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258A -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 Google Patents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258A
KR20220160258A KR1020210068225A KR20210068225A KR20220160258A KR 20220160258 A KR20220160258 A KR 20220160258A KR 1020210068225 A KR1020210068225 A KR 1020210068225A KR 20210068225 A KR20210068225 A KR 20210068225A KR 20220160258 A KR20220160258 A KR 20220160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upled
load
shock absorber
ra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866B1 (ko
Inventor
고두일
Original Assignee
고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두일 filed Critical 고두일
Priority to KR102021006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86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0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telescopic fork, e.g. including auxiliary rocking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12Cycles;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025/04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suspension manual adjustment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피스톤이 형성되는 베이스모듈과, 일단에 상기 피스톤이 결합되는 로드모듈을 포함하는 감쇄부; 상기 로드모듈의 타단이 결합되며, 이륜차 차체에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베이스모듈과 상기 로드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되며,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감쇄부로부터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부; 상기 베이스모듈에 결합되며, 이륜차 차륜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부; 및 상기 로드모듈이 축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헤드부와 축심이 달라질 수 있도록 상기 로드모듈의 타단 측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부에 의해 상기 로드모듈 및 상기 헤드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저감되게 하는 하중저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륜차용 쇼바의 피스톤 로드에 작용하는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을 저감시킴으로써 이륜차용 쇼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MOTORCYCLE SHOCK ABSORBER WITH IMPROVED DURABILITY THROUGH REDUCTION OF RADIAL AND TORSIONAL LOADS}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쇼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드모듈이 축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헤드부와 축심이 달라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로드모듈 및 헤드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저감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는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에 관한 것이다.
이륜차의 쇼바는 이륜차의 운행 과정에서 요철이 있는 지면을 지날 때 차륜만 요철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차체는 크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이륜차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장비이다.
이러한 이륜차용 쇼바는 피스톤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차체와 차륜 사이에 감쇄력 및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둘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에서 벗어나는 경우 변형의 속도를 조절하고 다시 기설정된 거리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차체 혹은 차륜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피스톤의 로드의 축심이 일치하지 않으면 피스톤의 로드가 경방향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거나, 스프링에 의해 피스톤의 로드가 비틀림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음으로써 피스톤의 로드의 피로파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륜차용 쇼바의 로드에 작용하는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을 저감함으로써 로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륜차용 쇼바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륜차용 쇼바의 피스톤 로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피스톤이 형성되는 베이스모듈과, 일단에 상기 피스톤이 결합되는 로드모듈을 포함하는 감쇄부; 상기 로드모듈의 타단이 결합되며, 이륜차 차체에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베이스모듈과 상기 로드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되며,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감쇄부로부터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부; 상기 베이스모듈에 결합되며, 이륜차 차륜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부; 및 상기 로드모듈이 축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헤드부와 축심이 달라질 수 있도록 상기 로드모듈의 타단 측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부에 의해 상기 로드모듈 및 상기 헤드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저감되게 하는 하중저감부를 포함하는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하중저감부는, 스페리컬 베어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쇄부는, 상기 베이스모듈 내부의 상기 피스톤에 의해 형성된 제1실린더공간 및 제2실린더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통로의 개폐를 조절하여 감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로드모듈의 상기 타단이 결합되고 상기 이륜차 차체에 설치되는 상부브라켓모듈과, 상기 탄성체부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스프링시트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모듈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스프링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부는, 상기 하부스프링지지부의 위치 변화에 의해 길이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헤드부에 가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륜차용 쇼바의 피스톤 