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792B1 -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1792B1 KR102131792B1 KR1020190104672A KR20190104672A KR102131792B1 KR 102131792 B1 KR102131792 B1 KR 102131792B1 KR 1020190104672 A KR1020190104672 A KR 1020190104672A KR 20190104672 A KR20190104672 A KR 20190104672A KR 102131792 B1 KR102131792 B1 KR 1021317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water
- tank
- water
- water purification
- live fish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lass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IOVCWXUNBOPUCH-UHFFFAOYSA-N Nitrous acid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43321 Cnid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69 nitrogen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7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활어가 수용되는 활어조(10); 활어조(10)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여과 및 정수하는 여과정수조(20); 여과정수조(20)에서 정수된 해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해수의 저장 과정에서 해수를 활어조(10)에 자연 낙하시켜 폭기시키는 침전저수조(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조에서 바닷물고기를 보관하거나 양식할 때 물고기의 배설물 및 잔존먹이로 인해 오염된 해수를 여과수단(201a)에 의한 정화작용 및 미생물에 의한 자정작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정수함과 동시에 미생물의 안정적인 번식 환경을 제공하여 미생물에 의한 자정작용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조에서 바닷물고기를 보관하거나 양식할 때 물고기의 배설물 및 잔존먹이로 인해 오염된 해수를 여과수단(201a)에 의한 정화작용 및 미생물에 의한 자정작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정수함과 동시에 미생물의 안정적인 번식 환경을 제공하여 미생물에 의한 자정작용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조에서 바닷물고기를 보관하거나 양식할 때 물고기의 배설물 및 잔존먹이로 인해 오염된 해수를 여과수단에 의한 정화작용 및 미생물에 의한 자정작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정수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미생물의 안정적인 번식 환경을 제공하여 미생물에 의한 자정작용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조는 바다에서 사는 각종 어류나, 조개류, 갑각류(이하, '활어'라 함) 등을 살아있는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관상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주로 내륙 양식장에서 활어를 양식하거나, 횟집 등의 식당에서 활어를 일정 기간 전시 및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해수조에 보관되는 활어를 살아있는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 먹이를 공급해주기도 하는데, 먹이를 공급하면서 활어를 해수조 내에서 장기간 살아있는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해수조 내부의 해수가 활어에서 배출된 배설물이나 잔존먹이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오염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어가 폐사하게 된다.
따라서 오염된 해수의 각종 오염물질을 여재를 이용해 여과함과 동시에 기포발생기를 이용해 해수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오염된 해수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게 한 해수조용 해수 여과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해수조용 해수 여과장치는 해수의 순환을 위한 펌프나 공기 공급을 위한 기포발생기의 연속 가동으로 인해 에너지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해수조용 해수 여과장치는 입자가 큰 배설물이나 잔존먹이는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으나, 미립자로 분해되어 해수에 용해된 배설물이나 잔존먹이 등의 오염물질까지는 여과되지 않기 때문에 미립자로 분해된 오염물질에 의해 대체로 1주일 정도면 암모니아화합물(NH3)과 아질산(NO2)의 생성으로 해수가 오염됨에 따라 1주일에 한 번씩 해수를 교환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해수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사용되었던 해수조의 해수는 생활하수와 함께 버려짐으로써 수질오염의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내륙에 있는 양식장이나 식당 등은 바다에서 해수를 공급 운송하는 업체로부터 해수를 구입해야 함으로서 잦은 해수의 교환은 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자가 큰 오염물질은 여과수단으로 여과하고, 미립자로 분해된 오염물질은 미생물을 이용해 정수할 수 있게 한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미생물의 안정적인 번식 환경을 제공하여 미생물의 추가적인 공급 없이도 미생물에 의한 정수 성능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해수의 자연 낙하를 이용한 폭기를 통해 해수의 이산화탄소 및 암모니아, 황화수소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등 각종 세균도 제거 가능케 한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은,
활어가 수용되는 활어조(10);
상기 활어조(10)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여과 및 정수하는 여과정수조(20);
상기 여과정수조(20)에서 정수된 해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해수의 저장 과정에서 해수를 상기 활어조(10)에 자연 낙하시켜 폭기시키는 침전저수조(30); 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정수조(20)는,
상기 활어조(10)와 여과정수조(20)를 연결하는 연결관(101) 하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수단(201a)을 구비하여 활어조(10)에서 공급되는 해수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층(201);
상기 여과층(201)에 의해 오염물이 여과된 해수를 정수하는 정수수단이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는 정수층(202);
