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829B1 -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829B1
KR100969829B1 KR1020090084733A KR20090084733A KR100969829B1 KR 100969829 B1 KR100969829 B1 KR 100969829B1 KR 1020090084733 A KR1020090084733 A KR 1020090084733A KR 20090084733 A KR20090084733 A KR 20090084733A KR 100969829 B1 KR100969829 B1 KR 10096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ish
water
feed
cir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구
김응오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9008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의 양식을 위하여 어란(魚卵)을 부화시킨 다음, 친어(親魚)로 성장시켜 양식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어란부화기에서 수질과 수온을 최적으로 조성하여 어란을 부화시킨 후, 다단식양식수조에서 부화된 자어(子魚)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어 친어로 성장하는 한편 사료급이기에서 양식수조에 사료를 자동으로 정량 투입하고, 양식수조에서 배수되는 배출수를 순환수여과장치에서 양식에 필요한 수온 및 수질로 여과 처리하여 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어류의 양식에 필요한 원수와 배출수량을 대폭 줄일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면서 수온과 수질을 유지시켜 최상의 양식환경을 조성하므로 어류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한편 양식장 설비의 운전상태와 수온 및 수질을 모니터링 하여 제어함에 따라 인력을 절감하고 양식장의 운용과 관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류, 양식, 어란(魚卵), 부화, 자어(子魚), 치어(稚魚), 모니터링

Description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Fish form a high-density systems}
본 발명은 어류의 양식을 위하여 어란(魚卵)을 부화시킨 다음, 친어(親魚)로 성장시켜 양식하는 어류 양식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란부화기에서 수질과 수온을 최적으로 조성하여 어란을 부화시킨 후, 다단식양식수조에서 부화된 자어(子魚)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어 친어로 성장하는 한편 사료급이기에서 양식수조에 사료를 자동으로 정량 투입하고, 양식수조에서 배수되는 배출수를 순환수여과장치에서 양식에 필요한 수온 및 수질로 여과 처리하여 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어류의 양식에 필요한 원수와 배출수량을 대폭 줄일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면서 수온과 수질을 유지시켜 최상의 양식환경을 조성하므로 어류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한편 양식장 설비의 운전상태와 수온 및 수질을 모니터링 하여 제어함에 따라 인력을 절감하고 양식장의 운용과 관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 해역의 오염과 노화현상 등으로 인하여 연안 해역에서의 어 류 양식은 그 생산성과 경제성이 급격히 저하되고 있으며, 특히 적조ㆍ태풍 등의 자연재해로 인하여 양식장소를 확보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육상에 어류 양식장을 설치한 육상수조식 양식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즉, 우리나라의 연안 해역은 매년 5월부터 적조현상과, 7월부터 태풍이 발생하여 양식업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해수 온도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양식어가 폐사하거나 성장률이 낮아져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어류 양식에 적용되고 있는 육상 양식장은 연안 해역의 오염과 적조 및 태풍 등의 자연재해로부터 보호되고 안전성이 확보되는 반면에, 유수식 양식설비로 다량의 원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어류 양식으로 오염된 다량의 배출수가 인근 연안으로 방류되어 수질오염이 야기되고, 물부족현상이 나타나는 실정이다.
