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266A -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266A
KR20230006266A KR1020210087275A KR20210087275A KR20230006266A KR 20230006266 A KR20230006266 A KR 20230006266A KR 1020210087275 A KR1020210087275 A KR 1020210087275A KR 20210087275 A KR20210087275 A KR 20210087275A KR 20230006266 A KR20230006266 A KR 20230006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unit
water
filtering
cir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312B1 (ko
Inventor
조성호
이상도
이원일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312B1/ko
Priority to PCT/KR2022/009508 priority patent/WO2023277646A1/ko
Publication of KR2023000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02F3/34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characterised by the enzymes us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중에서 순환여과 양식시설은 수조에서 배출된 순환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재순환 시스템과, 원수가 보충되도록 원수를 재순환 시스템에 공급하는 취수 시스템을 포함하고, 취수 시스템은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취수부와, 원수 취수부로부터 공급받은 원수에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원수 여과부와, 여과된 원수에서 소정 크기 범위의 파티클을 계측하는 파티클 카운터부와, 파티클 카운터부를 통해 소정 크기 범위의 파티클이 상기 원수에서 계측되면, 원수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미세 파티클을 여과하는 미세 파티클 여과부와, 파티클 카운터부 및 미세 파티클 여과부로부터 원수를 제공받아 살균하고, 살균된 원수를 재순환 시스템에 공급하는 원수 살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RECIRULATING AQUACULTURE SYSTEM AND METHOD THEREOF TREATING RAW WATER}
본 발명은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미세 플라스틱은 1㎛ ~ 5mm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을 일컫는다. 최근 들어, 미세 플라스틱은 사회적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미세 플라스틱의 해양투기로 인해, 미세플라스틱이 수산물의 먹이사슬을 통한 순환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생태계 파괴는 물론, 최종 소비자인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다.
최근 증가중인 육상 순환여과 양식시설에서는, 미세 플라스틱 외에 독성유기물이나 바이러스 등 유해물질에 노출되어 있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기수용 심정을 피압대수층 이하까지의 심도를 확보하는 방법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방법은 상대적인 공사비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부지여건상 심정의 심도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거나, 다른 형식의 취수설비(예: 방사형 집수정 + 수평착공정)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해수 중 유해물질 함유량은 증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미세 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하여 기타 수중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정화 처리할 수 있는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조에서 배출된 순환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재순환 시스템; 및 원수가 보충되도록 상기 원수를 상기 재순환 시스템에 공급하는 취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취수 시스템은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취수부; 상기 원수 취수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원수에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원수 여과부; 여과된 상기 원수에서 소정 크기 범위의 파티클을 계측하는 파티클 카운터부; 상기 파티클 카운터부를 통해 소정 크기 범위의 파티클이 상기 원수에서 계측되면, 상기 원수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미세 파티클을 여과하는 미세 파티클 여과부; 및 상기 파티클 카운터부 및 상기 미세 파티클 여과부로부터 원수를 제공받아 살균하고, 살균된 상기 원수를 상기 재순환 시스템에 공급하는 원수 살균부를 포함하는 순환여과 양식시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수 여과부는 상기 원수에서 20 ㎛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이물질이 여과된 원수를 상기 파티클 카운터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클 카운터부는 상기 원수에서 20 ㎛ 