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221A - 애완동물용 펜스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221A
KR20220160221A KR1020210068119A KR20210068119A KR20220160221A KR 20220160221 A KR20220160221 A KR 20220160221A KR 1020210068119 A KR1020210068119 A KR 1020210068119A KR 20210068119 A KR20210068119 A KR 20210068119A KR 20220160221 A KR20220160221 A KR 20220160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haft
fence
plate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315B1 (ko
Inventor
구현주
Original Assignee
엠에스캠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스캠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스캠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31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00Pasturing equipment, e.g. tethering devices; Grids for preventing cattle from straying; Electrified wire fenc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35Transportable or mobile animal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08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woven sl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배출홀과 삽입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가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부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부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또는 축소되며, 양측면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여러 겹의 천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펜스{Pet fence}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 가능하고,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며, 스크린을 사용함으로써, 펜스와 부딪히는 애완동물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과 함께 외출할 때, 애완동물은 사고 능력이 낮고 보호자의 방심하는 사이 안전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노는 동안 보호자의 시야에서 멀리 벗어나지 않고 제한된 공간에서 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펜스가 사용되고 있다. 유아용 안전울타리는 복수의 울타리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울타리를 형성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불어, 다양한 센서와 경보장치를 구비하여 울타리로의 접근을 경고하는 등 안정성이 향상되고, 외부 장치와 연결을 통해 보안성이 강화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펜스는 다수개의 기둥 등을 조립하여 펜스를 형성하는 것으로 견고한 펜스를 제작하기 위해 내구성이 강한 재질의 기둥 등을 사용하고 있어, 중량이 무거워져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펜스는 강한 내구성으로 인해, 애완동물이 울타리에 부딪히거나 하게 되면 오히려 애완동물이 상해를 입게되고, 재질의 단가가 높아 사용자가 비용적으로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4364호(2011.06.23. 등록)는 울타리 블럭을 조립하여 연속해서 이어주거나 또는 울타리 블럭의 길이를 짧게 하여 필요한 만큼의 이동 구역을 정할 수 있고, 울타리 블럭의 적층이 가능하여 울타리 높이 조절도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모양과 형상으로 취향에 따라 조립하여 울타리를 만들 수 있는 조립형 동물 울타리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으나, 재질은 내구성이 강한 재질을 사용해야 하여 제작 비용이 높고, 휴대하기에 어려운 중량을 가지고 있어,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1334호 "조립식 동물 사육장치용 블록실 패널", 등록특허 제10-1291749호 "동물 사육 울타리 시공용 블럭식 망체 연결구조"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패널)을 옆으로 조립연결하여 그 모양과 크기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제작 비용이 높고, 중량이 무거워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외출 시 애완동물과 동반하여야 할 때, 애완동물이 지낼 수 있는 공간을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펜스와 부딪혀도 충격이 적어 애완동물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배출홀과 삽입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가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부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부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또는 축소되며, 양측면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여러 겹의 천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부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 및 내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파지되어 결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일면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탈착이 가능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면에 상기 스크린의 일단이 연결된 샤프트, 일단이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와 수직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파지부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의 회전을 상기 파지부와 연장되는 상기 샤프트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떠한, 상기 기어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기어몸체, 중심에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된 제1 기어부재 및 상기 제1 기어부재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부재와 맞물리게 연결되고, 중심에 연결축이 결합되어 상기 연결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와 이격된 동일한 구성의 제2 케이스가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스크린이 상기 제2 케이스의 삽입홀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는, 창문, 출입문 등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고, 가벼운 중량으로 제작될 수 있고, 평상시에는 부피가 작아 분리 및 이동이 용이하여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용 펜스는 출입문 등의 바닥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물이 없어도 복수 개의 케이스를 서로 연결하여 외부와 분리된 하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는, 바닥면과 지지되는 지지부의 상부 및 하부의 단면이 서로 상이함으로써, 상부에 케이스가 부착되고 하부에 고정부가 부착됨으로써, 바닥에 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출입이 가능한 문 등을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는,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ㄹ레이트의 결합 및 분리로 인해 스크린이 제작됨으로써, 다양한 종류 또는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의 제작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는, 파지부가 케이스의 상방에 위치하여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케이스가 출입문이나, 지지부에 결합될 수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는, 롤러부 일측에 기어부가 설치되어 파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의 방향을 수직한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어, 롤러부로 케이스와 출입문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기어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지지부와 결합된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케이스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1)는 