상기 여과층(201)에 의해 여과된 후, 정수층(202)에 의해 정수된 해수를 침전저수조(30)로 공급하는 워터펌프(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전저수조(30)는,
해수의 저장 과정에서 오버플로우되는 해수를 활어조(10)에 자연 낙하시켜 폭기시키는 폭기관(301);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폭기관(301)의 상단부에는 온도조절수단(50);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전저수조(30)는,
해수의 저장 과정에서 오버플로우되는 해수를 활어조(10)에 자연 낙하시켜 폭기시키는 다중폭기관(60); 을 구비하되,
상기 다중폭기관(60)은,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다수의 관체가 동심상에 배치된 수직관체(601);
상기 수직관체(601)를 방사상으로 연결하여 각 관체로 해수가 공급되게 하는 연결체(6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수단과 미생물을 이용해 해수조의 해수를 효과적으로 정수함으로써 해수의 오염이 방지되고 그로 인해 해수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해수의 잦은 교환에 따른 불편과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수의 정수를 통해 해수조의 오염이 방지됨에 따라 해수조의 청결한 상태가 장기간 유지됨으로써 해수조의 청소 및 유지 관리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수를 정수하는 미생물의 안정적인 번식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해수의 수질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해수조 내에서 양식 또는 보관되는 각종 어류나, 조개류, 갑각류 등 활어의 질병을 예방하고 안정적인 생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수단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수단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수단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폭기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폭기관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수단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수단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수단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폭기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폭기관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조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조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은 활어조(10), 여과정수조(20), 침전저수조(30)를 포함한다.
상기 활어조(10)는 활어가 수용되되 활어의 투입, 배출 등 취급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활어조(10)의 깊이는 한정하지 않으나, 지상에 설치되었을 때 작업자가 활어조(10)의 내부 바닥에 있는 활어를 쉽게 배출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어조(10)는 제1밸브(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도시하지 않음)는 활어조(10)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활어조(10)의 바닥면에 침전물이나 각종 오염물질이 누적되는 경우에 제1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개방하여 활어조(10)에 저장된 해수와 함께 침전물을 배출함으로써 침전물이나 각종 오염물질의 제거 및 청소 등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여과정수조(20)는 활어조(10)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여과 및 정수하기 위하여 여과층(201), 정수층(202), 워터펌프(203)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정수조(20)는 활어조(10)의 일측면 상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관(101)에서 배출되는 해수가 여과정수조(20) 내부로 공급되도록 활어조(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층(201)은 여과정수조(20)의 상측에 위치하되, 활어조(10)와 여과정수조(20)를 연결하는 연결관(101)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층(20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수단(201a)을 구비한다.
상기 여과수단(201a)은 부직포매트나 스펀지매트로 되어 다수 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활어조(10) 내에서 오염된 해수가 연결관(101)을 통해 여과정수조(20)로 공급되면 여과층(201) 상부로 공급되면서 수직으로 여과층(20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다수 겹으로 형성된 여과수단(201a)에 의해 해수에 포함된 활어의 배설물이나 잔존먹이 등 입자가 큰 각종 오염물질이 여과된다.
특히, 여과층(201)을 구성하는 여과수단(201a)을 다수 겹으로 형성함으로써 일정 기간 동안 여과수단(201a)에 의해 오염물질이 여과되면 여과수단(201a)의 상면에 오염물질이 누적되어 여과수단(201a)에 의한 1차 여과 성능이 저하되는데, 이때 다수 겹으로 구성된 여과수단(201a)의 최상층에 위치한 여과수단(201a)을 걷어내 폐기함으로써 남아있는 여과수단(201a)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여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오염물질이 누적된 여과수단(201a)은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여과수단(201a)을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정수층(202)은 여과정수조(20)의 하측에 위치하되, 여과정수조(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여과층(201)에 의해 오염물이 여과된 해수를 정수하는 정수수단이 탈부착 가능케 설치된다.
상기 정수수단은 여재수용체(202a), 미생물여재(202b)를 포함한다.
상기 여재수용체(202a)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망체 자루로 되어 그 내부에 미생물여재(202b)를 투입한 후,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여재수용체(202a)에 형성되는 망공은 내부에 투입되는 미생물여재(202b)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해수의 원활한 소통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여재(202b)는 미세공극이 형성된 합성수지, 황토볼, 맥반석, 자갈, 패각, 제올라이트, 산호석, 활성탄, 모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미생물여재(202b)에는 유기성 오염물질 분해하고 소화작용을 수행하는 다양한 종의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미생물의 번식이 활성화된다.
