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238A -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238A
KR20220160238A KR1020210068161A KR20210068161A KR20220160238A KR 20220160238 A KR20220160238 A KR 20220160238A KR 1020210068161 A KR1020210068161 A KR 1020210068161A KR 20210068161 A KR20210068161 A KR 20210068161A KR 20220160238 A KR20220160238 A KR 20220160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s
layer
protective film
substrate
ligh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민
최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8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0238A/ko
Priority to CN202210582420.XA priority patent/CN115407431A/zh
Priority to US17/825,513 priority patent/US20220381958A1/en
Publication of KR2022016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6Filters comprising particles embedded in a solid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02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materials engineered to provide properties not available in nature, e.g. meta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01Nanoop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고, 기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기재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차광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차광층은 제1 층 및 제1 층 상에 있는 제2 층을 포함한다. 제1 층은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PROTECTIVE FILM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PROTECTIVE FILM}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가 개발되었다.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LED), 및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EPD)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방송이나 비디오를 시청하거나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들이 대화면을 갖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호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크게 하면 휴대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화면을 크게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휴대성을 개선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고 펼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데, 외부에서 관측하였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있는 구동 회로, 다양한 배선들, 및 패드부 등이 시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블랙 매트릭스나 인쇄층이 형성된 보호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은 기재 상에 블랙 매트릭스나 인쇄층을 인쇄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재 위에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할 경우, 차광층의 인쇄 방법에 따라 차광층의 품질이 저하됨을 인식하였다. 예를 들면, 블랙 매트릭스의 인쇄 빠짐, 인쇄 거침, 인쇄 뜸김, 또는 접착력(또는 밀착력) 저하 등의 다양한 인쇄 품질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여러 실험을 통하여 블랙 매트릭스의 인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는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기재 상에 있는 차광층의 인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는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인쇄 품질이 개선될 수 있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기재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차광층을 포함하며, 차광층은 제2 층 및 제2 층의 아래에 배치된 제1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은 기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제1 부분 및 기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고, 기재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기재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차광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은 제1 층 및 제1 층 상에 있는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은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을 갖는 제1 층을 기재 상에 형성함으로써, 기재 상에 있는 제2 층의 인쇄 품질이 개선된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턴을 갖는 제1 층을 기재 상에 형성함으로써, 기재 상에 있는 제2 층의 인쇄 품질이 개선된 보호 필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층의 패턴들의 다양한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층의 패턴들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통상의 기술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여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폴딩축을 중심으로 형성되며, 표시 영역(DA)의 일부분 및 비표시 영역(NA)의 일부분과 중첩되는 폴딩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힐 때 소정의 곡률로 휘어지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20), 지지 구조물(110), 편광판(130), 보호 필름(DF), 및 커버 윈도우(19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영상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플렉서블한 특징을 가지며,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다양한 종류,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기판 상에 각 화소별로 박막 트랜지스터들(예를 들면,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각 화소별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된 유기 발광 소자들이 형성된 유기 발광층, 및 유기 발광층을 덮어 외부로부터의 수분과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 상에 형성된 터치 전극 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물(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구조물(11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은 접착층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층은 디스플레이 패널(120)보다 큰 강성(stiffness)을 갖는다. 예를 들어, 지지층은 스테인레스스틸(SUS)과 같은 금속 물질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과 같은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 구조물(110)은 2개 이상의 지지층들이 접착층에 의해 합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지지층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폴딩패턴들이 불연속적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폴딩패턴들은 지지층을 관통하는 홀(hole)들 또는 슬릿(slit)들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판(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판(130)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DF)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가장자리 부분의 구동 회로, 다양한 배선들, 및 패드부 등이 시인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필름(DF)은 기재(140) 및 기재(14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차광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140)는 연성 기재일 수 있다. 보호 필름(DF)의 차광층(150)은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가장자리 부분의 구동 회로, 다양한 배선들, 및 패드부 등이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90)는 고분자 필름 또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분자 필름은 투명할 수 있다. 투명한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무색의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무색의 폴리이미드(PI)의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90)의 상면에 하드 코팅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리는 투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접착층(115), 제2 접착층(125), 제3 접착층(135), 및 제4 접착층(1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15)은 지지 구조물(110)과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접착할 수 있다. 제2 접착층(125)은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편광판(130)을 접착할 수 있다. 제3 접착층(135)은 편광판(130)과 보호 필름(DF)을 접착할 수 있다. 제4 접착층(145)은 보호 필름(DF)과 커버 윈도우(190)를 접착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접착층(145)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호 필름(DF)은 기재(140) 및 기재(140)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차광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140)는 연성 기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140)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PPG), 및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유연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재(140)의 두께는 23㎛ 내지 75㎛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광층(15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할 수 있다. 차광층(150)은 블랙 매트릭스 또는 차단층 등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차광층(150)의 두께는 1㎛ 내지 8㎛일 수 있다. 차광층(150)의 두께가 1㎛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가장자리 부분의 구동 회로, 다양한 배선들, 및 패드부 등이 시인될 수 있다. 차광층(150)의 두께가 8㎛ 초과이면, 아래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로, 접착층의 접착물질이 차광층(150)으로 인한 단차를 채우지 못하므로, 접착층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로, 폴딩 시에 폴딩 영역의 차광층(150) 자체에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광층(150)의 두께는 1㎛ 내지 8㎛일 수 있다.
