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902A - 단자, 전선 커넥터 및 전선 대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 전선 커넥터 및 전선 대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902A
KR20220157902A KR1020220061247A KR20220061247A KR20220157902A KR 20220157902 A KR20220157902 A KR 20220157902A KR 1020220061247 A KR1020220061247 A KR 1020220061247A KR 20220061247 A KR20220061247 A KR 20220061247A KR 20220157902 A KR20220157902 A KR 20220157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contact
hous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고바야시
아야코 마츠모토
겐스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157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Abstract

단자의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단자 및 하우징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단자를 하우징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저배화 및 소형화할 수 있고, 구성이 간소하며, 부품개수가 적고, 제조가 용이하며, 비용이 낮고,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전선의 종단에 접속되는 단자이며, 전선의 코어선에 접속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전단에 접속되어 상대방 단자와 접촉하는 コ 형 단면의 접촉부를 갖고, 접촉부는 본체부에 접속된 상판부와, 상판부와 평행한 하판부와, 상판부 및 하판부의 좌우 어느 한쪽의 측단연을 접속하는 측판부와, 상판부, 하판부 및 측판부에 의해 삼방면이 획정된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와, 하판부의 후단으로부터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경사 볼록편과, 경사 볼록편과 상판부 사이에 있어서, 접촉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판부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단자, 전선 커넥터 및 전선 대 기판 커넥터{TERMINAL, WIRE CONNECTOR AND WIRE VS SUBSTRATE CONNECTOR}
본 개시는 단자, 전선 커넥터 및 전선 대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케이블 등의 전선을 인쇄회로기판 등의 기판에 접속하기 위해 전선 대 기판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전선 대 기판 커넥터는, 전선의 단부에 접속된 전선 커넥터가 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기판 커넥터와 끼워맞춤된다.
도 13은 종래의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801은 전선 커넥터이며, 도시되지 않은 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기판 커넥터(901)와 끼워맞춤되어 있다.
상기 전선 커넥터(801)는 전선 하우징(811)과, 당해 전선 하우징(811)에 설치된 복수의 전선 단자(86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전선 하우징(811)은 본체부(812)와, 당해 본체부(812)로부터 끼워맞춤 방향(도면에서 우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끼워맞춤 볼록부(814)와, 복수의 단자 삽입 구멍(813)을 포함하고 있다. 당해 단자 삽입 구멍(813)은 상기 본체부(812) 및 끼워맞춤 볼록부(814) 내를 통과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도록 형성된 공동이며, 각각의 내부에 각 전선 단자(861)가 삽입되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전선 하우징(811)의 하면 측에는, 단자 삽입 구멍(813) 내에 수용된 전선 단자(861)를 걸림 고정하여 빠지지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랜스(lance)(8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선 단자(861)는 각각 대응하는 전선(891)의 선단에 접속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이며, 끼워맞춤 방향 선단 측에는, 개략 상자 형상의 접촉부(864)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접촉부(864)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면부(864a)와 하측에 위치하는 하면부(864b)를 포함하며, 당해 하면부(864b)의 후단에는, 상기 랜스(815)의 선단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편(86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판 커넥터(901)는 기판 하우징(911)과, 당해 기판 하우징(911)에 설치된 복수의 기판 단자(96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기판 하우징(911)은 끼워맞춤면(도면에 있어서의 좌측면)에 개방되는 삽입 공간(913)을 포함하고 있다. 당해 삽입 공간(913)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도록 형성된 공동(空洞)이며, 그의 내부에 복수의 기판 단자(9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당해 기판 단자(961)는 각각 금속판을 타발하여 형성된 부재이며, 테일부(tail portion)(962)와, 지지부(963)와, 접촉 아암부(96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테일부(962)는 그 하단이 납땜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접속 패드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963)는 기판 하우징(911)에 고정되는 동시에, 삽입 공간(913)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촉 아암부(964)는 삽입 공간(913)의 상면에 근접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부재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커넥터(801)가 기판 커넥터(901)에 끼워맞춤되면, 전선 하우징(811)의 끼워맞춤 볼록부(814)에 있어서의 선단 근처의 부분이 기판 하우징(911)의 삽입 공간(913) 내에 삽입되어, 도시되지 않은 로크 기구에 의해 로크된다. 이에 따라, 전선 커넥터(801)와 기판 커넥터(901)와의 끼워맞춤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전선 단자(861)의 접촉부(864)가 대응하는 기판 단자(961)의 지지부(963)와 접촉 아암부(964) 사이에 진입하여, 상기 접촉부(864)의 상면부(864a) 및 하면부(864b)가 접촉 아암부(964) 및 지지부(963)와 접촉하여 도통한다. 따라서 전선(891)이 기판 커넥터(901)가 실장되어 있는 기판에 접속된다. 또한, 전선 단자(861)의 걸림 고정편(869)이 랜스(815)의 선단에 걸림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891)에 인장력이 작용해도, 전선 단자(861)가 전선 하우징(811)의 단자 삽입 구멍(813)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185875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전선 커넥터(801)와 기판 커넥터(901)가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전선(891)이 강한 힘으로 인장되면, 랜스(815)에 큰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랜스(815)가 변형되고, 그 선단과 전선 단자(861)의 걸림 고정편(869)과의 걸림 고정이 풀려서, 상기 선단이 전선 단자(861)의 접촉부(864)에 있어서의 상면부(864a)와 하면부(864b) 사이의 공간에 진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랜스(815)의 선단이 전선 단자(861)의 접촉부(864)에 있어서의 공간에 진입한 상태에서 전선(891)이 강한 힘으로 인장되면, 랜스(815)가 파손되거나, 전선 단자(861)의 접촉부(864)가 파손되거나, 랜스(815)의 선단이 전선 단자(861)의 접촉부(864)에 있어서의 공간에 진입한 상태인 채로 랜스(815)와 전선 단자(861)가 결합되거나 한다.