상기 워터펌프(203)는 여과정수조(20) 내부에서 여과층(201)에 의해 여과된 후, 정수층(202)에 의해 정수된 해수를 침전저수조(30)로 공급한다.
즉, 워터펌프(203)의 유입관은 여과정수조(20)의 바닥에 인접하게 연결 설치하고, 유출관은 침전저수조(30) 일측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여과정수조(20)에서 여과 정수된 해수가 워터펌프(203)에 의해 침전저수조(30)로 공급된다.
이때 워터펌프(203)의 설치 위치하는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여과정수조(20)는 제2밸브(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도시하지 않음)는 여과정수조(20)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여과정수조(20)의 바닥면에 침전물이나 각종 오염물질이 누적되는 경우에 제2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개방하여 여과정수조(20)에 저장된 해수와 함께 침전물을 배출함으로써 침전물이나 각종 오염물질의 제거 및 청소 등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침전저수조(30)는 여과정수조(20)에서 정수된 해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해수의 저장 과정에서 오버플로우되는 해수를 활어조(10)에 자연 낙하시켜 폭기시키기 위하여 폭기관(301)을 구비한다.
상기 폭기관(301)은 상단부가 침전저수조(30) 내부에 위치하고, 하단부가 침전저수조(30)의 바닥을 관통하여 침전저수조(30) 아래에 위치하는 활어조(10) 상측에 위치하되, 활어조(10)의 수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침전저수조(30)로 공급된 해수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면서 폭기관(301)을 통해 오버플로우되어 활어조(10)로 수직 낙하함으로써 해수에 공기가 접촉되는 폭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폭기관(301)을 통해 침전저수조(30)에서 활어조(10)로 해수가 자연 낙하하면서 공기와 접촉하는 폭기가 이루어짐에 따라 해수의 이산화탄소 및 암모니아, 황화수소 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등 각종 세균도 제거 가능케 된다.
아울러, 폭기를 통해 활어조(10)에 공급된 해수 중의 산소 농도가 증가함으로써 함으로써 활어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해수의 자연 낙하를 이용해 폭기가 이루어짐으로써 폭기에 따른 에너지 소모가 없기 때문에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침전저수조(30)는 제3밸브(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밸브(도시하지 않음)는 침전저수조(30)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침전저수조(30)의 바닥면에 침전물이 누적되는 경우에 제3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개방하여 침전저수조(30) 내부에 저장된 해수와 함께 침전물을 배출함으로써 침전물의 제거 및 청소 등이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수단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수단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침전저수조(30)에는 탈부착 가능한 필터수단(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침전저수조(30)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착탈부(401)를 구성하고, 상기 착탈부(401)에 필터수단(40)을 탈부착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여과정수조(20)에서 침전저수조(30)로 공급되는 여과 정수된 해수가 필터수단(40)에 의해 다시 한번 필터링됨으로써 해수의 수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수단(40)은 탈부착 가능케 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됨으로써 원하는 수만큼 필터수단(40)을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필터수단(40)은 주지된 부직포필터, 스펀지필터, 카본필터, 활성탄필터, 금속 필터 중 어느 한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수단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폭기관(301)의 상단부에는 온도조절수단(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수단(50)은 침전저수조(30)에서 폭기관(301)을 통해 활어조(10)로 해수가 공급될 때, 해수가 온도조절수단(50)을 경유하여 활어조(10)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활어조(10)로 공급되는 해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온도조절수단(50)은 활어조(10)로 공급되는 해수를 냉각 또는 가열함으로써 활어조(10)에 해수가 공급될 때, 활어조(10) 내부에 보관되는 활어의 생태에 적합한 온도로 해수가 공급됨에 따라 활어조(10) 내 활어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폭기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폭기관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침전저수조(30)에는 다중폭기관(6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중폭기관(60)은 수직관체(601), 연결체(60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관체(601)는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다수의 관체가 동심상에 배치된다.
이때 수직관체(601)의 형상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체(602)는 수직관체(601)를 방사상으로 연결하여 각 관체로 해수가 공급되도록 연결수로(602a), 배출구(602b)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수로(602a)는 연결체(60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외측단부에서 내측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602b)는 연결수로(602a)의 양측으로 다수가 형성되되, 다수의 관체 사이에 위치하게 형성된다.
