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763A - 전기구동형 트랙터 - Google Patents

전기구동형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763A
KR20220157763A KR1020210065704A KR20210065704A KR20220157763A KR 20220157763 A KR20220157763 A KR 20220157763A KR 1020210065704 A KR1020210065704 A KR 1020210065704A KR 20210065704 A KR20210065704 A KR 20210065704A KR 20220157763 A KR20220157763 A KR 20220157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ractor
sidewall
frame
electric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남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5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7763A/ko
Publication of KR2022015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55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 B60K2001/0461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from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Argicultural-type 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구동형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프레임 및 상기 배터리 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가 통과 가능하게 형성된 도어홀을 포함하여 배터리를 트랙터의 측면에서 장착 및 교체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구동형 트랙터 {ELECTRIC TRACTOR}
본 발명은 전기구동형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고, 배터리를 탈착할 수 있는 전기구동형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트랜스미션을 통해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구동륜으로 전달하기 위한 주행계 동력전달장치 및 트랙터에 장착되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PTO축에 전달하는 PTO(PTO; Powertake off)계 동력 전달장치로 공급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주행계 동력전달장치는 엔진의 크랭크축으로부터 플라이휠 등을 통해 동력이 전달되는 메인 구동축과, 상기 메인 구동축의 동력을 토크를 변환하여 후륜(뒷차축) 등으로 전달하는 변속 장치와, 상기 메인 구동축으로부터 변속 장치로 전달되는 동력의 회전 방향을 바꿔 트랙터의 전, 후진을 절환시키도록 된 전, 후진 셔틀 클러치와, 상기 변속 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주변속 축과, 상기 주변속 축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뒷차축에 전달하도록 된 종동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PTO계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메인 구동축의 후방부에 직결된 PTO 구동축과, 상기 메인 구동축으로부터 PTO 구동축에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PTO 클러치조합과, PTO 구동축으로부터의 동력을 감속 전달받아 구동되는 PTO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트랙터는 디젤엔진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해물질의 배출이 심할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장치의 기계적 구성이 매우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전기동력을 이용한 트랙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전기동력을 이용한 트랙터는 모터를 구동시켜 주행동력과 작업동력을 얻게 되는데, 배터리를 통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전기 구동형 트랙터는 모터의 출력에 일정 부분 비례하여 배터리 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모터의 출력에 따라 배터리의 크기와 부피를 다르게 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때, 모터의 출력에 따라 각각 다른 용량의 배터리를 구성하지 않고, 복수 개의 단위 배터리를 조립하여 목표하는 배터리 용량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배터리의 크기와 부피를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35HP급 배터리 팩의 무게는 약 170kg로 작업자가 들기 어렵고, 일체형의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경우 탈착 작업에 있어서 크레인 작업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필요 시 분리 충전하거나 다른 마력대의 플랫폼에 교차 활용할 수 있고, 작업자가 배터리를 이동시켜 탈착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전기 구동형 트랙터에서는 배터리의 냉각 및 방열이 요구된다. 이때, 후드의 그릴 틈새로 자연 배기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라디에이터는 없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배터리 용량 증대에 따라 냉각 팬 등 설치공간이 요구될 수도 있으므로 후드의 내부 전방의 공간을 비워둘 필요가 있다.
특히, 배터리를 착탈할 때 트랙터의 전방으로 배터리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와 같이 냉각 팬 등이 설치되어 있으면 배터리의 이동경로를 가로막아 배터리와 함께 냉각 팬 등도 탈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냉각 및 방열에 필요한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배터리의 착탈 시 배터리의 냉각 및 방열에 필요한 장치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터리 장착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전기구동형 트랙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배터리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한 전기구동형 트랙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터리 수용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다른 부속 장치의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구동형 트랙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터리의 냉각 및 방열에 필요한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배터리의 착탈 시 배터리의 냉각 및 방열에 필요한 장치와 간섭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전기구동형 트랙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요 시 분리 충전하거나 다른 마력대의 플랫폼에 교차 활용할 수 있는 전기구동형 트랙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모터의 출력에 따라 배터리의 크기와 부피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 전기구동형 트랙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기구동형 트랙터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프레임; 및 상기 배터리 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가 통과 가능하게 형성된 도어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프레임은, 저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저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프레임은, 상기 저면부와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의 높이보다 길게 중력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 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프레임은, 상기 서포트와 결합되고, 상기 저면부의 수직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 본체; 및 상기 배터리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본체를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배터리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전진 방향에 형성된 제1 측벽; 및 상기 전면 측벽과 수직한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홀이 형성된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도어홀이 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프레임은, 상기 상부 서포트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서포트의 상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에 의하면, 배터리를 트랙터의 측면에서 장착 및 교체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프레임을 구비하여 배터리를 측면에서 삽입한 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냉각 및 방열에 필요한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배터리의 착탈 시 배터리의 냉각 및 방열에 필요한 장치와 간섭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포터 및 상부 서포터를 구비하여 배터리 수용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다른 부속 장치의 배터리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 가능하여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홀을 통하여 복수 개의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고, 배터리 프레임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갯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모터가 요구하는 출력에 맞추어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력 단위로 나누어 구성한 배터리의 조립 구성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필요 시 분리 충전하거나 다른 마력대의 플랫폼에 교차 활용하는 등 정비성 향상 및 고장시 수리 비용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배터리를 나누어 구성하여 모터의 출력에 따라 배터리의 크기와 부피를 다르게 구성하므로 분해 및 정비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에서 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에서 후드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에서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에서 배터리가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에서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에서 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1)는 구동휠(100)을 포함한다. 구동휠(100)은 전기구동형 트랙터(1)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동휠(100)은 주행 방향을 조정하는 전륜(110)과, 차량의 주행을 담당하는 후륜(120)을 포함한다.
