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578A -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 Google Patents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578A
KR20190115578A KR1020180038450A KR20180038450A KR20190115578A KR 20190115578 A KR20190115578 A KR 20190115578A KR 1020180038450 A KR1020180038450 A KR 1020180038450A KR 20180038450 A KR20180038450 A KR 20180038450A KR 20190115578 A KR20190115578 A KR 20190115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exchange chamber
heat
chamber
fire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우
Original Assignee
전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우 filed Critical 전영우
Priority to KR102018003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578A/ko
Publication of KR2019011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57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2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with external air ducts
    • F24B7/025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with external air ducts with forced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스 내의 작물이나 축사 등과 같은 시설물 내에 열기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땔감의 연소시에 생성되는 열기가 연탄난로 내에서 최대한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땔감(목재)의 사용량에 대비하여 열기의 생성 및 공급은 뛰어나도록 한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전용 고효율 화목난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땔감투입부(51)를 구비하는 화력실(20)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제1열교환실(30); 상기 제1열교환실(30)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제2열교환실(40); 상기 제1,2열교환실(30,40)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덮개(50) 및 하부바닥판(60);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열기를 보다 더 오랫동안 난로 내부에 머무를 수 있게 함으로써 열효율 및 단위열원당 난방성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High Efficiency Firewood Furnace for greenhouse}
본 발명은 하우스 내의 작물이나 축사 등과 같은 시설물 내에 열기을 공급하기 위한 화목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땔감의 연소시에 생성되는 열기가 연탄난로 내에서 최대한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땔감(목재)의 사용량에 대비하여 열기의 생성 및 공급은 뛰어나도록 한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전용 고효율 화목난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작물재배용 시설물이나 축사의 난방을 위하여 열풍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열풍기는 대부분 고가의 난방유를 연료로 하고 있어서 그 유지비가 상당히 소모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난방유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연탄난로의 사용도 많아지고 있으나, 연탄난로는 자칫하면 연탄이 꺼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난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연탄 교체 시기에 맞춰서 항상 대기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할 수밖에 없고 교체시기를 놓치는 경우에는 작물에 곧바로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우려도 상당히 클 수밖에 없다.
현재 농가 또는 축산농가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이유로 화목난로를 사용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는데,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연탄난로가 화력실과 연통 정도로 구성된 극히 단순한 구조로 구성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난로와의 거리에 따라서 난방온도의 편차가 심할 수밖에 없으며 또한 효율성도 상당히 떨어져 땔감의 교체도 잦을 수밖에 없다.
즉, 땔감 원료인 목재의 연소시간과 목재의 보충 주기가 매우 짧아서 땔감보충에 보다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할애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장작, 폐목, 잔목 등과 같은 땔감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연소열(열기)이 작물재배용 시설물이나 축사 등(이하 '시설물'이라 함)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상당부분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버리는 비효율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난방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설물용 화목난로에서 제반되는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특히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난로 내부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연소열과 최대한 오랫동안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에 시설물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연통을 통해 어쩔 수 없이 연기와 함께 빠져나가게 되는 열기가 보다 더 오랫동안 난로 내부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위열원당 난방성능이 향상된 고효율 화목난로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것이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산소유입부가 구비되고, 목재(장작, 폐목, 잔목 등)를 열원으로하는 화력실(20)의 연소열에 의해 데워진 열기를 시설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목난로에 있어서,
상기 화력실(20)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제1열교환실(30); 상기 제1열교환실(30)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제2열교환실(40); 상기 제1,2열교환실(30,40)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덮개(50); 및 하부바닥판(6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열교환실(30)은, 하부내측만 상기 화력실(20)과 연통된 상태에서 나머지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된 것과;