차광층(150)은 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150)은 기재(140)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 상에 형성된 제1 층(152) 및 제1 층(152) 상에 형성된 제2 층(15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층(152)은 앵커층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층(154)은 인쇄층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층(152)은 제1 부분(152a) 및 제2 부분(152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152a)은 기재(140)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분(152b)은 기재(140)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152a)은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은 링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분(152b)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2 패턴들은 도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152)은 물리적 기상 증착법 또는 화학적 기상 증착법 등의 증착 방법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층(152)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식각 공정에 의해 증착 후에 패터닝되거나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여 증착 시에 패터닝됨으로써, 기재(140)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제1 부분(152a) 및 제2 부분(152b)을 포함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154)은 잉크젯 방법 등의 인쇄 방법에 의해 기재(140)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제1 층(152) 상에 인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DF)은 기재(140)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제1 부분(152a) 및 제2 부분(152b)을 포함하는 패턴으로 형성된 제1 층(152)을 포함하므로, 인쇄 품질이 향상된 제2 층(154)을 구성할 수 있다.
기재(140) 상에 제1 층(152)이 없는 경우, 제2 층(154)을 인쇄할 때에 인쇄 빠짐, 또는 인쇄 거침 등의 불량이 발생하고, 밀착력 또는 접착력이 낮아서 제2 층(154)이 박리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폴딩축(FAx)을 중심으로 하는 폴딩 영역에서 제2 층(154)의 박리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층(154)을 인쇄 또는 형성하기 전에 제1 층(152)이 기재(140) 상에 먼저 형성되므로, 제2 층(154)을 인쇄 또는 형성할 때에 인쇄 뜯김, 인쇄 빠짐, 및/또는 인쇄 거침 등이 개선되고 밀착력 또는 접착력이 향상되어, 제2 층(154)의 인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층(152)은 제2 층(154)이 인쇄 또는 형성되는 표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2 층(154)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층(152)의 제1 부분(152a) 및 제2 부분(152b)은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층(152)의 제1 부분(152a)은 제2 층(154)이 비표시 영역에만 인쇄 또는 형성되도록, 예를 들면, 비표시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부분(152b)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2 패턴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서 적어도 3열 이상으로 배치되므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제2 패턴들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elongated shape)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패턴들은 제1 패턴들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패턴들은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3열 이상의 제2 패턴들은 제1 패턴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152a)의 제1 패턴들은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152a)의 제1 패턴들은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과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부분(152a)의 제1 패턴들과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을 형성할 시에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 절차 또는 공정 단계를 단순화할 수 있다.
제1 층(152)은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154)은 예를 들어, 블랙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층(154)이 예를 들어, 블랙 잉크로 형성되는 경우, 제2 층(154)과 제1 층(152)의 색상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무기물은 카본 나노 파이버(carbon nano-fiber),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크롬(Cr)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층(152)의 두께(T1), 예를 들면, 제1 패턴들 및 제2 패턴들의 두께는 차광층(150)의 두께(T2)의 10분의 1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층(150)의 두께(T1)는 1 내지 8 μm이고, 제1 층(152)의 두께는 10 내지 100 nm일 수 있다. 제1 패턴들의 폭(W1) 및 제2 패턴들의 폭(W2)은 차광층(150)의 두께의 10분의 1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들의 폭(W1) 및 제2 패턴들의 폭(W2) 중 하나 이상은 10 내지 100 nm일 수 있다. 제1 패턴들의 폭(W1) 및 제2 패턴들의 폭(W2)은 상기 범위 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제2 패턴의 폭(W2)은 제2 패턴이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도트 패턴의 치수일 수 있다.
