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548A - 전지 셀, 전지 및 전력 소비 장치 - Google Patents

전지 셀, 전지 및 전력 소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548A
KR20220160548A KR1020227029811A KR20227029811A KR20220160548A KR 20220160548 A KR20220160548 A KR 20220160548A KR 1020227029811 A KR1020227029811 A KR 1020227029811A KR 20227029811 A KR20227029811 A KR 20227029811A KR 20220160548 A KR20220160548 A KR 20220160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in body
insulating plate
battery cell
en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웨이 첸
웬린 조우
시앙얀 부
신시앙 첸
펭 왕
하이즈 진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6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5Window-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원은 전지 셀, 전지 및 전력 소비 장치를 개시한다. 본원의 실시예의 전지 셀은 개구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본체부 및 본체부로부터 돌출된 탭부를 포함하는 전극 유닛; 하우징에 연결되어 개구를 덮는 엔드캡 어셈블리; 및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제1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절연 부재는 본체부의 엔드캡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일측에 설치되며 본체부에 부착되는 제1 절연판을 포함한다. 제1 절연 부재는 하우징으로부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절연 격리시켜, 하우징 내에 잔류하는 입자가 본체부의 분리 부재를 천공하더라도 제1 절연 부재는 본체부 중의 전극 시트가 하우징과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단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제1 절연판은 입자를 차단할 수도 있어, 본체부 내부로 떨어지는 입자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지 셀, 전지 및 전력 소비 장치
본원은 2021년 05월 27일에 제출된 발명의 명칭이 “전지 셀, 전지 및 전력 소비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2121164665.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전부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원은 전지 분야, 특히 전지 셀, 전지 및 전력 소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지 셀은 휴대폰, 노트북, 전지 자동차, 전기 자동차, 전기 비행기, 전기 선박, 전기 장난감 자동차, 전기 장난감 선박, 전기 장난감 비행기 및 전동 공구 등과 같은 전자 기기에 널리 사용된다. 전지 셀은 니켈 카드뮴 전지 셀, 니켈 수소 전지 셀, 리튬 이온 전지 셀, 이차 알칼리 아연 망간 전지 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지 셀의 성능 향상과 더불어 안전성 문제도 무시할 수 없는 문제이다. 전지 셀의 안전성 문제를 보장할 수 없는 경우, 전지 셀은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전지 셀의 안전성을 어떻게 높일 것인가는 전지 기술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이다.
본원은 단락 위험을 줄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지 셀, 전지 및 전력 소비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서, 본원은 전지 셀을 제공하는 바, 해당 전지 셀은,
개구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본체부 및 본체부로부터 돌출된 탭부를 포함하는 전극 유닛;
하우징에 연결되어 개구를 덮는 엔드캡 어셈블리; 및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제1 절연 부재; 를 포함하고,
제1 절연 부재는 본체부의 엔드캡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일측에 설치되며 본체부에 부착되는 제1 절연판을 포함한다.
상기 해결책에서, 본원은 제1 절연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하우징으로부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절연 격리시켜, 하우징 내에 잔류하는 입자가 본체부의 분리 부재를 천공하더라도 제1 절연 부재는 본체부 중의 전극 시트가 하우징과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단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제1 절연판은 본체부의 엔드캡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단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으며, 이로 하여 입자를 차단함으로써 입자가 본체부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감소시켜 단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제1 절연 부재는 본체부에 부착된 제1 절연판을 통해 본체부에 연결되므로, 전극 유닛과 제1 절연 부재를 미리 조립한 후 전극 유닛과 다른 부재를 조립할 수 있어, 제1 절연 부재는 조립 과정에서 전극 유닛를 보호할 수 있고, 전극 유닛에 외부 이물질이 부착될 위험을 줄여 전지 셀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판은 본체부의 탭부가 인출되는 면에 부착된다. 본체부의 탭부를 인출하는 면에는 간극이 있으며, 본원의 실시예의 제1 절연판은 본체부의 표면의 간극을 덮을 수 있어, 입자가 본체부로 들어가는 위험을 줄이고, 전지 셀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판은 절연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고, 접착층은 절연층의 본체부와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어 본체부에 접착된다. 접착 연결 방식은 조작이 간편하여 제1 절연 부재와 전극 유닛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판은 복수 개 설치되고, 복수의 제1 절연판은 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복수의 제1 절연판은 제1 절연 부재와 본체부의 연결 면적을 증가시키고, 제1 절연 부재와 본체부 사이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제1 절연판은 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제1 절연 부재와 본체부 사이의 작용력을 보다 균일하게 하고 응력 집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 부재는 본체부의 제1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제2 절연판; 및 본체부의 제2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2개의 제2 절연판을 연결시키는 2개의 제3 절연판을 더 포함한다. 제2 절연판의 엔드캡 어셈블리에 가까운 단부에는 제1 절연판이 연결되고, 및/또는 제3 절연판의 엔드캡 어셈블리에 가까운 단부에는 제1 절연판이 연결된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각각 엔드캡 어셈블리의 두께 방향에 수직된다. 2개의 제2 절연판은 제1 방향에서 본체부와 하우징을 분리시키고, 2개의 제3 절연판은 제2 방향에서 본체부와 하우징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절연판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제1 부분은 하나의 제2 절연판과 일체로 설치되고, 제2 부분은 다른 하나의 제2 절연판과 일체로 설치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제2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중첩 영역에서 연결되며, 및/또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모두 본체부에 접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 부재는 본체부의 제1 절연판과 반대되는 일측에 위치하며 2개의 제2 절연판을 연결시키는 제4 절연판을 더 포함하고, 제1 절연판과 제4 절연판은 제3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1 방향,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은 서로 교차된다. 제4 절연판은 하우징의 엔드캡과 마주하는 바닥벽을 본체부와 절연 및 분리시켜 단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4 절연판은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고, 제3 부분은 하나의 제2 절연판과 일체로 설치되고, 제4 부분은 다른 하나의 제2 절연판과 일체로 설치된다. 제3 부분과 제4 부분은 제3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제3 부분과 제4 부분은 중첩 영역에서 연결되며, 및/또는 제3 부분과 제4 부분은 모두 본체부에 접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엔드캡 어셈블리는 개구를 덮는 엔드캡, 엔드캡에 장착되는 전극 단자 및 엔드캡의 전극 유닛과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하는 제2 절연 부재를 포함한다. 제2 절연 부재의 본체부와 마주하는 일측에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제1 오목부는 탭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집전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절연판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절연 부재와 본체부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해결책에서, 제1 오목부는 탭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집전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어, 전극 유닛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절연 부재는 제1 절연판을 일측에서 가압하여 제1 절연판이 본체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제1 절연판과 본체부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고, 제1 절연판이 본체부로부터 이탈될 위험을 줄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절연 부재의 본체부와 반대되는 일측의 제1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 볼록부가 형성되고, 엔드캡의 본체부와 마주하는 일측에는 제2 오목부가 형성되며, 제2 오목부는 제1 볼록부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제1 볼록부는 제1 오목부가 설치되는 제2 절연 부재의 위치에서 보강 역할을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제1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제1 오목부를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한 함몰시켜 제1 오목부의 오목 깊이를 증가시킨다. 제1 볼록부는 제2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제2 절연 부재가 차지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전극 유닛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전지 셀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판의 양면은 각각 제2 절연 부재 및 본체부에 접착되어, 제1 절연판이 제2 절연 부재와 본체부 사이에서 이탈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제2 양태에서, 본원은 전지를 제공하는 바, 해당 전지는 박스 바디 및 제1 양태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을 포함하고, 전지 셀은 박스 바디 내에 수용된다.
