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927A -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927A
KR20220160927A KR1020210069191A KR20210069191A KR20220160927A KR 20220160927 A KR20220160927 A KR 20220160927A KR 1020210069191 A KR1020210069191 A KR 1020210069191A KR 20210069191 A KR20210069191 A KR 20210069191A KR 20220160927 A KR20220160927 A KR 20220160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hain link
hole
sludge collector
mol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운
김희성
홍모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기술
Priority to KR102021006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0927A/ko
Publication of KR2022016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F16G13/07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the links being of identical shape, e.g. cran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를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여 침전조 내부를 회전시키는 체인 어셈블리에 마련되는 복수의 체인 링크에 있어서, 각 체인 링크는 그 길이방향 양단부에 좌우로 관통 마련되는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갖는 몰드부와, 몰드부의 양측벽 중 적어도 일측에 돌출 마련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A Variable Type Chain Link for Sludge Collector and Chain Assembly connecting it with Chain Link}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인장력 비금속 체인 플라이트의 체인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체인 링크 및 이 체인 링크로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등에는 침전조 바닥에 가라앉은 슬러지와 수면의 스컴을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침전조 상부에 마련되는 모터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스프라켓과, 스프라켓들을 연결하는 무한궤도 체인과, 체인에 설치되어 침전조 바닥의 슬러지는 긁어모아 배출하고 상부의 스컴은 밀어내어 배출하는 플라이트와, 플라이트를 안내하는 레일 등을 포함한다.
슬러지 수집기는 장시간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특성상 상술한 부품들 중 일부는 마모 시 교체가 필요하며, 이를 지체할 경우 부품 파손으로 인해 슬러지 수집기의 운전이 전면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슬러지 수집기의 가동 정지는 인적 및 물적 손실로 연계될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의 현저한 저하로 이어지므로, 결국 처리장의 관리 운영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슬러지 수집기에서는 예를 들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이 연속구동으로 인해 마모되거나 장비의 노후 또는 슬러지의 과부하 등으로 인해 종종 단락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구동체인이 단락되면 슬러지 수집기는 자동 정지되고 단락된 구동체인은 침전조의 바닥으로 떨어진다. 구동체인의 인양을 위해서는 침전조의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는 설비 운영 중단에 따른 손실, 처리수 배수에 따른 인적, 물적 손실 등 다양한 손실을 발생시킨다.
또한, 플라이트를 이동시키는 무한궤도 체인은 연속구동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마모 및 연신되면서 전체 길이가 길어져 모터의 회전력을 플라이트에 충분히 전달하지 못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심한 경우 회전 중 스프라켓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48763호(2016.08.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는 사용 중 체인 링크가 스프라켓에 감겨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는 슬러지 수집기에 사용되는 체인 링크의 강도를 높이면서도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시 발생하는 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를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여 침전조 내부를 회전시키는 체인 어셈블리에 마련되는 복수의 체인 링크에 있어서, 각 체인 링크는 그 길이방향 양단부에 좌우로 관통 마련되는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갖는 몰드부와, 몰드부의 양측벽 중 적어도 일측에 돌출 마련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체인 링크는 상기 몰드부의 제1관통공 또는 제2관통공에 결합하는 하나의 체인축을 통해 다른 체인 링크와 이웃하며, 상기 하나의 체인축을 통해 이웃하는 한 쌍의 체인 링크는 상기 돌기부에 의해 서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제2관통공의 중심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마련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부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둘러싸는 부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부쉬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부쉬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부는 그 길이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며 횡방향 단면이 요홈 형태를 갖는 보빈홈과, 상기 보빈홈에 길이 방향을 따라 권취되는 원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부의 보빈홈은 양측면이 바닥에서 끝단으로 계단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부의 보빈홈은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원사부의 적층 방향으로 눈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부의 인장 강도는 상기 원사부의 인장 강도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상기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는 내측 체인 링크와 외측 체인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체인 링크와 외측 체인 링크는 상기 제1관통홀 또는 제2관통홀에 결합하는 하나의 체인축 좌우에 각각 교호로 배치 마련되는 체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내측 체인 링크의 외측 또는 상기 외측 체인 링크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는 체인 링크에 돌기부가 마련되어 체인축을 통해 연결된 이웃하는 체인 링크가 일정 각도 이상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체인 링크가 스프라켓에 과도하게 감겨 파손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원사부와, 원사부가 권취되는 합성수지재의 몰드부가 함께 단위 체인 링크를 형성하기 때문에 인장 강도, 비틀림 강도, 전단 강도 등은 높이면서도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제조 중에 발생하는 원자재의 손실 및 절단 중 발생하는 분진 등을 유발하지 않는다. 특히, 몰드부의 인장 강도를 원사부의 인장 강도보다 낮게 마련함으로써, 체인 링크의 크랙이나 파손으로 인해 설비 운전이 정지되기 전에 미리 발견하여 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체인 어셈블리가 사용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체인 어셈블리가 사용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체인 어셈블리가 사용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체인 어셈블리가 사용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횡방향 절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의 일부 절개 사시도 및 체인 링크의 보빈홈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기부를 포함하는 체인 링크를 연결한 체인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를 연결한 체인 어셈블리 및 스프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기부를 포함하는 체인 링크를 연결한 체인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가 적용되는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슬러지 수집기의 측면도이고, 도 3는 슬러지 수집기의 평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수집기는 원수가 유입되는 침전조(5)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프라켓(10)과, 스프라켓(10)에 무한궤도 형태로 권취되며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본체용체인(20)과, 본체용체인(20)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슬러지 및 스컴을 수집하는 플라이트(30)와, 플라이트(3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40)을 포함한다.
