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445A - 화목난로 - Google Patents

화목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445A
KR20220158445A KR1020210066258A KR20210066258A KR20220158445A KR 20220158445 A KR20220158445 A KR 20220158445A KR 1020210066258 A KR1020210066258 A KR 1020210066258A KR 20210066258 A KR20210066258 A KR 20210066258A KR 20220158445 A KR20220158445 A KR 20220158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ombustion chamber
main body
doo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842B1 (ko
Inventor
노정기
Original Assignee
노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기 filed Critical 노정기
Priority to KR102021006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8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8Closed stoves with means for regulat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6Stov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8Arrangements combining combustion-air and flue-gas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는 목재투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목재투입구(11)와 연통되며 목재(1)가 연소되는 연소실(12)이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연소실(12)과 연통되도록 본체(10)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돌출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12)에서 생성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20); 일단부에는 상기 본체(10)의 목재투입구(11)의 둘레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31)가 구비되어 상기 목재투입구(11)를 회동개폐하며, 내부에는 중앙에 공기유입공(33)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서 공기유입공(33)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10)의 연소실(12) 내부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진 호퍼부(32)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34)가 구비된 제1회동도어(30); 및 일단부에는 상기 제1회동도어(30)의 가장자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41)가 구비되어 상기 제1회동도어(30)의 호퍼부(32)의 공기유입공(33)을 회동개폐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42)가 구비된 제2회동도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이다.

