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226A -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226A
KR20220159226A KR1020210067302A KR20210067302A KR20220159226A KR 20220159226 A KR20220159226 A KR 20220159226A KR 1020210067302 A KR1020210067302 A KR 1020210067302A KR 20210067302 A KR20210067302 A KR 20210067302A KR 20220159226 A KR20220159226 A KR 20220159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area
passenger
departure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906B1 (ko
Inventor
김현성
김명수
조공훈
Original Assignee
김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성 filed Critical 김현성
Priority to KR1020210067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90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노선을 운행하는 교통 수단의 노선 시작 지점 및 노선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출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도착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교통 수단의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교통 수단의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SHARABLE VEHICLE}
본 발명은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공유 오피스, 공유 모빌리티 등과 같은 공유 경제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공유 경제 시장의 규모가 점차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공유 경제 서비스의 일 예로서 다중 이용 교통 수단을 들 수 있는데, 다중 이용 교통 수단(예를 들면, 택시)을 여러 명이 함께 이용(예를 들면, 합승, 동승 등)하게 되면, 혼자서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해당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도 소개된 바 있다.
이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39479호에 개시된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제1 탑승자로부터 콜 차량의 탑승을 요청하는 탑승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탑승 요청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상기 콜 차량에 탑승하고 있거나 선예약된 제2 탑승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탑승자가 존재하면 상기 제1 탑승자의 탑승 시 발생되는 상기 제2 탑승자의 손해 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손해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손해 값이 상기 기준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탑승자의 탑승을 결정하여, 상기 콜 차량에 대한 상기 제1 탑승자의 탑승을 승인하는 탑승 승인 신호를 상기 제1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다중 이용 교통 수단을 여러 명이 함께 이용하게 되면, 전체 운행 경로가 길어지거나 다중 이용 교통 수단 탑승 후 운행이 시작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이 생길 수 있고, 이에 따라 목적지에 도착하는 시간이 늦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소개된 기술에 의하면, 이러한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까지 제안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는, 다중 이용 교통 수단이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도록 하고, 해당 교통 수단이 해당 노선을 원활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위와 같은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선을 운행하는 교통 수단의 노선 시작 지점 및 노선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위의 출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 및 위의 도착 영역에 포함되는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위의 교통 수단의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고,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위의 교통 수단의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이용 교통 수단이 정해진 노선을 원활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해당 교통 수단을 여러 명이 함께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시간 지연을 최소화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노선을 운행하는 교통 수단의 노선 시작 지점 및 노선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출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도착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교통 수단의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교통 수단의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노선을 운행하는 교통 수단의 노선 시작 지점 및 노선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출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도착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교통 수단의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교통 수단의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선을 운행하는 교통 수단의 노선 시작 지점 및 노선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위의 출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 및 위의 도착 영역에 포함되는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위의 교통 수단의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고,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위의 교통 수단의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 이용 교통 수단이 정해진 노선을 원활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해당 교통 수단을 여러 명이 함께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시간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중 이용 교통 수단(또는, 교통 수단)이란, 택시 외에도 여러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교통 수단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택시에 관한 실시예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지만, 택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교통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및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 5G 통신, 블루투스 통신(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포함),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광 통신망으로서, 라이파이(LiFi, Light Fidelity)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노선을 운행하는 교통 수단의 노선 시작 지점 및 노선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위의 출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 및 위의 도착 영역에 포함되는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위의 교통 수단의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고,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위의 교통 수단의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0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글래스,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특히, 디바이스(300)는,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성격은 후술할 바와 같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정보 관리부(210), 경로 관리부(220), 비용 결정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와 전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정보 관리부(210), 경로 관리부(220), 비용 결정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관리부(210), 경로 관리부(220), 비용 결정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요소 또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300) 또는 