슬러지 수집기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침전조(5) 내에 일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본체용체인(20)에 마련된 플라이트(30)를 이용하여, 침전조 바닥에 쌓이는 슬러지는 바닥 한편에 마련되는 배출구(6)으로 밀어 이동시키며, 수면에서 부유하는 스컴은 배출구(6)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스키머(7)까지 플라이트(30)로 밀어 이동시킴으로써 외부로 배출한다.
스프라켓(10)은 본체용체인(20)이 걸리며 모래나 각종 이물질에 쓸리더라도 마모에 대해 내구력이 높은 고강도 합성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스프라켓(10)은 구동모터(8)의 회전축과 구동체인(9)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라켓(11)과, 구동스프라켓(11)과 본체용체인(20)으로 연결되어 침전조(5) 전체에 플라이트(30)가 순환 회전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아이들 스프라켓(12)을 포함한다.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는 본체용체인(20)을 양단에서 수평 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라켓(11,12)도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며 스프라켓축(13)을 이용하여 동시에 회전한다.
본체용체인(20)은 타원 형상의 체인 링크(도 4의 21)를 다수개 연결하여 마련되며, 플라이트(30)는 바 형태로 마련되어 좌우 한 쌍의 본체용체인(20)에 양측이 지지된다. 플라이트(30)는 본체용체인(20)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침전조(5) 하부에서는 슬러지를 수집하고 상부에서는 스컴을 수집하여 일방향으로 밀어낸다. 본체용체인(20)과 플라이트(30)에 대해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레일(40)은 본체용체인(20)을 따라 이동하는 플라이트(30)와 접촉하여 플라이트(30)의 파손 및 마모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라이트(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다. 레일(40)은 침전조(5)의 바닥에 마련되는 바텀 레일(42)과, 침전조(5)의 상측에 마련되는 리턴 레일(44)을 포함한다. 바텀 레일(4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용체인(20)의 하측 구체적으로 직하 방향에 마련되며, 리턴 레일(44)은 본체용체인(20)의 바깥쪽에 마련된다. 따라서, 좌우 리턴 레일(44) 사이의 간격은 바텀 레일(42)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마련된다. 리턴 레일(44)은 침전조(5)의 측벽에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고정구(46)에 의해 지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가 채용되어 있는 본체용체인(이하, 체인 어셈블리라고도 함) 및 플라이트를 일부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 어셈블리(20)는 타원 형상의 체인 링크(21, 100)를 다수개 연결하여 마련된다. 각 체인 링크(21)에는 타원형의 내측 양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되는 관통공에 체인축(23)이 각각 결합하며, 이 체인축(23)을 중심으로 체인 링크가 2열씩 내측과 외측, 외측과 내측으로 교호로 순차 배치되어 전후로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나의 체인축(23)에는 전방 체인 링크(21A)와 후방 체인 링크(21B)가 전후로 그리고 좌우 2열로 연결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체인 링크(21A와 21A', 21B와 21B') 사이의 체인축(23)에는 그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체인축(23)과 상대 회전하기 위한 롤러(25)가 마련될 수 있다. 체인축(23)의 양 끝단에는 체인핀(26)이 체결되어 체인 링크(21)의 분리 이탈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의 체인 어셈블리(20)는 이와 같이 복수개의 체인 링크가 회전 방향과 나란하게 연속 연결됨으로써, 루프 타입의 체인을 형성한다. 보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한편, 플라이트(30)는 상하면을 이루는 써포트(31,32)와, 써포트 사이에서 측벽을 이루는 컬럼(33)을 구비한다. 써포트(31,32)와 컬럼(33)은 길이가 10m에 이르는 플라이트(3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구조이며, 내부에는 다른 보강부재로서 써포터(34)가 충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이트(30)는 어태치먼트(35)를 이용하여 체인 어셈블리(20)에 설치될 수 있다. 어태치먼트(35)는 'ㄱ'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은 체인 링크 외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플라이트(30)에 결합된다. 또한, 플라이트(30)는 체인 어셈블리(20)를 따라 이동 시 마찰력을 줄여 파손 및 마모를 저감시키기 위해 바텀슈(50)와, 리턴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슈(50)와 리턴슈는 침전조(5)에 마련되는 레일(42,44) 위를 미끄럼 이동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롤러 형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횡방향 절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체인 링크(21)를 단위 체인 링크(100)의 일례로서 설명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100 또는 21)는 일단부에 그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관통 마련되는 제1관통공(111)을 구비하고, 타단부에 그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관통 마련되는 제2관통공(112)을 갖는 몰드부(110)를 포함한다.