Description

화목난로{Firewood stove}
본 발명은 화목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의 투입과 공기량의 조절을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하면서도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와 그을음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공간을 좀 더 상쾌하게 할 수 있는 화목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난방장치의 사용이 급증하는데, 주택이나 음식점, 사무실, 공장 등에서는 실내공간의 난방을 위해 난방장치를 사용하고, 농촌에서는 농작물 재배 또는 가축 사육을 위한 시설에 난방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난방장치는 난로 또는 온풍기가 사용되며, 난로나 온풍기의 경우 전기, 가스, 연탄, 기름 중의 어느 하나를 연료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난방장치에 사용되는 전기, 가스, 연탄, 기름은 수급과 보관 등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연료 자체가 고가여서 난방비용이 증가되고, 연탄과 기름은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되는 화학적 유해물질로 인해 가스중독사고 및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연료비가 절감되는 화목난로가 일반가정에서도 사용되지만 특히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재배 농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화목난로는 연료인 목재를 투입하는 목재투입구가 측면 하부에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쪼그리고 앉은 자세에서 목재를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데 특히, 농가의 무릎이 좋지 않은 노인들은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화목난로의 내부에 목재를 차곡차곡 쌓아야 되는데, 쪼그리고 앉은 상태에서 목재를 측방으로 밀어 넣으면서 차곡차곡 쌓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화목난로에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목재를 투입하기 위해 목재투입구를 열게 되는데, 목재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기와 그을음이 개방된 목재투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공간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821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쪼그려 앉지 않고도 목재를 투입할 수 있어 노인 등 무릎이 불편한 사용자도 연료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고, 공기유입공을 통해 연소된 배기가스와 그을음이 배출되지 않아서 실내공간이 오염되지 않고 쾌적하며, 목재투입구와 공기유입공을 힘을 들이지 않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고 특히 목재투입구와 공기유입공을 개별적으로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배기가스와 그을음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재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하고, 적은 양의 공기를 좀 더 간편하게 유입되도록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화목난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면에는 목재투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목재투입구(11)와 연통되며 목재(1)가 연소되는 연소실(12)이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연소실(12)과 연통되도록 본체(10)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돌출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12)에서 생성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20); 일단부에는 상기 본체(10)의 목재투입구(11)의 둘레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31)가 구비되어 상기 목재투입구(11)를 회동개폐하며, 내부에는 중앙에 공기유입공(33)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서 공기유입공(33)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10)의 연소실(12) 내부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진 호퍼부(32)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34)가 구비된 제1회동도어(30); 및 일단부에는 상기 제1회동도어(30)의 가장자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41)가 구비되어 상기 제1회동도어(30)의 공기유입공(33)을 회동개폐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42)가 구비된 제2회동도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연소실(12)과, 이 연소실(12)에서 목재(1)가 연소되어 생성된 재가 배출되는 배출실(13)이 구획판(14)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본체(10)의 구획판(14)에는 연소실(12)에 잔류된 재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5)가 형성되고, 일단부에 상기 배출구(15)의 둘레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힌지(51)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5)를 회동개폐하는 제3회동도어(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회동도어(40)에는 복수개의 통기공(43)이 이격 형성되고, 이 통기공(43)의 크기를 조절하여 통기공(43)을 통해 연소실(1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판(70)이 제2회동도어(40)를 따라 슬라이드되거나 또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목재투입구(11)가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사용자는 쪼그리고 앉아서 목재(1)를 본체(10)의 측방으로 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목재(1)의 투입이 용이하다. 그리고 목재투입구(11)를 회동개폐하는 제1회동도어(30)에 중앙의 공기유입공(33)이 형성된 호퍼부(32)가 구비되고 제1회동도어(30)의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회동도어(40)가 제1회동도어(30)의 공기유입공(33)을 개폐하므로, 사용자는 제1회동도어(30) 또는 제2회동도어(40)를 손잡이(34,42)를 잡고 개별적으로 회동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목재투입구(11) 및 공기유입공(33)을 힘을 들이지 않고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고, 공기유입공(33)이 호퍼부(32)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가 형성되면서 연소된 배기가스와 그을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되어 실내공간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며 보다 쾌적해진다.
그리고 본체(10)의 내부가 연소실(12)과 배출실(13)이 구획판(14)에 의해 구획되고, 구획판(14)에 제3회동도어(50)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15)가 형성되므로, 평상시에는 연소실(12)의 저면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여 연소실(12)의 상면의 공기유입공(33)만 개방시켜 연소된 배기가스와 그을음이 공기유입공(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면서도 상기 배출구(15)를 개방시켜 연소실(12)에 생성된 재를 연소실(12)의 상측이 아니라 하측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배출실(13)에 재수거대(60)가 출입되도록 하여 재수거가 보다 용이하다.