로드에 작용하는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을 저감시킴으로써 이륜차용 쇼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의 바이패스 통로의 개폐를 조절함에 따른 감쇄력 조절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의 헤드부와 하중저감부의 설치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의 일부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의 하부브라켓부의 이동에 따른 쇼바의 길이 조절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의 하부스프링지지부의 이동에 따른 탄성체부의 길이 조절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의 하중저감부의 일실시예인 스페리컬 베어링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에서 로드모듈에 작용하는 경방향 하중을 저감하는 하중저감부의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에서 로드모듈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을 저감하는 하중저감부의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의 바이패스 통로의 개폐를 조절함에 따른 감쇄력 조절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의 헤드부와 하중저감부의 설치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의 일부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의 하부브라켓부의 이동에 따른 쇼바의 길이 조절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의 하부스프링지지부의 이동에 따른 탄성체부의 길이 조절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의 하중저감부의 일실시예인 스페리컬 베어링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에서 로드모듈에 작용하는 경방향 하중을 저감하는 하중저감부의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에서 로드모듈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을 저감하는 하중저감부의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100)는 감쇄부(110)와 헤드부(120)와 탄성체부(130)와 하부브라켓부(140)와 하중저감부(150)와 하부스프링지지부(16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쇄부(110)는 이륜차 차체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헤드부(120)와 이륜차 차륜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하부브라켓부(14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면의 요철에 의해 이륜차 차체와 차륜 사이의 거리가 변화할 때 피스톤의 유압으로 감쇄력을 발생시켜 이륜차 차체와 차륜 사이의 거리 변화 속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감쇄부(110)는 내부에 피스톤이 형성되는 베이스모듈(111)과, 일단에 피스톤이 결합되는 로드모듈(112)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모듈(111) 내부는 피스톤에 의해 제1실린더공간(111a)과 제2실린더공간(111b)으로 나뉘게 되고, 제1실린더공간(111a)과 제2실린더공간(111b)을 연통하는 바이패스 통로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피스톤의 유압을 조절하여 감쇄부(110)의 감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패스 통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감쇄력조절모듈(123)의 회전에 의해 로드모듈(112)의 일부 또는 전부가 회전함으로써 상술한 바이패스 통로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르면, 바이패스 통로를 따라 제1실린더공간(111a)과 제2실린더공간(111b) 사이를 유통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되어 유압이 변함으로써 감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모듈(11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로드모듈(112)의 일단은 피스톤에 결합되고, 타단은 헤드부(12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술한 타단은 헤드부(120)의 상부브라켓모듈(121)에 결합될 수도 있고, 헤드부(120)의 감쇄력조절모듈(123)에 결합될 수도 있다.
헤드부(120)는 이륜차 차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로드모듈(112)의 타단이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20)는 상술한 로드모듈(112)의 타단이 결합되고 이륜차 차체에 설치되는 상부브라켓모듈(121)과, 후술하는 탄성체부(130)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스프링시트모듈(122)을 포함한다.
또한, 헤드부(120)는 상술한 바이패스 통로를 따라 유통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여 유압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쇄력을 조절하는 상술한 감쇄력조절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쇄력조절모듈(123)은 헤드부(120)의 양측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브라켓모듈(121)은 이륜차 차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륜차 차체와 결합되는 상부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부브라켓모듈(121)은 편심된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로드모듈(112)과 동일 축심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브라켓모듈(121)과 로드모듈(112)의 축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부브라켓모듈(121)과 로드모듈(112)의 결합부는 충격에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지만, 상부브라켓모듈(121)과 로드모듈(112)의 축심이 일치하는 경우 이러한 충격이 줄어들어 더 얇고 가볍게 제조함으로써 무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부브라켓모듈(121)은 이륜차 차체에 고정된 이후 소정의 움직임에 대한 자유도를 가질 수 있도록 상술한 상부결합홈에 베어링이 포함될 수 있다.
상부스프링시트모듈(122)은 탄성체부(130)의 상단을 지지함으로써 탄성체부(130)에 의해 가해진 탄성력을 헤드부(12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부스프링시트모듈(122)은 탄성체부(130)가 중심에 정 위치할 수 있도록 하부 내측으로 단차부가 형성되어 탄성체부(130)가 좌우로 유동하거나, 로드모듈(112)이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나 편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브라켓모듈(121)과 상부스프링시트모듈(122) 사이에는 후술하는 하중저감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부(130)는 헤드부(120)를 감쇄부(110)로부터 탄성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베이스모듈(111)과 상술한 로드모듈(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탄성체부(130)는 스프링형태로 마련되며,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부(130)는 상술한 상부스프링시트모듈(122)과 후술하는 하부브라켓부(140) 또는 후술하는 하부스프링지지부(160)에 의해 고정되어 상술한 로드모듈(112)의 축심과 일치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하부브라켓부(140)는 이륜차 차륜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베이스모듈(111)에 결합된다.
