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569A -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 및 열처리 장비 관제방법 - Google Patents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 및 열처리 장비 관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569A
KR20220158569A KR1020210066883A KR20210066883A KR20220158569A KR 20220158569 A KR20220158569 A KR 20220158569A KR 1020210066883 A KR1020210066883 A KR 1020210066883A KR 20210066883 A KR20210066883 A KR 20210066883A KR 20220158569 A KR20220158569 A KR 20220158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eatment
data
treatment equipment
central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197B1 (ko
Inventor
고태영
Original Assignee
고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태영 filed Critical 고태영
Priority to KR102021006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19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1/00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for heat 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6Surface hardening
    • C21D1/09Surface hardening by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al or wave energy; by particle radiation
    • C21D1/10Surface hardening by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al or wave energy; by particle radiation by electric in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60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Heat Treatment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기재를 투입하여 열처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기재에 대한 열처리 조건을 상시 출력하여 관리자가 열처리 작업의 이상유무를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처리 장비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발명한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10)의 블록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를 통해 본 발명은 열처리 장비의 기동 데이터의 입력 및 처리를 위한 중앙처리장치(20), 상기 중앙처리장치(2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출력해주기 위한 데이터 출력장치(30), 상기 중앙처리장치(20)와 연계되어 상호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열처리 장비의 기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40) 및 보조처리장치(50)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장비의 기동 과정에서 열처리 가공시에 설정한 가공 데이터 범부를 벗어난 가공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모니터링 및 시그널 송출을 통해 확인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비정상 가공에 대해 즉각 조치할 수 있게 해주고,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장비의 가동을 중단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기재의 열처리 불량발생을 원천 차단할 수 있어 열처리 장비의 생산효율을 향상하면서 복수의 열처리 장비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 및 열처리 장비 관제방법{high-frequency heat treatment apparatus's control system and heat treatment apparatus'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 및 관제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열처리 장비에 부가하여, 금속 기재를 투입하면 선택한 가공데이터로 열처리를 진행시키면서 각 과정별로 기재에 대한 열처리 조건을 상시 출력하여 관리자가 열처리 작업의 이상유무를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비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열처리 조건과 관련하여 이상징후(異常徵候)의 발견시에는 경보(alarm)를 송출하여 작업자가 즉각 조치하게 하거나 장비의 가공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재의 열처리 불량발생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발명한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과 위 관제 시스템에 의한 열처리 장비 관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열처리(熱處理, heat treatment)라 함은 특정 기재에 가열·냉각 등과 같은 처리작업을 특정한 시간 및 조건, 속도 등으로 진행함으로써 그 기재가 가지는 특성(물성)을 사용자가 소망하는 형태로 개량하는 소재처리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온도 변화에 의해서 고유하게 존재하는 상의 종류나 배합이 변하는 재료(기재)의 특성 변화를 이끌어내는 처리기술이다.
열처리 기술이 적용되는 통상의 소재는 금속인데, 특정한 금속 기재를 고온으로 가열시킨 상태에서 미리 설정한 특정한 시간으로 급냉함으로써 보통의 경우 일어날 수 있는 변화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저지하여 사용자가 소망하는 필요한 특성을 내도록 하고 있다.
자동차 및 각종 산업용 기계장치 등에 있어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 만족과 장비의 성능 및 안전성의 향상을 위해 각 장치의 중요 부품에 대한 향상된 내구성과 강도를 요구하고 있으며, 그와 같은 요구에 따라서 각 중요 부품들의 기본적인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위에 적절한 특성을 부여하게끔 열처리기술을 적용하고 있는데, 현존하는 다양한 열처리방법 중에서 단시간 급속 가열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가열은 재료의 내마모성과 내피로성을 증대시키는 표면경화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고주파 유도가열방식의 열처리기술은 특히 소규격의 기계용 부품이나 자동차 부속품 분야 등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통상의 고주파 열처리 장비는 열처리를 진행할 기재를 투입하면 코일을 가열하여 기재를 선택 온도까지 가열한 다음 냉각시키는 과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기재에 대한 정확한 열처리를 위해서는 설정된 코일의 가열온도 및 시간, 냉각시간, 소입수의 농도 및 온도, 기재의 이송속도 등을 준수하여야만 한다.