이와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랜스(815)를 대형화하여 변형되기 어렵게 하거나, 전선 단자(861)의 걸림 고정편(869)을 대형화하여 랜스(815)의 선단과의 걸림 고정을 해제하기 어렵게 하거나, 전선 단자(861)의 접촉부(864)를 두껍게 하여 파손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자부품, 전자기기 등의 소형화에 따른 전선 커넥터(801)도 소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랜스(815)나 전선 단자(861)의 각 부도 극히 미세한 것으로 되지 않을 수 없고, 전선(891)이 강한 힘으로 인장되었을 때 발생하는 랜스(815) 및 전선 단자(861)의 각 부의 변형이나, 랜스(815)와 전선 단자(861)와의 걸림 고정 해제를 방지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여기서는, 상기 종래의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단자 및 하우징의 형상 및 구조를 적절한 것으로 함으로써, 단자 및 하우징을 소형화해도, 단자 및 하우징의 랜스의 걸림 고정 해제를 방지하여, 단자의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단자 및 하우징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단자를 하우징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저배화(低背化) 및 소형화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부품 개수가 적고, 제조가 용이하며, 비용이 낮고, 신뢰성이 높은 단자, 전선 커넥터 및 전선 대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를 위해, 단자에 있어서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전선의 종단에 접속되는 단자로서, 상기 전선의 코어선에 접속되는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의 전단에 접속되어 상대방 단자와 접촉하는 コ 형 단면의 접촉부를 갖고, 당해 접촉부는 상기 본체부에 접속된 상판부와, 당해 상판부와 평행한 하판부와, 상기 상판부 및 하판부의 좌우 어느 한쪽의 측단연을 접속하는 측판부와, 상기 상판부, 하판부 및 측판부에 의해 삼방면이 획정된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와, 상기 하판부의 후단으로부터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경사 볼록편과, 당해 경사 볼록편과 상판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판부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단자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상판부의 상면 및 하판부의 하면이 상기 상대방 단자의 상대방 접촉부와 접촉한다.
또 다른 단자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경사 볼록편의 폭은 상기 하판부의 폭과 동일하다.
또 다른 단자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상판부는 상기 본체부의 선단에 접속된 U 형 단면의 기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중판부는 상기 기부의 좌우의 측벽의 한쪽 하단으로부터 상기 측판부를 향해 연장 돌출되고, 상기 중판부의 하면은 상기 하판부의 후단의 상면에 맞닿음 또는 근접한다.
전선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단자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한 전선 커넥터이며, 상기 하우징은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끼워맞춤 볼록부와, 상기 본체부 및 끼워맞춤 볼록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 구멍과,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하우징 랜스를 가지며,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는 상기 단자 수용 구멍 내에 삽입된 단자의 접촉부의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오목부 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랜스는 상기 본체부에 접속된 기단부와, 당해 기단부로부터 경사 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경사 아암부와, 당해 경사 아암부의 선단의 맞닿음부이며, 상기 단자 수용 구멍 내에 삽입된 단자의 경사 볼록편의 후단과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전선 커넥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하우징 랜스의 맞닿음부의 폭은 상기 단자의 경사 볼록편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전선 대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전선 커넥터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대방 하우징과, 도전성 금속판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상대방 단자이며, 상기 상대방 하우징에 설치되는 상대방 단자를 구비하고,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기판 커넥터이고, 상기 전선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기판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이며, 상기 상대방 하우징은 상기 전선 커넥터의 하우징의 끼워맞춤 볼록부가 삽입되는 끼워맞춤 오목부를 갖고, 상기 상대방 단자는 상기 상대방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당해 고정부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상기 전선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상대방 접촉부를 갖고, 당해 상대방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의 상판부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 상부 아암부와, 상기 접촉부의 하판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 하부 아암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판부 및 하판부를 끼워서 지지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단자 및 하우징을 소형화해도, 단자 및 하우징의 랜스의 걸림 고정 해제를 방지하고, 단자의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단자 및 하우징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단자를 하우징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저배화 및 소형화할 수 있고, 구성이 간소하며, 부품개수가 적고, 제조가 용이하여, 비용을 저감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제1 커넥터 측에서 본 분해도이며, (a)는 경사 상방에서 본 도면, (b)는 경사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제2 커넥터 측에서 본 분해도이며, (a)는 경사 상방에서 본 도면, (b)는 경사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a)는 경사 후방에서 본 도면, (b)는 경사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의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a)는 경사 상방에서 본 도면, (b)는 경사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의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a)는 경사 후방에서 본 도면, (b)는 경사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 (b)는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 (c)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a)는 경사 상방에서 본 도면, (b)는 경사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된 상태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며, 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된 상태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측단면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 A-A를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a) 및 (b)는 서로 보는 각도가 상이한 도면이다.
도 12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전선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제1 커넥터 측에서 본 분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제2 커넥터 측에서 본 분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의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의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 및 3에 있어서, (a)는 경사 상방에서 본 도면, (b)는 경사 하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 4에 있어서, (a)는 경사 후방에서 본 도면, (b)는 경사 전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 5에 있어서, (a)는 경사 상방에서 본 도면, (b)는 경사 하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 6에 있어서, (a)는 경사 후방에서 본 도면, (b)는 경사 전방에서 본 도면이며, 도 7에 있어서, (a)는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 (b)는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 (c)는 측면도이며, 도 8에 있어서, (a)는 경사 상방에서 본 도면, (b)는 경사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한쪽인 전선 커넥터로서의 제1 커넥터이며, 복수의 전선(91)을 구비한 케이블의 종단에 접속되는 커넥터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1)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다른 쪽인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2 커넥터(101)에 끼워맞춤된다. 또한, 당해 제 2커넥터(101)는 기판(191)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실장형의 기판 커넥터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선 대 기판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를 포함하고, 전선(91) 및 기판(19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선(91)은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전선(91)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와 반대 측의 단부가 도시되지 않은 전자기기 등에 접속되어,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기판(191)의 신호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인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상기 전선(91)은 전원 라인이나 접지 라인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고,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는 전원 라인이나 접지 라인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91)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이지만, 전자 소자가 표면에 직접 배치된 실리콘 기판, 실리콘 카바이드 기판 등이어도 되고, 어떠한 종류의 기판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디지털 텔레비전,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등이지만, 어떠한 종류의 전자기기라도 좋다.