-11-19 2016-04-08 자이아쿠아팜 유한회사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어류 양식용 수조
KR20170077610A (ko) 2015-12-28 2017-07-06 (주)한국하이드로텍 고밀도 순환 여과방식에 의한 양식장
KR101704970B1 (ko) 2016-05-20 2017-02-0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자화수를 이용하여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민물뱀장어 양식장치
KR20170135112A (ko) * 2016-05-30 2017-12-08 영어조합법인 천지연 장어 양식장
KR20200029691A (ko) 2018-09-11 2020-03-19 한성훈 고밀도 순환 여과식 양식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220B1 (ko) 2023-10-31 2024-02-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수식 양식장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8856A (ja) 2024-05-07
WO2022250230A1 (ko) 2022-12-01
KR102647881B1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613B1 (ko)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CN205648738U (zh) 一种凡纳滨对虾生态工业化养殖系统
WO2021040365A1 (ko) 바이오플락 발효조와 아쿠아포닉스를 이용한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KR101408850B1 (ko)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
JP5847376B2 (ja) 魚介類の閉鎖循環式養殖方法
KR101837549B1 (ko)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무환수 어류 양식 수조,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3769680B2 (ja) 魚介類の循環濾過養殖装置
KR101444206B1 (ko) 팩키지형 생물여과기를 구비하는 양식장 사육수의 복합 수처리 시스템
KR102568440B1 (ko) 복수의 연속 여과부를 갖는 순환 여과식 정화장치
KR102311524B1 (ko) 사육수조와 산란 수조가 병렬 연결된 순환 여과식 양식 장치
KR20170022051A (ko)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
KR101551856B1 (ko)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KR101934267B1 (ko) 바이오플락시스템 유기고형물 제거장치
WO2006029481A2 (en) Modular aquaculture system
JP3045478B2 (ja) 養魚用汚水ろ過装置および浄化装置
KR20220161598A (ko)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KR101555134B1 (ko) 순환여과식 사육조
WO20182115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water quality
CN104529028B (zh) 一种混养鱼池废水的处理工艺及装置
JP2013247949A (ja) 水処理装置
CN114600825A (zh) 一种双循环水产养殖系统
KR20190044715A (ko)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KR102131792B1 (ko)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
CN219058736U (zh) 一种蛙类养殖废水处理系统
KR102654357B1 (ko) 저동력 자동 수질정화 순환여과양식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양식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