종래 육상수조식 양식장은 수조 안의 해수온도가 치어나 친어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므로, 이에 따라 수온이 적정 온도보다 낮은 겨울철에는 해수를 보일러로 가열하여 양식수조에 공급하고, 여름철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해수를 낮은 온도의 지하수와 열교환시켜 해수를 적정 온도로 낮추어 조정한 다음, 양식수조에 공급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같은 종래의 방법들은 비용이 많이 들고 에너지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지역적 특성상 지하수를 공급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지역적 특성상 유수식으로 양식장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환수율이 크기 때문에 양식에 필요한 사용 해수량이 과다하고, 배출수는 배설물과 사료 찌꺼기로 인하여 오염이 심각하며, 더불어 어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 수산용 약제가 잔존하므로 인근 연안 해역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즉, 유수식 양식방법은 양식장 안에 사용 해수를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양식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적은 면적에서 많은 수량의 어류를 양식하여 생산할 수 있으나, 해수를 연안 해역에서 직접 끌어올려 공급하므로 수질과 수온조절에 어려움이 따르고, 배설물과 사료 찌꺼기 및 수산용 약제 성분이 함유된 배출수가 인근 해역으로 방류됨에 따라 수질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어류 양식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수질과 수온을 최적의 환경으로 조성하여 어란을 부화시킨 후, 부화된 자어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어 친어로 성장하는 한편 양식수조에서 배수되는 배출수를 양식에 적합한 수온 및 수질로 여과 처리하여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적은 면적에서 고밀도로 어류를 양식할 수 있도록 어란이 부화되는 어란부화기와, 부화된 자어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는 다단식양식수조와, 양식수조에 사료를 자동으로 정량 투입하는 사료급이기와, 배출수를 양식에 적합한 수온 및 수질로 여과 처리하는 순환수여과장치와, 양식장 설비의 운전상태와 수온 및 수질을 모니터링 하여 제어하고 운용과 관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수질과 수온을 최적의 환경으로 조성하여 어란을 부화시키는 어란부화기와; 상기 어란부화기에서 부화된 자어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는 다단식양식수조와; 상기 다단식양식수조에 사료를 자동으로 정량 투입하는 사료급이기와; 상기 어란부화기와 다단식양식수조에서 배수되는 배출수를 양식에 적합한 수온 및 수질로 여과 처리하여 순환시키는 순환수여과장치와; 상기 양식장 설비의 운전상태와 수온 및 수질을 모니터링 하여 제어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란부화기에서 수질과 수온을 최적으로 조성하여 어란을 부화시킨 후, 다단식양식수조에서 부화된 자어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어 친어로 성장하는 한편 사료급이기에서 양식수조에 사료를 자동으로 정량 투입하고, 양식수조에서 배수되는 순환수를 순환수여과장치에서 양식에 필요한 수온 및 수질로 여과 처리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류의 양식에 필요한 해수와 배출수량을 대폭 줄일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면서 수온과 수질을 유지시켜 최상의 양식환경을 조성하므로 어류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한편 양식장 설비의 운전상태와 수온 및 수질을 모니터링 하여 제어함에 따라 인력을 절감하고, 양식장의 운용과 관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란부화기에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여 어란의 부화율을 높이는 한편 다단식양식수조에서 자어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고, 양식에 필요한 해수가 지속적으로 순환됨에 따라 비교적 적은 면적에서 고밀도로 어류를 양식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에 도시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수질과 수온을 최적의 환경으로 조성하여 어란의 부화율을 높이고, 부화된 자어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어 친어로 성장하는 한편 양식수조에서 배수되는 배출수를 양식에 적합한 수온 및 수질로 여과 처리하여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적은 면적에서 고밀도로 어류를 양식하고, 양식장의 설비를 모니터링 하여 제어함에 따라 인력을 절감하고, 양식장의 운용과 관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수질과 수온을 최적의 환경으로 조성하여 어란을 부화시키는 어란부화기(100)와; 상기 어란부화기(100)에서 부화된 자어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어 친어로 성장하는 다단식양식수조(200)와; 상기 다단식양식수조(200)에 사료를 자동으로 정량 투입하는 사료급이기(300)와; 상기 어란부화기(100)와 다단식양식수조(200)에서 배수되는 배출수를 양식에 적합한 수온 및 수질로 여과 처리하여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수여과장치(400)와; 상기 양식장 설비의 운전상태와 수온 및 수질을 모니터링 하여 제어하는 모니터링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주요 구성에서 어란(魚卵)이 부화되는 어란부화기(100)는 도면에서 도 2와 같이, 이동용 캐스터(caster)가 장착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해수가 공급되는 집수조(120)와,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자어가 성장하는 자어조(130)와, 상기 집수조(120)에서 펌핑되는 해수에 함유 된 클로이드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밀여과장치(140)와,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어란이 부화되는 부화조(150)와, 상기 부화조(150)에서 부화된 자어가 자어조(130)로 이동하는 자어유입관(160)과, 상기 집수조(120)에서 펌핑되는 해수에 함유된 유해성 세균을 살균하는 자외선살균장치(170)와, 상기 집수조(120)에서 펌핑되는 해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균 및 제탁하는 한외여과장치(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프레임(110)은 이동이 자유롭도록 하단부에 캐스터(caster)가 장착되고, 작업에 편리한 적정 높이로 설치되며, 하부에는 해수가 공급되는 집수조(120)가 설치되는 한편 상부에는 어란이 부화되는 부화조(150)와, 자어가 성장하는 자어조(130)가 설치된다.