전륜(110)은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무게중심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륜은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전반부를 지지한다.
전륜(110)은 조향유닛(미도시)과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조향유닛을 조작하는 경우 전륜이 회전될 수 있고, 전기구동형 트랙터(1)는 선회하며 이동할 수 있다.
전륜(110)은 모터(300)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구동형 트랙터(1)는 모터(300)의 구동력를 전달받아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후륜(120)은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무게중심의 후방에 배치된다. 후륜(120)은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후반부를 지지한다.
후륜(120)은 모터(300)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구동형 트랙터(1)는 모터(3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후륜(120)은 조향유닛과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조향유닛(미도시)을 조작하는 경우, 전륜(110)과 함께 또는 별개로 후륜(120)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전륜(110)의 직경은 후륜(1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륜(110)은 전륜 차축(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고, 전륜 차축(미도시)의 상측에는 배터리 프레임(4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프레임(400)의 상측에는 후드(600)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륜(120)은 후륜 차축(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고, 후륜 차축(미도시)은 액슬 케이스(700)에 수용될 수 있다. 액슬 케이스(700)의 상측에는 운전석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프레임(400)과 액슬 케이스(700)의 사이에는 센터 프레임(800)과 센터 케이스(90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전방에서부터 배터리 프레임(400), 센터 프레임(800), 센터 케이스(900) 및 액슬 케이스(70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프레임(400)에는 배터리(500)가 수용될 수 있고, 센터 프레임(800)에는 모터(30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센터 케이스(900) 및 액슬 케이스(700)에는 동력 전달을 위한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전기구동형 트랙터(1)는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500), 모터(300) 및 감속기를 포함한 다수의 장치(미도시)를 고르게 배치시켜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모터(300)는 전기구동형 트랙터(1)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300)는 전륜(110) 및/또는 후륜(12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모터(300)의 구동 시 전기구동형 트랙터(1)을 주행시킬 수 있다.
모터(300)는 작업기(20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작업기(200)를 이동시켜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작업기(200)는 농작업을 위한 기구를 의미한다. 작업기(200)는 흙을 파내기 위한 로더 또는 백호 일 수 있고, 흙을 개간하기 위한 쟁기 또는 로타리 일 수 있다. 작업기(200)는 상술한 기구 외에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는 범위에서 모든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00)는 메인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메인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고, 작업기(200)와 연결된 작업기(200) 유로에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모터(300)는 조향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조향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고, 조향유닛과 연결된 조향기 유로에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모터(300)는 전륜(110)과 후륜(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300)는 센터 프레임(80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모터(300)의 동력을 전륜(110)과 후륜(120)에 전달하는 경로를 짧게 만들 수 있고, 동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에서 후드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에서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에서 배터리가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에서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가 도시되며, 도 7에는 도 6의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에서 배터리 및 배터리 프레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500)는, 모터(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본체(510) 및 배터리 본체(510)에 결합되고, 배터리 본체(510)를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배터리 휠(5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본체(510)는 모터(300) 및 기타 전자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충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본체(510)는 전기구동형 트랙터(1)에 탑재된 상태로 충전 가능한 것은 물론, 전기구동형 트랙터(1)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배터리 본체(510)는 2차 전지 배터리 팩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형 트랙터(1)에서 배터리 본체(510)는 복수 개 장착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배터리 본체(510)는 서로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모터(300)가 높은 출력(마력)으로 구동될 필요가 있을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본체(510)를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고, 모터(300)가 오랜 시간 구동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배터리 본체(510)를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운전 조건에 대응하여 배터리 본체(510)를 다양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300)의 출력에 따라 배터리(500)의 수를 변화시킴으로써 크기와 부피가 다른 다양한 배터리(500)의 조립 구성을 적용할 수 있고, 필요 시 분리 충전하거나 다른 마력대의 플랫폼에 교차 활용하는 등 정비성 향상 및 고장시 수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터리 본체(510)는 후술할 배터리 프레임(400)에 교체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본체(510)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본체(510)의 단축 방향 길이는 후술할 도어홀(424)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배터리 본체(510)의 장축 방향 길이는 후술할 제1 측벽(42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 본체(510)의 높이는 후술할 서포트(43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배터리 본체(510)는 도어홀(424)을 통과하여 배터리 프레임(4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배터리 프레임(40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배터리 휠(520)은 배터리 