제3 양태에서, 본원은 전력 소비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전력 소비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제2 양태의 전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지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지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지 셀의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의 전극 유닛 및 제1 절연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절연 부재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부 실시예의 전지 셀의 제1 절연 부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절연 시트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부 실시예의 전지 셀의 제1 절연 부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절연 시트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사각형틀 A에서의 전지 셀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면은 반드시 실제 축척으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본원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원의 일부 실시예로서, 전부의 실시예가 아니다. 본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력 없이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별도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는 본원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며, 본원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원의 명세서와 청구의 범위 및 상기 도면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포함”, "구비” 및 그들의 모든 변형은 배타적이 아닌 포함을 포괄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의 명세서와 청구의 범위 또는 상기 도면에 있어서의 용어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의 순서 또는 주종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실시예”는 실시예에 결부하여 설명되는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의 각 위치에 나타나는 해당 어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예와 서로 배타적인 별개의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도 아니다.
본원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별도의 명확한 규정과 한정이 없는 한, "장착”, "서로 연결”, "연결” 및 "부착”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고, 예를 들어 고정 연결 또는 착탈 가능한 연결일 수 있으며, 또는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고,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두 요소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원에서의 상기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본원에 있어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세가지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는 일반적으로 앞뒤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간결함을 위해, 상이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된 본원 실시예에서의 다양한 부재의 두께, 길이 및 폭 등 사이즈, 집적 장치의 전체 두께, 길이 및 폭 등 사이즈는 예시적인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원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서 나타나는 "복수”는 2개 이상(2개를 포함)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전지 셀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셀, 리튬 이온 일차 전지 셀, 리튬 유황 전지 셀, 나트륨 리튬 이온 전지 셀, 나트륨 이온 전지 셀 또는 마그네슘 이온 전지 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지 셀은 원기둥체, 편평체, 직육면체 또는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지 셀은 일반적으로 패키징 방식에 따라 원통형 전지 셀, 정사각형 전지 셀 및 소프트팩 전지 셀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본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전지는 하나 이상의 전지 셀을 포함하여 더 높은 전압과 용량을 제공하는 단일한 물리적 모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언급된 전지는 전지 모듈 또는 전지 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지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지 셀을 패키징하기 위한 박스 바디를 포함한다. 박스 바디는 액체 또는 다른 이물질이 전지 셀의 충전 또는 방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지 셀은 전극 유닛 및 전해질을 포함하고, 전극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며, 전극 조립체는 정극 시트, 부극 시트 및 분리 부재를 포함한다. 전지 셀은 주로 정극 시트와 부극 시트 사이에서 금속 이온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작동된다. 정극 시트는 정극 집전체 및 정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정극 집전체의 표면에는 정극 활물질층이 코팅된다. 정극 집전체는 정극 집전부 및 정극 집전부로부터 돌출된 정극 볼록부를 포함하고, 정극 집전부에는 정극 활물질층이 코팅되며, 정극 볼록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정극 활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고, 정극 볼록부는 정극 탭으로 사용된다. 리튬 이온 전지를 예로 들면, 정극 집전체의 재료는 알루미늄일 수 있고, 정극 활물질층은 정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정극 활물질은 코발트산 리튬, 인산철 리튬, 삼원 리튬 또는 망간산 리튬 등일 수 있다. 부극 시트는 부극 집전체 및 부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부극 집전체의 표면에는 부극 활물질층이 코팅된다. 부극 집전체는 부극 집전부 및 부극 집전부로부터 돌출된 부극 볼록부를 포함하고, 부극 집전부에는 부극 활물질층이 코팅되며, 부극 볼록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부극 활물질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고, 부극 볼록부는 부극 탭으로 사용된다. 부극 집전체의 재료는 구리일 수 있고, 부극 활물질층은 부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부극 활물질은 탄소 또는 규소 등일 수 있다. 대전류에 의해 융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극 탭의 수는 복수 개로서 함께 적층되어 있고, 부극 탭의 수는 복수 개로서 함께 적측되어 있다. 분리 부재의 재질은 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 또는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 등일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는 권취형 구조 또는 적층형 구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지 셀 내부에는 일부 입자가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전극 조립체에 떨어지는 입자(특히 금속 입자)는 분리 부재를 천공하여 정극 시트와 부극 시트를 통전시켜 단락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원의 실시예는 일종의 기술적 해결책을 제공하는 바, 해당 기술적 해결책에 있어서, 전지 셀은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본체부 및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탭부를 포함하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전극 유닛; 하우징에 연결되어 개구를 덮는 엔드캡 어셈블리; 및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제1 절연 부재를 포함하며, 제1 절연 부재는 제1 절연판을 포함하고, 제1 절연판은 본체부의 엔드캡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일면에 배치되고 본체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지 셀은 단락 위험을 줄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해결책은 전지 및 전지를 사용하는 전력 소비 장치에 적용된다.