집수조(120)는 어란을 효과적으로 부화시키기 위하여 수온과 수량 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바란싱조로 설치되며, 내부에 전기히터와 레벨스위치 및 정수위조절밸브 등이 설치되고, 가능한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란부화기(100)를 구성하는 자어조(130)는 내부가 투시되도록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로 제작되고, 내부에 집수스트레나 및 집수스텐드, 자어배출관이 설치된다.
한편 정밀여과장치(140)는 집수조(120)에서 순환펌프(111)를 통하여 펌핑되는 해수에 함유된 클로이드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정밀여과장치(140)와 나란히 배치되도록 활성탄여과장치(140a)가 설치되며, 여기서 활성탄여과장치(140a)는 순환되는 해수에 함유된 냄새와 맛과 유기물을 제거하여 여과기능 을 수행한다.
또한 어란부화기(100)에서 어란이 부화되는 부화조(150)는 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수직상으로 배치되고, 내부가 투시되도록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부화조(150)는 외통과 내통의 이중으로 구성된다.
상기 부화조(150)의 안쪽에 인접하도록 자어유입관(160)이 설치되며, 부화조(150)에서 부화된 자어가 헤엄쳐 배출구를 통해 자어유입관(160)으로 떨어져 이동한 다음, 자어유입관(160)을 통하여 자어조(130)로 순조롭게 이동하며, 자어유입관(160)은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으로 설치된다.
또한 집수조(120)에서 순환펌프(111)를 통하여 순환되는 해수는 자외선살균장치(170)와, 한외여과장치(180)에 의해 해수에 함유된 유해성 세균과 오염물질 등이 살균과 제균 및 제탁되는 것으로서, 순환되는 해수를 지속적으로 살균 및 여과하여 부화조(150)로 공급하고, 에어브로와(112)에서 순환되는 해수와 자어조(130)에 산소를 공급하므로 수질과 수온을 최적의 환경으로 조성하여 어란의 부화율을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에서 부화된 자어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는 다단식양식수조(200)는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어란에서 부화된 자어가 성장하는 자어조(210)와, 상기 자어조(210)에서 성장한 어류가 수용되어 양식되는 치어조(220)와, 상기 치어조(220)에서 성장한 어류가 수용되어 양식되는 양성조(230)와, 상기 양성조(230)에서 성장한 어류가 친어로 성장하는 친어조(240)와, 상기 양 식수조에 순환수와 에어와 산소를 공급하는 배관부(250)와, 상기 양식수조에서 순환수가 배수되는 배수라인(2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자어조(210)는 어란부화기(100)에서 부화된 자어가 10일 정도 수용되어 먹이 붙임하는 1차 양식수조로서, 원형ㆍ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가능한 순환수와 각종 세균 및 오염으로부터 보다 안전한 합성수지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어조(220)는 자어가 치어상태에서 50일 정도 수용되어 양식되는 2차 양식수조로서, 자어조(210)에서 자어가 일정한 크기로 성장하면 이동관을 따라 치어조(220)로 이동하며, 상기 치어조(220)는 자어조(210)의 아래에 설치되거나 또는 자어조(21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원형ㆍ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가능한 순환수와 각종 세균 및 오염으로부터 보다 안전한 합성수지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양성조(230)는 어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통상 친어로 성장할 때 까지 양식하는 3차 양식수조로서, 원형ㆍ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가능한 순환수와 각종 세균 및 오염으로부터 보다 안전한 합성수지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친어조(240)는 크기가 다른 어류를 선별하여 성장속도가 빠른 어류를 수용해 출하 시점까지 양식하는 최종 4차 양식수조로서, 자어조(210)와, 치어조(220)와, 양성조(230)에 비하여 수용면적이 넓게 마련되고, 각종 세균 및 오염으로부터 보다 안전한 합성수지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양식수조(자어조ㆍ치어조ㆍ양성조ㆍ친어조)에 순환수와 에어와 산소를 공급하도록 배관부(250)가 설치되고, 상기 배관부(250)에서 공급라인(251)을 통하여 각각의 양식수조로 순환수와 에어와 산소가 공급되며, 각각의 양식수조에 배수라인(252)이 설치되어 순환수가 배수된다.