애완동물과 함께 외출하는 사용자가 다양한 장소에서 애완동물의 행동반경을 제한하는 분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1)는 애완동물용 펜스(1)에 부딪힐 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애완동물의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용 펜스(1)는 휴대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고, 중량이 가벼울 수 있어, 애완동물용 펜스(1)의 이동이 용이함과 동시에 설치가 편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애완동물용 펜스(1)는 휴대가 용이하고 분리 및 설치가 편리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 롤러부(300) 및 스크린(5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롤러부(300)가 설치되고 외부로 스크린(500)이 인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어, 내부에 롤러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외측면에는 배출홀(111), 삽입홀(113) 및 탈착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111)은 하우징(11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홀(11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홀(111)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는 롤러부(300)와 연결된 스크린(500)이 롤러부(3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방으로 배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삽입홀(113)은 배출홀(111)이 형성된 면과 수직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홀(113)은 직사각 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홀(113)은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홀(113)은 배출홀(11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100)와 이격 설치되는 다른 케이스(100)로부터 배출되는 스크린(500)이 삽입홀(113)을 통해 삽입되어 케이스(100)가 한 쌍으로 설치될 때, 케이스(100) 간에 연결이 가능할 수 있어, 서로 연결되는 케이스(100) 내측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탈착홀(115)은 배출홀(111) 및 삽입홀(113)이 형성된 면과 수직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탈착홀(115)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착홀(115)은 하우징(110)의 양측면에 평행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탈착홀(115)은 삽입홀(113)과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홀(113)로 삽입되는 스크린(50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는 탈착몸체(531)에서 돌출부재(533)가 탈착홀(115)의 내측 또는 후술할 고정홈(751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스크린(500)이 고정될 수 있다.
롤러부(3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크린(500)이 하방으로 배출 및 삽입될 수 있도록, 샤프트(310), 기어부(330) 및 파지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10)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31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310)의 좌측 단부는 회전 가능 하도록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310)의 좌측 단부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우징(110)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내측면은 내측 방향으로 일정부분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중심에는 원형홈이 형성되어 샤프트(310)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310)의 외측면에는 스크린(500)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외측면이 연결되어 샤프트(310)가 회전하면 샤프트(310)의 외측면으로 스크린(500)이 중첩되어 쌓이거나, 풀어질 수 있어, 스크린(500)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310)의 우측 단부에는 돌출샤프트(311a)가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샤프트(311a)는 샤프트(3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돌출샤프트(311a)가 회전함에 따라 샤프트(310)가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돌출샤프트(311a)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샤프트(311a)는 직경이 샤프트(31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샤프트(311a)의 우측 단부에 돌출샤프트(311a)가 회전 가능하도록 기어부(3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기어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기어부(330)는 사용자가 파지부(350)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파지부(350)와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는 샤프트(310)로 전달하기 위해, 기어몸체(331), 제1 기어부재(333), 제2 기어부재(335) 및 연결축(3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어부(3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탄성 재질 또는 볼트 등으로 하우징(110)과 기어부(3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기어몸체(331)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어몸체(331)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어몸체(331)는 좌측면에 돌출샤프트(311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샤프트(311a)의 우측 단부에는 돌출샤프트(311a)를 중심축으로 하는 제1 기어부재(333)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어부재(333)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부재(333)는 중심부가 돌출샤프트(311a)와 결합되어 제1 기어부재(333)가 회전할 때, 돌출샤프트(311a)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부재(333)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톱니 모양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부재(333)의 톱니 모양은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헬리컬 기어(helical gear)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톱니 모양의 돌출된 부분의 상단부에는 제1 기어부재(333)의 톱니 모양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톱니 부분과 맞물려 있는 제2 기어부재(335)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어부재(335)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부재(335)는 외측면이 톱니 모양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어부재(335)의 외측면의 톱니 모양은 제1 기어부재(333)의 돌출된 톱니 부분과 맞물리도록 형성됨으로써, 제2 기어부재(335)가 회전하면 제2 기어부재(335)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기어부재(333)가 회전함으로써, 제2 기어부재(335)의 회전 동력을 수직한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부재(335)의 톱니 모양은 일정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헬리컬 기어(helical gear)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부재(333)와 제2 기어부재(335)는 헬리컬 기어로 형성됨으로써, 서로 맞물려 있어 제2 기어부재(335)로 전달되는 동력을 제2 기어부재(335)와 수직한 위치에 형성된 제1 기어부재(333)로 전달함으로써, 제2 기어부재(335)가 수평으로 회전하는 힘을 제1 기어부재(333)의 수직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제2 기어부재(335)의 중심부에는 연결축(337)이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축(337)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축(337)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축(337)은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파지부(350)와 연결될 수 있다.