전력 소비 장치는 차량, 휴대폰, 휴대용 기기, 노트북 컴퓨터, 선박, 우주선, 전기 장난감 및 전동 공구 등일 수 있다. 차량은 연료 자동차, 가스 자동차 또는 신에너지 자동차일 수 있으며, 신에너지 자동차는 순수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주행거리 연장형 자동차 등일 수 있다. 우주선은 비행기, 로켓, 우주 왕복선 및 우주 비행선 등을 포함한다. 전기 장난감은 게임기, 전기 자동차 장난감, 전기 선박 장난감 및 전기 비행기 장난감 등과 같은 고정식 또는 이동식 전기 장난감을 포함한다. 전동 공구는 금속 절삭 전동 공구, 연마 전동 공구, 조립 전동 공구 및 철도용 전동 공구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전기 드릴, 전기 그라인더, 전기 렌치, 전기 스크루 드라이버, 전기 망치, 전기 임팩트 드릴, 콘크리트 진동기 및 전기 대패등 이다. 본원의 실시예는 상술한 전력 소비 장치에 대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실시예는 전력 소비 장치가 차량인 것을 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내부에는 전지(2)가 설치되어 있고, 전지(2)는 차량(1)의 하부, 앞부분 또는 뒷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전지(2)는 차량(1)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지(2)는 차량(1)의 작동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차량(1)은 컨트롤러(3) 및 모터(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3)는 모터(4)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지(2)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예를 들어 차량(1)의 시동, 내비게이션 및 주행 중 작동 전력 수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2)는 차량(1)의 작동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연료 또는 천연 가스를 대체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대체하여 차량(1)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지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2)는 박스 바디(5) 및 전지 셀(도 2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전지 셀은 박스 바디(5) 내에 수용된다.
박스 바디(5)는 전지 셀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며, 박스 바디(5)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박스 바디(5)는 제1 박스 바디부(51) 및 제2 박스 바디부(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박스 바디부(51)와 제2 박스 바디부(52)는 서로 덮이고, 제1 박스 바디부(51)와 제2 박스 바디부(52)는 함께 전지 셀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53)을 형성한다. 제2 박스 바디부(52)는 일단이 개구된 중공 구조이고, 제1 박스 바디부(51)는 판상 구조이며, 제1 박스 바디부(51)는 제2 박스 바디부(52)의 개구측을 덮어 수용 공간(53)을 갖는 박스 바디(5)를 형성한다. 제1 박스 바디부(51)와 제2 박스 바디부(52)는 모두 일측이 개구된 중공 구조일 수 있으며, 제1 박스 바디부(51)의 개구측은 제2 박스 바디부(52)의 개구측을 덮어서, 수용 공간(53)을 갖는 박스 바디(5)를 형성한다. 물론, 제1 박스 바디부(51)와 제2 박스 바디부(52)는 원기둥체,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박스 바디부(51)와 제2 박스 바디부(52)가 결합한 후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박스 바디부(51)와 제2 박스 바디부(52) 사이에 실런트, 밀봉 링 등과 같은 밀봉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1 박스 바디부(51)가 제2 박스 바디부(52)의 상부에 덮인다고 가정하면, 제1 박스 바디부(51)는 상부 박스 커버로, 제2 박스 바디부(52)는 하부 박스 바디로 칭할 수 있다.
전지(2)에는 하나의 전지 셀 또는 복수의 전지 셀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전지 셀이 있는 경우, 복수의 전지 셀은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 또는 혼합 연결로 연결될 수 있다. 혼합 연결은 복수의 전지 셀에 직렬 연결 및 병렬 연결이 모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복수의 전지 셀은 직접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 또는 혼합 연결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지 셀로 구성된 전체를 박스 바디(5)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전지 셀을 먼저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 또는 혼합 연결하여 전지 모듈(6)은 구성하고, 복수의 전지 모듈(6)을 다시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 또는 혼합 연결하여 하나의 전체를 형성하고, 박스 바디(5) 내에 수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지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셀(7)은 복수 개이고, 복수의 전지 셀(7)은 먼저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 또는 혼합 연결되어 전지 모듈(6)을 형성한다. 복수의 전지 모듈(6)은 또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 또는 혼합 연결되어 전체를 형성하고 상자에 수용된다.
전지 모듈(6) 중의 복수의 전지 셀(7)의 병렬 연결, 직렬 연결 또는 혼합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전지 모듈(6) 중의 복수의 전지 셀(7)은 버스 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지 셀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의 전극 유닛 및 제1 절연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실시예의 전지 셀(7)은 전극 유닛(10), 하우징(20) 및 엔드캡 어셈블리(30)를 포함한다. 하우징(20)은 개구(21)를 갖고, 전극 유닛(10)은 하우징(20) 내에 수용되며, 엔드캡 어셈블리(30)는 하우징(20)과 연결되어 개구(21)를 덮는데 사용된다.