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101)는 이른바 라이트 앵글(right angle) 타입의 기판 커넥터이며,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될 때에 제1 커넥터(1)의 끼워맞춤 볼록부(14)가 삽입되어서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오목부(113)가, 기판(191)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기판(191)의 표면에 실장되어 있지만, 상기 제2 커넥터(101)는 라이트 앵글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3)가 상방(Z축 부방향)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기판(191)의 표면에 실장되는, 이른바 스트레이트 타입의 커넥터라도 좋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3)가 기판(191)의 표면과 교차하는 경사 방향을 향해 개구된 상태인 것이라도 좋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3)가 어떤 방향을 향해 개구된 상태인 것이라도 좋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2 커넥터(101)가 이른바 라이트 앵글 타입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각 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상대적인 것이며, 상기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각 부가 도면에 나타내는 자세인 경우에 적절하지만, 그 자세가 변화한 경우에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변경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1)는 절연성 재료인 합성수지 등의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개략 편평한 직방체와 같은 전체 형상을 구비한 하우징으로서의 제1 하우징(11)과, 당해 제 1하우징(11)에 설치된 금속제의 단자로서의 제1 단자(61)를 갖는다. 당해 제 1단자(61)의 수는 전선(91)의 수에 대응하며, 그 각각은 대응하는 전선(91)의 종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전선(91)은 10개이지만, 전선(91)의 수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9개 이하라도 좋고, 11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복수의 전선(91)은 제1 커넥터(1)의 폭방향(Y축 방향)으로 1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2열 이상의 열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단자(61)는, 도전성 금속판에 구부림 가공 및 타발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로서의 도선 접속부(63)와, 당해 도선 접속부(63)의 후단에 접속되는 전선 접속부로서의 제1 고정부(62)와, 상기 도선 접속부(63)의 전단에 접속된 접촉부로서의 제1 접촉 선단부(65)를 구비한다. 상기 도선 접속부(63)는 전선(91)이 구비하는 도선으로서의 코어선(9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며, 코어선(92)을 코킹하여 고정하는 코어선 코킹부(63a)를 구비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납땜을 부여함으로써, 코어선(92)과 코어선 코킹부(63a)를 더욱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62)는 상기 코어선(92)의 주위를 덮는 절연성 피복(91a)의 주위로부터 전선(91)을 코킹하여 고정하는 전선 코킹부(62a)를 구비한다. 당해 전선 코킹부(62a)에 의해 전선(91)을 코킹함으로써, 제1 단자(61)는 전선(91)의 종단에 확실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촉 선단부(65)는 제2 커넥터(101)가 구비하는 상대방 단자로서의 제2 단자(161)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촉 선단부(65)는 개략 제1 고정부(62)의 선단(X축 정방향단)으로부터 전방(X축 정방향)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コ 형 단면의 가늘고 긴 각통형의 부분이며, 제1 고정부(62)의 선단(X축 정방향단)에 접속되어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판 형상의 상판부(65a)와, 당해 상판부(65a)와 평행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판 형상의 하판부(65b)와, 상기 상판부(65a) 및 하판부(65b)의 좌우 어느 한쪽(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Y축 부방향 측)의 측단연을 접속하고, 그리고 상기 상판부(65a) 및 하판부(65b)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판 형상의 측판부(65c)와, 상기 상판부(65a), 하판부(65b) 및 측판부(65c)에 의해 삼방면이 획정된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를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접촉 선단부(65)는 제1 고정부(62)의 선단에 접속된 기부로서의 U 형 단면의 홈통부(65g)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판부(65a)는 상기 홈통부(65g)의 저벽의 선단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홈통부(65g)를 통해 제1 고정부(62)에 접속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촉 선단부(65)는, 상기 하판부(65b)의 후단(X축 부방향단)으로부터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경사 볼록편으로서의 단자 랜스(65e)와, 당해 단자 랜스(65e)와 상판부(65a)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선단부(65)의 폭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판부(65f)를 갖고 있다. 당해 중판부(65f)는 상기 홈통부(65g)의 좌우의 측벽의 한쪽(측판부(65c)의 반대 측의 측벽)의 하단에 약 90도 구부려서 접속되어, 상기 측판부(65c)를 향해 상판부(65a) 및 하판부(65b)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65a), 하판부(65b) 및 측판부(65c)에 의해 삼방면이 획정된 공동에 있어서의 제1 접촉 선단부(65)의 선단으로부터 중판부(65f)까지의 범위는, 제1 하우징(11)의 오목부 진입부로서의 접촉 선단 진입부(14e)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끼워맞춤되는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통부(65g)의 좌우의 측벽의 다른 쪽에는, 측판부(65c)의 후단이 접속되며, 그리고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가 コ 형 단면이기 때문에, 제1 접촉 선단부(65)는 단면 2차계수가 크고, 강성이 높으며, 변형이 어렵게 되어 있다. 게다가, 중판부(65f)는 그 하면이 하판부(65b)의 후단 근방의 상면에 맞닿음 또는 근접하여, 하판부(65b)를 상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하판부(65b)는 보강되어, 상방을 향해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은 제1 커넥터(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본체부(12)와, 당해 본체부(12)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끼워맞춤 볼록부(14)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11)에는, 그 후면(11r)으로 개구되어 당해 후면(11r)으로부터 끼워맞춤 볼록부(14)의 선단에 이르기까지, 본체부(12) 및 끼워맞춤 볼록부(14)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자 수용 구멍(13)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당해 단자 수용 구멍(13)은 하나의 전선(91)의 종단에 접속된 제1 단자(61) 및 상기 전선(91)의 제1 단자(61) 근방 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공간이며, 전선(91)과 마찬가지의 배치로 전선(91)과 마찬가지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0개의 단자 수용 구멍(13)이 제1 커넥터(1)의 폭방향으로 1열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의 후면(11r)에는, 단자 수용 구멍(13)의 열의 외측에 더미 개구(13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14)는, 제1 커넥터(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1매의 평판 형상의 횡칸막이판(14c)과, 당해 횡칸막이판(14c)의 상하 양면의 복수개소로부터 상방 및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복수쌍의 종칸막이판(14d)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각 단자 수용 구멍(13)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볼록부(14)의 선단 근방은, 상기 횡칸막이판(14c)에 의해 상방부(13a)와 하방부(13b)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각 단자 수용 구멍(13)의 좌우 양측은 종칸막이판(14d)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또한, 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종칸막이판(14d)의 상단에는 천판부로서의 끼워맞춤 천판부(14a)가 접속되어 있다. 당해 끼워맞춤 천판부(14a)는, 제1 하우징(11)의 상면(11a) 측에 있어서, 본체부(12)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고, 끼워맞춤 볼록부(14)의 전후 방향의 거의 전범위에 걸쳐서 존재하고, 상기 단자 수용 구멍(13)의 상방부(13a)의 상면을 획정하는 부재이지만, 각 상방부(13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부 슬릿(16a)이 형성되고, 당해 상부 슬릿(16a)에 의해, 제1 커넥터(1)의 폭방향에 관해서,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분할된 각각의 끼워맞춤 천판부(14a)는 끼워맞춤 볼록부(14)의 기단 근방으로부터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스트립형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되면, 당해 제 2커넥터(101)의 제2 단자(161)의 접촉 상부 아암부(164)가 상기 상부 슬릿(16a)을 통해 단자 수용 구멍(13)의 상방부(13a) 내에 진입한다.