한편, 상기 제2회동도어(40)에 복수개의 통기공(43)이 형성되고, 공기량조절판(70) 으로 상기 통기공(43)의 크기를 조절하므로, 제2회동도어(40)를 회동시키지 않고도 연소실(12)에 비교적 적은 양의 공기를 양을 조절하면서 공급할 수 있어 편리하게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난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제1회동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제2회동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제3회동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제2회동도어의 통기공의 조절을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목난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목난로는 본체(10), 배기관(20), 제1회동도어(30) 및 제2회동도어(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수평연장된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 일측에는 목재(1)가 투입되는 목재투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목재투입구(11)와 연통되는 연소실(12)이 구비된다. 목재(1)는 펠릿 등 다양한 형태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본체(10)는 상면 일측이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고, 목재투입구(11)가 평판부위에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본체(10)의 측면에는 연소실(12)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10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는 복수개의 지지다리(19)에 의해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면 타측에는 상향 돌출되며, 내부에는 고구마 등의 음식물(2)을 투입하여 구울 수 있도록 된 구이실(1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이실(17)은 연소실(12)과 연통되며 측면에는 구이실도어(18)에 의해 개폐가능한 투입구(17a)가 형성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구이실도어(18)는 고구마 등의 음식물(2)이 올려지는 트레이(18a)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어, 구이실(13)에서 음식물(2)을 구울 수 있다.
상기 배기관(20)은 본체(10)의 연소실(12)과 연통되도록 본체(10)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돌출 구비되며, 도시안된 연통이 결합되어 연소실(12)에서 생성된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도 1과 같이, 배기관(20)은 구이실(17)에서 상향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배기관(20)에는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동도어(30)는 본체(10)의 목재투입구(11)를 개폐하는 것으로, 일단부에는 상기 본체(10)의 목재투입구(11)의 둘레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31)가 구비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회동도어(30)에는 중앙에 공기유입공(33)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서 공기유입공(33)으로 갈수록 연소실(12) 내부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진 호퍼부(32)가 형성된다. 제1회동도어(30)의 타단부에는 손잡이(34)가 구비된다.
상기 제2회동도어(40)는 제1회동도어(30)의 호퍼부(32)를 개폐하는 것으로, 일단부에는 제1회동도어(30)의 가장자리 일측에 회동가능게 결합되는 제2힌지(41)가 구비된다. 제2회동도어(40)의 타단부에는 손잡이(42)가 구비된다. 도 1 및 도 4와 같이, 제2회동도어(40)의 제2힌지(41)가 제1회동도어(30)의 손잡이(42)가 구비된 가장자리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예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목난로는 제2회동도어(40)에 복수개의 통기공(4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과 같이, 복수개의 통기공(43)이 제2회동도어(40)의 일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43)의 크기를 조절하여 통기공(43)을 통해 연소실(12)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판(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공기량조절판(70)에는 복수개의 보조통기공(71)이 제2회동도어(40)의 통기공(43)과 정렬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공기량조절판(70)은 제2회동도어(40)를 따라 슬라이드 또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도 6과 같이 제2회동도어(40)를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제2회동도어(40)에 장공(44)이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장공(44)을 통해 공기량조절판(70)에 결합되며 제2회동도어(40)의 외부로 돌출된 조절레버(72)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절레버(72)를 파지하고 장공(44)을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공기량조절판(70)이 상기 통기공(43)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제2회동도어(40)를 회전시켜 제1회동도어(30)의 공기유입공(33)을 개방시키지 않고도 간편하게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목난로는 본체(10)의 내부가 연소실(12)과 배출실(13)이 구획판(14)에 의해 상하로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획판(14)에 연소실(12)에 잔류된 재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단부에 상기 배출구(15)의 둘레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힌지(51)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5)를 회동개폐하는 제3회동도어(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획판(14)의 배출구(15)가 항상 개방된 상태일 경우, 본체(10)의 연소실(12)의 상면의 공기유입공(33)과 저면의 배출구(15)가 개방됨에 따라 연소실(12)의 연소된 배기가스와 그을음이 공기유입공(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연소실(12)의 저면을 폐쇄시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제3회동도어(50)를 통해 연소실(12)의 저면을 개방시켜 재를 상측으로 배출시키지 않고 하측으로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측면에는 배출실(13)과 연통되는 개구부(16)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6)로 출입되고 상기 구획판(14)의 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되는 재가 수용되는 재수거대(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재수거대(60)는 구획판(14)의 하측에 위치되며, 구획판(14)의 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되는 재가 수거된다. 이에 따라, 제3회동도어(50)를 회동시켜 배출구(15)를 개방시켜 연소실(12)에 생성된 재를 배출구(15)를 통해 재수거대(60)로 배출시키면, 재수거대(60)를 배출실(13)에서 인출하여 재를 버리면 되므로, 재를 수거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때, 제3회동도어(50)의 타단부에는 제3회동도어(50)를 개방시키기 위한 도구(53)가 걸려지는 고리(52)가 형성되어, 제3회동도어(5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목난로는 도 3과 같이 본체(10)의 상면에서 제1회동도어(30)를 회동시켜 목재투입구(11)를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쪼그려 앉지 않고도 목재(1)를 목재투입구(11)를 통해 연소실(12)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목재(1)를 연소실(12)에 차곡차곡 쌓아올리는 작업도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목재투입구(11)를 위에서 바라보면서 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연소실(12)에 목재(1)가 차곡차곡 쌓인 상태에서 불을 붙이면 목재(1)가 연소되면서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회동도어(30)는 본체(10)의 목재투입구(11)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화목난로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 도 2 및 도 4와 같이 제2회동도어(40)를 회동시켜 제1회동도어(30)에 형성된 호퍼부(32)를 외부로 노출시키면, 배기관(20)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것에 의해 외부공기가 호퍼부(32)를 통해 연소실(12)로 진입하게 되는데, 외부공기가 호퍼부(32)를 통과하면서 와류가 형성되어 목재(1) 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그을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목재(1) 연소를 위해 요구되는 공기가 연소실(12)로 유입되도록 공기유입공(33)을 개방시키더라도 연소실(12)의 연소공기가 공기유입공(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화력을 용이하게 조절하면서도 실내공간이 쾌적한 상태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본체 11 : 목재투입구
12 : 연소실 15 : 배출구
20 : 배기관 30 : 제1회동도어
32 : 호퍼부 33 : 공기유입공
40 : 제2회동도어 43 : 통기공
50 : 제3회동도어 60 : 재수거대
70 : 공기량조절판