따라서, 다단식양식수조(200)는 부화된 자어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므로 크기가 다른 어류의 선별이 용이하고, 어류를 적은 수용공간에서 고밀도로 양식할 수 있으며, 어류의 크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여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에서 다단식양식수조(200)에 사료를 자동으로 정량 투입하는 사료급이기(300)는 도면에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양식수조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340)에 고정 설치되고 사료가 일정량 저장되는 사료저장조(310)와, 상기 사료저장조(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사료를 분산하는 사료분산기(320)와, 상기 사료분산기(320)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양식수조에 투입하는 주입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사료급이기(300)는 양식수조에 배합사료를 일정한 시간에 일정한 량을 투입하는 기능으로서, 일정량의 배합사료가 저장되는 사료저장조(310)가 프레임(340)의 상부에 고정되어 양식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사료분산기(320)의 모터로 전원이 인가되면 일정량의 사료가 주입구(330)로 떨어져 양식수조로 투입된다.
따라서, 사료급이기(300)는 일정한 시간에 사료분산기(320)의 모터로 전원이 일정한 시간동안 인가되면, 양식수조에 일정량의 배합사료가 투입되므로 사료를 투입하는 시간과 사료의 투입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양식 어류의 크기에 따라 사료의 종류와 투입량을 조절하고, 자동화 공정으로 수행되어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에서 배출수를 양식에 적합한 수온 및 수질로 여과 처리하여 순환시키는 순환수여과장치(400)는 도면에서 도 6과 같이, 1차집수조에 수용된 순환수를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1차순환펌프(410)와, 상기 1차순환펌프(410)로부터 펌핑되는 순환수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흡착 제거하여 수질을 안정화시키는 프로틴스키머(420)와, 상기 순환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제거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드럼스크린필터(430)와, 상기 순환수에 탈질을 수행하여 질소성분을 제거하는 고정상생물여과조(440)와, 상기 순환수에 탈인을 수행하여 인성분을 제거하는 유동상생물여과조(450)와, 상기 순환수가 2차집수조에 수용되고 이를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2차순환펌프(460)와, 상기 순환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해시키는 산소용해기(470)와, 상기 순환수에 함유된 각종 유해성 세균을 살균하는 자외선살균장치(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1차순환펌프(410)는 다단식양식수조(200)에서 이송된 배출수가 1차집수조에 수용되고, 이를 프로틴스키머(420)로 펌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프로틴스키머(420)는 1차순환펌프(410)로부터 펌핑된 순환수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흡착하여 거품형태로 배출시켜 제거하므로 수질환경을 개선하는 기능으로서, 거품 증 류는 DOC(중크롬산염산소소비량), BOD(생화학적산소요구량), TOC(총유기탄소량)의 수치를 한번에 낮추어준다.
드럼스크린필터(430)는 프로틴스키머(420)에서 공급되는 순환수에 함유된 사료찌꺼기, 배설물 등을 물리적으로 제거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으로, 스크린망을 블록화하여 드럼에 장착하고 드럼이 회전을 하면서 찌꺼기를 드럼 상부로 이송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고정상생물여과조(440)는 순환수에 탈질을 수행하여 질소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으로, 각종 여과재를 여과조 내에 침전시켜 순환수가 유기성 여과재를 지나는 동안에 여과작용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며, 여과조 바닥 부분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산소를 공급한다.
상기 고정상생물여과조(440)는 미세한 실을 타레 모양으로 엮어서 걸어놓는 형태이며, 실 자체가 전하를 띠고 있어 미세한 고형물을 잡아서 분해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유동상생물여과조(450)는 고정상생물여과조(440)에서 공급되는 순환수에 탈인을 수행하여 인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으로, 반응조 내에 유동화 현상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상 유동층과 삼상 유동층으로 구분되고, 이상 유동층 공법에 적용되는 반응조는 실린더형의 관으로 구성되며, 반응조 내에는 무겁고 입자가 작은 여과재로 충진된다.
이상 유동층 공법은 유입수의 유속에 의해 반응조 내에 상향류가 형성되며, 이 움직임에 의해 충진된 여과재가 유동하고, 상기 유동하는 여과재에 미생물이 형 성되어 수질을 정화시키며 성장하게 된다.
삼상 유동층 공법은 액체(처리수), 기체(공기), 고체(여과재)의 세가지 상이 존재하므로 삼상이라고 하며, 여과재의 유동은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상 유동층 공법에 비해 미생물에 산소 전달이 용이하며 높은 부하 조건에서도 작용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2차순환펌프(460)는 유동상생물여과조(450)를 거친 순환수가 2차집수조에 수용되고, 이를 펌핑하여 산소용해기(470)와, 자외선살균장치(480)와, 열교환장치(481)로 순환시키게 된다.