또한,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종칸막이판(14d)의 하단에는 저판부로서의 끼워맞춤 저판부(14b)가 접속되어 있다. 당해 끼워맞춤 저판부(14b)는 끼워맞춤 볼록부(14)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단자 수용 구멍(13)의 하방부(13b)의 하면을 획정하는 부재이지만, 각 하방부(13b)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부 슬릿(16b)이 형성되고, 당해 하부 슬릿(16b)에 의해 제1 커넥터(1)의 폭방향에 관해서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되면, 당해 제 2커넥터(101)의 제2 단자(161)의 접촉 하부 아암부(163)가 상기 하부 슬릿(16b)을 통해 단자 수용 구멍(13)의 하방부(13b) 내에 진입한다.
또한, 상기 횡칸막이판(14c)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후방에 도달하는 범위에는, 두껍게 형성된 접촉 선단 진입부(14e)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횡칸막이판(14c)의 좌우 어느 한쪽(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Y축 부방향 측)의 측단에는, 종칸막이판(14d)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간 슬릿(14s)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중간 슬릿(14s)은 제1 단자(61)의 제1 접촉 선단부(65)에 있어서의 측판부(65c)가 진입 가능하도록, 횡칸막이판(14c)의 기단으로부터 선단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1)은 그 하면(11b) 측에 있어서, 본체부(12)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돌출편으로서의 하우징 랜스(15)를 갖는다. 당해 하우징 랜스(15)는 제1 커넥터(1)의 폭방향으로 1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각각이 끼워맞춤 볼록부(14)에 있어서의 단자 수용 구멍(13)의 하방에 위치한다. 각 하우징 랜스(15)는 본체부(12)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스트립형의 형상을 갖고,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랜스 슬릿(15d)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각 하우징 랜스(15)는 캔틸레버형 부재이며, 본체부(12)에 접속된 기단부(15a)와, 당해 기단부(15a)로부터 경사 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경사 아암부(15b)와, 당해 경사 아암부(15b)의 자유단(선단)이며, 단자 랜스(65e)의 후단과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15c)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당해 맞닿음부(15c)의 폭은 단자 랜스(65e)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각 전선(91)의 종단에 접속된 제1 단자(61)는 제1 하우징(11)의 후면(11r) 측으로부터 대응하는 단자 수용 구멍(13)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자(61)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 접촉 선단부(65)의 선단이 끼워맞춤 볼록부(14)의 선단 근방에 도달하고, 제1 접촉 선단부(65)의 측판부(65c)가 횡칸막이판(14c)에 형성된 중간 슬릿(14s) 내에 진입하고, 제1 접촉 선단부(65)의 상판부(65a)가 단자 수용 구멍(13)의 상방부(13a) 내에 있어서 끼워맞춤 천판부(14a)의 하방에 위치하고, 제1 접촉 선단부(65)의 하판부(65b)가 단자 수용 구멍(13)의 하방부(13b) 내에 있어서 끼워맞춤 저판부(14b)의 상방에 위치하고, 제1 접촉 선단부(65)의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 내에 접촉 선단 진입부(14e)가 진입하여 수용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제1 접촉 선단부(65)가 보강되고, 특히 상하 방향으로부터의 힘을 받아도, 상판부(65a)와 하판부(65b)와의 간격이 감소하는 바와 같은 변형이 생기는 경우가 없다. 또한, 제1 접촉 선단부(65)의 단자 랜스(65e)는 그 폭이 하판부(65b)의 폭과 동일하여, 하우징 랜스(15)의 맞닿음부(15c)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단자 랜스(65e)의 후단은 하우징 랜스(15)의 맞닿음부(15c)에 대면하여, 당해 맞닿음부(15c)에 근접 또는 맞닿음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1 단자(61)의 설치가 완료되면, 단자 랜스(65e)가 하우징 랜스(15)에 걸림 고정되기 때문에, 전선(91)에 인장력이 작용해도, 제1 단자(61)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고, 단자 수용 구멍(13) 내로부터 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제2 커넥터(10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개략 편평한 직방체와 같은 전체 형상을 구비하는 상대방 하우징으로서의 제2 하우징(111)과, 당해 제 2하우징(111)에 설치된 금속제의 상대방 단자로서의 제2 단자(161)와, 상기 제2 하우징(111)에 설치된 금속제의 기판 암형 하우징 설치용 보조 금속구로서의 보조 금속구(181)를 갖는다. 상기 제2 단자(161)의 수나 배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단자(61)와 마찬가지의 수 및 배치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단자(161)는 금속판에 타발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전체적으로 コ 형 또는 U 형 측면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자(161)는 본체부로서의 고정부(165)와, 당해 고정부(165)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기판 접속부로서의 테일부(162)와, 상기 고정부(165)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상대방 접촉부로서의 접촉 상부 아암부(164) 및 접촉 하부 아암부(16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65)에는, 제2 하우징(111)의 제2 단자 유지부(116a)에 식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 돌기(165a)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 상부 아암부(164)의 자유단(선단) 근방에는 제1 단자(61)의 제1 접촉 선단부(65)에 있어서의 상판부(65a)에 접촉하는 상측 접촉 돌기(164a)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 하부 아암부(163)의 자유단(선단) 근방에는 제1 단자(61)의 제1 접촉 선단부(65)에 있어서의 하판부(65b)에 접촉하는 하측 접촉 돌기(16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금속구(181)는 금속판에 구부림 가공 및 타발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평판 형상의 본체부(183)와, 당해 본체부(183)의 하단에 약 90도 구부려서 접속되어, 제2 커넥터(101)의 폭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기판 접속부로서의 테일부(182)와, 상기 본체부(183)의 후단으로부터 후방(X축 정방향)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고정부(184)와, 본체부(183)의 상단에 약 90도 구부려서 접속되어, 제2 커넥터(101)의 폭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숄더 누름부(185)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 금속구(181)는 제2 커넥터(101)를 기판(191)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보조 