제1 패턴들과 제2 패턴들의 두께 및 폭이 차광층(150)의 두께의 10분의 1 초과인 경우, 예를 들어, 100 nm 초과인 경우, 제1 층(152)을 형성하는 물질과 제2 층(154)을 형성하는 물질의 색상 차이로 인해 제1 패턴들 및 제2 패턴들이 시인될 수 있으므로, 제1 패턴들 및 제2 패턴들의 두께 및 폭이 차광층(150)의 두께(T2)의 10분의 1 이하, 예를 들어, 100 nm 이하일 수 있다.
도 4에서 제1 부분(152a)이 서로 이격된 2개의 제1 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52a)이 서로 이격된 3개의 제1 패턴들을 포함하고, 서로 이격된 3개의 제1 패턴들 사이에 복수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2 부분(152b)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52a)이 서로 이격된 4개의 제1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52a)은 2개의 제1 패턴들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고, 2개의 제1 패턴 그룹들이 기재(140)의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경계, 및/또는 기재(140)의 최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제1 패턴 그룹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2 부분(152b)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152a)은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층의 패턴들의 다양한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부분(152b)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2 패턴들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서 적어도 3열 이상으로 배치되고, 제1 패턴들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3열 이상의 제2 패턴들 중 일부는 제1 패턴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열의 제2 패턴들과 3열 이상의 제2 패턴들은 제1 패턴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열의 제2 패턴은 제1 패턴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1열의 제2 패턴들과 3열 이상의 제2 패턴들과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152a)의 제1 패턴들은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152a)의 제1 패턴들은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과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부분(152a)의 제1 패턴들과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을 형성할 시에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 절차 또는 공정 단계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부분(152b)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2 패턴들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서 적어도 3열 이상으로 배치되고, 제1 패턴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3열 이상의 제2 패턴들 중 일부는 제1 패턴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열의 제2 패턴들과 3열 이상의 제2 패턴들은 제1 패턴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2열의 제2 패턴은 제1 패턴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1열의 제2 패턴들과 3열 이상의 제2 패턴들과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이 폴딩축(FAx)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이 폴딩축(FAx)과 수평한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보다는 기재(140)만 폴딩될 수 있으므로, 폴딩 시에 유리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보다 기재(140)만 폴딩될 수 있으므로, 폴딩 시에 크랙 등의 발생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부분(152b)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2 패턴들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서 적어도 3열 이상으로 배치되고, 제1 패턴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3열 이상의 제2 패턴들 중 일부는 다른 열의 제2 패턴들에 비해 배치 밀도가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열의 제2 패턴들의 배치 밀도에 비해 1열의 제2 패턴들과 3열 이상의 제2 패턴들의 배치 밀도가 더 높을 수 있다. 배치 밀도는 단위 길이 당 몇 개의 제2 패턴들이 배치되는 지를 의미할 수 있다. 배치 밀도가 높은 1열의 제2 패턴들과 3열 이상의 제2 패턴들은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제1 패턴들과 유사하게 가이드 역할을 일부 수행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층의 제2 패턴들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층(152)의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달리, 원형, 타원형 또는 마름모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층(152)의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은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형, 반구형, 십자형, 및 별 형상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층(152)의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의 형상이 원형, 구형, 또는 타원형일 경우, 기재(140)와 제2 층(154)과의 겁촉되는 단면적이 더 크게 될 수 있으므로, 차광층(150)의 밀착력 또는 접착력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제1 층(152)의 제2 부분(152b)의 제2 패턴들의 단면 형상은 제2 층(154)의 형성에 사용되는 잉크 조성물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부분(152a), 예를 들면, 제1 패턴들의 두께(T1b)는 제2 부분(152b), 예를 들면, 제2 패턴들의 두께(T1a)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분(152a)은 제2 층(154)이 비표시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비표시 영역에만 형성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더 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 부분(152a), 예를 들면, 제1 패턴들의 폭(W1, 도 3 참조)이 제2 부분(152b), 예를 들면, 제2 패턴들의 폭(W2)보다 더 클 수 있다. 폭은 유지된 상태에서 제1 패턴들의 두께만 증가하면, 제1 패턴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호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기재 및 기재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차광층을 포함하고, 차광층은 기재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 상에 있는 제1 층 및 제1 층 상에 있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은 기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제1 부분 및 기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분은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을 포함하고, 제2 부분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은 링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패턴들은 도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패턴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서 적어도 3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패턴들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 의 두께는 차광층의 두께의 10분의 1이하이고, 차광층의 두께는 1 내지 8um이고, 제1 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n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분의 두께는 제2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의 폭 및 복수의 제2 패턴들의 폭은 차광층의 두께의 10분의 1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은 무기물로 구성되고, 제2 층은 블랙 잉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물은 카본 나노 파이버(carbon nano-fiber),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크롬(Cr)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보호 필름은, 기재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기재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차광층을 포함하고, 차광층은 기재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 상에 있는 제1 층 및 제1 층 상에 있는 인쇄층을 포함한다. 제1 층은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은 링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패턴들은 도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패턴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서 적어도 3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턴들 및 복수의 제2 패턴들은 10 내지 100nm인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의 두께는 차광층의 두께의 10분의 1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은 카본 나노 파이버(carbon nano-fiber),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크롬(Cr)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무기물이고, 제2 층은 블랙 잉크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기술적으로 다양하게 연동 및 구동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되거나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지지 구조물