자외선살균장치(480)는 2차순환펌프(460)로부터 펌핑되는 순환수에 함유된 각종 유해성 세균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 처리하며, 열교환장치(481)는 자외선 살균장치(480)를 거친 순환수의 수온을 양식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는 기능으로서, 겨울철에는 보일러의 가온수를 순환시키고, 여름철에는 냉각기의 냉각수를 순환시켜 순환수를 적합한 온도로 유지시킨다.
산소용해기(470)는 양식 어류가 산소를 소비하는 만큼 순환수에 산소를 보충하는 기능으로, 순환수를 용해기에 공급하고 산소공급기(471)에서 유입되는 순수한 산소를 용해기에 주입시켜 미세한 산소기포를 상부에서 자연낙하한 순환수와 혼합하여 산소를 용존화시킨다.
상기 산소용해기(470)에서 배출된 순환수는 다시 다단식양식수조(200)로 순환시켜 재사용되며, 또한 에어브로와(490)에서 양식수조와 여과조로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순환수여과장치(400)는 다단식양식수조(200)에서 배수되는 배출수를 양식에 적합한 수온 및 수질로 여과 처리하여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적은 면적에서 고밀도로 어류를 양식하고, 어류의 양식에 필요한 원수와 배출수량을 대폭 줄일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면서 수온과 수질을 유지시켜 최상의 양식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에서 양식장 설비의 운전상태와 수온 및 수질을 모니터링 하여 제어하는 모니터링부(500)는 마스터콘트롤러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양식장 설비의 각종 정보를 중앙 감시시스템에서 분류, 분석, 처리하여 양식장 설비의 운전, 정지, 경보, 계측상태를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 하여 특정 상황에 대한 조치를 신속히 수행함으로써, 각종 설비의 운용과 경제적인 종합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집중제어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모니터링부(500)는 작업자가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각종 정보를 인식하여 양식장 설비의 운전상태와 순환수의 수온 및 수질을 관찰하여 양식에 필요한 최상의 조건으로 양식장 설비를 운용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상황에서 조치를 신속히 수행하므로 피해를 줄이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란부화기(100)에서 수질과 수온을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여 어란의 부화율을 높이는 한편 다단식양식수조(200)에서 자어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고, 양식수조에서 배수되는 배출수를 순환수여과장치(400)에서 양식에 필요한 수온 및 수질로 여과 처리하여 지속적으로 순환시킴에 따라 적 은 수용면적에서 고밀도로 어류를 양식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란부화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단식양식수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료급이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료급이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순환수여과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어란부화기 110: 프레임
120: 집수조 130: 자어조
140: 정밀여과장치 150: 부화조
160: 자어유입관 170: 자외선살균장치
180: 한외여과장치 200: 다단식양식수조
210: 자어조 220: 치어조
230: 양성조 240: 친어조
250: 배관부 300: 사료급이기
310: 사료저장조 320: 사료분산기
330: 주입구 400: 순환수여과장치
410: 1차순환펌프 420: 포로틴스키머
430: 드럼스크린필터 440: 고정상생물여과조
450: 유동상생물여과조 460: 2차순환펌프
470: 산소용해기 480: 자외선살균장치
490: 에어브로와 500: 모니터링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수질과 수온을 최적의 환경으로 조성하여 어란을 부화시키는 어란부화기(100)와; 상기 어란부화기(100)에서 부화된 자어의 성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양식되는 다단식양식수조(200)와; 상기 다단식양식수조(200)에 사료를 자동으로 정량 투입하는 사료급이기(300)와; 상기 어란부화기(100)와 다단식양식수조(200)에서 배수되는 배출수를 양식에 적합한 수온 및 수질로 여과 처리하여 순환시키는 순환수여과장치(400)와; 상기 양식장 설비의 운전상태와 수온 및 수질을 모니터링 하여 제어하는 모니터링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식양식수조(200)는,
    어란에서 부화된 자어가 성장하는 자어조(210)와; 상기 자어조(210)에서 성장한 어류가 수용되어 양식되는 치어조(220)와; 상기 치어조(220)에서 성장한 어류가 수용되어 양식되는 양성조(230)와; 상기 양성조(230)에서 성장한 어류가 친어로 성장하는 친어조(240)와; 상기 양식수조에 순환수와 에어와 산소를 공급하는 배관부(250)와; 상기 양식수조에서 순환수가 배수되는 배수라인(25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사료급이기(300)는,
    양식수조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340)에 고정 설치되고 사료가 일정량 저장되는 사료저장조(310)와; 상기 사료저장조(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으로 사료를 분산하는 사료분산기(320)와; 상기 사료분산기(320)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양식수조에 투입하는 주입구(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순환수여과장치(400)는,