서버(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부(210)는, 노선을 운행하는 교통 수단의 노선 시작 지점 및 노선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을 각각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교통 수단(예를 들면, 택시)이 반복하여 운행하는 노선 시작 지점 및 노선 종료 지점은 해당 교통 수단에 관한 이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교통 수단에 대한 수요가 높은 지역 및 노선을 도출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부(210)는, 노선 시작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출발 영역을 설정하고, 노선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도착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발 영역은 교통 수단이 노선 시작 지점으로부터 노선 종료 지점까지 운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명의 승객을 탑승시킬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착 영역은 교통 수단이 노선 종료 지점에 도착한 다음에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승객을 하차시킬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수단은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므로, 기본적으로 해당 교통 수단에 탑승할 수 있는 승객(후술할 제1 승객을 의미한다.)의 출발 지점은 노선의 출발 영역 안에 포함되고, 그 승객의 도착 지점은 노선의 도착 영역 안에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선 시작 지점 및 노선 종료 지점은 교통 수단이 운행하는 방향 또는 승객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수단이 A 지점에서부터 B 지점으로 운행하는 경우에는 A 지점이 노선 시작 지점을 의미하고 B 지점이 노선 종료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교통 수단이 B 지점에서부터 A 지점으로 운행하는 경우에는 B 지점이 노선 시작 지점을 의미하고 A 지점이 노선 종료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노선 시작 지점 및 노선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설정되는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도 교통 수단이 운행하는 방향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수단이 특정 영역에서 승객을 승하차시키는 경우에, 승차하는 승객에 대해서는 해당 영역이 출발 영역이고, 하차하는 승객에 대해서는 해당 영역이 도착 영역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은 영역 결정 요소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 결정 요소에는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은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교통 상황, 노선 시작 지점으로부터 노선 종료 지점까지의 해당 교통 수단의 운행 소요 시간, 현재 시간, 해당 교통 수단에 탑승 가능한 최대 승객의 수, 출발 영역의 교통 상황 및 도착 영역의 교통 상황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결정 요소는 위의 열거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부(210)는, 출발 영역에서의 교통 상황이 평소보다 더 혼잡한 경우에는 출발 영역에서 여러 승객을 탑승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시간 지연을 줄이기 위하여 출발 영역을 평균적으로 설정되는 출발 영역보다 좁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부(210)는, 도착 영역에서의 교통 상황이 평소보다 덜 혼잡한 경우에는 도착 영역에서 여러 승객을 하차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시간 지연이 적으므로, 도착 영역을 평균적으로 설정되는 도착 영역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부(210)는, 교통 수단에 탑승 가능한 최대 승객의 수가 많을수록 승객 한 명당 비용이 줄어들기 때문에 승객들이 여러 승객을 승하차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시간 지연을 감수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통 수단에 탑승 가능한 최대 승객의 수에 비례하여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을 넓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부(210)는, 출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 및 도착 영역에 포함되는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승객은 출발 지점이 출발 영역에 포함되고 도착 지점이 도착 영역에 포함되는 승객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에는, 위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의 위치 정보 외에도, 위의 제1 승객이 출발 지점에서 탑승하려는 시간, 탑승하려는 인원수, 선호하는 합승 인원수, 위의 제1 승객의 출발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 등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제1 승객의 출발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은, 위의 제1 승객이 교통 수단을 호출한 후에 해당 교통 수단에 실제로 탑승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는 시간 또는 위의 제1 승객이 교통 수단을 호출한 후에 노선 시작 지점에서 출발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에는, 도착 지점의 위치 정보 외에도, 위의 제1 승객의 도착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 등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제1 승객의 도착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은, 교통 수단이 노선 종료 지점에 도착한 후에 위의 제1 승객이 실제 하차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는 시간 또는 다른 승객을 먼저 내리도록 함으로써 발생되는 시간 지연을 감수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승객의 출발 지점 및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는 위의 열거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부(210)는, 제1 승객의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 제1 승객의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 교통 수단 및 노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제1 승객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승객의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에 관한 정보에는, 교통 수단의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 해당 경로 상에서 위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의 위치 정보, 위의 제1 승객의 위치 정보 및 탑승 순서, 예상 탑승 시간, 출발 영역의 교통 상황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승객의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에 관한 정보에는, 교통 수단의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 해당 경로 상에서의 위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의 위치 정보, 위의 제1 승객의 위치 정보 및 하차 순서, 예상 하차 시간, 도착 영역의 교통 상황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수단에 관한 정보에는, 해당 교통 수단의 종류, 해당 교통 수단에 탑승이 가능한 최대 인원수, 해당 교통 수단에 현재 탑승이 가능한 인원수, 해당 교통 수단에 탑승하는 인원수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선에 관한 정보에는, 노선 시작 지점, 노선 종료 지점, 해당 노선의 교통 상황, 노선 운행 소요 시간,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승객의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 제1 승객의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 교통 수단 및 노선은 위의 열거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관리부(220)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교통 수단의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고,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위의 교통 수단의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관리부(220)는, 교통 수단에 탑승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출발(도착) 영역에서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을 모두 탑승(하차)시킬 수 있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결정되는 경로는 가능한 경로 중 가장 적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관리부(220)는, 출발(도착) 영역에서의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다익스트라(Dijkstra), 에이 스타(A*), 디 스타(D*), 벨만-포드(Bellman-Ford) 등과 같은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위와 같은 경로를 도출할 수 있다.