이하의 파티클을 계측한 후, 20 ㎛ 이하의 파티클이 상기 원수에서 계측되면, 상기 원수를 상기 미세 파티클 여과부에 공급하고, 상기 원수에서 20 ㎛ 이하의 파티클이 계측되지 않으면, 상기 원수를 상기 원수 살균부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파티클 여과부는 상기 파티클 카운터부에서 공급받은 상기 원수에서 0.01 ㎛ 이상의 미세 파티클을 여과한 후, 여과된 상기 원수를 상기 원수 살균부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순환 시스템은 상기 수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순환수에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순환수 여과부; 상기 순환수 여과부에서 여과된 상기 순환수를 생물학적으로 여과하는 바이오 필터부; 상기 바이오 필터부로부터 상기 순환수를 제공받아 살균하는 순환수 살균부; 살균된 상기 순환수의 CO2를 탈기하는 순환수 탈기부; 및 상기 순환수 탈기부에서 제공받은 상기 순환수에 산소를 공급한 후, 상기 수조에 재 순환시키는 순환수 산소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이오 필터부에서 배출된 순환수 중에서 탈질 및 탈인이 필요한 순환수를 상기 재순환 시스템에서 분리하여 탈질 처리 및 탈인 처리하는 수질 처리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 살균부는 살균된 상기 원수를 상기 재순환 시스템의 원수 탱크를 거쳐 상기 바이오 필터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질 처리 시스템은 탈질 처리 및 탈인 처리된 배출수를 상기 순환수 여과부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취수단계; 공급받은 상기 원수에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원수 여과 단계; 여과된 상기 원수에서 소정 크기 범위의 파티클을 계측하는 파티클 카운팅 단계; 소정 크기 범위의 파티클이 상기 원수에서 계측되면, 상기 원수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미세 파티클을 여과하는 미세 파티클 여과 단계; 및 상기 원수를 제공받아 살균하고, 살균된 상기 원수를 상기 재순환 시스템에 공급하는 원수 살균 단계를 포함하는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여과설비(UF membrane)를 순환여과 양식시설에 도입하여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하여 기타 수중 유해물질을 정화 처리함으로써, 안전한 먹거리로서의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수용 심정의 심도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해수 중 미세플라스틱 및 기타 유해물질의 차단이 어려운 여건에서 활용성이 높은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전체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에서, 여과설비(UF membrane)가 차지하는 비중(1.0% 미만)이 매우 작으므로, 경제적인 실효성이 있으며, 유입수질에 따라 연동운전이 가능하므로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수 여과부에서는 미세 파티클 여과부에 공급되기 전의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미리 여과 처리함으로써, 미세 파티클 여과부의 처리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역세척 주기를 늘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시설(10)은, 수조(101)에서 배출된 순환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재순환 시스템(100)과, 원수를 재순환 시스템(100)에 공급하는 취수 시스템(2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순환 시스템(100)은 원수 탱크부(102), 순환수 여과부(110), 바이오 필터부(120), 순환수 살균부(130), 순환수 탈기부(140) 및 순환수 산소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수 여과부(110)는 수조(101)로부터 순환수를 제공받아, 순환수에서 소정의 크기 이상(일 예로, 40 ㎛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수는 수조(101)에서 순환수 여과부(110), 바이오 필터부(120), 순환수 살균부(130), 순환수 탈기부(140) 및 순환수 산소공급부(150)를 거쳐, 다시 수조(101)로 순환되는 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순환수 여과부(110)는 순환수에 포함된 사료나 배설물을 여과할 수 있는 기계적인 필터(mechanical filter)일 수 있다. 순환수 여과부(110)를 통해 여과된 순환수는 바이오 필터부(120)로 이동될 수 있다. 순환수 여과부(110)에서 여과되지 않은 이물질은 외부로 슬러지로 배출된 후, 별도의 정화시설로 이동될 수 있다.
바이오 필터부(120)는 순환수 여과부(110)에서 여과된 순환수를 생물학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바이오 필터부(120)는 효소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독물이나 악취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여과기일 수 있다. 바이오 필터부(120)를 통해 여과된 순환수는 순환수 살균부(130)로 이동될 수 있다. 바이오 필터부(120)에서 여과되지 않은 독물이나 악취 물질은 외부로 슬러지로 배출된 후, 별도의 정화시설로 이동될 수 있다.
순환수 살균부(130)는 바이오 필터부(120)로부터 순환수를 제공받아 살균할 수 있다. 이 순환수 살균부(130)는 순환수 내 미생물에 물리적/화학적 자극을 가하여 미생물을 멸살(滅殺)시키는 살균장치일 수 있다. 순환수 살균부(130)를 통해 살균된 순환수는 순환수 탈기부(140)로 이동될 수 있다.