파지부(350)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350)는 연결축(337)의 상단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350)는 연결축(337)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부(350)를 잡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350)가 하우징(110)의 상방에 위치함으로써, 복수 개의 케이스(100) 및 지지부(700)와 연결되는 케이스(10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350)를 잡고, 연결축(337)을 회전시키면, 헬리컬 기어로 형성될 수 있는 기어부(330)를 통해 회전력을 롤러부(300)로 전달하여 롤러부(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린(500)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스크린(500)은 롤러부(300)에 연결되어 케이스(100)의 외측 방향으로 배출 또는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배출 시 애완동물의 출입을 방지하며, 애완동물이 부딪히면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일정 길이 이상 배출되면 외부 환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510) 및 탈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51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5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510)는 탄성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어 애완동물이 부딪히면 애완동물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510)는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내부에서 외부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시야가 확보될 수 있어, 애완동물이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애완동물 상태를 지속적으로 살필 수 있는 시야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510)의 재질을 다른 재질로 교체가 용이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510)는 제1 플레이트(511) 및 제2 플레이트(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511)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511)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511)는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결합홈(51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511)는 롤러부(300)가 회전함에 따라 롤러부(300)의 외측면에 말리면서 중첩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511)의 외측면에는 결합홈(511a)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돌기(513a)를 갖는 제2 플레이트(513)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13) 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513)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513)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513)는 제1 플레이트(5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합돌기(513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513a)는 결합홈(511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513a)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결합홈(511a)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플레이트(513)에 제1 플레이트(51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13)는 플레이트(510)의 탄성력을 증대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100)의 내측과 외부의 시야를 차단하기 위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다양한 용도의 제2 플레이트(513)를 탈부착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510)를 일측으로 배출시켜 내부와 외부를 격리할 때, 플레이트(510)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고, 양측이 일정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510)의 좌우측 단부에는 와이어(520)가 삽입될 수 있다.
와이어(520)는 플레이트(510)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520)는 제1 플레이트(511)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플레이트(510)가 연장될 때, 수평하게 플레이트(510)가 배출될 수 있고, 케이스(100)를 바닥과 수직하게 설치할 때, 양측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520)는 플레이트(510)가 롤러부(300)를 통해 말리면 휘어지는 성질을 가진 철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샤프트(310)의 외측면에 플레이트(510)와 함께 중첩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510)의 하단부에는 탈착부(530)가 연장 형성되어 플레이트(510)가 일정 위치에 놓이게 되면, 플레이트(510)를 외부와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탈착부(530)는 플레이트(510)가 하방으로 연장되었을 때, 플레이트(5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탈착몸체(531) 및 돌출부재(533)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몸체(531)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탈착몸체(531)는 플레이트(510)보다 두꺼운 두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탈착몸체(531)는 플레이트(510)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보다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탈착몸체(531)는 롤러부(300)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착몸체(531)는 플레이트(510)를 하방으로 연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위치하게 되면, 탈착몸체(531)의 외측면에 돌출된 돌출부재(533)가 외측 방향에 형성되는 홈일 수 있는 탈착홀(115) 또는 고정홈(751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51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탈착홀(115) 또는 고정홈(751a)으로 돌출부재(533)를 삽입할 수 있어, 플레이트(510)가 연장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지지부와 결합된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애완동물용 펜스(1)는 주변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재 시 바닥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700)는 바닥면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되면서, 케이스(1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몸체(710), 하부몸체(730) 및 고정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몸체(710)는 바닥면에서 상부로 향하면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71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케이스(100)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100)가 설치 가능한 주변 장치가 미비한 상태에서도 바닥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00)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부몸체(710)가 형성되어 상부몸체(710)에 케이스(1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부몸체(710)의 하방에는 바닥면을 향해 하부몸체(73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몸체(730)는 일정지점 밑으로는 서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하부몸체(730)는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 외에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바닥면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하부몸체(730)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몸체(730)에는 하부몸체(730)를 감싸면서 하부몸체(730)에 고정되는 고정부(75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750)는 하부몸체(730)의 외측면에 하부몸체(730)를 감싸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몸체(751), 제1 고정부재(753), 고정샤프트(755) 및 제2 고정부재(75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몸체(751)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몸체(751)는 내부에 고정홈(751a)이 형성되고, 고정홈(751a)가 제2 고정부재(757) 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몸체(751)가 고정되었을 때, 고정홈(751a) 내측으로 스크린(500)의 돌출부재(533)가 삽입되어 고정몸체(751)에 스크린(50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홈(751a)는 돌출부재(533)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조금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돌출부재(533)의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고정몸체(751)는 하부몸체(7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고정부재(753), 고정샤프트(755) 및 제2 고정부재(75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재(753), 고정샤프트(755) 및 제2 고정부재(757)가 서로 결합되어, 집게 형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750)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하부몸체(730)를 감싸면서 고정될 수 있어, 고정부(750)가 하부몸체(7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재(753)과 제2 고정부재(757)은 단부가 연결되어 하나로 이어질 수 있다.