전극 유닛(10)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 조립체(11)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1)는 정극 시트, 부극 시트 및 분리 부재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1)는 권취형 전극 조립체, 적층형 전극 조립체 또는 다른 형태의 전극 조립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극 조립체(11)는 권취형 전극 조립체이다. 정극 시트, 부극 시트 및 분리 부재는 모두 스트립 구조이다.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극 시트, 분리 부재 및 부극 시트를 차례로 적층하고 2회 이상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11)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전극 조립체(11)는 적층형 전극 조립체이다. 구체적으로, 전극 조립체(11)는 복수의 정극 시트 및 복수의 부극 시트를 포함하고, 정극 시트와 부극 시트는 교대로 적층되며, 적층 방향은 정극 시트의 두께 방향 및 부극 시트의 두께 방향과 평행된다.
전극 조립체(11)의 외형적 측면에서, 전극 조립체(11)는 전류 생성부(111) 및 전류 생성부(111)에 연결되는 전류 인출부(112)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전류 인출부(112)는 전류 생성부(111)의 엔드캡 어셈블리(30)에 가까운 일단으로부터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류 인출부(112)는 2개이고, 2개의 전류 인출부(112)는 각각 정극 인출부와 부극 인출부으로 정의된다. 정극 인출부와 부극 인출부는 전류 생성부(111)의 동일한 단부로부터 연장되거나, 전류 생성부(111)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전류 생성부(111)는 전극 조립체(11)의 충방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부이며, 전류 인출부(112)는 전류 생성부(111)에서 생성된 전류를 인출하는데 사용된다. 전류 생성부(111)는 정극 집전체의 정극 집전부, 정극 활물질층, 부극 집전체의 부극 집전부, 부극 활물질층 및 분리 부재를 포함한다. 정극 인출부는 복수의 정극 탭을 포함하고, 부극 인출부는 복수의 부극 탭을 포함한다.
전극 유닛(10)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 조립체(11)를 포함한다. 즉, 전지 셀(7)에서 하우징(20) 내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11)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전극 셀의 외형적 측면에서, 전극 유닛(10)은 본체부(12) 및 본체부(12)로부터 돌출된 탭부(13)를 포함한다. 탭부(13)는 정극 탭부 및 부극 탭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극 유닛(10)은 단 하나의 전극 조립체(11)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부(12)는 전극 조립체(11)의 전류 생성부(111)를 포함하고, 정극 탭부는 정극 인출부를 포함하며, 부극 탭부는 부극 인출부를 포함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전극 유닛(10)은 복수의 전극 조립체(11)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부(12)는 복수의 전극 조립체(11)의 전류 생성부(111)를 포함하며, 복수의 전류 생성부(111)는 적층되어 있다. 정극 탭부는 하나 또는 복수 개 설치되고, 정극 탭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조립체(11)의 정극 인출부를 포함한다. 부극 탭부는 하나 또는 복수 개 설치되고, 부극 탭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조립체(11)의 부극 인출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극 유닛(10)은 4개의 전극 조립체(11)를 포함하고, 본체부(12)는 4개의 전극 조립체(11)의 전류 생성부(111)를 포함하며, 정극 탭부는 2개이고, 각 정극 탭부는 함께 적층된 2개의 정극 인출부를 포함하며, 부극 탭부는 2개이고, 각 부극 탭부는 함께 적층된 2개의 부극 인출부를 포함한다.
하우징(20)은 일측이 개구된 중공 구조이다. 엔드캡 어셈블리(30)는 하우징(20)의 개구를 덮고 기밀하게 연결되어 전극 유닛(10) 및 전해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는 엔드캡(31)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원기둥체,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0)의 형상은 전극 유닛(10)의 본체부(12)의 구체적인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2)가 원기둥체 구조이면 원기둥체 하우징을 선택할 수 있고, 본체부(12)가 직육면체 구조이면 직육면체 하우징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엔드캡(31)도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엔드캡(31)은 판형 구조 또는 일단이 개구된 중공 구조 등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도 5에서, 하우징(20)은 직육면체 구조를 갖고, 엔드캡(31)은 판형 구조이며, 엔드캡(31)은 하우징(20)의 상부의 개구를 덮는다.
엔드캡 어셈블리(30)는 엔드캡(31)에 장착된 전극 단자(32)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극 단자(32)는 2개 설치되고, 2개의 전극 단자(32)는 각각 정극 단자 및 부극 단자로 정의된다. 정극 단자 및 부극 단자는 각각 정극 탭부 및 부극 탭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 생성부(111)에서 생성된 전류를 출력한다.
엔드캡 어셈블리(30)는 엔드캡(31)에 장착된 압력 완화 기구(33)를 더 포함하고, 압력 완화 기구(33)는 전지 셀(7)의 내부 압력 또는 온도가 기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 전지 셀(7)의 내부 압력 또는 온도를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압력 완화 기구(33)는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 사이에 위치하며, 압력 완화 기구(33)는 방폭 밸브, 방폭 시트, 가스 밸브, 압력 완화 밸브 또는 안전 밸브 등 부품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20)은 또한 2개의 대향 측면이 개구된 중공 구조일 수 있다. 엔드캡 어셈블리(30)는 2개의 엔드캡(31)을 포함하며, 2개의 엔드캡(31)은 각각 하우징(20)의 2개의 개구를 덮고 기밀하게 연결되어 전극 유닛(10) 및 전해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캐비티를 형성한다. 일부 예에서,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는 동일한 엔드캡(3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정극 탭부와 부극 탭부는 본체부(12)의 엔드캡(31)에 가까운 일단으로부터 연장된다. 다른 일부 예에서,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는 각각 2개의 엔드캡(31)에 장착되고, 정극 탭부와 부극 탭부는 각각 본체부(12)의 2개의 엔드캡(31)에 대향하는 양단으로부터 연장된다.