종래에는 현장에서 작업자가 수시로 열처리 장비의 기동상태를 점검하며 이상유무를 점검하고, 열처리 공정의 이상이 발생하였을 시에는 장비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방식으로 열처리 장비의 운용을 관리하여 왔는바, 위와 같은 장비 운용방식은 많은 작업(관리)자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열처리 장비가 복수로 운용될 경우에는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제품의 불량발생이 많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열처리 장비의 운용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가공 데이터 조건으로 열처리 장비를 기동시켜 소망하는 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열처리 장비의 기동상태를 영상정보로 출력하여 관제실 또는 현장에서 상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열처리 장비의 효율적인 생산관리가 가능하게 하고, 설정한 가공 데이터 범주를 벗어난 가공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시그널을 송출하여 작업자가 즉각 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장비의 가동을 중단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기재의 열처리 불량발생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열처리 장비의 관제시스템과 위 관제시스템에 의한 열처리 장비 관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제실 등에 장치되어 외부 입력 구동 데이터를 저장함과 아울러 제어장치에 전송하여 주기 위한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출력해주기 위한 데이터 출력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계되어 상호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어장치 및 보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열처리 장비 관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사용(관리)자가 키(문자) 입력수단을 이용해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범위, 기재의 이송속도 범위,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소입수의 용량 범위 등의 가공 데이터를 입력해주기 위한 제1 구동 데이터 입력수단과, 입력된 구동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구동 데이터 저장부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입력된 구동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데이터를 선택해주기 위한 구동 데이터 선택부와, 선택된 구동 데이터를 가공하여 출력해주기 위한 구동 데이터 출력부와, 제어장치에서 전송된 전송된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와 기설정한 구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주기 위한 데이터 비교 및 경보송출부와, 가공 데이터 출력장치 및 제어장치, 보조처리장치와의 교신을 위한 제1 데이터 송수신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출력장치는 중앙처리장치에서 전송된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를 영상정보로 출력해주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수단과,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의해 장비의 이상에 대한 경보를 송출해주기 위한 제1 경보수단과, 중앙처리장치와의 교신을 위한 제2 데이터 송수신수단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중앙처리장치에서 전송된 가공 데이터 조건으로 열처리 장비의 기동을 제어하기 위한 기동제어부와, 열처리 장비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 등을 검출하여 주기 위한 전압 및 전류 검출수단과, 기재의 이송속도를 검출하여 주기 위한 이송속도 검출수단과,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용량을 검출하여 주기 위한 소입수 정보 검출수단과, 상기 각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를 가공하여 출력해주기 위한 검출정보 출력부와, 중앙처리장치와의 교신을 위한 제3 데이터 송수신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보조처리장치는 중앙처리장치에서 전송된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를 영상정보로 출력해주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수단과,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에 의해 장비의 이상에 대한 경보를 송출해주기 위한 제2 경보수단과, 사용(관리)자가 키(문자) 입력수단을 이용해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범위, 기재의 이송속도 범위,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소입수의 용량 범위 등의 가공 데이터를 입력해주기 위한 제2 구동 데이터 입력수단과, 중앙처리장치와의 교신을 위한 제3 데이터 송수신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 및 열처리 장비 관제방법 및 관제방법은 금속 기재를 사용자가 선택한 가공데이터로 열처리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재의 열처리 진행과정에서 각 과정별로 기재에 대한 열처리 조건을 상시 출력하여 관리자가 열처리 작업의 이상유무를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처리 장비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의 기동 과정에서 열처리 가공시에 설정한 가공 데이터 범부를 벗어난 가공이 이루어져 이상징후(異常徵候)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모니터링 및 시그널 송출을 통해 확인가능하게 함으로써 관제실 또는 현장 모두에서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비정상 가공에 대해 즉각 조치할 수 있게 해주고,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장비의 가동을 중단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기재의 열처리 불량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열처리 장비의 생산효율을 향상하면서 복수의 열처리 장비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의 블록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향유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10)의 블록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를 통해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20), 상기 중앙처리장치(2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출력해주기 위한 데이터 출력장치(30), 상기 중앙처리장치(20)와 연계되어 상호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어장치(40) 및 보조처리장치(50) 등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관제실 등에 장치되어 외부 입력 구동 데이터를 저장함과 아울러 제어장치(40)에 전송하여 주기 위한 구성부로서, 사용(관리)자가 키(문자) 입력수단을 이용해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범위, 기재의 이송속도 범위,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소입수의 용량 범위 등의 가공 데이터를 입력해주기 위한 제1 구동 데이터 입력수단(21)과, 입력된 구동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구동 데이터 저장부(22)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입력된 구동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데이터를 선택해주기 위한 구동 데이터 선택부(23)와, 선택된 구동 데이터를 가공하여 출력해주기 위한 구동 데이터 출력부(24)와, 제어장치(40)에서 전송된 전송된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와 기설정한 구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주기 위한 데이터 비교 및 경보송출부(25)와, 가공 데이터 출력장치(30) 및 제어장치(40), 보조처리장치(50)와의 교신을 위한 제1 데이터 송수신수단(2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0)의 제1 구동 데이터 입력수단(21)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구동 데이터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범위, 기재의 이송속도 범위,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소입수의 용량 범위 등이 하나의 카테고리를 이루는 것으로, 복수의 카테고리(R1, R2...RN)가 각각의 구동 데이터로서 구동 데이터 저장부(22)에 저장되며, 구동 데이터 선택부(23)를 이용해 사용자가 소망하는 카테고리의 구동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구동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송수신수단(26)을 통해 제어장치(40)로 전송된다.