제1관통공(111)과 제2관통공(112)에는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체인축(23)이 관통 결합하며, 이를 통해 전후로 복수의 체인 링크(21A, 21B, 21A', 21B')가 서로 연결되어 체인 어셈블리(20)를 형성한다.
또한, 제1관통공(111)과 제2관통공(112)에는 제1부쉬(113)와 제2부쉬(114)가 각각 마련되어 몰드부(110)와 체인축(23)의 결합 시 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부쉬(113)와 제2부쉬(114)가 몰드부(110)에 일체로 성형 가공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어 몰드부에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부(110)의 제1관통공(111)과 제2관통공(112) 사이에는 체인 링크의 중량 감소 및 제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슬릿(115)이 마련될 수 있다. 슬릿(115)은 도시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크기와 개수로 좌우측을 관통하거나 또는 측면으로부터 함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몰드부(110)는 또한, 타원 형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빈홈(116)을 구비할 수 있다. 보빈홈(116)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 단면으로 보면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요홈 형태를 갖는다.
보빈홈(116)에는 몰드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리섬유(F)로 이루어진 원사부(120)가 권취된다. 열경화성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F)는 권취장치(미도시)에 의해 보빈홈(116)에 감겨지며, 이 후 몰드부(110)가 가열로(미도시)에 넣어져 일정 시간 경화되면서 하나의 단위 체인 링크(100)로 제조된다.
종래의 체인 링크는 유리섬유를 내부 금형에 일정 사선 방향으로 권취한 후 경화시키고, 경화된 체인 링크를 실사용되는 단위 체인 링크 크기로 횡방향(두께방향)으로 각각 절단하여 완성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단위 체인 링크의 절단면에서 단선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 횡방향의 인장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단선량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므로 제품의 성능 편차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제조 방식은 절단 시 유실되는 잔재 및 환경 유해 물질인 분진 등이 많이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예의 단위 체인 링크(100)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몰드부(110)에 유리섬유 원사부(120)를 보강재로 사용하면, 인장 강도는 물론 비틀림, 전단 강도도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절단으로 인해 유실되는 잔재 및 분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적인 면에서도 훨씬 우수하다. 또한, 원사부(120)는 보빈홈(116)에 길이방향으로 적정량이 감겨지면서 중간에 단선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품 성능이 편차 없이 균일해진다.
또한, 도 7의 (a)에 도시한 다른 실시 예와 같이 몰드부(110)의 보빈홈(116)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는 눈금부(117)가 마련될 수 있다. 단위 체인 링크(100')는 설치 장소에 따라 요구되는 스펙 예를 들어, 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눈금부(117)를 통해 몰드부에 권취되는 유리섬유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과잉 생산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의 (b)에 확대 도시한 다른 실시 예와 같이 보빈홈(116)은 양측면이 계단형으로 단차진 단차면(11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보빈홈(116)의 양측면은 바닥면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양단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면(118)을 갖는 단위 체인 링크(100")는 상기 눈금부(117)와 마찬가지로, 설치 스펙에 따라 유리섬유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몰드부(110)는 양측벽 중 적어도 일측벽에 이웃하는 체인 링크 간의 과도한 꺾임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119)를 포함한다. 즉, 돌기부(119)는 하나의 체인축을 중심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체인 링크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접히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한다.