순환수 탈기부(140)는 순환수 살균부(130)에서 살균된 순환수의 CO2를 탈기(deaeration)할 수 있다. 순환수 탈기부(140)는 순환수에 용존하는 탄소, 탄산 가스, 암모니아 등의 기체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탈기장치일 수 있다. 순환수 탈기부(140)를 통해 CO2가 탈기된 순환수는 순환수 산소공급부(150)로 이동될 수 있다.
순환수 산소공급부(150)는 순환수 탈기부(140)에서 제공받은 순환수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순환수 산소공급부(150)는 순환수에 고순도의 산소를 공급하여 순환수 내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을 증가시킴으로써, 순환수 내 암모니아의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호기 성분의 증식을 도와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순환수 산소공급부(150)를 통해 산소를 공급받은 순환수는, 수조(101)로 이동될 수 있다.
취수 시스템(200)은 원수에서 미세 파티클(일 예로,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할 수 있고, 미세 파티클이 제거된 원수를 재순환 시스템(100)에 보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취수 시스템(200)은 원수 취수부(210), 원수 여과부(220), 파티클 카운터부(230), 미세 파티클 여과부(240) 및 원수 살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수 취수부(210)는 원수의 공급을 위한 급수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원수(raw water)는 인공적인 처리를 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물(담수, 해수 등)이므로, 원수에는 많은 종류의 이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원수 여과부(220)는 원수 취수부(210)로부터 공급받아, 원수에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원수 여과부(220)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기계적인 필터(mechanical filte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수 여과부(220)는 원수에서 20 ㎛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원수 여과부(220)는 이물질이 여과된 원수를 파티클 카운터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수 여과부(220)에서는 미세 파티클 여과부(240)에 공급되기 전의 원수로부터 20 ㎛ 이상의 이물질을 미리 여과 처리함으로써, 미세 파티클 여과부(240)의 처리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역세척 주기를 늘릴 수 있다.
파티클 카운터부(230)는 원수 여과부(220)로부터 공급받은 원수에서 소정 크기 범위의 파티클을 계측할 수 있다. 이때, 파티클 카운터부(230)가 계측할 수 있는 소정 크기 범위는 20 ㎛ 이하 범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티클 카운터부(230)의 detecting range는 2~750 ㎛일 수 있다. 파티클 카운터부(230)는 원수에서 20 ㎛ 이하의 파티클이 계측되면, 원수를 미세 파티클 여과부(240)에 공급하고, 원수에서 20 ㎛ 이하의 파티클이 계측되지 않으면, 원수를 원수 살균부(250)에 공급한다.
파티클 카운터부(230)에서 20㎛ 이하의 파티클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미세 파티클 여과부(240)의 휴지(休止)로 인한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아주 낮은 유동으로 소량의 원수를 처리하는 등의 운전방법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미세 파티클 여과부(240)는 파티클 카운터부(230)로부터 공급받은 원수에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미세 파티클을 여과할 수 있다. 일 예로, 미세 파티클 여과부(240)는 0.01 ㎛ 이상의 미세 파티클을 여과할 수 있는 UF 멤브레인 스키드(UF Membrane Skid)일 수 있다. 예컨대, 미세 파티클 여과부(240)는 파티클 카운터부(230)에서 공급받은 원수에서 0.01 ㎛ 이상의 미세 파티클을 여과한 후, 여과된 원수를 원수 살균부(250)에 공급할 수 있다.