탭부(13)는 전극 단자(3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다른 부재를 통해 전극 단자(32)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셀(7)은 전극 단자(32)와 탭부(13)을 연결하기 위한 집전 부재(40)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집전 부재(40)는 2개가 설치되며, 하나의 집전 부재(40)는 정극 단자와 정극 탭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집전 부재(40)로 부극 단자와 부극 탭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집전 부재(40)는 본체부(12)와 엔드캡(31) 사이의 위치하며 하우징(20) 내에 수용된다. 집전 부재(40)는 용접, 리벳팅, 접합 또는 기타 방식에 의해 전극 단자(32)와 탭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집전 부재(40)는 전극 단자(32)와 탭부(13)에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지 셀(7)은 하우징(20) 내에 수용되고 하우징(20)으로부터 본체부(12)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하기 위한 제1 절연 부재(50)를 더 포함하고, 제1 절연 부재(50)는 제1 절연판(51)을 포함하며, 제1 절연판(51)은 본체부(12)의 엔드캡 어셈블리(30)와 마주하는 일측에 설치되고 본체부(12)에 부착된다.
제1 절연 부재(50)는 본체부(12)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부터 피복하여, 하우징(20)으로부터 본체부(12)의 적어도 일부를 격리시킨다.
제1 절연판(51)은 본체부(12)에 부착되어 연결된다. 부착이란 접착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제1 절연판(51)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1 절연 부재(50)는 일체의 부재일 수도 있고,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 독립적인 복수의 개별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지 셀(7)의 조립 과정에서 입자(예: 용접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속 입자)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입자는 하우징(20) 내부에 잔류할 수 있다. 입자는 본체부(12)의 표면에 부착되어 입자가 본체부(12)의 분리 부재를 천공하여 하우징(20)과 본체부(12)를 통전시킬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입자는 또한 본체부(12)의 내부로 떨어져 정극 시트와 부극 시트를 통전시켜 단락 및 안전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원은 제1 절연 부재(50)를 설치함으로써, 하우징(20)으로부터 본체부(12)의 적어도 일부를 절연 격리시켜, 하우징(20) 내에 잔류하는 입자가 본체부의 분리 부재를 천공하더라도 제1 절연 부재(50)는 본체부(12) 중의 전극 시트가 하우징(20)과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단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제1 절연판(51)은 본체부(12)의 엔드캡 어셈블리(30)와 마주하는 단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으며, 이로 하여 입자를 차단함으로써 입자가 본체부(12)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감소시켜 단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제1 절연 부재(50)는 본체부(12)에 부착된 제1 절연판(51)을 통해 본체부(12)에 연결되므로, 전극 유닛(10)과 제1 절연 부재(50)를 미리 조립한 후 전극 유닛(10)과 다른 부재를 조립할 수 있어, 제1 절연 부재(50)는 조립 과정에서 전극 유닛(10)을 보호할 수 있고, 전극 유닛(10)에 외부 이물질(예: 입자)이 부착될 위험을 줄여 전지 셀(7)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탭부(13)와 집전 부재(40)를 용접할 때, 생성된 금속 입자는 주위로 스퍼터링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는 제1 절연 부재(50)를 전극 유닛(10)에 미리 조립할 수 있고, 제1 절연 부재(50)는 전극 유닛(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전극 유닛(10)에 부착된 금속 입자를 감소시켜 안전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판(51)은 본체부(12)의 인출 탭부(13)의 표면에 부착된다. 다시 말해서, 탭부(13)는 본체부(12)의 엔드캡 어셈블리(30)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인출된다. 본체부(12)의 탭부(13)를 인출하는 면에는 간극이 있으며, 입자는 이 간극을 통해 본체부(12) 내부로 침입하여 단락의 위험이 있다. 본원의 실시예의 제1 절연판(51)은 본체부(12) 표면의 간극을 덮을 수 있어, 입자가 본체부(12)로 들어가는 위험을 줄이고, 전지 셀(7)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판(51)은 절연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고, 접착층은 절연층의 본체부(12)와 마주하는 표면에 설치되고 본체부(12)에 접착된다.
절연층의 재료는 PP(폴리프로필렌) 또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접착층은 뒷면 접착제가 될 수 있다. 절연층의 두께는 0.1mm~0.2m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층은 본체부(12)에 접착되어 제1 절연 부재(50)와 본체부(12)를 연결한다. 접착 연결 방식은 조작이 간편하여 제1 절연 부재(50)와 전극 유닛(10)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판(51)은 복수 개로 설치되고, 복수의 제1 절연판(51)은 본체부(12)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복수의 제1 절연판(51)은 제1 절연 부재(50)와 본체부(12) 사이의 연결 면적을 증가시키고, 제1 절연 부재(50)와 본체부(12) 사이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제1 절연판(51)은 본체부(12)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제1 절연 부재(50)와 본체부(12) 사이의 작용력을 보다 균일하게 하고 응력 집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절연판(51)은 제1 절연판(51)이 탭부(13)의 인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탭부(13)를 피하여 설치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절연 부재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부 실시예의 전지 셀의 제1 절연 부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절연 시트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부 실시예의 전지 셀의 제1 절연 부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절연 시트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과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 부재(50)는 2개의 제2 절연판(52) 및 2개의 제3 절연판(53)를 더 포함한다. 2개의 제2 절연판(52)은 제1 방향(X)을 따라 본체부(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2개의 제3 절연판(53)은 제2 방향(Y)을 따라 본체부(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각 제3 절연판(53)은 2개의 제2 절연판(52)을 연결한다.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은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은 각각 엔드캡 어셈블리(30)의 두께 방향에 수직된다. 엔드캡 어셈블리(30)의 두께 방향은 엔드캡(31)의 두께 방향이다. 선택적으로, 제1 방향(X)은 제2 방향(Y)에 수직된다.