이때, 각 배출구(602b) 일측에는 안내벽(602c)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수로(602a)를 통해 정중앙에 위치하는 수직관체(601)로 공급되는 해수가 안내벽(602c)에 의해 각 배출구(602b)로 더욱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각 수직관체(601)에도 원활하게 해수가 공급되어 활어조(10)에 수직으로 낙하함에 따라 활어조(10)에 수직 낙하하는 해수와 공기 간의 물리적 접촉면적 및 접촉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주지된 바와 같이 폭기는 물과 공기를 인위적으로 접촉시키는 과정으로서, 물과 공기의 접촉면적 및 접촉 시간이 증가할수록 폭기에 따른 효과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연결체(602)를 통해 다수의 관체의 상단으로 공급된 해수가 각 수직관체(601)의 상단부에서 활어조(10)로 수직 낙하함으로써 해수에 공기가 접촉되는 폭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폭기관(301)을 통해 침전저수조(30)에서 활어조(10)로 해수가 자연 낙하하면서 공기와 접촉하는 폭기가 이루어짐에 따라 해수의 이산화탄소 및 암모니아, 황화수소 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등 각종 세균도 제거 가능케 된다.
아울러, 폭기를 통해 활어조(10)에 공급된 해수 중의 산소 농도가 증가함으로써 활어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여과수단(201a)과 미생물을 이용해 해수조의 해수를 효과적으로 정수함으로써 해수의 오염이 방지되고 그로 인해 해수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해수의 잦은 교환에 따른 불편과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수의 정수를 통해 해수조의 오염이 방지됨에 따라 해수조의 청결한 상태가 장기간 유지됨으로써 해수조의 청소 및 유지 관리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해수를 정수하는 미생물의 안정적인 번식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해수의 수질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해수조 내에서 양식 또는 보관되는 각종 어류나, 조개류, 갑각류 등의 질병을 예방하고 안정적인 생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내륙 양식장이나 횟집 등 식당뿐만 아니라, 해수를 사용하는 관상용 해수조, 실내낚시터 등 다양한 곳에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조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활어조 101: 연결관
20: 여과정수조 201: 여과층
202: 정수층 203: 워터펌프
30: 침전저수조 301: 폭기관
40: 필터수단 50: 온도조절수단
60: 다중폭기관 601: 수직관체
602: 연결체 602a: 연결수로
602b: 배출구 602c: 안내벽
20: 여과정수조 201: 여과층
202: 정수층 203: 워터펌프
30: 침전저수조 301: 폭기관
40: 필터수단 50: 온도조절수단
60: 다중폭기관 601: 수직관체
602: 연결체 602a: 연결수로
602b: 배출구 602c: 안내벽
Claims (5)
- 활어가 수용되는 활어조(10);
상기 활어조(10)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여과 및 정수하는 여과정수조(20);
상기 여과정수조(20)에서 정수된 해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해수의 저장 과정에서 해수를 상기 활어조(10)에 자연 낙하시켜 폭기시키는 침전저수조(30); 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저수조(30)는,
해수의 저장 과정에서 오버플로우되는 해수를 활어조(10)에 자연 낙하시켜 폭기시키는 다중폭기관(60); 을 구비하되,
상기 다중폭기관(60)은,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다수의 관체가 동심상에 배치된 수직관체(601);
상기 수직관체(601)를 방사상으로 연결하여 각 관체로 해수가 공급되게 하는 연결체(602);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602)는,
연결체(60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외측단부에서 내측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연결수로(602a);
상기 연결수로(602a)의 양측으로 다수가 형성되되, 다수의 관체 사이에 위치하게 형성된 배출구(602b);
상기 각 배출구(602b) 일측에 형성된 안내벽(602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정수조(20)는,
상기 활어조(10)와 여과정수조(20)를 연결하는 연결관(101) 하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수단(201a)을 구비하여 활어조(10)에서 공급되는 해수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층(201);
상기 여과층(201)에 의해 오염물이 여과된 해수를 정수하는 정수수단이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는 정수층(202);
상기 여과층(201)에 의해 여과된 후, 정수층(202)에 의해 정수된 해수를 침전저수조(30)로 공급하는 워터펌프(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저수조(30)는,