원수 살균부(250)는 파티클 카운터부(230) 및 미세 파티클 여과부(240)로부터 원수를 제공받아 살균할 수 있다. 원수 살균부(250)는 원수 내 세균을 자외선(UV) 살균할 수 있는 UV 살균기((예시)조사량: 300 mJ/cm2)일 수 있다. 원수 살균부(250)를 통해 살균된 원수는 재순환 시스템(100)의 원수 탱크부(102)를 거쳐 바이오 필터부(12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시설(10)은, 재순환 시스템(100), 취수 시스템(200) 및 수질 처리 시스템(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였을 때, 순환여과 양식시설(10)에 수질 처리 시스템(300)이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들을 원용한다.
수질 처리 시스템(300)은 바이오 필터부(120)에서 배출된 순환수 중에서 탈질 및 탈인이 필요한 경우, 순환수를 재순환 시스템(100)에서 분리하여 탈질(De-nitrification) 처리 및 탈인(De-phosphorus) 처리할 수 있다.
수질 처리 시스템(300)은 순환수를 탈질 처리하는 탈질부(310)와, 탈질된 순환수를 탈인 처리하는 탈인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질부(310)는 질산염의 환원에 의해 순환수에서 질소를 분해할 수 있다. 예컨대, 탈질부(310)는 산화수에 포함된 유기질소 화합물을 질화작용을 통해 아질산을 거쳐 질산으로 변화하고, 혐기성의 작용을 받아 질소가스로 되어 탈질을 진행할 수 있다.
탈인부(320)는 순환수에서 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로, 탈인부(320)는 화학적 약품을 이용하여 순환수에서 인을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하거나, 미생물을 이용한 순환수에서 인을 생물학적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들 탈질부(310) 및 탈인부(32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되어 별도의 정화시설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20)은, 수조 내 순환수를 정화시키는 재순환 시스템에 원수를 정화 처리하여 보충할 수 있다. 이러한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20)은, 원수 취수단계(S110), 원수 여과 단계(S120), 파티클 카운팅 단계(S130), 미세 파티클 여과 단계(S140) 및 원수 살균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수 취수단계(S110)에서는, 원수의 급수원으로부터 원수가 공급될 수 있다. 원수는 인공적인 처리를 하지 않아 많은 종류의 이물질을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원수 여과 단계(S120)에서는, 급수원로부터 공급받은 원수에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이 원수 여과 단계(S120)에서는 원수에서 20 ㎛ 이상의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상기 파티클 카운팅 단계(S130)에서는, 20 ㎛ 이상의 이물질이 여과된 원수에서 소정 크기 범위의 파티클이 계측될 수 있다. 파티클 카운팅 단계(S130)에서, 20 ㎛ 이하의 파티클이 계측된 원수는 미세 파티클 여과 단계(S140)로 이동되고, 20 ㎛ 이하의 파티클이 계측되지 않은 원수는, 원수 살균 단계(S150)로 이동된다
상기 미세 파티클 여과 단계(S140)에서는, 20 ㎛ 이하의 파티클이 계측된 원수를 공급받아, 원수에서 0.01 ㎛ 이상의 미세 파티클을 여과한다. 0.01 ㎛ 이상의 파티클이 여과된 원수는 원수 살균 단계(S150)로 이동된다.