부재이며, 제2 하우징(111)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테일부(182)가 기판(191)의 표면에 형성된 접속 패드(192)의 표면에 납땜 등의 접속 수단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제2 하우징(111)은 제2 커넥터(10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본체부(112)와, 당해 본체부(112)로부터 전방(X축 부방향)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전방 돌출부(114)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111)에는 그 전면(111f)으로 개방되어, 전방 돌출부(114) 및 본체부(112)를 통해 제2 하우징(111)의 후면(111r)에 이르기까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끼워맞춤 오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끼워맞춤 오목부(113) 내에는,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끼워맞춤될 때에, 제1 하우징(11)의 끼워맞춤 볼록부(14)가 삽입되어서 끼워맞춤된다. 또한, 제2 하우징(111)의 후면(111r)에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3)와 연통하는 복수의 단자 삽입구(116)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단자 삽입구(116)는 하나의 제2 단자(161)가 각각 삽입되는 개구이며, 제2 단자(161)와 마찬가지의 배치로 제2 단자(161)와 마찬가지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0개의 단자 삽입구(116)가 제2 커넥터(101)의 폭방향으로 1열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단자 삽입구(116) 내에는, 제2 단자 유지부(116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3) 내의 천장면(top surface), 즉 제2 하우징(111)의 상면(111a) 측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측 단자 수용홈(115a)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3) 내의 바닥면, 즉 제2 하우징(111)의 하면(111b) 측의 내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측 단자 수용홈(115b)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13) 내의 천장면에 있어서의 제2 하우징(111)의 전면(111f) 근방 부분에는, 각 상측 단자 수용홈(115a)에 대응하는 개소에, 하방(Z축 부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가이드 볼록부(11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2)는 전방 돌출부(114)보다도 제2 커넥터(101)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그 돌출부(112f)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조 금속구 고정 구멍(11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돌출부(114)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101)의 폭방향 외측단에는, 외측 팽출부(114c)가 형성되고, 당해 외측 팽출부(114c)의 상단은 숄더부(114a)로 되어 있다.
각 제2 단자(161)는 제2 하우징(111)의 후면(111r) 측으로부터 대응하는 단자 삽입구(116) 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단자(161)의 설치가 완료되면, 접촉 하부 아암부(163)는 대응하는 하측 단자 수용홈(115b) 내에 수용되지만, 접촉 상부 아암부(164)는 대응하는 상측 단자 수용홈(115a) 내에서는 아니고, 당해 상측 단자 수용홈(115a)의 다소 하방에 위치된다. 또한, 고정부(165)의 걸림 고정 돌기(165a)가 단자 삽입구(116) 내의 제2 단자 유지부(116a)에 식입되어 걸림 고정되기 때문에, 제2 단자(161)는 제2 하우징(111)에 고정된다.
또한, 각 보조 금속구(181)는, 숄더 누름부(185)가 제2 하우징(111)의 외측 팽출부(114c)에 있어서의 숄더부(114a)와 걸림 결합함과 함께, 고정부(184)가 제2 하우징(111)의 보조 금속구 고정 구멍(112d)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제2 하우징(111)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2 단자(161) 및 보조 금속구(181)가 제2 하우징(111)에 설치된 제2 커넥터(10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91)의 표면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상기 기판(191)의 표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용 전극의 각각에 납땜 등의 접속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용 전극의 각각은, 기판(191)이 구비하는 도시되지 않은 도전 트레이스이며 신호 라인으로서 기능하는 것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금속구(181)의 테일부(182)가 기판(191)의 표면에 형성된 접속 패드(192)의 표면에 납땜 등의 접속 수단에 의해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그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를 끼워맞춤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된 상태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며 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A-A)를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된 상태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측단면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A-A)를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a) 및 (b)는 서로 보는 각도가 상이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커넥터(1)는 제1 단자(61)가 전선(91)의 종단에 접속됨으로써, 전선(91)을 구비하는 케이블의 종단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2 커넥터(101)는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기판(191)의 표면에 형성된 커넥터용 전극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과 함께, 보조 금속구(181)의 테일부(182)가 기판(191)의 표면에 형성된 접속 패드(192)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기판(191)의 표면에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의 끼워맞춤 볼록부(14)와, 제2 커넥터(101)의 끼워맞춤 오목부(113)를 대향시킨 상태로 한다. 계속해서, 오퍼레이터는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를 상대 측에 접근하도록 이동시켜, 제1 커넥터(1)의 끼워맞춤 볼록부(14)를 제2 커넥터(101)의 끼워맞춤 오목부(113) 내에 삽입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를 끼워맞춤되게 한다.
이 때,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14)의 끼워맞춤 천판부(14a)에 형성된 상부 슬릿(16a)의 각각에는, 제2 커넥터(101)의 대응하는 제2 단자(161)의 접촉 상부 아암부(164)가 진입하고,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14)의 끼워맞춤 저판부(14b)에 형성된 하부 슬릿(16b)의 각각에는, 제2 커넥터(101)의 대응하는 제2 단자(161)의 접촉 하부 아암부(163)가 진입한다.