Claims (3)

  1. 상면에는 목재투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목재투입구(11)와 연통되며 목재(1)가 연소되는 연소실(12)이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연소실(12)과 연통되도록 본체(10)의 상면 또는 측면에서 돌출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12)에서 생성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20);
    일단부에는 상기 본체(10)의 목재투입구(11)의 둘레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31)가 구비되어 상기 목재투입구(11)를 회동개폐하며, 내부에는 중앙에 공기유입공(33)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서 공기유입공(33)으로 갈수록 상기 본체(10)의 연소실(12) 내부를 향하도록 하향 경사진 호퍼부(32)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34)가 구비된 제1회동도어(30); 및
    일단부에는 상기 제1회동도어(30)의 가장자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41)가 구비되어 상기 제1회동도어(30)의 공기유입공(33)을 회동개폐하며, 타단부에는 손잡이(42)가 구비된 제2회동도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연소실(12)과, 이 연소실(12)에서 목재(1)가 연소되어 생성된 재가 배출되는 배출실(13)이 구획판(14)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본체(10)의 구획판(14)에는 연소실(12)에 잔류된 재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5)가 형성되고, 일단부에 상기 배출구(15)의 둘레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힌지(51)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5)를 회동개폐하는 제3회동도어(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도어(40)에는 복수개의 통기공(43)이 이격 형성되고, 이 통기공(43)의 크기를 조절하여 통기공(43)을 통해 연소실(1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량조절판(70)이 제2회동도어(40)를 따라 슬라이드되거나 또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난로.
KR1020210066258A 2021-05-24 2021-05-24 구이기 겸용 화목난로 KR10248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258A KR102485842B1 (ko) 2021-05-24 2021-05-24 구이기 겸용 화목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258A KR102485842B1 (ko) 2021-05-24 2021-05-24 구이기 겸용 화목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445A true KR20220158445A (ko) 2022-12-01
KR102485842B1 KR102485842B1 (ko) 2023-01-05

Family

ID=8444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258A KR102485842B1 (ko) 2021-05-24 2021-05-24 구이기 겸용 화목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8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025A (ko) * 2011-05-18 2012-11-28 임광호 장작 난로
KR101388214B1 (ko) 2012-07-12 2014-04-23 김관수 목재 연소용 난로
CN203595153U (zh) * 2013-10-29 2014-05-14 湖北宜昌五峰鑫星节能炉具开发有限公司 一种双炉门炉灶添料器
KR102023110B1 (ko) * 2018-04-26 2019-09-20 노정기 화목 펠릿 난로
KR20190115578A (ko) * 2018-04-03 2019-10-14 전영우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025A (ko) * 2011-05-18 2012-11-28 임광호 장작 난로
KR101388214B1 (ko) 2012-07-12 2014-04-23 김관수 목재 연소용 난로
CN203595153U (zh) * 2013-10-29 2014-05-14 湖北宜昌五峰鑫星节能炉具开发有限公司 一种双炉门炉灶添料器
KR20190115578A (ko) * 2018-04-03 2019-10-14 전영우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KR102023110B1 (ko) * 2018-04-26 2019-09-20 노정기 화목 펠릿 난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842B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2792A (en) Barbecue grille with swing-out food and fuel supporting grates
US8020547B2 (en) Pellet stove
KR101355727B1 (ko) 목재를 태워서 난방을 하기 위한 난로
US8479720B1 (en) Heating device and method
KR102485842B1 (ko) 구이기 겸용 화목난로
US20040231659A1 (en) Outdoor gas fireplace
CN210493798U (zh) 一种烧烤炉用燃烧机构
KR10193245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CN205842681U (zh) 一种垃圾焚烧炉
CN201255435Y (zh) 组合型采暖锅炉
KR102076495B1 (ko) 착화공을 갖는 다목적 난로
CN103388840A (zh) 无烟火炉
CN203404804U (zh) 无烟火炉
KR20210084407A (ko) 공기조화기
KR20150140881A (ko) 실내에 설치하는 화목보일러
TWM611220U (zh) 多用途火箭爐
CN105864788A (zh) 一种垃圾焚烧炉
CN218915008U (zh) 一种混合汽化炉
CN217715048U (zh) 一种柴火炉
KR20090066788A (ko) 보일러기능을 겸한 벽난로
TW202037846A (zh) 蒸汽熱水鍋爐
CN205842685U (zh) 一种垃圾焚烧炉
CN205842682U (zh) 一种垃圾焚烧炉
CN205842680U (zh) 一种垃圾焚烧炉
CN212108502U (zh) 一种可折叠的户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