상기 데이터 비교 및 경보송출부(25)는 제어장치(40)에서 전송된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와 기설정한 구동 데이터를 비교하며, 제어장치(40)로부터 전송받은 가공 데이터가 기설정한 구동 데이터의 범주를 벗어날 경우 데이터 출력장치(30) 및 보조처리장치(50)의 제1 경보수단(32) 및 제2 경보수단(52)을 통해 이상발생의 경보를 송출함과 아울러 제어장치(40)에 열처리 장비의 가동중지를 명령한다.
상기 가공 데이터 출력장치(30)는 중앙처리장치(2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출력하여 주기 위한 구성부로서, 중앙처리장치(20)에서 전송된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를 영상정보로 출력해주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수단(31)과, 중앙처리장치(20)의 명령에 의해 장비의 이상에 대한 경보를 송출해주기 위한 제1 경보수단(32)과, 중앙처리장치(20)와의 교신을 위한 제2 데이터 송수신수단(33)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장치(40)에서 전송되는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는 중앙처리장치(20)를 경유하여 데이터 출력장치(30)의 제1 디스플레이 수단(31)을 통해 영상정보로 송출되는데, 제1 디스플레이 수단(31)을 통해 송출되는 영상정보는 "코일의 인가 전압 및 전류", "기재의 이송속도",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용량" 등과 같은 기재의 열처리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40)는 열처리 장비에 장치되어 중앙처리장치(20)에서 전송된 구동 데이터의 조건으로 열처리 장비의 가동을 제어해주기 위한 구성부로서, 중앙처리장치(20)에서 전송된 구동 데이터 조건으로 열처리 장비의 기동을 제어하기 위한 기동제어부(41)와, 열처리 장비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 등을 검출하여 주기 위한 전압 및 전류 검출수단(42)과, 기재의 이송속도를 검출하여 주기 위한 이송속도 검출수단(43)과,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용량 등을 검출하여 주기 위한 소입수 정보 검출수단(44)과, 상기 각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를 가공하여 출력해주기 위한 검출정보 출력부(45)와, 중앙처리장치(20)와의 교신을 위한 제3 데이터 송수신수단(4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처리장치(50)는 열처리 장비가 존재하는 현장 등에 장치하여 작업자가 구동 데이터를 입력 또는 수정토록 함과 아울러 중앙처리장치(20)로부터 전송받은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를 출력해주기 위한 것으로, 중앙처리장치(20)에서 전송된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를 영상정보로 출력해주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수단(51)과, 중앙처리장치(20)의 명령에 의해 장비의 이상에 대한 경보를 송출해주기 위한 제2 경보수단(52)과, 사용(관리)자가 키(문자) 입력수단을 이용해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범위, 기재의 이송속도 범위,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소입수의 용량 범위 등의 가공 데이터를 입력해주기 위한 제2 구동 데이터 입력수단(53)과, 중앙처리장치(20)와의 교신을 위한 제3 데이터 송수신수단(54) 등으로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10)은 통상의 고주파 열처리 장비에 부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구동(가공) 데이터로 금속 기재에 대한 열처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재의 열처리 진행과정에서 각 과정별로 기재에 대한 열처리 조건을 상시 출력하여 관리자가 열처리 작업의 이상유무를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처리 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끔 하여 준다.