그리고 도 10 및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단자(161)의 접촉 상부 아암부(164)의 상측 접촉 돌기(164a)가, 상기 상부 슬릿(16a)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1 단자(61)의 제1 접촉 선단부(65)에 있어서의 상판부(65a)의 상면에 접촉해서 도통하고, 제2 단자(161)의 접촉 하부 아암부(163)의 하측 접촉 돌기(163a)가, 상기 하부 슬릿(16b)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1 단자(61)의 제1 접촉 선단부(65)에 있어서의 하판부(65b)의 하면에 접촉해서 도통한다. 이와 같이, 제2 단자(161)의 접촉 상부 아암부(164)의 상측 접촉 돌기(164a)와 접촉 하부 아암부(163)의 하측 접촉 돌기(163a) 사이에 제1 단자(61)의 제1 접촉 선단부(65)가 삽입되기 때문에, 주로 캔틸레버형의 접촉 상부 아암부(164)가 상방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위하여, 상측 접촉 돌기(164a)와 하측 접촉 돌기(163a)와의 간격이 탄성적으로 넓어진다. 그리고 제1 접촉 선단부(65)에 있어서의 상판부(65a)와 하판부(65b)는, 상하로부터 상측 접촉 돌기(164a)와 하측 접촉 돌기(163a)에 의해 사이에 끼여 지지된다. 또한,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과의 끼워맞춤이 완료되면, 도 10 및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오목부(113) 내에 삽입된 끼워맞춤 볼록부(14)의 선단이 제2 단자 유지부(116a)에 맞닿음되기 때문에, 더 이상 끼워맞춤 볼록부(14)가 끼워맞춤 오목부(113) 내의 안쪽(X축 정방향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제2 단자(161)의 접촉 상부 아암부(164)의 상측 접촉 돌기(164a) 및 접촉 하부 아암부(163)의 하측 접촉 돌기(163a)가, 제1 단자(61)의 제1 접촉 선단부(65)의 상판부(65a) 및 하판부(65b)에 접촉하여 도통하기 때문에,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가 도통한 상태로 되고, 그 결과 제1 단자(61)가 접속된 전선(91)과,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접속된 기판(191)의 커넥터용 전극에 접속된 도전 트레이스가 도통한다.
또한, 도 10 및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자(61)의 제1 접촉 선단부(65)의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 내에 접촉 선단 진입부(14e)가 진입하여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는, 사방이 획정된 ロ형 단면의 닫힌 공간은 아니며, 상판부(65a), 하판부(65b) 및 측판부(65c)에 의해 삼방면이 획정되고, 한쪽이 개방된 コ형 단면의 공간이라도, 그 내부에 제1 하우징(11)의 끼워맞춤 볼록부(14)의 일부인 접촉 선단 진입부(14e)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을 받아도 변형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상판부(65a)와 하판부(65b)가, 상하로부터 제2 단자(161)의 상측 접촉 돌기(164a)와 하측 접촉 돌기(163a)에 의해 사이에 끼여 지지되어도, 상기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를 포함하는 제1 접촉 선단부(65)는 변형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 내의 후단 근방에는, 상판부(65a) 및 하판부(65b)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는 중판부(65f)가 존재하고, 당해 중판부(65f)는 그 하면이 하판부(65b)의 후단 근방의 표면에 맞닿음 또는 근접하고, 하판부(65b)를 상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하판부(65b)는 상방을 향해 보다 변형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촉 선단부(65)의 단자 랜스(65e)는 하우징 랜스(15)의 맞닿음부(15c)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단자 랜스(65e)의 후단은 하우징 랜스(15)의 맞닿음부(15c)에 대면하고, 당해 맞닿음부(15c)에 맞닿음되어 걸림 고정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선(91)이 인장되거나, 전선(91)이 요동되거나 해서, 제1 단자(61)에 대해 후방(X축 부방향)에 인장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제1 하우징(11)에 설치된 제1 단자(61)가 후방으로 빠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하판부(65b)의 후단 부분을 일어서도록 절단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판부(65b)의 후단으로부터 경사 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단자 랜스(65e)의 후단에, 제1 하우징(11)의 본체부(12)로부터 경사 전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하우징 랜스(15)의 경사 아암부(15b)의 선단인 맞닿음부(15c)가 맞닿음되기 때문에, 단자 랜스(65e)에 대해, 하우징 랜스(15)의 경사 아암부(15b)가 직선에 가까운 상태로 맞닿음되어 걸림 고정하고, 게다가 맞닿음부(15c)의 폭이 단자 랜스(65e)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 랜스(15)에 의한 단자 랜스(65e)의 걸림 고정이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단자 랜스(65e)는, 하판부(65b)의 후단 부분을 일어서도록 절단하여 형성된 부분이며, 그 폭이 상기 하판부(65b)와 동일하고, 그리고 당해 하판부(65b)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가 높아져 있다. 게다가, 하판부(65b)의 후단은 중판부(65f)에 의해 상방에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랜스(65e)는 하판부(65b)의 후단과 마찬가지로 상방으로 변형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우징 랜스(15)의 맞닿음부(15c)가 단자 랜스(65e)의 상방으로의 변위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변위하고, 단자 랜스(65e)의 하면을 따라 제1 접촉 선단부(65)의 선단 측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단자 랜스(65e)의 상방에 중판부(65f)가 존재하기 때문에, 하우징 랜스(15)의 맞닿음부(15c)가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변위하고, 단자 랜스(65e)의 상면을 따라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내에 진입하는 경우가 없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내는 비교예와 같이, 중판부(65f)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 전선(91)을 경사 하후방으로 끌어 들이는 바와 같은 힘이 작용하면, 제1 접촉 선단부(65)가 제1 하우징(11)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하우징 랜스(15)의 맞닿음부(15c)가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변위하고, 단자 랜스(65e)의 상면을 따라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 내에 진입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자 랜스(65e)의 상방의 중판부(65f)에 의해, 하우징 랜스(15)의 맞닿음부(15c)의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 내로의 진입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 랜스(15)에 의한 단자 랜스(65e)의 걸림 고정이 확실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제1 단자(61)에 대해 후방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한 경우라도, 제1 단자(61)가 단자 수용 구멍(13) 내에서 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 랜스(15)의 맞닿음부(15c)가, 단자 랜스(65e)의 상면 또는 하면을 따라 제1 접촉 선단부(65)의 선단 측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하우징 랜스(15)에 부하가 걸리는 경우가 없고, 하우징 