상기 원수 살균 단계(S150)에서는, 파티클 카운팅 단계(S130) 또는 미세 파티클 여과 단계(S140)를 거친 원수가 살균된다. 상기 원수 살균 단계(S150)에서 살균된 원수는 재순환 시스템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과설비를 순환여과 양식시설에 도입하여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하여 기타 수중 유해물질을 정화 처리함으로써, 안전한 먹거리로서의 가치를 확보할 수 있고,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전체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에서, 여과설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으므로, 경제적인 실효성이 있으며, 유입수질에 따라 연동운전이 가능하므로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원수 여과부에서는 미세 파티클 여과부에 공급되기 전의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미리 여과 처리함으로써, 미세 파티클 여과부의 처리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역세척 주기를 늘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순환여과 양식시설
100: 재순환 시스템 101: 수조
102: 원수 탱크부 110: 순환수 여과부
120: 바이오 필터부 130: 순환수 살균부
140: 순환수 탈기부 150: 순환수 산소공급부
200: 취수 시스템
210: 원수 취수부 220: 원수 여과부
230: 파티클 카운터부 240: 미세 파티클 여과부
250: 원수 살균부
300: 수질 처리 시스템
330: 탈질부 320: 탈인부

Claims (9)

  1. 수조에서 배출된 순환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재순환 시스템; 및
    원수가 보충되도록 상기 원수를 상기 재순환 시스템에 공급하는 취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취수 시스템은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취수부;
    상기 원수 취수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원수에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원수 여과부;
    여과된 상기 원수에서 소정 크기 범위의 파티클을 계측하는 파티클 카운터부;
    상기 파티클 카운터부를 통해 소정 크기 범위의 파티클이 상기 원수에서 계측되면, 상기 원수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미세 파티클을 여과하는 미세 파티클 여과부; 및
    상기 파티클 카운터부 및 상기 미세 파티클 여과부로부터 원수를 제공받아 살균하고, 살균된 상기 원수를 상기 재순환 시스템에 공급하는 원수 살균부를 포함하는,
    순환여과 양식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여과부는
    상기 원수에서 20 ㎛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이물질이 여과된 원수를 상기 파티클 카운터부에 제공하는,
    순환여과 양식시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클 카운터부는
    상기 원수에서 20 ㎛ 이하의 파티클을 계측한 후, 20 ㎛ 이하의 파티클이 상기 원수에서 계측되면, 상기 원수를 상기 미세 파티클 여과부에 공급하고, 상기 원수에서 20 ㎛ 이하의 파티클이 계측되지 않으면, 상기 원수를 상기 원수 살균부에 공급하는,
    순환여과 양식시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파티클 여과부는
    상기 파티클 카운터부에서 공급받은 상기 원수에서 미세 파티클을 여과한 후, 여과된 상기 원수를 상기 원수 살균부에 공급하는,
    순환여과 양식시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 시스템은
    상기 수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순환수에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순환수 여과부;
    상기 순환수 여과부에서 여과된 상기 순환수를 생물학적으로 여과하는 바이오 필터부;
    상기 바이오 필터부로부터 상기 순환수를 제공받아 살균하는 순환수 살균부;
    살균된 상기 순환수의 CO2를 탈기하는 순환수 탈기부; 및
    상기 순환수 탈기부에서 제공받은 상기 순환수에 산소를 공급한 후, 상기 수조에 재 순환시키는 순환수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는,
    순환여과 양식시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필터부에서 배출된 순환수 중에서 탈질 및 탈인이 필요한 순환수를 상기 재순환 시스템에서 분리하여 탈질 처리 및 탈인 처리하는 수질 처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순환여과 양식시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살균부는
    살균된 상기 원수를 상기 재순환 시스템의 원수 탱크를 거쳐 상기 바이오 필터부로 공급하는,
    순환여과 양식시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처리 시스템은
    탈질 처리 및 탈인 처리된 배출수를 상기 순환수 여과부에 공급하는,
    순환여과 양식시설.