상기 제2열교환실(40)은, 전체가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내부일측에는 내부공간을 좌,우로 완전히 구획시키는 밀폐구획판(43)을 구비하되 밀폐구획판(43)과 인접한 일측에는 외부공기유입공(41)을 마련하고 밀폐구획판(43)과 인접한 타측에는 열기배출공(42)을 마련하여, 상기 외부공기유입공(41)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밀폐구획판(43)과 반대방향으로 순회하면서 데워진 후 상기 열기배출공(42)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내부에는 상,하부 중 어느 한 방향만 개방된 상태로 하는 개방유도부(44a)를 구비하고 나머지는 밀폐된 상태로 결합되는 다수의 흐름유도판(44)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되 상기 개방유도부(44a)가 상,하 지그재그로 연속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외부공기유입공(41)으로 유입되어 상기 열기배출공(42)으로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상하 지그재그로 유도되어 이동되면서 제2열교환실(40) 내부에 최대한 오랫동안 머물수 있도록 구성된 것과;
상기 상부덮개(50)의 중앙에는 화력실(20)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땔감투입부(51)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열교환실(30)로부터 상기 제2열교환실(40)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열교환실(4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연통(70)을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은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된 외부공기가 제2열교환실(40) 내에서 최대한 오랫동안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에 시설물 내부로 공급될 수 있어 열효율이 뛰어난 효과가 있고, 또한 연통을 통한 연기의 배출시 어쩔 수 없이 많은 열기와 함께 빠져나가게 되었던 기존의 일반적인 난로의 구성과는 달리, 연기는 화력실(20)과 제1열교환실(30)의 상호 연통된 하측만을 통해 제1열교환실(30)의 일부공간을 거쳐 연통(70)을 따라 시설물 외부로 배출되고 동시에 상승기류를 갖는 연소열(열기)은 최대한 화력실(20) 내부에 가두어 두면서 제1열교환실(30)을 통해 제2열교환실(40)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열기를 보다 더 오랫동안 난로 내부에 머무를 수 있게 함으로써, 단위열원당 난방성능도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화목난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방향에서 바라본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타방향에서 바라본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땔감투입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유입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내부구조 및 바디외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고효율 화목난로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에 산소유입부가 구비되고, 목재(장작, 폐목, 잔목 등)를 열원으로하는 화력실(20)의 연소열에 의해 데워진 열기를 시설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목난로에 있어서,
상기 화력실(20)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제1열교환실(30); 상기 제1열교환실(30)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제2열교환실(40); 상기 제1,2열교환실(30,40)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덮개(50); 및 하부바닥판(6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열교환실(30)은, 하부내측만 상기 화력실(20)과 연통된 상태에서 나머지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된 것과;
상기 제2열교환실(40)은, 전체가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내부일측에는 내부공간을 좌,우로 완전히 구획시키는 밀폐구획판(43)을 구비하되 밀폐구획판(43)과 인접한 일측에는 외부공기유입공(41)을 마련하고 밀폐구획판(43)과 인접한 타측에는 열기배출공(42)을 마련하여, 상기 외부공기유입공(41)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밀폐구획판(43)과 반대방향으로 순회하면서 데워진 후 상기 열기배출공(42)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내부에는 상,하부 중 어느 한 방향만 개방된 상태로 하는 개방유도부(44a)를 구비하고 나머지는 밀폐된 상태로 결합되는 다수의 흐름유도판(44)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되 상기 개방유도부(44a)가 상,하 지그재그로 연속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외부공기유입공(41)으로 유입되어 상기 열기배출공(42)으로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상하 지그재그로 유도되어 이동되면서 제2열교환실(40) 내부에 최대한 오랫동안 머물수 있도록 구성된 것과;
상기 상부덮개(50)의 중앙에는 화력실(20)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땔감투입부(51)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열교환실(30)로부터 상기 제2열교환실(40)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열교환실(4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연통(70)을 구비한 것;이 특징이며,
난로(10)의 가장 외측에는 바디외통(11)이 구성된다.
상기 화력실(20)은 상부에 위치한 상기 땔감투입부(51)로부터 투입된 목재를 연소하는 공간으로써, 상부는 상기 상부덮개(50)와 밀폐되고, 외벽에 해당하는 제1격벽(21)이 구비된다.
상기 제1격벽(21)은, 상기 제1열교환실(30)과 구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는 상부덮개(50)와 밀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바닥판(60)과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화력실(20) 및 제1열교환실(30)이 서로 연통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화력실(20)의 하부에는 망형태로 이루어지는 땔감받침망이 추가로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땔감 연소시에 하방으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실(30)은 상기 화력실(20)로부터 발생되는 연소열이 1차적으로 전달되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상기 화력실(20)에서 땔감연소시에 발생되는 연기가 배출되는 통로역할도 겸하는 공간으로써, 상,하부는 각각 상기 상부덮개(50) 및 하부바닥판(60)과 밀폐되고, 외벽에 해당하는 제2격벽(31)이 구비되며, 내벽은 상기 제1격벽(21)에 해당된다.