랜스(15)가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단자(61)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전선(91)의 종단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1 단자(61)는 전선(91)의 코어선(92)에 접속되는 도선 접속부(63)와, 도선 접속부(63)의 전단에 접속되어 제2 단자(161)와 접촉하는 コ 형 단면의 제1 접촉 선단부(65)를 가지며, 제1 접촉 선단부(65)는 도선 접속부(63)에 접속된 상판부(65a)와, 상판부(65a)와 평행한 하판부(65b)와, 상판부(65a) 및 하판부(65b)의 좌우 어느 한쪽의 측단연을 접속하는 측판부(65c)와, 상판부(65a), 하판부(65b) 및 측판부(65c)에 의해 삼방면이 획정된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와, 하판부(65b)의 후단으로부터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단자 랜스(65e)와, 단자 랜스(65e)와 상판부(65a) 사이에 있어서 제1 접촉 선단부(65)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판부(65f)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커넥터(1)는 제1 단자(61)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단자(61)가 설치되는 제1 하우징(1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은 본체부(12)와, 본체부(12)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끼워맞춤 볼록부(14)와, 본체부(12) 및 끼워맞춤 볼록부(14)를 통해서 연장되어 있고, 제1 단자(61)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 구멍(13)과, 본체부(12)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하우징 랜스(15)를 가지며, 끼워맞춤 볼록부(14)는 단자 수용 구멍(13) 내에 삽입된 제1 단자(61)의 제1 접촉 선단부(65)의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65d) 내에 수용되는 접촉 선단 진입부(14e)를 포함하고, 하우징 랜스(15)는 본체부(12)에 접속된 기단부(15a)와, 기단부(15a)로부터 경사 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경사 아암부(15b)와, 경사 아암부(15b)의 선단의 맞닿음부(15c)이며, 단자 수용 구멍(13) 내에 삽입된 제1 단자(61)의 단자 랜스(65e)의 후단과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15c)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선 대 기판 커넥터는 제1 커넥터(1)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 하우징(111)과, 도전성 금속판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제1 커넥터(1)의 제1 단자(61)와 접촉하는 제2 단자(161)이며, 제2 하우징(111)에 설치되는 제2 단자(161)를 구비하고, 기판(191)의 표면에 실장되는 제2 커넥터(101)이며, 제1 커넥터(1)와 끼워맞춤되는 제2 커넥터(10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하우징(111)은 제1 커넥터(1)의 제1 하우징(11)의 끼워맞춤 볼록부(14)가 삽입되는 끼워맞춤 오목부(113)를 갖고, 제2 단자(161)는 제2 하우징(111)에 고정되는 고정부(165)와, 고정부(165)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제1 커넥터(1)의 제1 단자(61)의 제1 접촉 선단부(65)와 접촉하는 상대방 접촉부를 가지며, 상대방 접촉부는 제1 접촉 선단부(65)의 상판부(65a)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 상부 아암부(164)와, 제1 접촉 선단부(65)의 하판부(65b)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 하부 아암부(163)를 포함하고, 상판부(65a) 및 하판부(65b)를 끼워서 지지한다.
이에 의해, 제1 단자(61) 및 제1 하우징(11)을 소형화해도, 제1 단자(61)의 단자 랜스(65e) 및 제1 하우징(11)의 하우징 랜스(15)의 걸림 고정 해제를 방지하고, 제1 단자(61)의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제1 단자(61) 및 제1 하우징(11)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제1 단자(61)를 제1 하우징(11)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를 저배화 및 소형화할 수 있고, 구성이 간소하며, 부품개수가 적고, 제조가 용이하며, 비용이 낮고, 신뢰성이 높은, 제1 단자(61), 제1 커넥터(1) 및 전선 대 기판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는 적합하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특징을 서술한 것이다.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 및 그 취지 내에 있어서의 각각의 다른 실시형태, 수정 및 변형은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개시를 총람함으로써 당연하게 생각나는 것이다.
본 개시는 단자, 전선 커넥터 및 전선 대 기판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1: 제1 커넥터
11: 제1 하우징
11a, 111a: 상면
11b, 111b: 하면
11r, 111r: 후면
12, 112, 183, 812: 본체부
13: 단자 수용 구멍
13a: 상방부
13b: 하방부
13d: 더미 개구
14, 814: 끼워맞춤 볼록부
14a: 끼워맞춤 천판부
14b: 끼워맞춤 저판부
14c: 횡칸막이판
14d: 종칸막이판
14e: 접촉 선단 진입부
14s: 중간 슬릿
15: 하우징 랜스
15a: 기단부
15b: 경사 아암부
15c: 맞닿음부
15d: 랜스 슬릿
16a: 상부 슬릿
16b: 하부 슬릿
61: 제1 단자
62: 제1 고정부
62a: 전선 코킹부
63: 도선 접속부
63a: 코어선 코킹부
65: 제1 접촉 선단부
65a: 상판부
65b: 하판부
65c: 측판부
65d: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
65e: 단자 랜스
65f: 중판부
65g: 홈통부
91, 891: 전선
91a: 절연성 피복
92: 코어선
101: 제2 커넥터
111: 제2 하우징
111f: 전면
112d: 보조 금속구 고정 구멍
112f: 돌출부
113: 끼워맞춤 오목부
114: 전방 돌출부
114a: 숄더부
114c: 외측 팽출부
115a: 상측 단자 수용홈
115b 하측 단자 수용홈
115c: 가이드 볼록부
116: 단자 삽입구
116a: 제2 단자 유지부
161: 제2 단자
162, 182, 962: 테일부
163: 접촉 하부 아암부
163a: 하측 접촉 돌기
164: 접촉 상부 아암부
164a: 상측 접촉 돌기
165, 184: 고정부
165a: 걸림 고정 돌기
181: 보조 금속구
185: 숄더 누름부
191: 기판
192: 접속 패드
801: 전선 커넥터
811: 전선 하우징
813: 단자 삽입 구멍
815: 랜스
861: 전선 단자
864: 접촉부
864a: 상면부
864b: 하면부
869: 걸림 고정편
901: 기판 커넥터
911: 기판 하우징
913: 삽입 공간
961: 기판 단자
963: 지지부
964: 접촉 아암부

Claims (7)

  1. (a) 도전성 금속판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전선의 종단에 접속되는 단자로서,
    (b) 상기 전선의 코어선에 접속되는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의 전단에 접속되어 상대방 단자와 접촉하는 コ 형 단면의 접촉부를 갖고,
    (c) 당해 접촉부는 상기 본체부에 접속된 상판부와, 당해 상판부와 평행한 하판부와, 상기 상판부 및 하판부의 좌우 어느 한쪽의 측단연을 접속하는 측판부와, 상기 상판부, 하판부 및 측판부에 의해 삼방면이 획정된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와, 상기 하판부의 후단으로부터 경사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경사 볼록편과, 당해 경사 볼록편과 상판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판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상면 및 하판부의 하면이 상기 상대방 단자의 상대방 접촉부와 접촉하는 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볼록편의 폭은 상기 하판부의 폭과 동일한 단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상기 본체부의 선단에 접속된 U 형 단면의 기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중판부는 상기 기부의 좌우의 측벽의 한쪽 하단으로부터 상기 측판부를 향해 연장 돌출되고, 상기 중판부의 하면은 상기 하판부의 후단의 상면에 맞닿음 또는 근접하는 단자.