  9. 수조 내 순환수를 정화시키는 재순환 시스템에 원수를 정화 처리하여 보충하는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취수단계;
    공급받은 상기 원수에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원수 여과 단계;
    여과된 상기 원수에서 소정 크기 범위의 파티클을 계측하는 파티클 카운팅 단계;
    소정 크기 범위의 파티클이 상기 원수에서 계측되면, 상기 원수로부터 소정의 크기 이상의 미세 파티클을 여과하는 미세 파티클 여과 단계; 및
    상기 원수를 제공받아 살균하고, 살균된 상기 원수를 상기 재순환 시스템에 공급하는 원수 살균 단계를 포함하는,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KR1020210087275A 2021-07-02 2021-07-02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KR10258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275A KR102589312B1 (ko) 2021-07-02 2021-07-02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PCT/KR2022/009508 WO2023277646A1 (ko) 2021-07-02 2022-07-01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275A KR102589312B1 (ko) 2021-07-02 2021-07-02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266A true KR20230006266A (ko) 2023-01-10
KR102589312B1 KR102589312B1 (ko) 2023-10-12

Family

ID=8469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275A KR102589312B1 (ko) 2021-07-02 2021-07-02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9312B1 (ko)
WO (1) WO202327764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620A (ko) * 1996-07-30 1999-04-15 신지 모리무라 물고기양식장치
KR100969829B1 (ko) * 2009-09-09 2010-07-20 대한민국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KR20190095152A (ko) * 2018-02-05 2019-08-14 주식회사 에코니티 양식장의 배출수 처리 및 순환여과 시스템
KR20190095151A (ko) * 2018-02-05 2019-08-14 주식회사 에코니티 분리막 기술을 적용한 양식장 사육수 처리 시스템
KR102051029B1 (ko) * 2019-07-04 2019-12-03 주식회사 현진기업 수온조절과 바이러스살균이 가능한 양어시설공급용 물 공급시스템
KR102074613B1 (ko) * 2019-06-28 2020-02-06 조희룡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7491B2 (ja) * 2018-09-27 2022-02-08 水ing株式会社 被処理水の白濁浄化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620A (ko) * 1996-07-30 1999-04-15 신지 모리무라 물고기양식장치
KR100969829B1 (ko) * 2009-09-09 2010-07-20 대한민국 고밀도 어류 양식 시스템
KR20190095152A (ko) * 2018-02-05 2019-08-14 주식회사 에코니티 양식장의 배출수 처리 및 순환여과 시스템
KR20190095151A (ko) * 2018-02-05 2019-08-14 주식회사 에코니티 분리막 기술을 적용한 양식장 사육수 처리 시스템
KR102074613B1 (ko) * 2019-06-28 2020-02-06 조희룡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KR102051029B1 (ko) * 2019-07-04 2019-12-03 주식회사 현진기업 수온조절과 바이러스살균이 가능한 양어시설공급용 물 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312B1 (ko) 2023-10-12
WO2023277646A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Jager et al. Colour removal from textile wastewater using a pilot-scale dual-stage MBR and subsequent RO system
KR101371220B1 (ko) 멤브레인 반응조를 이용한 폐수의 질소와 유기물 동시 제거 방법
KR101687571B1 (ko) 정수특성에 맞는 선택적 및 조립식 간이정수장치
CN101781048B (zh) 一种低氨氮废水的处理与回收方法
JP2019068772A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JP2001191086A (ja) 水処理装置
CN107585970A (zh) 一种工业反渗透浓水中难降解有机物深度处理的工艺
JP5444684B2 (ja) 有機排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5259311B2 (ja) 水処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水処理システム
KR102589312B1 (ko) 순환여과 양식시설 및 순환여과 양식시설의 원수처리방법
JPH07124593A (ja) 高度浄水処理方法
Nikoonahad et al. Evaluation of a novel integrated membrane biological aerated filter for water reclamation: A practical experience
CN103951141B (zh) 一种垃圾渗滤液处理工艺及处理装置
KR100711259B1 (ko) 정화처리 장치
KR102380257B1 (ko) 분리막 기술을 적용한 양식장 사육수 처리 시스템
KR101054613B1 (ko) 생물처리공정과 막분리공정이 결합된 단일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재활용수 생산장치
KR100497771B1 (ko) 간이정수처리시스템
EP0737650A2 (en) Method and plant for treating water for drinking or for industrial use
KR200228702Y1 (ko) 음용수 제조장치
NL2027905B1 (en) A method for producing tailored quality water.
KR200362737Y1 (ko) 수처리장치
KR102029958B1 (ko) 고도산화처리(aop) 해수순환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수순환여과방법
KR100657407B1 (ko) 폐수 또는 하수처리장치
JP6944459B2 (ja) 酸化による廃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331371Y1 (ko) 간이정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