상기 제2격벽(31)은, 상기 제2열교환실(40)과 구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는 상부덮개(50)와 밀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바닥판(60)과 밀폐 결합된다.
상기 제2열교환실(40)은 상기 화력실(20)로부터 발생되는 연소열이 상기 제1열교환실(30)을 통해 2차적으로 전달되는 공간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한 다음 이를 데워서 시설물 내부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공간이며, 그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상기 제2열교환실(40)의 내부일측에는 양측으로 공간을 완전히 구획시키는 밀폐구획판(43)이 구비되는데, 상기 밀폐구획판(43)은 그 상,하측 끝부분이 각각 상부덮개(50) 및 하부바닥판(60)과 밀폐 결합되고, 양측 끝부분은 각각 제2격벽(31) 및 난로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바디외통(11)과 각각 밀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바디외통(11) 중 상기 밀폐구획판(43)과 인접한 일측에는 외부공기유입공(41)을 마련하고 밀폐구획판(43)과 인접한 타측에는 열기배출공(42)을 마련하여, 상기 외부공기유입공(41)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밀폐구획판(43)과 반대방향으로 순회하면서 데워진 후 상기 열기배출공(42)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밀폐구획판(43)의 양측으로 외부공기유입공(41) 및 열기배출공(42)이 상호 인접하여 구성되는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제2열교환실(40)의 내부공간의 양측으로 구획하는 상기 밀폐구획판(43)으로 인하여 인접해 있는 열기배출공(42)으로 곧바로 배출되지 못하고 밀폐구획판(43)의 반대방향으로 순회하면서 제2열교환실(40)을 전체적으로 천천히 거친 후 마지막에 열기배출공(42)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2열교환실(40)의 내부에는 다수의 흐름유도판(44)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외부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다수의 흐름유도판(44)은, 그 양측 끝부분은 각각 제2격벽(31) 및 난로(10)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바디외통(11)과 각각 밀폐 결합되고, 그 상,하측 끝부분은 각각 상부덮개(50) 또는 하부바닥판(60)과 밀폐 결합되되 어느 한 쪽만 밀폐 결합되고 다른 한 쪽은 개방되도록 구성시키며, 개방된 하부(또는 상부)의 임의 공간에는 개방유도부(44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방유도부(44a)를 상,하 지그재그로 연속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상기 외부공기유입공(41)으로 유입되어 제2열교환실(40)의 내부공간을 전체적으로 순회하면서 상기 열기배출공(42)으로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상하 지그재그로 유도되면서 천천히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화력실(20)의 연소열을 전달받는 제2열교환실(40)의 내부공간을 최대한 천천히 거치면서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게 되는데, 이는 결국 열효율을 증가시키고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열교환실(40)의 내부가 상기 다수의 흐름유도판(44)에 의해 총 8개의 임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외부공기유입공(41)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가 총 8개의 임의 공간을 상,하 지그재그로 순회하면서 온도상승이 이루어진 후 그 열기가 상기 열기배출공(42)을 통해 시설물 내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기유입공(41) 및 열기배출공(42)에는 각각 적의의 길이를 갖는 흡·배기용 덕트를 고정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덕트는 그 끝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적의의 길이와 굴곡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덕트를 일정위치에서 다수로 분기시켜 덕트의 끝이 다수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시설물 내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열기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덮개(50)의 중앙에는 땔감투입부(51)를 구비하여, 화력실(20)의 상부가 개폐 가능토록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경첩(힌지)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산소유입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상태 예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유입부(52)는, 상기 바디외통(11)(또는 제2열교환실(4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2열교환실(30,40)의 하부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화력실(20)과 내통되도록 구성되는데, 화력실(20) 내의 땔감 연소를 위한 산소(공기) 유입 통로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써 별도의 개별공간으로 구성되어 외부와 화력실(20)이 연통되도록 구성시킨다.