제2 고정부재(757)는 고정몸체(7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몸체(751)의 상방에 형성된 고정샤프트(755)는 볼트 등으로 형성되어 제1 고정부재(753)가 제2 고정부재(757)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고정부재(753)가 제2 고정부재(757)와 회전 가능하여 하부몸체(730)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750)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홈(751a)에는 돌출부재(533)가 삽입되어 고정부(750)가 고정된 위치에서 스크린(5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펜스의 케이스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애완동물용 펜스(1)는 바닥면에 좌측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애완동물용 펜스(1)를 90도 회전시켜 바닥면과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에서 스크린(500)을 배출시키고, 배출된 스크린(500)은 케이스(100)와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다른 케이스(100)의 삽입홀(11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삽입된 스크린(500)의 단부는 삽입홀(113)의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탈착홀(115)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케이스(100) 간의 스크린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100), 롤러부(300) 및 스크린(500)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간에는 애완동물 들이 위치함으로써, 애완동물을 일정 반경 내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용 펜스(1)는 출입문 등에 설치하게 되면, 일부분을 출입문 등에 고정시킴으로써, 하방으로 스크린(500)을 연장하여 스크린(500)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재(533)가 외부의 다양한 종류의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출입문 등의 지지 가능한 외부 장치가 미비하게 되면 지지부(700)를 바닥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지지부(700)를 통해 케이스(100)를 고정시켜 애완동물이 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용 펜스(1)를 90도 회전시켜 일측면을 바닥면에 밀착 및 고정시키고, 케이스(100)에서 배출되는 스크린(500)을 연장하여 이격 설치되는 케이스(100) 내측으로 삽입 및 고정시킴으로써, 3개 이상의 애완동물용 펜스(1)를 설치하여 하나의 공간을 외부와 이격시킬 수 있어, 애완동물의 행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용 펜스(1)와 부딪히면 스크린(500)이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일정 간격 플렉시블하게 늘어날 수 있어, 애완동물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애완동물용 펜스
100: 케이스 110: 하우징
111: 배출홀 113: 삽입홀
115: 탈착홀 300: 롤러부
310: 샤프트 330: 기어부
331: 기어몸체 333: 제1 기어부재
335: 제2 기어부재 337: 연결축
350: 파지부
500: 스크린 510: 플레이트
511: 제1 플레이트 511a: 결합홈
513: 제2 플레이트 513a: 결합돌기
520: 와이어
530: 탈착부 531: 탈착몸체
533: 돌출부재
700: 지지부 710: 상부몸체
730: 하부몸체 750: 고정부
751: 고정몸체 751a: 고정홈
753: 제1 고정부재 755: 고정샤프트
757: 제2 고정부재

Claims (6)

  1.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 배출홀과 삽입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가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부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부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또는 축소되며, 양측면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여러 겹의 천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펜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부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 및
    내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파지되어 결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펜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일면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탈착이 가능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펜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면에 상기 스크린의 일단이 연결된 샤프트;
    일단이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와 수직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파지부;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의 회전을 상기 파지부와 연장되는 상기 샤프트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펜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기어몸체;
    중심에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된 제1 기어부재; 및
    상기 제1 기어부재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기어부재와 맞물리게 연결되고, 중심에 연결축이 결합되어 상기 연결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펜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와 이격된 동일한 구성의 제2 케이스가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스크린이 상기 제2 케이스의 삽입홀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가 서로 결합되는 애완돌물용 펜스.