해수의 저장 과정에서 오버플로우되는 해수를 활어조(10)에 자연 낙하시켜 폭기시키는 폭기관(301);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관(301)의 상단부에는 온도조절수단(50);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4672A KR102131792B1 (ko) | 2019-08-26 | 2019-08-26 |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4672A KR102131792B1 (ko) | 2019-08-26 | 2019-08-26 |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1792B1 true KR102131792B1 (ko) | 2020-07-08 |
Family
ID=7159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4672A KR102131792B1 (ko) | 2019-08-26 | 2019-08-26 |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179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19963A (zh) * | 2020-09-29 | 2020-12-25 | 中新国际联合研究院 | 一种具有水质净化系统的水产养殖装置及养殖方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95094A (ja) * | 1993-12-29 | 1995-08-01 | Hajime Hanada | 浄化装置 |
JPH11206268A (ja) * | 1997-11-21 | 1999-08-03 | Onoda Autoclaved Light Weight Concrete Co Ltd | 飼育水槽用散気装置及び空気拡散部材 |
KR100532526B1 (ko) | 2004-02-12 | 2005-11-30 | 김문달 | 활어해수 정화 시스템 |
KR100748643B1 (ko) * | 2007-04-27 | 2007-08-10 | 카라에프엔 주식회사 |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어항 |
KR20080001674U (ko) * | 2006-12-06 | 2008-06-11 | 최경엽 | 수족관용 수처리 장치 |
KR101919254B1 (ko) * | 2017-12-06 | 2019-02-08 | 송정호 | 관상새우 양식시스템 |
-
2019
- 2019-08-26 KR KR1020190104672A patent/KR1021317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95094A (ja) * | 1993-12-29 | 1995-08-01 | Hajime Hanada | 浄化装置 |
JPH11206268A (ja) * | 1997-11-21 | 1999-08-03 | Onoda Autoclaved Light Weight Concrete Co Ltd | 飼育水槽用散気装置及び空気拡散部材 |
KR100532526B1 (ko) | 2004-02-12 | 2005-11-30 | 김문달 | 활어해수 정화 시스템 |
KR20080001674U (ko) * | 2006-12-06 | 2008-06-11 | 최경엽 | 수족관용 수처리 장치 |
KR100748643B1 (ko) * | 2007-04-27 | 2007-08-10 | 카라에프엔 주식회사 |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어항 |
KR101919254B1 (ko) * | 2017-12-06 | 2019-02-08 | 송정호 | 관상새우 양식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19963A (zh) * | 2020-09-29 | 2020-12-25 | 中新国际联合研究院 | 一种具有水质净化系统的水产养殖装置及养殖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47376B2 (ja) | 魚介類の閉鎖循環式養殖方法 | |
JP6129709B2 (ja) | 水槽の水浄化装置 | |
KR20170022051A (ko) |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 | |
KR102203369B1 (ko) | 순환 여과식 새우양식장 | |
KR101934267B1 (ko) | 바이오플락시스템 유기고형물 제거장치 | |
CN210094377U (zh) | 一种循环换水净化水体的鱼养殖池 | |
KR102131792B1 (ko) | 해수조용 정수 시스템 | |
KR101555134B1 (ko) | 순환여과식 사육조 | |
CN212697266U (zh) | 一种蛙循环水环保养殖系统 | |
KR101514439B1 (ko) | 여과재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킨 팩키지형 생물여과기가 장착된 여과수조 | |
JP2013247949A (ja) | 水処理装置 | |
KR102647881B1 (ko) |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 |
CN204968994U (zh) | 一种海水养殖场循环过滤装置 | |
JP6217925B2 (ja) | 飼育水槽用水浄化装置 | |
KR100461959B1 (ko) | 광물미립자와 포말분리장치를 이용한 다단식 수로형순환여과식 수산동물 사육장치 | |
JP6480071B1 (ja) | 養殖装置 | |
JP3427091B2 (ja) | 魚用水浄化装置 | |
JP2005058012A (ja) | 魚介類の養殖装置 | |
JP5492621B2 (ja) | 硝化槽、排水処理システム | |
JP4586147B2 (ja) | 浄水処理装置 | |
JPH1098978A (ja) | バイパス機能を備えた観賞用水槽装置 | |
CN219248940U (zh) | 一种循环水净化养殖系统 | |
CN220012347U (zh) | 养殖用多级水净化系统 | |
JP2005224217A (ja) | 循環濾過養殖装置 | |
KR100908451B1 (ko) | 정수 및 산소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