    1차집수조에 수용된 순환수를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1차순환펌프(410)와; 상기 1차순환펌프(410)로부터 펌핑되는 순환수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흡착 제거하여 수질을 안정화시키는 프로틴스키머(420)와; 상기 순환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제거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드럼스크린필터(430)와; 상기 순환수에 탈질을 수행하여 질소성분을 제거하는 고정상생물여과조(440)와; 상기 순환수에 탈인을 수행하여 인성분을 제거하는 유동상생물여과조(450)와; 상기 순환수가 2차집수조에 수용되고 이를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2차순환펌프(460)와; 상기 순환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용해시키는 산소용해기(470)와; 상기 순환수에 함유된 각종 유해성 세균을 살균하는 자외선살균장치(4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KR1020090084733A 2009-09-09 2009-09-09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KR10096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733A KR100969829B1 (ko) 2009-09-09 2009-09-09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733A KR100969829B1 (ko) 2009-09-09 2009-09-09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829B1 true KR100969829B1 (ko) 2010-07-20

Family

ID=4264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733A KR100969829B1 (ko) 2009-09-09 2009-09-09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829B1 (ko)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38B1 (ko) 2011-11-24 2012-06-27 대한민국 어류의 다배성 난각 부화장치
CN103688889A (zh) * 2013-12-24 2014-04-02 大连海洋大学 水产动物浮游幼体培育密度测量方法
KR101418381B1 (ko) 2011-12-30 2014-07-16 어업회사법인 (주)한빛수산 친환경 쏘가리 양식시스템
KR101642663B1 (ko) * 2015-07-22 2016-07-27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양식장용 위생 사육수조 시스템
CN105875460A (zh) * 2016-06-08 2016-08-24 苏州傲龙生态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龙虾繁殖孵化收集装置
KR101660867B1 (ko) * 2015-12-28 2016-09-28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빌딩형 어류양식시스템
CN106305504A (zh) * 2015-06-19 2017-01-11 张琼 水浴恒温式孵育系统设备
KR101704970B1 (ko) * 2016-05-20 2017-02-0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자화수를 이용하여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민물뱀장어 양식장치
KR101752608B1 (ko) * 2016-11-15 2017-06-2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Ict를 활용하여 민물뱀장어의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양식시스템
KR101772814B1 (ko) * 2016-04-14 2017-08-30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스마트 빌딩양식 통합 관제시스템
KR101831962B1 (ko) * 2017-01-18 2018-02-23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형 조립식 양식장의 순환여과시스템 및 순환여과방법
CN108077153A (zh) * 2017-11-15 2018-05-29 芜湖乐佳自动化机械有限公司 一种海鲜智能保鲜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80084654A (ko) * 2018-01-15 2018-07-25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계학습을 이용한 양식장 통합관리 시스템
CN108371134A (zh) * 2018-05-07 2018-08-07 柳州市中宏工程机械有限公司 可回收型智能化高密度水产养殖系统
CN108835008A (zh) * 2018-08-24 2018-11-20 凃东升 一种循环水养鱼装置及其系统
KR20180136675A (ko) * 2017-06-15 2018-12-26 박헌민 새우 양식 구조물
CN109156391A (zh) * 2018-11-07 2019-01-08 福海县海富特种鱼养殖有限责任公司 鱼卵培育系统
CN109430146A (zh) * 2018-12-21 2019-03-08 河北增硕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鱼菜共生养殖设备
CN109845687A (zh) * 2019-04-18 2019-06-07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黑斑原鮡培育驯化的循环水养殖系统
CN110063278A (zh) * 2019-05-28 2019-07-30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可控温度和流速下测试鱼类耗氧率的装置及其工作方法
KR20190095152A (ko) * 2018-02-05 2019-08-14 주식회사 에코니티 양식장의 배출수 처리 및 순환여과 시스템
CN112021219A (zh) * 2020-10-26 2020-12-04 浙江海洋大学 一种光唇鱼怀卵量的提高方法
KR102203369B1 (ko) 2020-08-25 2021-01-14 피길연 순환 여과식 새우양식장