KR1020210068119A 2021-05-27 2021-05-27 애완동물용 펜스 KR102650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119A KR102650315B1 (ko) 2021-05-27 2021-05-27 애완동물용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119A KR102650315B1 (ko) 2021-05-27 2021-05-27 애완동물용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221A true KR20220160221A (ko) 2022-12-06
KR102650315B1 KR102650315B1 (ko) 2024-03-21

Family

ID=8440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119A KR102650315B1 (ko) 2021-05-27 2021-05-27 애완동물용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3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743B1 (ko) * 2023-05-12 2024-01-05 주식회사 필드원 조립식 다기능 펜스 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700A (ja) * 1997-03-31 1998-10-20 Sekisui House Ltd 建築現場用の巻き取り式仮囲い
JP2006316481A (ja) * 2005-05-12 2006-11-24 Takano Co Ltd ファブリックフェンス
KR20110011892U (ko) * 2010-06-18 2011-12-26 오림환 실내용 냉기 및 악취 차단 펜스
US20130221301A1 (en) * 2010-11-01 2013-08-29 Jeremy Bruce Cowie Retractable fencing or barrier
KR20150118315A (ko) * 2014-04-14 2015-10-22 주식회사 신우랜드 개량된 차광구조를 갖는 정자
KR101635577B1 (ko) * 2015-10-02 2016-07-04 주식회사 송강 지엘씨 가축 몰이용 프리 펜스
KR20170053953A (ko) * 2015-11-09 2017-05-17 최기순 휴대가 용이한 학습용 칸막이
JP2017080018A (ja) * 2015-10-27 2017-05-18 株式会社三英 多目的カバー
KR20200063926A (ko) * 2018-11-28 2020-06-05 배성수 반려동물 그물 울타리
KR20200095048A (ko) * 2019-01-31 2020-08-1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JP2021036803A (ja) * 2019-08-31 2021-03-11 合同会社カナノフェンス ペット脱出防止用フェンス取り付け器具、およびペット脱出防止用フェンス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700A (ja) * 1997-03-31 1998-10-20 Sekisui House Ltd 建築現場用の巻き取り式仮囲い
JP2006316481A (ja) * 2005-05-12 2006-11-24 Takano Co Ltd ファブリックフェンス
KR20110011892U (ko) * 2010-06-18 2011-12-26 오림환 실내용 냉기 및 악취 차단 펜스
US20130221301A1 (en) * 2010-11-01 2013-08-29 Jeremy Bruce Cowie Retractable fencing or barrier
KR20150118315A (ko) * 2014-04-14 2015-10-22 주식회사 신우랜드 개량된 차광구조를 갖는 정자
KR101635577B1 (ko) * 2015-10-02 2016-07-04 주식회사 송강 지엘씨 가축 몰이용 프리 펜스
JP2017080018A (ja) * 2015-10-27 2017-05-18 株式会社三英 多目的カバー
KR20170053953A (ko) * 2015-11-09 2017-05-17 최기순 휴대가 용이한 학습용 칸막이
KR20200063926A (ko) * 2018-11-28 2020-06-05 배성수 반려동물 그물 울타리
KR20200095048A (ko) * 2019-01-31 2020-08-1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JP2021036803A (ja) * 2019-08-31 2021-03-11 合同会社カナノフェンス ペット脱出防止用フェンス取り付け器具、およびペット脱出防止用フェン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743B1 (ko) * 2023-05-12 2024-01-05 주식회사 필드원 조립식 다기능 펜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315B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739B1 (ko) 자살방지용 펜스
KR20220160221A (ko) 애완동물용 펜스
KR200490846Y1 (ko) 각도조절 브라켓
KR102470259B1 (ko)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 펜스
US8448605B2 (en) Small animal entertainment, exercise and interaction structure
KR101380233B1 (ko) 전동 롤 블라인드
KR101370974B1 (ko) 롤 블라인드의 안전 볼체인
US9901840B2 (en) Playhouse assembly
EP1744617B1 (en) Animal barrier device
WO2009068706A1 (es) Dispositivo para evacuación rápida de edificios
JP2008013920A (ja) 防犯用フェンスガード装置
KR200443972Y1 (ko) 개폐식 방범창
KR101208993B1 (ko)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20080102582A (ko) 월담 방지구를 부착한 다목적 안전 펜스
RU2425200C1 (ru) Охр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основе спирального заграждения
CN210249283U (zh) 一种安全门护栏
ES2703648T3 (es) Sistema para mover aparatos accionados eléctricamente
JP4014494B2 (ja) エレベータ
ES2263337B1 (es) Dispositivo autobloqueante para persianas y cierres.
KR20100050004A (ko) 공간확보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벽구조물
JP5250506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200496706Y1 (ko) 흔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베이비룸
KR200416858Y1 (ko) 구조요청 표지판 게시장치
ES1066931U (es) Dispositivo de vallado protector.
JP4257222B2 (ja) 幼児用トイレブースと幼児用トイレ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