돌기부(119)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 예의 단위 체인 링크(100, 100', 100")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1관통공(111)과 제2관통공(112)에 인접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돌기부(119)는 길이방향으로 몰드부(110)의 제1관통공(111)과 제2관통공(112) 사이에 몰드부 몸체에 마련되는 동시에, 몰드부(110)의 길이방향 중심선(X)으로부터 이격된 몰드부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몰드부(110)의 좌우 양측벽에 각각 네 개의 돌기부(119)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일측벽에 어느 한 방향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만, 체인 어셈블리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체인 링크(100A)의 내측 돌기부(119)는 스프로켓과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체인 링크(100B)도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돌기부(119)는 인접한 제1관통공(111) 또는 제2관통공(112)의 중심에 대해 대향하는 경사면(119a)을 포함한다. 경사면(119a)은 일례로, 인접한 제1관통공(111) 또는 제2관통공(112)의 중심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19a)에는 제1관통공(111) 또는 제2관통공(112)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체인 링크의 가장자리가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체인축(23)에 대해 내측 체인 링크(100A)와 외측 체인 링크(100B)가 이웃하고 있는 경우, 내측 체인 링크(100A)의 외측에 마련된 돌기부(119)에 외측 체인 링크(100B)의 가장자리 즉, 보빈홈(116)의 일측벽이 접촉되면서 두 체인 링크(100A, 100B) 상대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내측 체인 링크(100A)의 외측에 마련된 돌기부(119)에 외측 체인 링크(100B)가 걸리는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로 외측 체인 링크(100B')의 내측에 마련된 돌기부(119)에 내측 체인 링크(100A)가 걸릴 수도 있다. 또는 상술한 두 경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경사면(119a)은 제1관통공(111) 또는 제2관통공(112)을 통해 이웃하는 한 쌍의 단위 체인 링크 사이의 각도(
Figure pat00001
)가 130° 미만이 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웃하는 한 쌍의 단위 체인 링크(100A, 100B)는 체인축(23)의 수평 중심선(X)에 대해 ±50°를 넘지 않도록 회동폭이 제한될 수 있다. 한 쌍의 체인 링크 사이의 각도(θ)가 130°이하가 되면, 연속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가 스프라켓을 통과하면서 과도한 꺾임으로 인해 파손될 수 있다.
도 9는 일반적인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것으로, 스프라켓(10, 11)을 통과하고 있는 체인 어셈블리(20)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조에 설치 구동되는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어셈블리(20)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내부의 마모 및 연신으로 인해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이를 방치할 경우 스프라켓(10)에 끼여 빠지지 않으면서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체인 링크(100)를 연결한 체인 어셈블리(20)는 돌기부(119)에 의해 체인 어셈블리(20)가 바깥쪽으로 일정 각도 이상 과도하게 꺾이지 않는다. 따라서, 체인 어셈블리(20)는 스프라켓(10)의 홈에 끼이더라도 필요 이상으로 회전 방향으로 끌어당겨지지 않기 때문에, 스프라켓(10)에 과도하게 감기면서 파손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기부를 갖는 체인 링크(2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일 실시 예(100)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200)는 일 실시 예의 체인 링크(100)와 마찬가지로, 몰드부(210)가 제1관통공(211) 및 제2관통공(212)과, 슬릿(215) 및 보빈홈(216)을 포함한다. 또한, 체인 링크(200)는 제1관통공(211)과 제2관통공(212) 주위에 관통공을 둘러싸는 부쉬(213, 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돌기부(2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쉬(213, 214)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돌출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복수의 부쉬(213, 214) 및 돌기부(219)가 관통공 주위에 하나의 부재로서 동일하게 돌출 마련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부쉬(213, 214)가 관통공 주위에 링 형태로 일체 또는 분리 마련되고, 링 형상의 부쉬 상에 소정 간격으로 돌기부(219)가 돌출 마련되는 형태이거나 또는 다단 형태로 마련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체인축(23)에 대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체인 링크(200)들은 상호 대향하는 돌기부(219)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차하면서 맞물리게 됨으로써, 소정 각도 이상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돌기부(219) 사이의 배치 각도는 시공되는 침전 설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및 수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몰드부(110)의 인장 강도는 원사부(120)의 인장 강도보다 낮게 마련된다. 체인 링크에 외력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경우, 인장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몰드부(110)는 원사부(120)에 앞서 작용한 외력에 의해 크랙(C)이 발생하거나 파단되며, 이는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시행되는 설비 점검 중에 육안으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즉, 몰드부(110)가 파손되더라도 원사부(120)가 체인 링크의 강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관리 중 파손 징후나 증상만 있는 부품만 교환함으로써 체인 어셈블리의 단락이나 궤도 이탈로 인한 설비의 운전 정지라는 최악의 상황을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5..침전조 10..스프라켓
12..아이들 스프라켓 20..본체용체인(체인 어셈블리)
23..체인축 30..플라이트