2개의 제2 절연판(52)은 제1 방향(X)에서 본체부(12)와 하우징(20)을 분리하고, 2개의 제3 절연판(53)은 제2 방향(Y)에서 본체부(12)와 하우징(2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절연판(52)은 대략 제1 방향(X)에 수직인 평판이고, 제3 절연판(53)은 대략 제2 방향(Y)에 수직인 평판이다. 2개의 제2 절연판(52)과 2개의 제3 절연판(53)은 서로 연결되어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제2 절연판(52)의 면적은 제3 절연판(53)의 면적보다 더 크다.
제2 절연판(52)의 엔드캡 어셈블리(30)에 가까운 단부에는 제1 절연판(51)이 연결되어 있고, 및/또는 제3 절연판(53)의 엔드캡 어셈블리(30)에 가까운 단부에는 제1 절연판(51)이 연결되어 있다.
제1 절연판(51)이 제2 절연판(52)에 연결되는 경우, 제1 절연판(51)은 제2 절연판(52)과 일체로 설치될 수 있으며,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절연판(51)이 제3 절연판(53)에 연결되는 경우, 제1 절연판(51)은 제3 절연판(53)과 일체로 설치될 수 있으며,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절연판(52) 및 제3 절연판(53)은 제1 절연판(51)을 통해 본체부(12)에 고정되거나 본체부(12)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절연판(53)는 제1 부분(531) 및 제2 부분(532)을 포함하고, 제1 부분(531)은 하나의 제2 절연판(52)과 일체로 설치되며, 제2 부분(532)은 다른 제2 절연판(52)과 일체로 설치된다. 제1 부분(531)은 대응하는 제2 절연판(52)에 대해 구부러지고, 제2 부분(532)은 대응하는 제2 절연판(52)에 대해 구부러진다.
제1 부분(531)과 제2 부분(532)은 제2 방향(Y)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제1 부분(531)과 제2 부분(532)은 중첩 영역에서 연결된다. 및/또는 제1 부분(531)과 제2 부분(532)은 모두 본체부(12)에 접착된다.
제1 부분(531) 및 제2 부분(532)은 절곡 성형될 수 있다. 절곡된 후, 제1 부분(531) 및 제2 부분(532)은 자체 탄성 작용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부분(531)과 제2 부분(532)은 제2 방향(Y)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제1 부분(531)과 제2 부분(532)은 중첩 영역에서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된다. 제1 부분(531)과 제2 부분(532)은 서로 제한되어, 제1 부분(531)과 제2 부분(532)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1 부분(531)과 제2 부분(532)은 본체부(12)에 접착되거나 본체부(12)와 독립적일 수도 있다.
다른 일부 예에서, 제1 부분(531)과 제2 부분(532)은 모두 본체부(12)에 접착되며, 이에 의해 제1 부분(531)과 제2 부분(532)은 모두 본체부(12)에 고정되어 바깥쪽으로 벌어지지 않는다. 이때, 제1 부분(531)과 제2 부분(532)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서로 독립적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 부재(50)는 제4 절연판(54)를 더 포함하고, 제4 절연판(54)은 본체부(12)의 제1 절연판(51)과 반대되는 일측에 위치되어 2개의 제2 절연판을 연결하며, 제1 절연판(51)과 제4 절연판(54)은 제3 방향(Z)을 따라 배치되고,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서로 교차한다.
제4 절연판(54)은 하우징(20)의 엔드캡(31)과 마주하는 바닥벽을 본체부(12)와 절연 및 분리시켜, 단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방향(Z)은 엔드캡 어셈블리(30)의 두께 방향에 평행된다. 즉,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수직된다.
제4 절연판(54)은 대략 제3 방향(Z)에 수직인 평판이다. 제4 절연판(54)은 제2 절연판(52)에 대해 구부러져 있다. 제4 절연판(54)은 제2 절연판(52)과 일체로 설치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4 절연판(54)은 제3 부분(541) 및 제4 부분(542)을 포함하고, 제3 부분(541)은 하나의 제2 절연판(52)과 일체로 설치되고, 제4 부분(542)은 다른 제2 절연판(52)과 일체로 설치된다. 제3 부분(541)은 대응하는 제2 절연판(52)에 대해 절곡되고, 제4 부분(542)은 대응하는 제2 절연판(52)에 대해 절곡된다.
제3 부분(541)과 제4 부분(542)은 제3 방향(Z)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제3 부분(541)과 제4 부분(542)은 중첩 영역에서 연결된다. 및/또는 제3 부분(541)과 제4 부분(542)은 모두 본체부(12)에 접착된다.
제3 부분(541) 및 제4 부분(542)은 절곡 성형될 수 있다. 절곡된 후, 제3 부분(541) 및 제4 부분(542)은 자체 탄성 작용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3 부분(541)과 제4 부분(542)은 제3 방향(Z)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제3 부분(541)과 제4 부분(542)은 중첩 영역에서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된다. 제3 부분(541)과 제4 부분(542)은 서로 제한되어, 제3 부분(541)과 제4 부분(542)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3 부분(541)과 제4 부분(542)은 본체부(12)에 접착되거나 본체부(12)와 독립적일 수도 있다.
다른 일부 예에서, 제3 부분(541)과 제4 부분(542)은 모두 본체부(12)에 접착되며, 이에 의해 제3 부분(541)과 제4 부분(542)은 모두 본체부(12)에 고정되어 바깥쪽으로 벌어지지 않는다. 이때, 제3 부분(541)과 제4 부분(542)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서로 독립적일 수도 있다.