이때, 산소가 유입되는 입구쪽에는 산소량조절판(52a)을 구비하여 산소의 유입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산소량조절판(52a)의 일측을 힌지결합시켜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아울러 그 타측에는 조절판잠금수단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잠금/해제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판잠금수단은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 및 너트 간의 결합을 일 예로하는 구성으로써 간단하게 구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격벽(31)의 일측에는 연기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기배출공에는 연통(70)이 고정결합되는데, 상기 연통(70)은 상기 제2격벽(31)(또는 제1열교환실(30))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제2열교환실(40)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열교환실(40)(또는 바디외통(11))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끝단부는 시설물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부공기유입공(41) 또는 열기배출공(42) 중 어느 선택된 일측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가능한 공기순환팬(90)을 구비하여, 외부공기가 제2열교환실(40)을 거쳐서 시설물 내부로 순환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2열교환실(40)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1,2열교환실(30,40)의 하부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화력실(20)과 내통되는 재배출부(80)를 구비하여, 수시로 화력실(20)에 대한 청소작업이 가능토록 한다.
특히, 상기 재배출부(80)의 구성시에 제2열교환실(40)과는 완전히 차단된 별도의 통로공간으로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가 제2열교환실(40)을 거치면서 데워진 후에 시설물 내부로 배기되는 열풍과정에 전혀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재배출부(80)의 선단에는 청소작업시에만 개방되고 땔감연소시에는 외부와 단절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재배출부 개폐뚜껑(81)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개폐뚜껑은 일측은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면서 타측은 개폐뚜껑 잠금수단(82)을 구비하여 견고히 닫혀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개폐뚜껑 잠금수단(82)은 결합/해제가 가능한 볼트 및 너트 간의 결합을 일 예로하는 구성으로써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외통(11)은 그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호 일정거리 이격된 이중의 바디내벽(12) 및 바디외벽(13)으로 구성하여, 내부의 공간이 완전히 독립된 밀폐공간으로 구성하게 되면, 상기 공기층은 난로와 외부 간의 단열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되어 그 안쪽에 위치한 제2열교환실(40)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난방 및 열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땔감투입부(51)를 통해 화력실(20) 내부로 땔감을 투입한 상태에서 산소유입부(52)로부터 화력실(20) 내부로 산소(공기)를 유입하여 땔감을 연소시키게 되면, 화력실(20)로부터 발생되는 연소열이 제1열교환실(30)을 거쳐 제2열교환실(40)로 전달되어지고, 연소열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상태인 제2열교환실(40) 내에서는 외부공기유입공(41)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다수의 흐름유도판(44)에 의해 상,하 지그재그로 유도되면서 제2열교환실(40)의 내부공간 전체를 천천히 이동하면서 연소열에 의해 효과적으로 데워진 후에 열기배출공(42)을 통해 시설물 외부로 배기되어져 시설물 내의 작물에 대한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외부공기유입공(41) 또는 열기배출공(42)에 구성된 공기순환팬(90)은 외부공기가 제2열교환실(40)을 거쳐서 시설물 내부로 순환되는 것을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화력실(20) 내에서 발생되는 연기는 화력실(20)의 아래쪽을 거쳐 제1열교환실(30)로 이동된 후에 연통(70)을 따라 시설물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진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된 외부공기가, 화력실(20)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을 제1열교환실(30)을 거처 전달받은 제2열교환실(40) 내에서, 최대한 오랫동안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에 시설물 내부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열효율이 뛰어나고,
또한, 화력실 내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곧바로 상부의 연통을 통해 배출됨에 있어 어쩔 수 없이 많은 열기와 함께 빠져나가게 되는 기존의 일반적인 구성과는 달리, 연통(70)이 결합된 제1열교환실(30)과 화력실(20) 사이가 하부만 연통되고 나머지는 밀폐되어 구분되어 있는 구성을 통해, 화력실(20)에서 발생된 연기는 상호 연통된 하측을 통해 제1열교환실(30)의 일부공간을 거쳐 연통(70)을 따라 시설물 외부로 배출되고 동시에 상승기류를 갖는 연소열(열기)은 최대한 화력실(20) 내부에 가두어 두면서 제1열교환실(30)을 통해 제2열교환실(40)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열기를 보다 더 오랫동안 난로 내부에 머무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난로 11 : 바디외통
12 : 바디내벽 13 : 바디외벽
20 : 화력실 21 : 제1격벽
30 : 제1열교환실 31 : 제2격벽
40 : 제2열교환실 41 : 외부공기유입공
42 : 열기배출공 43 : 밀폐구획판
44 : 흐름유도판 50 : 상부덮개
51 : 땔감투입부 52 : 산소유입부
60 : 하부바닥판 70 : 연통
80 : 재배출부 90 : 공기순환팬

Claims (4)