KR20210084914A (ko) * 2019-12-30 2021-07-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익세균을 이용한 순환여과양식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CN113207787A (zh) * 2021-05-17 2021-08-06 华中农业大学 一种蜂巢式自动养殖系统及方法
KR20220075694A (ko) 2020-11-30 2022-06-08 강원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순환여과시스템의 수처리 시스템
KR20220099626A (ko) 2021-01-07 2022-07-14 피길연 순환 여과식 새우양식장
WO2022250230A1 (ko) * 2021-05-27 2022-12-01 신강수산영어조합법인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CN115486403A (zh) * 2022-09-05 2022-12-20 四川省常笑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高密度鱼类全自动养殖系统
WO2023277646A1 (ko) * 2021-07-02 2023-01-0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CN116195544A (zh) * 2023-03-07 2023-06-02 中国海洋大学 一种消除噪音的水产养殖育苗桶
KR20230125472A (ko) 2022-02-21 2023-08-29 주식회사 맑은바다 기능성 양식수조를 포함하는 순환 여과식 고밀도 양식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635A (ja) * 2004-08-02 2006-02-16 Dr Fish Biotech Inc 屋内自動化養殖システム
KR100764483B1 (ko) * 2006-12-26 2007-10-09 대한민국 여과식 멸균장치를 이용한 어란부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635A (ja) * 2004-08-02 2006-02-16 Dr Fish Biotech Inc 屋内自動化養殖システム
KR100764483B1 (ko) * 2006-12-26 2007-10-09 대한민국 여과식 멸균장치를 이용한 어란부화시스템

Cited B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38B1 (ko) 2011-11-24 2012-06-27 대한민국 어류의 다배성 난각 부화장치
KR101418381B1 (ko) 2011-12-30 2014-07-16 어업회사법인 (주)한빛수산 친환경 쏘가리 양식시스템
CN103688889A (zh) * 2013-12-24 2014-04-02 大连海洋大学 水产动物浮游幼体培育密度测量方法
CN106305504A (zh) * 2015-06-19 2017-01-11 张琼 水浴恒温式孵育系统设备
KR101642663B1 (ko) * 2015-07-22 2016-07-27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양식장용 위생 사육수조 시스템
KR101660867B1 (ko) * 2015-12-28 2016-09-28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빌딩형 어류양식시스템
KR101772814B1 (ko) * 2016-04-14 2017-08-30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스마트 빌딩양식 통합 관제시스템
KR101704970B1 (ko) * 2016-05-20 2017-02-0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자화수를 이용하여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민물뱀장어 양식장치
CN105875460A (zh) * 2016-06-08 2016-08-24 苏州傲龙生态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龙虾繁殖孵化收集装置
KR101752608B1 (ko) * 2016-11-15 2017-06-2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Ict를 활용하여 민물뱀장어의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양식시스템
KR101831962B1 (ko) * 2017-01-18 2018-02-23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형 조립식 양식장의 순환여과시스템 및 순환여과방법
KR101964802B1 (ko) * 2017-06-15 2019-04-02 박헌민 새우 양식 구조물
KR20180136675A (ko) * 2017-06-15 2018-12-26 박헌민 새우 양식 구조물
CN108077153A (zh) * 2017-11-15 2018-05-29 芜湖乐佳自动化机械有限公司 一种海鲜智能保鲜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80084654A (ko) * 2018-01-15 2018-07-25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계학습을 이용한 양식장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04165B1 (ko) * 2018-01-15 2019-07-26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계학습을 이용한 양식장 통합관리 시스템
KR20190095152A (ko) * 2018-02-05 2019-08-14 주식회사 에코니티 양식장의 배출수 처리 및 순환여과 시스템
KR102318962B1 (ko) * 2018-02-05 2021-10-28 주식회사 에코니티 양식장의 배출수 처리 및 순환여과 시스템
CN108371134A (zh) * 2018-05-07 2018-08-07 柳州市中宏工程机械有限公司 可回收型智能化高密度水产养殖系统
CN108835008A (zh) * 2018-08-24 2018-11-20 凃东升 一种循环水养鱼装置及其系统
CN109156391A (zh) * 2018-11-07 2019-01-08 福海县海富特种鱼养殖有限责任公司 鱼卵培育系统
CN109430146B (zh) * 2018-12-21 2024-03-29 河北增硕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鱼菜共生养殖设备