여기서 하부브라켓부(140)에는 이륜차 차륜과 결합되는 하부결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부브라켓부(140)는 베이스모듈(111)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브라켓부(140)는 중심이 관통된 원통형태로 마련되어 상술한 베이스모듈(111)이 관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상부결합홈과 하부결합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다양한 종류의 이륜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모듈(111)이 하부브라켓부(140)를 관통해야하기 때문에 상술한 하부결합홈은 하부브라켓부(140)의 측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중저감부(150)는 상술한 로드모듈(112)이 축방향으로 회전되거나 헤드부(120)와 축심이 달라질 수 있도록 로드모듈(112)의 타단 측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탄성체부(130)에 의해 로드모듈(112) 및 헤드부(1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저감시킨다.
여기서 하중저감부(150)는 상술한 상부브라켓모듈(121)과 상술한 상부스프링시트모듈(1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저감부(150)는 스페리컬 베어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모듈(112)과 탄성체부(130)의 축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탄성체부(130)에 의해 로드모듈(112)에 경방향 하중이 가해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100)의 하중저감부(150)에 따르면, 상술한 로드모듈(112)의 타단이 헤드부(120)에 대해 소정의 움직임에 대한 자유도를 가질 수 있게 되어 탄성체부(130)의 축심과 일치하도록 조절됨으로써 경방향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르면 로드모듈(112)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부(130)에 의해 로드모듈(112)에 비틀림 하중이 가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100)의 하중저감부(150)에 따르면, 상술한 로드모듈(112)의 타단이 헤드부(120)에 대해 소정의 움직임에 대한 자유도를 가질 수 있게 되어 로드모듈(112)이 헤드부(120)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비틀림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르면 로드모듈(112)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부스프링지지부(160)는 탄성체부(130)의 하단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베이스모듈(111)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탄성체부(130)의 하단이 하부브라켓부(140)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이륜차의 차체와 차륜 사이의 거리가 결정되는 경우 탄성체부(130)의 길이도 정해지게 되어 탄성체부(130)를 교체하지 않는 이상 탄성력을 제어할 수 없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100)의 하부스프링지지부(160)에 따르면, 하부브라켓부(140)의 위치가 결정되더라도 하부스프링지지부(160)를 이동시킴으로써 탄성체부(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탄성체부(130)의 탄성력을 운전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100)의 하부브라켓부(140)와 하부스프링지지부(160)는 베이스모듈(111)의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는데, 하부브라켓부(140)와 하부스프링지지부(160)는 “C”자 형태로 마련되고, 양단은 볼트와 같이 체결을 위한 고정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베이스모듈(111)을 감싸며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르면 하부브라켓부(140)와 하부스프링지지부(16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하부브라켓부(140)와 하부스프링지지부(16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감쇄부(110)와 헤드부(120)와 탄성체부(130)와 하부브라켓부(140)와 하중저감부(150)와 하부스프링지지부(1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100)에 따르면, 이륜차용 쇼바의 피스톤 로드에 작용하는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을 저감시킴으로써 이륜차용 쇼바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110 : 감쇄부
111 : 베이스모듈
111a : 제1실린더공간
111b : 제2실린더공간
112 : 로드모듈
120 : 헤드부
121 : 상부브라켓모듈
122 : 상부스프링시트모듈
123 : 감쇄력조절모듈
130 : 탄성체부
140 : 하부브라켓부
150 : 하중저감부
160 : 하부스프링지지부

Claims (5)

  1. 내부에 피스톤이 형성되는 베이스모듈과, 일단에 상기 피스톤이 결합되는 로드모듈을 포함하는 감쇄부;
    상기 로드모듈의 타단이 결합되며, 이륜차 차체에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베이스모듈과 상기 로드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되며, 상기 헤드부를 상기 감쇄부로부터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부;
    상기 베이스모듈에 결합되며, 이륜차 차륜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부; 및
    상기 로드모듈이 축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상기 헤드부와 축심이 달라질 수 있도록 상기 로드모듈의 타단 측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부에 의해 상기 로드모듈 및 상기 헤드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저감되게 하는 하중저감부를 포함하는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저감부는,
    스페리컬 베어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쇄부는,