120: 디스플레이 패널
130: 편광판
140: 기재
150: 차광층
152: 제1 층
154: 제2 층
190: 커버 윈도우
DF: 보호 필름
DA: 표시 영역
NA: 비표시 영역

Claims (19)

  1.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차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기재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 상에 있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층 상에 있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기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제1 부분 및 상기 기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은 링 패턴들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패턴들은 도트 패턴들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패턴들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서 적어도 3열 이상으로 배치되는, 보호 필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패턴들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상기 차광층의 두께의 10분의 1이하인, 보호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의 두께는 1 내지 8um이고,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nm인, 보호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2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보호 필름.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의 폭 및 상기 복수의 제2 패턴들의 폭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차광층의 두께의 10분의 1이하이고, 10nm 내지 100nm인, 보호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무기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층은 블랙 잉크로 구성되는, 보호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은 카본 나노 파이버(carbon nano-fiber),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크롬(Cr)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보호 필름.
  13.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기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기재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차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광층은 상기 기재의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 상에 있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층 상에 있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및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패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은 링 패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패턴들은 도트 패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패턴들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사이에서 적어도 3열 이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패턴들 및 상기 복수의 제2 패턴들은 10 내지 100nm인 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상기 차광층의 두께의 10분의 1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카본 나노 파이버(carbon nano-fiber),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크롬(Cr)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층은 블랙 잉크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068161A 2021-05-27 2021-05-27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60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161A KR20220160238A (ko) 2021-05-27 2021-05-27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02210582420.XA CN115407431A (zh) 2021-05-27 2022-05-26 保护膜以及包括保护膜的显示装置
US17/825,513 US20220381958A1 (en) 2021-05-27 2022-05-26 Protective film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161A KR20220160238A (ko) 2021-05-27 2021-05-27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238A true KR20220160238A (ko) 2022-12-06

Family

ID=8415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161A KR20220160238A (ko) 2021-05-27 2021-05-27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81958A1 (ko)
KR (1) KR20220160238A (ko)
CN (1) CN1154074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379A (ko) * 2020-12-03 2022-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6210A (ja) * 2001-12-14 2002-08-23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WO2015002685A1 (en) * 2013-07-01 2015-01-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on film suitable for illuminated display devices
DE112017006201T5 (de) * 2016-12-08 2019-08-29 AGC Inc. Transparentes Substrat mit lichtblockierendem Bereich und Anzeigevorrichtung
CN110596939B (zh) * 2019-08-22 2021-02-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407431A (zh) 2022-11-29
US20220381958A1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3043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424749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056443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displays
EP3291321B1 (en) Flexible display
US832306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48415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544692B2 (ja)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RU2510063C1 (ru)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160313478A1 (en) Flexible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0164938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
TWI637224B (zh) 窗口基板、製造該窗口基板之方法及包含該窗口基板之影像顯示裝置
KR102469090B1 (ko) 표시 장치
US20140098332A1 (en) Displays With Logos and Alignment Marks
JP5318498B2 (ja) 液晶表示装置
US2006017085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20160238A (ko)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5339835A (zh) 边界区域中具有滤色器材料的显示器
CN114694495B (zh) 可折叠显示装置
KR20220090038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7001740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424921A (zh) 液晶面板以及具有该液晶面板的液晶显示装置
JP2009163131A (ja)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217551429U (zh) 显示装置
US20230400887A1 (en) Display device
KR20070038611A (ko) 배향막 인쇄 마스크와 이를 이용한 배향막 제조 방법 및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