40..레일 21,21A,21B,100..체인 링크
110..몰드부 111..제1관통공
112..제2관통공 113..제1부쉬
114..제2부쉬 115..슬릿
116..보빈홈 117..눈금부
118..단차면 119..돌기부
120..원사부 F..유리섬유

Claims (11)

  1.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를 소정 간격으로 연결하여 침전조 내부를 회전시키는 체인 어셈블리에 마련되는 복수의 체인 링크에 있어서,
    각 체인 링크는
    그 길이방향 양단부에 좌우로 관통 마련되는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갖는 몰드부와,
    상기 몰드부의 양측벽 중 적어도 일측에 돌출 마련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2. 제1항에 있어서,
    각 체인 링크는 상기 몰드부의 제1관통공 또는 제2관통공에 결합하는 하나의 체인축을 통해 다른 체인 링크와 이웃하며,
    상기 하나의 체인축을 통해 이웃하는 한 쌍의 체인 링크는 상기 돌기부에 의해 서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이 방지되는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관통공 또는 제2관통공의 중심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마련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둘러싸는 부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부쉬에 마련되는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부쉬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그 길이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며 횡방향 단면이 요홈 형태를 갖는 보빈홈과, 상기 보빈홈에 길이 방향을 따라 권취되는 원사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의 보빈홈은 양측면이 바닥에서 끝단으로 계단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슬러지 수지기용 체인 링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의 보빈홈은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원사부의 적층 방향으로 눈금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의 인장 강도는 상기 원사부의 인장 강도보다 낮게 마련되는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10. 제1항 내지 제3항, 제 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마련되는 상기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는 내측 체인 링크와 외측 체인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체인 링크와 외측 체인 링크는 상기 제1관통홀 또는 제2관통홀에 결합하는 하나의 체인축 좌우에 각각 교호로 배치 마련되는 체인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내측 체인 링크의 외측 또는 상기 외측 체인 링크의 내측에 마련되는 체인 어셈블리.
KR1020210069191A 2021-05-28 2021-05-28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 KR20220160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191A KR20220160927A (ko) 2021-05-28 2021-05-28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191A KR20220160927A (ko) 2021-05-28 2021-05-28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927A true KR20220160927A (ko) 2022-12-06

Family

ID=8440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191A KR20220160927A (ko) 2021-05-28 2021-05-28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09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763B1 (ko) 2014-12-30 2016-08-18 박기운 구동체인 단락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763B1 (ko) 2014-12-30 2016-08-18 박기운 구동체인 단락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3334B1 (en) Rubber crawler
KR101778733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CN101605690B (zh) 橡胶履带
KR100913421B1 (ko) 비금속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PH12012000165A1 (en) Sludge collector
EP0672013B1 (de) Antriebs- und führungseinrichtung für stetigförderer
PT1777189E (pt) Sistema de meios de suporte com roda de tracção e meio de suporte, bem como instalação de elevador com um tal sistema de meios de suporte
KR20220160927A (ko)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
US20050279611A1 (en) Actuating device for a moving sidewalk
US6634975B2 (en) Flexible drive ring belt
KR101540966B1 (ko) 고인장력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102107233B1 (ko) 슬러지 수집기용 가변 부시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
AU2002235458A1 (en) Flexible driving ring belt
EP0479124B1 (en) Transmission chain structure
KR102107232B1 (ko) 체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US3038590A (en) Fluted tail pulley
KR102044386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US20070161446A1 (en) Plate-link chain
KR20210116035A (ko)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링크 및 이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체인 어셈블리
KR102057484B1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KR20210035999A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JP2018130667A (ja) 汚泥掻寄機
KR102107231B1 (ko)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JP3129322B2 (ja) 連続的に可変の円錐形プーリ駆動装置用の伝動チエン
KR20200043899A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