본원의 제1 절연 부재(50)는 절연 시트(60)로부터 절곡, 용접 등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원의 제1 절연 부재(50)는 도 8에 도시된 절연 시트(60)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절연 시트(60)를 먼저 전극 유닛(10)의 양측에 부착한 후, 2개의 절연 시트(60)를 도 8의 점선을 따라 절곡하여 2개의 절연 프레임(대략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음)을 형성하고, 2개의 절연 프레임을 전극 유닛(10) 위에 덮이도록 한 다음, 마지막으로 2개의 절연 프레임의 중첩 부분을 용접하여 전극 유닛(10)에 장착되는 제1 절연 부재(50)를 제조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본원의 제1 절연 부재(50)는 도 9에 도시된 절연 시트(60)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 유닛(10)을 먼저 절연 시트(60)(예를 들어, 제4 절연판(54)) 위에 올려놓은 후, 도 9의 점선을 따라 절곡하여 하나의 절연 프레임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절연 프레임의 중첩 부분(예를 들어, 제1 부분(531)과 제2 부분(532), 제3 부분(541)과 제4 부분(542))을 함께 용접한다.
도 10은 본원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사각형틀 A에서의 전지 셀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캡 어셈블리(30)는 제2 절연 부재(34)를 더 포함하고, 제2 절연 부재(34)는 엔드캡(31)의 전극 유닛(10)와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제2 절연 부재(34)는 전극 유닛(10)로부터 엔드캡(31)을 절연 분리하는데 사용되며, 단락의 위험을 줄인다.
제2 절연 부재(34)는 본체부(12)와 마주하는 일측에는 제1 오목부(341)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오목부(341)는 탭부(13)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집전 부재(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오목부(341)는 탭부(13)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집전 부재(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어, 전극 유닛(10)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오목부(341)는 탭부(13)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집전 부재(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즉 탭부(13)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오목부(341)에 수용될 수 있고, 집전 부재(40)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오목부(341)에 수용될 수도 있으며, 탭부(13)의 적어도 일부와 집전 부재(40)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오목부(341)에 수용될 수도 있다.
제1 절연판(51)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절연 부재(34)와 본체부(12) 사이에 끼워진다. 제2 절연 부재(34)는 제1 절연판(51)을 일측에서 가압하여 제1 절연판(51)이 본체부(12)에 밀착되도록 하여, 제1 절연판(51)과 본체부(12)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고, 제1 절연판(51)이 본체부(12)로부터 이탈될 위험을 줄인다.
제1 절연판(51)이 복수 개인 경우, 모든 제1 절연판(51)이 제2 절연 부재(34)에 의해 가압될 수도 있고, 일부 제1 절연판(51)이 제2 절연 부재(34)에 의해 가압되고 나머지 제1 절연판(51)과 제2 절연 부재(34) 사이에는 간극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절연 부재(34)의 본체부(12)와 반대되는 일측의 제1 오목부(34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 볼록부(342)가 형성되고, 엔드캡(31)의 본체부(12)와 마주하는 일측에는 제2 오목부(311)가 형성되며, 제2 오목부(311)는 제1 볼록부(342)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제1 볼록부(342)는 제1 오목부(341)가 설치되는 제2 절연 부재(34)의 위치에서 보강 역할을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제1 볼록부(342)를 설치함으로써 제1 오목부(341)를 본체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한 함몰시켜 제1 오목부(341)의 오목 깊이를 증가시킨다. 제1 볼록부(342)는 제2 오목부(311) 내에 수용되어 제2 절연 부재(34)가 차지하는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전극 유닛(10)을 위한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전지 셀(7)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
예시적으로, 엔드캡(31)의 본체부(12)와 반대되는 일측의 제2 오목부(31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볼록부(312)가 형성된다. 제2 볼록부(312)는 제2 오목부(311)가 설치되는 엔드캡(31)의 위치에서 보강 역할을 한다.
제2 절연 부재(34)는 절연 본체(343)를 포함하며, 절연 본체(343)는 본체부(12)와 마주하는 내면(343a) 및 본체부(12)로부터 멀어지는 외면(343b)을 갖고, 제1 오목부(341)는 내면(343a)에서 본체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며, 제1 볼록부(342)는 외면(343b)으로부터 돌출된다.
본원에서, 제1 오목부(341)를 설치함으로써, 탭부(13) 및/또는 집전 부재(40)를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본체부(12)와 엔드캡(31) 사이의 거리가 상응하게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절연 본체(343)의 두께도 상응하게 감소되어 전지 셀(7)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또한 제1 절연 부재의 고정을 구현하기 위해 제1 절연 부재를 절연 본체의 외주면에 용접하려고 시도하였다. 하지만, 본원의 실시예서는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절연 본체의 두께를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절연 본체와 제1 절연 부재의 연결 면적이 작아져 제1 절연 부재가 떨어질 위험이 높아졌다. 따라서,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절연 부재(50)를 본체부(12)에 부착시킴으로써, 제1 절연 부재(50)와 본체부(12) 사이의 연결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제1 절연 부재(50)가 떨어지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제2 절연 부재(34)는 제3 볼록부(344)를 더 포함하며, 제3 볼록부(344)는 내면(343a)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절연판(51) 및/또는 본체부(12)에 대해 가압한다. 제3 볼록부(344)는 본체부(12)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절연판(51)의 절연층(511)은 접착층(512)을 통해 제2 절연 부재(34) 및/또는 본체부(12)에 접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판(51)의 양면은 제2 절연 부재(34) 및 본체부(12)에 각각 접착되어, 제1 절연판(51)이 제2 절연 부재(34) 및 본체부(12)로부터 분리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절연판(51)은 접착층(512)을 통해 제3 볼록부(344)에 접착된다.
본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균등물로 그 구성 요소를 대체할 수 있다. 특히, 각 실시예에서 언급된 기술적 특징은 구조적 충돌이 없는 한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원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해결책을 포함한다.