CN109430146A (zh) * 2018-12-21 2019-03-08 河北增硕农业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鱼菜共生养殖设备
CN109845687A (zh) * 2019-04-18 2019-06-07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黑斑原鮡培育驯化的循环水养殖系统
CN109845687B (zh) * 2019-04-18 2024-01-09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黑龙江水产研究所 黑斑原鮡培育驯化的循环水养殖系统
CN110063278A (zh) * 2019-05-28 2019-07-30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可控温度和流速下测试鱼类耗氧率的装置及其工作方法
KR102448376B1 (ko) * 2019-12-30 2022-09-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익세균을 이용한 순환여과양식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210084914A (ko) * 2019-12-30 2021-07-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익세균을 이용한 순환여과양식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102203369B1 (ko) 2020-08-25 2021-01-14 피길연 순환 여과식 새우양식장
KR20220026459A (ko) 2020-08-25 2022-03-04 피길연 복수의 연속 여과부를 갖는 순환 여과식 정화장치
CN112021219B (zh) * 2020-10-26 2023-07-11 浙江海洋大学 一种光唇鱼怀卵量的提高方法
CN112021219A (zh) * 2020-10-26 2020-12-04 浙江海洋大学 一种光唇鱼怀卵量的提高方法
KR20220075694A (ko) 2020-11-30 2022-06-08 강원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순환여과시스템의 수처리 시스템
KR20220099626A (ko) 2021-01-07 2022-07-14 피길연 순환 여과식 새우양식장
CN113207787B (zh) * 2021-05-17 2024-05-17 华中农业大学 一种蜂巢式自动养殖系统及方法
CN113207787A (zh) * 2021-05-17 2021-08-06 华中农业大学 一种蜂巢式自动养殖系统及方法
KR20220161598A (ko) * 2021-05-27 2022-12-07 임수근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KR102647881B1 (ko) * 2021-05-27 2024-03-14 임수근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WO2022250230A1 (ko) * 2021-05-27 2022-12-01 신강수산영어조합법인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KR20230006266A (ko) * 2021-07-02 2023-01-10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KR102589312B1 (ko) 2021-07-02 2023-10-1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WO2023277646A1 (ko) * 2021-07-02 2023-01-0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KR20230125472A (ko) 2022-02-21 2023-08-29 주식회사 맑은바다 기능성 양식수조를 포함하는 순환 여과식 고밀도 양식 모듈
CN115486403A (zh) * 2022-09-05 2022-12-20 四川省常笑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高密度鱼类全自动养殖系统
CN116195544A (zh) * 2023-03-07 2023-06-02 中国海洋大学 一种消除噪音的水产养殖育苗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829B1 (ko)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KR102242705B1 (ko) 바이오플락 발효조와 아쿠아포닉스를 이용한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KR101782736B1 (ko) 집약적 순환 여과식 양식시스템
CN108439711A (zh) 一种工厂化海水养殖废水一体化处理净化系统及方法
CN101300965A (zh) 一种工厂化循环水水产养殖系统
CN101606506A (zh) 集约化的循环水养殖系统
KR102568440B1 (ko) 복수의 연속 여과부를 갖는 순환 여과식 정화장치
KR20170030682A (ko)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무환수 어류 양식 수조,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312542A (ja) 魚介類の循環濾過養殖装置
KR101444206B1 (ko) 팩키지형 생물여과기를 구비하는 양식장 사육수의 복합 수처리 시스템
US9380766B2 (en) Aquaculture system
CN108739617A (zh) 一种鲟鱼工厂化循环水养殖供水系统
KR101934267B1 (ko) 바이오플락시스템 유기고형물 제거장치
CN107459209A (zh) 一种循环水处理系统及一种养殖水循环净化方法
KR101754541B1 (ko) 바이오플락용 슬러지 연속분리제거장치
KR20150022312A (ko)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
KR101730409B1 (ko) 양만장용 수처리 시스템
CN104221946A (zh) 一种封闭式水产养殖苗种培育系统
KR101511948B1 (ko) 양어장의 물순환 시스템
KR101642663B1 (ko) 양식장용 위생 사육수조 시스템
CN112616769A (zh) 一种淡水工厂化养殖的水处理装置
KR20220057698A (ko)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KR20220075694A (ko)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순환여과시스템의 수처리 시스템
CN107509674A (zh) 一种智能工厂化生产养殖设备
KR20220099626A (ko) 순환 여과식 새우양식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