나아가, 교통 수단에 탑승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 및/또는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가 있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관리부(220)는, 그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 및/또는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관리부(220)는 교통 수단에 탑승할 모든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다음에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확정적으로 결정할 수 있지만, 해당 교통 수단이 그 결정된 경로를 운행하는 도중에 해당 교통 수단에 탑승하는 승객이 추가됨에 따라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변경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나아가, 교통 수단이 도착 영역에서의 결정된 경로를 운행하는 도중에 해당 교통 수단에 탑승하는 승객이 추가될 수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관리부(220)는, 위와 마찬가지로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부(210)는, 노선(310)을 운행하는 교통 수단의 노선 시작 지점(311)을 기준으로 하여 출발 영역(320)을 설정하고, 해당 교통 수단의 노선 종료 지점(312)을 기준으로 하여 도착 영역(330)을 설정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관리부(210)는, 출발 영역(3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321 내지 324)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도착 영역(330)에 포함되는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331 내지 334)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관리부(220)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321 내지 324)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311 및 321 내지 324의 순서로 이동하는 경로)를 결정하고,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331 내지 334)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312 및 331 내지 334의 순서로 이동하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관리부(220)는, 출발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적어도 한 명의 제2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위의 출발 영역을 동적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통 수단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관리부(220)에 의하여 결정된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운행하는 경우에, 출발 지점이 출발 영역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위의 경로를 조금만 수정하면 탑승할 수 있는 제2 승객이 있는 경우(즉, 제2 승객을 탑승시키기 위하여 경로를 수정함에 따른 시간 지연이 거의 없는 경우) 등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관리부(220)는 출발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위의 제2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수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용 결정부(230)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수,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 및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에 기초하여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이 교통 수단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을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용 결정부(230)는, 교통 수단에 탑승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수에 기초하여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이 해당 교통 수단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 중 해당 교통 수단이 노선을 운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을 분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교통 수단이 노선 시작 지점에서부터 노선 종료 지점까지 운행하는 동안에는 모든 승객이 해당 교통 수단에 탑승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용 결정부(230)는, 그 동안 발생되는 비용은 탑승객별로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용 결정부(230)는,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이 해당 교통 수단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 중 해당 교통 수단이 노선을 운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을 제외한 나머지 비용, 즉, 해당 교통 수단이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 및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운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을,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 및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에 기초하여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이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에서 해당 교통 수단을 이용한 시간을 도출하고, 그 도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그 비용을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에게 각각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용 결정부(230)는,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 및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이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에서 해당 교통 수단을 이용한 시간에 비례하여 위의 나머지 비용을 분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교통 수단에 탑승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 및/또는 위의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가 있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용 결정부(230)는, 그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위의 제1 승객이 대기한 시간이 길수록 그에 대한 보상으로서 위의 제1 승객에게 비용이 적게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정보 관리부(210), 경로 관리부(220) 및 비용 결정부(2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정보 관리부(210), 경로 관리부(220), 비용 결정부(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정보 관리부(210), 경로 관리부(220), 비용 결정부(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0: 정보 관리부
220: 경로 관리부
230: 비용 결정부
240: 통신부
250: 제어부
300: 디바이스

Claims (19)

  1.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노선을 운행하는 교통 수단의 노선 시작 지점 및 노선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출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도착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교통 수단의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교통 수단의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 상기 교통 수단 및 상기 노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적어도 한 명의 제2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 영역이 동적으로 결정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은 영역 결정 요소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결정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결정 요소에는, 상기 노선의 교통 상황, 상기 노선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노선 종료 지점까지의 상기 교통 수단의 운행 소요 시간, 현재 시간, 상기 교통 수단에 탑승 가능한 최대 승객의 수, 출발 영역의 교통 상황 및 도착 영역의 교통 상황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수,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 및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이 상기 교통 수단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을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비용 중 상기 교통 수단이 상기 노선을 운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을 분배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 및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에 더 기초하여 상기 비용을 분배하는
    방법.