    상기 베이스모듈 내부의 상기 피스톤에 의해 형성된 제1실린더공간 및 제2실린더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통로의 개폐를 조절하여 감쇄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로드모듈의 상기 타단이 결합되고 상기 이륜차 차체에 설치되는 상부브라켓모듈과, 상기 탄성체부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스프링시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모듈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스프링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부는,
    상기 하부스프링지지부의 위치 변화에 의해 길이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헤드부에 가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KR1020210068225A 2021-05-27 2021-05-27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KR10253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225A KR102535866B1 (ko) 2021-05-27 2021-05-27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225A KR102535866B1 (ko) 2021-05-27 2021-05-27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258A true KR20220160258A (ko) 2022-12-06
KR102535866B1 KR102535866B1 (ko) 2023-05-26

Family

ID=8440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225A KR102535866B1 (ko) 2021-05-27 2021-05-27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200B1 (ko) 2022-12-19 2023-04-21 김종원 자동차용 에어쇼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132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KR20070111739A (ko) * 2006-05-19 2007-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맥퍼슨형 현가장치
JP2013204798A (ja) * 2012-03-29 2013-10-07 Showa Corp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装置
US20140225319A1 (en) * 2011-04-14 2014-08-14 ThyssenKrupp Federn und Stabilisatoren GmbH Bearing arrangement for a spring of a vehicle chassis
KR20170088569A (ko) * 2016-01-25 2017-08-02 고두일 감쇄력 조절형 서스펜션
KR20180092576A (ko) * 2017-02-10 2018-08-20 박경란 쇽업소버의 상부 마운트
KR200492177Y1 (ko) * 2020-03-12 2020-08-24 김태윤 모터사이클용 서스펜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132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KR20070111739A (ko) * 2006-05-19 2007-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맥퍼슨형 현가장치
US20140225319A1 (en) * 2011-04-14 2014-08-14 ThyssenKrupp Federn und Stabilisatoren GmbH Bearing arrangement for a spring of a vehicle chassis
JP2013204798A (ja) * 2012-03-29 2013-10-07 Showa Corp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装置
KR20170088569A (ko) * 2016-01-25 2017-08-02 고두일 감쇄력 조절형 서스펜션
KR20180092576A (ko) * 2017-02-10 2018-08-20 박경란 쇽업소버의 상부 마운트
KR200492177Y1 (ko) * 2020-03-12 2020-08-24 김태윤 모터사이클용 서스펜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200B1 (ko) 2022-12-19 2023-04-21 김종원 자동차용 에어쇼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866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414B2 (en) Vehicle roll stabilizing damper system
US7997588B2 (en) Cylinder apparatus and stabilizer apparatus using the same
EP2200848B1 (en) Electromagnetic shock absorber for vehicle
US6824153B2 (en) Steering device
US5720473A (en) Shock absorber
RU2482976C2 (ru) Система подвески, расположенная внутри колеса
US5074581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using a rotary dampen
US7427073B2 (en) Active roll control system using a motor
EP1354731B1 (en) Suspension arrangement
KR20070085437A (ko)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EP0974014A1 (en) Double-acting shock absorber with volume compensation for the stroke of the rod
KR102535866B1 (ko) 경방향 및 비틀림 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이 향상된 오토바이용 쇼바
US6899193B1 (en) Motorcycle lateral suspension mechanism
US5577761A (en)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having damping means by rotary damper
KR102553157B1 (ko) 실린더 장치
US5797469A (en) Steering valve
US6789652B2 (en) Resilient leg
JPH08142622A (ja) 車両用懸架装置
JP2009293664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3272338A (ja) 油圧緩衝器
JPS6243367A (ja) ステアリングダンパ
JPH02195038A (ja) 油圧緩衝器
KR100217560B1 (ko) 가변형 하부 현가암을 구비한 차량의 현가장치
JP2004301182A (ja) 車両用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装置
JP2773436B2 (ja) 前輪補助舵角付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