본 발명은 사용(관리)자가 중앙처리장치(20) 또는 보조처리장치(50)의 키(문자) 입력수단을 이용해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범위, 기재의 이송속도 범위,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소입수의 용량 범위 등과 같은 구동 데이터를 구동 데이터 저장부(22)에 저장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해 구동 데이터 저장부(22)에 입력·저장된 구동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데이터를 선택하여 제어장치(20)에 전송함으로써 제어장치(20)가 해당 구동 데이터의 조건으로 열처리 장비를 구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처리 장비에 의한 열처리 과정에서 제어장치(40)의 전압 및 전류 검출수단(42)이 열처리 장비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 등을 검출하고, 이송속도 검출수단(43)이 기재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며, 소입수 정보 검출수단(44)이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용량을 검출하고, 제어장치(40)의 검출정보 출력부(45)는 상기 검출된 각 가공 데이터를 가공·출력하여 중앙처리장치(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제어장치(40)의 검출정보 출력부(45)에 의해 가공된 열처리 가공 데이터는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 출력장치(30)의 제1 디스플레이 수단(31) 및 보조처리장치(50)의 제2 디스플레이 수단(51)에 영상정보로 출력됨으로써, 현장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열처리 장비가 입력된 가공 데이터의 조건으로 구동하는지 수시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중앙처리장치(20)의 데이터 비교 및 경보송출부(25)는 제어장치(40)에서 전송된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와 중앙처리장치(20)에 기설정한 구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어장치(40)로부터 전송받은 가공 데이터가 기설정한 구동 데이터의 범주를 벗어날 경우 데이터 출력장치(30) 또는 보조처리장치(50)의 제1 경보수단(32) 및 제2 경보수단(52)으로 경보를 송출함과 아울러 제어장치(40)의 기동제어부(41)를 통해 열처리 장비의 구동중지를 명령함으로써 열처리 가공불량을 방지하여 준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은 전술하고 있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 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며, 본 발명에서 향유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인바,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 20: 중앙처리장치
21: 제1 구동 데이터 입력수단 22: 구동 데이터 저장부
23: 구동 데이터 선택부 24: 구동 데이터 출력부
25: 데이터 비교 및 경보송출부 26: 제1 데이터 송수신수단
30: 가공 데이터 출력장치 31: 제1 디스플레이 수단
32: 제1 경보수단 33: 제2 데이터 송수신수단
40: 제어장치 41: 기동제어부
42: 전압 및 전류 검출수단 43: 이송속도 검출수단
44: 소입수 정보 검출수단 45: 검출정보 출력부
46: 제3 데이터 송수신수단 50: 보조처리장치
51: 제2 디스플레이 수단 52: 제2 경보수단
53: 제2 구동 데이터 입력수단 54: 제4 데이터 송수신수단

Claims (2)

  1. 관제실 등에 장치되어 외부 입력 구동 데이터를 저장함과 아울러 제어장치(40)에 전송하여 주기 위한 중앙처리장치(20), 상기 중앙처리장치(2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출력해주기 위한 데이터 출력장치(30), 상기 중앙처리장치(20)와 연계되어 상호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어장치(40) 및 보조처리장치(50)를 포함하는 열처리 장비 관제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사용(관리)자가 키(문자) 입력수단을 이용해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범위, 기재의 이송속도 범위,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소입수의 용량 범위 등의 가공 데이터를 입력해주기 위한 제1 구동 데이터 입력수단(21)과, 입력된 구동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구동 데이터 저장부(22)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입력된 구동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데이터를 선택해주기 위한 구동 데이터 선택부(23)와, 선택된 구동 데이터를 가공하여 출력해주기 위한 구동 데이터 출력부(24)와, 제어장치(40)에서 전송된 전송된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와 기설정한 구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주기 위한 데이터 비교 및 경보송출부(25)와, 가공 데이터 출력장치(30) 및 제어장치(40), 보조처리장치(50)와의 교신을 위한 제1 데이터 송수신수단(26)으로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출력장치(30)는 중앙처리장치(20)에서 전송된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를 영상정보로 출력해주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 수단(31)과, 중앙처리장치(20)의 명령에 의해 장비의 이상에 대한 경보를 송출해주기 위한 제1 경보수단(32)과, 중앙처리장치(20)와의 교신을 위한 제2 데이터 송수신수단(33)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어장치(40)는 중앙처리장치(20)에서 전송된 구동 데이터 조건으로 열처리 장비의 기동을 제어하기 위한 기동제어부(41)와, 열처리 장비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 등을 검출하여 주기 위한 전압 및 전류 검출수단(42)과, 기재의 이송속도를 검출하여 주기 위한 이송속도 검출수단(43)과,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용량을 검출하여 주기 위한 소입수 정보 검출수단(44)과, 상기 각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를 가공하여 출력해주기 위한 검출정보 출력부(45)와, 중앙처리장치(20)와의 교신을 위한 제3 데이터 송수신수단(46)으로 구성하고;
    상기 보조처리장치(50)는 중앙처리장치(20)에서 전송된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를 영상정보로 출력해주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 수단(51)과, 중앙처리장치(20)의 명령에 의해 장비의 이상에 대한 경보를 송출해주기 위한 제2 경보수단(52)과, 사용(관리)자가 키(문자) 입력수단을 이용해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범위, 기재의 이송속도 범위,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소입수의 용량 범위 등의 가공 데이터를 입력해주기 위한 제2 구동 데이터 입력수단(53)과, 중앙처리장치(20)와의 교신을 위한 제3 데이터 송수신수단(54)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비 관제시스템.