  10.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1.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노선을 운행하는 교통 수단의 노선 시작 지점 및 노선 종료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출발 영역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도착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교통 수단의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도착 지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교통 수단의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부가,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 상기 교통 수단 및 상기 노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관리부가, 상기 출발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적어도 한 명의 제2 승객의 출발 지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 영역을 동적으로 결정하는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영역 및 도착 영역은 영역 결정 요소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결정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결정 요소에는, 상기 노선의 교통 상황, 상기 노선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노선 종료 지점까지의 상기 교통 수단의 운행 소요 시간, 현재 시간, 상기 교통 수단에 탑승 가능한 최대 승객의 수, 출발 영역의 교통 상황 및 도착 영역의 교통 상황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관리부가,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를 결정하는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수,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경로 및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이 상기 교통 수단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을 분배하는 비용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결정부가,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비용 중 상기 교통 수단이 상기 노선을 운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을 분배하는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결정부가,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상기 출발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 및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제1 승객의 상기 도착 영역에서의 대기 시간에 더 기초하여 상기 비용을 분배하는
    시스템.
KR1020210067302A 2021-05-25 2021-05-25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10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302A KR102610906B1 (ko) 2021-05-25 2021-05-25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302A KR102610906B1 (ko) 2021-05-25 2021-05-25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226A true KR20220159226A (ko) 2022-12-02
KR102610906B1 KR102610906B1 (ko) 2023-12-07

Family

ID=8441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302A KR102610906B1 (ko) 2021-05-25 2021-05-25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9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01B1 (ko) * 2015-04-09 2016-09-05 박병종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70550A (ko) * 2017-12-13 2019-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091019B1 (ko) * 2019-09-30 2020-03-19 주식회사 코나투스 2인 이상의 차량 동시 이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01B1 (ko) * 2015-04-09 2016-09-05 박병종 임대요금의 분배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70550A (ko) * 2017-12-13 2019-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091019B1 (ko) * 2019-09-30 2020-03-19 주식회사 코나투스 2인 이상의 차량 동시 이용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906B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4343B2 (en) Ride chaining
US20190095849A1 (en) Data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for processing multiple transport requests
JP7059366B2 (ja) 車両管理システム、車両管理装置、及び車両管理方法
US11740095B2 (en) Coordinating transport through a common rendezvous location
US20180143027A1 (en) Dynamic route planning for demand-based transport
US20220170753A1 (en) Dynamic route recommendation and progress monitoring for service providers
JP2021511568A (ja) 多区間輸送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190383622A1 (en) Dynamic connection management
WO2016025926A1 (en) Transportation services for package delivery
US202201590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ortions of media assets for immediate retrieval by multiple devices
CN106895845A (zh) 一种会合地点的确定方法及装置
WO2019239175A1 (ja) 車両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管理方法
US20190146484A1 (en) Vehicle External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US20210076378A1 (en) Facilitating service continuity and quality of experience through dynamic prioritized distribution in the citizens broadband radio spectrum
US201902057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llocation of different categories of vehicles
CN107168333A (zh) 一种机器人的管理方法及服务器
KR20220159226A (ko) 다중 이용 교통 수단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8081575A (ja) 車両管理方法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KR102474296B1 (ko)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도착지로 운행 중인 차량의 배차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21009513A (ja) 相乗り車両手配システム
KR101815209B1 (ko) 통신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의 스케줄링 방법
KR101743522B1 (ko) 콜 차량 배차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57641A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9179967A (ja) 情報処理装置、中継器、電波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13306A (ja) 交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