  1. 일측에 산소유입부가 구비되고, 목재를 열원으로하는 화력실(20)의 연소열에 의해 데워진 열기를 시설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목난로에 있어서,
    상기 화력실(20)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제1열교환실(30); 상기 제1열교환실(30)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제2열교환실(40); 상기 제1,2열교환실(30,40)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덮개(50); 및 하부바닥판(6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열교환실(30)은, 하부내측만 상기 화력실(20)과 연통된 상태에서 나머지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된 것과;
    상기 제2열교환실(40)은, 전체가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내부일측에는 내부공간을 좌,우로 완전히 구획시키는 밀폐구획판(43)을 구비하되 밀폐구획판(43)과 인접한 일측에는 외부공기유입공(41)을 마련하고 밀폐구획판(43)과 인접한 타측에는 열기배출공(42)을 마련하여, 상기 외부공기유입공(41)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밀폐구획판(43)과 반대방향으로 순회하면서 데워진 후 상기 열기배출공(42)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내부에는 상,하부 중 어느 한 방향만 개방된 상태로 하는 개방유도부(44a)를 구비하고 나머지는 밀폐된 상태로 결합되는 다수의 흐름유도판(44)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되 상기 개방유도부(44a)가 상,하 지그재그로 연속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외부공기유입공(41)으로 유입되어 상기 열기배출공(42)으로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상하 지그재그로 유도되어 이동되면서 제2열교환실(40) 내부에 최대한 오랫동안 머물수 있도록 구성된 것과;
    상기 상부덮개(50)의 중앙에는 화력실(20)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땔감투입부(51)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열교환실(30)로부터 상기 제2열교환실(40)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열교환실(4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연통(7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외부공기유입공(41) 또는 열기배출공(42) 중 어느 선택된 일측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가능한 공기순환팬(9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외통(11)은 그 내부에 단열을 위한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호 일정거리 이격된 이중의 바디내벽(12) 및 바디외벽(13)으로 구성되어, 내부의 공간이 완전히 독립된 밀폐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유입부(52)는, 개폐가능한 상기 땔감투입부(51)의 중앙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실(40)의 외부로부터 상기 제1,2열교환실(30,40)의 하부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화력실(20)과 내통되는 재배출부(8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KR1020180038450A 2018-04-03 2018-04-03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KR20190115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450A KR20190115578A (ko) 2018-04-03 2018-04-03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450A KR20190115578A (ko) 2018-04-03 2018-04-03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578A true KR20190115578A (ko) 2019-10-14

Family

ID=6817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450A KR20190115578A (ko) 2018-04-03 2018-04-03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5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8445A (ko) * 2021-05-24 2022-12-01 노정기 화목난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8445A (ko) * 2021-05-24 2022-12-01 노정기 화목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8863A (en) Catalytic firebox
US4212634A (en) Auxiliary heating system for a bulk tobacco barn
KR101134044B1 (ko)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RU2319077C1 (ru) Печь
CN201532085U (zh) 生物质能源烘烤农副产品装置
RU186611U1 (ru) Банная печь
KR20190115578A (ko) 작물재배를 위한 시설물 전용 고효율 화목난로
CN204593851U (zh) 一种高效热风炉
US20130104873A1 (en) Pellet furnace
KR200394920Y1 (ko) 고체연료용 온풍기
KR101622275B1 (ko) 컨테이너 바닥에 구비되는 조립형 구들보일러
CN109520221A (zh) 一种农产品烘烤干制系统
CN202328774U (zh) 水暖通氧锅炉
RU2379596C1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RU2186299C2 (ru) Печь-калорифер
CN204346014U (zh) 气流平移式双循环烘房
CN220383817U (zh) 一种多用途蒸汽与热风发生装置
CN205481140U (zh) 一种燃烧炉
CN213901136U (zh) 生物质颗粒智能燃烧热风空调
RU2282790C2 (ru) Печь отопительно-варочная
CN214664367U (zh) 贮煤环保温控热风炉
CN210740704U (zh) 一种新型燃气热风炉装置
CN209101554U (zh) 运行可控型热风炉
RU112349U1 (ru) Печь отопительная длительного беспламенного горения
KR20000002219U (ko) 연탄열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