  5. 제1항에 기재된 단자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선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끼워맞춤 볼록부와, 상기 본체부 및 끼워맞춤 볼록부를 통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 구멍과,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하우징 랜스를 갖고,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는 상기 단자 수용 구멍 내에 삽입된 단자의 접촉부의 선단 끼워맞춤 오목부 내에 수용되는 오목부 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랜스는 상기 본체부에 접속된 기단부와, 당해 기단부로부터 경사 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경사 아암부와, 당해 경사 아암부의 선단의 맞닿음부이며, 상기 단자 수용 구멍 내에 삽입된 단자의 경사 볼록편의 후단과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랜스의 맞닿음부의 폭은 상기 단자의 경사 볼록편의 폭과 거의 동일한 전선 커넥터.
  7. 제5항에 기재된 전선 커넥터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대방 하우징과, 도전성 금속판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상대방 단자이며, 상기 상대방 하우징에 설치되는 상대방 단자를 구비하고,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기판 커넥터이며, 상기 전선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기판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방 하우징은 상기 전선 커넥터 하우징 끼워맞춤 볼록부가 삽입되는 끼워맞춤 오목부를 갖고,
    상기 상대방 단자는 상기 상대방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당해 고정부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기 전선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상대방 접촉부를 갖고,
    당해 상대방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의 상판부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 상부 아암부와, 상기 접촉부의 하판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 하부 아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 및 하판부를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1020220061247A 2021-05-21 2022-05-19 단자, 전선 커넥터 및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20220157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86008A JP2022178896A (ja) 2021-05-21 2021-05-21 端子、電線コネクタ及び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JP-P-2021-086008 2021-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902A true KR20220157902A (ko) 2022-11-29

Family

ID=8406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247A KR20220157902A (ko) 2021-05-21 2022-05-19 단자, 전선 커넥터 및 전선 대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76420A1 (ko)
JP (1) JP2022178896A (ko)
KR (1) KR20220157902A (ko)
CN (1) CN115377719A (ko)
TW (1) TWI827052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5875A (ja) 2018-04-03 2019-10-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端子押し付け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6935A (ko) * 1968-09-23 1971-03-31
FR2421484A1 (fr) * 1978-03-31 1979-10-26 Socapex Element de contact auto-denudant a ancrage radial pour connecteur, et connecteur comportant un tel element de contact
JPS63138678A (ja) * 1986-12-01 1988-06-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S6380489A (ja) * 1986-09-24 1988-04-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4840578A (en) * 1986-10-30 1989-06-20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tact
US4784623A (en) * 1987-04-03 1988-11-15 Amp Incorporated Mass terminable flat flexible cable to pin connector
FR2719163A1 (fr) * 1994-04-22 1995-10-27 Amp France Borne anti-corrosion par usure, destinée à recevoir une borne complémentaire.
US5616041A (en) * 1995-01-17 1997-04-01 Heyco Stamped Products, Inc. Female connector for a plastic molded receptacle and an extension cord
US5911603A (en) * 1996-07-22 1999-06-15 The Whitaker Corporation Single piece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for mating with a pin contact
US6183309B1 (en) * 1999-04-26 2001-02-06 Thomas Shiaw-Cherng Chiang Molded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US6464547B2 (en) * 2000-02-18 2002-10-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pin contact and housing
DE60216679T2 (de) * 2001-08-30 2007-10-04 Tyco Electronics Amp Gmbh Kontakt mit verbessertem Verriegelungselement
USD494545S1 (en) * 2002-05-27 2004-08-17 J.S.T. Mfg. Co., Ltd. Socket contact
US7033194B1 (en) * 2004-12-14 2006-04-25 Yazaki North America, Inc. Standardized electrical terminal
US7717759B2 (en) * 2006-01-06 2010-05-18 J.S.T. Mfg. Co., Ltd. Female terminal with guiding piece
JP5301351B2 (ja) * 2009-05-20 2013-09-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線対基板コネクタ及び電線コネクタ
USD665360S1 (en) * 2011-10-21 2012-08-14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terminal
EP4024623A1 (en) * 2014-04-24 2022-07-06 Molex, LLC Method of providing a terminal fitting
JP5766848B1 (ja) * 2014-05-20 2015-08-1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406235A (zh) * 2014-09-01 2016-03-16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插座连接器
JP6299703B2 (ja) * 2015-08-05 2018-03-2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
TWM547198U (zh) * 2017-03-27 2017-08-11 Molex Taiwan Ltd 電連接裝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5875A (ja) 2018-04-03 2019-10-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端子押し付け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47540A (zh) 2022-12-01
JP2022178896A (ja) 2022-12-02
TWI827052B (zh) 2023-12-21
US20220376420A1 (en) 2022-11-24
CN115377719A (zh)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3362B2 (en) Joint connector, joint terminal and a wiring harness with a joint connector
US732915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arranged with narrow pitch
US9401550B2 (en) Connector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US9917401B2 (en) Wire-to-board connector assembly
US9595781B2 (en) Terminal and connector
US7892001B2 (en) Floating connector
CN109496377B (zh) 触头
US9306306B2 (en) Terminal
US11233345B2 (en) Safe, robust, compact connector
JP5385022B2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CN110098532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US8308499B2 (en) Duplex profile connector assembly having retention means for assembling upper and lower connectors thereof together
JP3127884U (ja) 電気コネクタ
KR20220157902A (ko) 단자, 전선 커넥터 및 전선 대 기판 커넥터
US9899782B2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assembly mounted structure
US2022017354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10800166A (zh) 基板用连接器及电路基板和基板用连接器的连接结构
JP7283971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US8808022B2 (en) Connector structure
US10122104B2 (en)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US11158977B2 (en) Connector including guiding structure between cover and housing
US8118600B2 (en) Inserting connector, connector unit, and backplane
JP7393132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JP2023109512A (ja) Fpc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