  2. 사용(관리)자가 중앙처리장치(20) 또는 보조처리장치(50)의 키(문자) 입력수단을 이용해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범위, 기재의 이송속도 범위,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소입수의 용량 범위 등의 가공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22)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의해 데이터 저장부(22)에 입력·저장된 구동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데이터를 선택하여 제어장치(20)에 전송함으로써 제어장치(20)가 해당구동 데이터 조건으로 열처리 장비를 가동시키는 단계;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장치(30)의 제1 디스플레이 수단(31) 및 보조처리장치(50)의 제2 디스플레이 수단(51)에 영상정보로 출력하는 단계;
    열처리 장비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 등을 검출하고, 열처리 장비에서의 기재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며, 열처리 장비의 소입수의 온도 및 농도, 용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각 정보를 가공·출력하여 중앙처리장치(20)로 전송하는 단계;
    중앙처리장치(20)는 제어장치(40)에서 전송된 열처리 장비의 현재 가공 데이터와 중앙처리장치(20)에 기설정한 구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어장치(40)로부터 전송받은 가공 데이터가 기설정한 구동 데이터의 범주를 벗어날 경우 데이터 출력장치(30) 또는 보조처리장치(50)의 제1 경보수단(32) 및 제2 경보수단(52)으로 경보를 송출함과 아울러 제어장치(40)의 기동제어부(41)를 통해 열처리 장비의 구동중지를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비의 관제방법.
KR1020210066883A 2021-05-24 2021-05-24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 및 열처리 장비 관제방법 KR102504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883A KR102504197B1 (ko) 2021-05-24 2021-05-24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 및 열처리 장비 관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883A KR102504197B1 (ko) 2021-05-24 2021-05-24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 및 열처리 장비 관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569A true KR20220158569A (ko) 2022-12-01
KR102504197B1 KR102504197B1 (ko) 2023-02-27

Family

ID=8444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883A KR102504197B1 (ko) 2021-05-24 2021-05-24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 및 열처리 장비 관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1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2811B2 (ja) * 2001-03-12 2008-07-02 光洋サーモシステム株式会社 熱処理炉の制御システム
KR100900842B1 (ko) * 2007-08-23 2009-06-04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진공 열처리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49121B1 (ko) * 2013-12-02 2014-01-09 제이에스비글로벌텍(주) 가스와 전기의 두가지 열원을 갖는 하이브리드 절전형 금속열처리 연속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2811B2 (ja) * 2001-03-12 2008-07-02 光洋サーモシステム株式会社 熱処理炉の制御システム
KR100900842B1 (ko) * 2007-08-23 2009-06-04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진공 열처리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49121B1 (ko) * 2013-12-02 2014-01-09 제이에스비글로벌텍(주) 가스와 전기의 두가지 열원을 갖는 하이브리드 절전형 금속열처리 연속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197B1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6844B1 (en) Robot, robot system, and robot control method
KR102504197B1 (ko) 고주파 열처리 장비 관제 시스템 및 열처리 장비 관제방법
KR20140126461A (ko) 유비쿼터스 기반을 이용한 공작기계의 유지보수 관리시스템
US20160142001A1 (en) Motor control device and motor control system
JP2015220547A (ja) 故障診断方法、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621605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reventative maintenance cycles of semiconductor fabricating equipment arranged in a processing line
KR20010003296A (ko) 반도체 라인관리용 통합 자동화시스템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6925712B2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2015207067A (ja) 数値制御産業機械
KR101021981B1 (ko) 반도체 제조 설비의 알람 처리 장치 및 알람 설정 방법
KR100394058B1 (ko) 튜브루프벤딩설비의고장진단장치
WO2021177238A1 (ja) 制御装置
KR20030071376A (ko) 냉동공조기기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2304209A (ja) 処理装置の管理方法
KR20020075111A (ko) 네트워크 기반의 고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JP2004070586A (ja) 製造/検査装置操作システム
KR200276627Y1 (ko) 냉동공조기기 원격 관리 시스템
KR100501409B1 (ko) 사출성형기의 정보 공유장치
JP2014010479A (ja) 二重化装置
JPH11231932A (ja) 入出力管理装置
JP5506755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およびそのデータ処理方法
KR100753559B1 (ko) 키패드와 다수의 인버터와의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시스템
JPH08147005A (ja) プラントメンテナンス装置
KR100972737B1 (ko) 자동 변속 장치의 변속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2012003384A (ja) 運転操作履歴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