Claims (13)

  1. 전지 셀에 있어서,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된 탭부를 포함하는 전극 유닛;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를 덮는 엔드캡 어셈블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제1 절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엔드캡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는 제1 절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판은 상기 본체부의 상기 탭부가 인출되는 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판은 절연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절연층의 상기 본체부와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판은 복수 개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절연판은 상기 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제1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제2 절연판; 및
    상기 본체부의 제2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제2 절연판을 연결시키는 2개의 제3 절연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판의 상기 엔드캡 어셈블리에 가까운 단부에는 상기 제1 절연판이 연결되고, 및/또는 상기 제3 절연판의 상기 엔드캡 어셈블리에 가까운 단부에는 상기 제1 절연판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각각 상기 엔드캡 어셈블리의 두께 방향에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판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은 하나의 상기 제2 절연판과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은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절연판과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중첩 영역에서 연결되며, 및/또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모두 본체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절연판과 반대되는 일측에 위치하며 2개의 제2 절연판을 연결시키는 제4 절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판과 상기 제4 절연판은 제3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은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절연판은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부분은 하나의 상기 제2 절연판과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제4 부분은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절연판과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3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제4 부분은 중첩 영역에서 연결되며, 및/또는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제4 부분은 모두 본체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 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를 덮는 엔드캡, 상기 엔드캡에 장착되는 전극 단자 및 상기 엔드캡의 상기 전극 유닛과 마주하는 일측에 위치하는 제2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 셀은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탭부를 연결하는 집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 부재의 상기 본체부와 마주하는 일측에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탭부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상기 집전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절연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절연 부재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부재의 상기 본체부와 반대되는 일측의 상기 제1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엔드캡의 상기 본체부와 마주하는 일측에는 제2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1 볼록부를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판의 양면은 상기 제2 절연 부재 및 상기 본체부에 각각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셀.
  12. 전지에 있어서,
    박스 바디 및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지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 셀은 상기 박스 바디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13. 전력 소비 장치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제12항에 따른 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비 장치.
KR1020227029811A 2021-05-27 2022-01-05 전지 셀, 전지 및 전력 소비 장치 KR20220160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1164665.8U CN215989141U (zh) 2021-05-27 2021-05-27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CN202121164665.8 2021-05-27
PCT/CN2022/070207 WO2022247292A1 (zh) 2021-05-27 2022-01-05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548A true KR20220160548A (ko) 2022-12-06

Family

ID=8051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9811A KR20220160548A (ko) 2021-05-27 2022-01-05 전지 셀, 전지 및 전력 소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98054A1 (ko)
EP (1) EP4120465A4 (ko)
JP (1) JP7417757B2 (ko)
KR (1) KR20220160548A (ko)
CN (1) CN215989141U (ko)
WO (1) WO2022247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41163A (zh) * 2022-06-17 2024-04-2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CN218769817U (zh) * 2022-07-15 2023-03-2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WO2024016351A1 (zh) * 2022-07-22 2024-01-2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端盖组件、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89B1 (ko) 2010-01-27 2011-05-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절연 백을 갖는 이차전지
JP5811456B2 (ja) * 2010-12-28 2015-11-1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5756638B2 (ja) * 2011-01-24 2015-07-29 Amaz技術コンサルティング合同会社 角形電池用電極体ユニット
JP5942449B2 (ja) * 2012-02-03 2016-06-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及び車両
CN104380500B (zh) * 2012-06-26 2018-02-13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蓄电装置
JP6056254B2 (ja) * 2012-08-13 2017-01-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JP2014041724A (ja) 2012-08-21 2014-03-06 Toyota Industries Corp 蓄電装置、及び電極組立体の製造方法
KR20150031724A (ko) * 2013-09-16 2015-03-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273642B1 (ko) * 2014-10-07 2021-07-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515095B1 (ko) * 2015-11-25 2023-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6722545B2 (ja) * 2016-08-24 2020-07-15 株式会社東芝 絶縁部材と二次電池
JP6878914B2 (ja) * 2017-01-26 2021-06-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CN111106299A (zh) * 2018-11-07 2020-05-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0801A (ja) 2023-07-20
WO2022247292A1 (zh) 2022-12-01
EP4120465A4 (en) 2023-10-11
US20230198054A1 (en) 2023-06-22
CN215989141U (zh) 2022-03-08
EP4120465A1 (en) 2023-01-18
JP7417757B2 (ja)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7485587U (zh)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设备
KR20220160548A (ko) 전지 셀, 전지 및 전력 소비 장치
CN216054941U (zh)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设备
US11962042B2 (en) Battery cell,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therefor, battery and electric device
CN115000641A (zh) 端盖组件、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EP4160796A1 (en) Box, battery, powered device, and assembly method for box
CN218351639U (zh) 端盖组件、电池组件、电池及用电设备
CN216903136U (zh) 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CN216389548U (zh)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CN214411248U (zh) 电极组件、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设备
US20240154218A1 (en) Battery cell, battery, and electrical apparatus
US20240055705A1 (en) Battery cell, battery, power consum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CN117480647A (zh) 电极组件、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US20230178860A1 (en) Battery cell, battery, power consuming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CN115172979B (zh) 电池模组、电池以及用电装置
US20230223669A1 (en) Battery cell, battery,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CN217507578U (zh) 电极组件、电池单体、电池和用电设备
CN116529941A (zh) 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和制造系统、电池以及用电装置
CN114696012A (zh) 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电池以及用电装置
CN220290875U (zh) 电池单体、电池和用电装置
US20240162579A1 (en) Battery cell,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battery and electrical apparatus
EP4270609A1 (en)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therefor, and electrical equipment
US20240097249A1 (en) Battery cell and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battery, and power consumption device
US20230055271A1 (en) Battery cell,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battery cell, battery and electrical device
CN118077094A (zh)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