본체(5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휠(520)은 하부 커버(52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커버(521)는 배터리 본체(510)의 하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배터리 휠(520)이 배터리 본체(5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배터리 본체(510)에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 휠(520)은 배터리 본체(510)를 구름 이동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휠(520)은 디스크 형태의 바퀴일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휠(520)은 이동 시 배터리 본체(510)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휠(520)은 후술할 가이드 레일(411)을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휠(520)의 두께(폭)는 가이드 레일(41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배터리 프레임(400)에 수용된 배터리 본체(510)를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전후 방향으로 밀면, 배터리 휠(520)이 가이드 레일(411)을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고, 배터리 본체(510)는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배터리 본체(510)는 배터리 프레임(40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 개의 배터리 본체(510)는 후술할 배터리 프레임(400) 내에 차례로 삽입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배터리 본체(51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가장 전방의 배터리 본체(510)와 가장 후방의 배터리 본체(510)가 브라켓(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배터리 프레임(400) 내에 수용된 복수 개의 배터리(500)는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운행 중에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 개의 배터리 본체(510)가 배터리 프레임(40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고정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된 복수 개의 배터리 본체(510)가 배터리 프레임(400)에 고정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 복수 개의 배터리 본체(5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함께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배터리 휠(520)이 배터리 프레임(40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배터리(500)가 배터리 프레임(40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배터리(500)는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외형을 이루는 후드(600)에 의해 커버된다. 또한, 배터리(500)를 장착 또는 교체하고자 할 때, 후드(600)는 사용자의 작업에 따라 개폐가 가능하다.
한편, 후드(600)의 하측에는 배터리 프레임(40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프레임(400)은 전륜 차축(미도시)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프레임(400)에는 배터리(500)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프레임(400)에는 복수 개의 배터리(500)가 수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배터리 프레임(400)은 전륜 차축에 의하여 지지되고, 후드 및 배터리(50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프레임(400)은 저면부(410), 측벽(420), 서포트(430) 및 상부 서포트(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면부(410)는 전륜 차축의 상측에 구비되어 배터리(500)가 장착될 경우 배터리(500)의 하측 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저면부(410)는 직사각 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직육면체 형태의 배터리(500)를 수용할 수 있고,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운전 시, 배터리(5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저면부(410)에는 배터리(50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 레일(4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11)은 저면부(410)에서 수직 상방으로 한 쌍의 레일 벽(411a)이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레일 벽 사이의 간격은 배터리 휠(520)의 두께(폭)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411)은 저면부(4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411)과 저면부(410)가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 레일(411)은 한 쌍의 레일 벽(411a)을 연결하고, 저면부(410)와 연결되는 저면 연결부(4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411)은 저면부(410)의 좌우 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레일(411)은 후술할 제2 측벽(422) 및 제3 측벽(423)과 연결되며, 제2 측벽(422) 및 제3 측벽(423)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레일(411)은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411)은, 후술할 도어홀이 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작업자(또는 사용자)는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측면에서 배터리(500)를 배터리 프레임(400)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고, 그 자리에서 배터리(5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500)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측벽(420)은 저면부(410)에서 수직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저면부(410)에 수용된 배터리(500)의 전후 방향 이탈 또는 좌우 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측벽(420)은 저면부(410)의 전방 및 좌우 측면을 둘러싸는 벽을 의미할 수 있다.
측벽(420)은 전진 방향에 형성된 제1 측벽(421) 및 제1 측벽(421)과 수직한 방향에 형성된 제2 측벽(422) 및 제2 측벽(422)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3 측벽(4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5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2 측벽(422)은 배터리(500)의 좌측에 형성되고, 제3 측벽(423)은 배터리(500)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측벽(422)가 배터리(500)의 우측에 형성되고, 제3 측벽(423)이 배터리(500)의 좌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지면에 수직한 상측에서 배터리 프레임(400)을 바라볼 경우, 제1 측벽(421), 제2 측벽(422) 및 제3 측벽(423)은 전체적으로 'ㄷ' 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배터리(5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측벽(421)은 배터리 프레임(400)의 전진 방향에 형성되고, 배터리 프레임(400)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50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측벽(421)의 폭은 배터리(500)의 장축 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프레임(400)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50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나, 제1 측벽(421)보다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운전 중에 배터리(500)는 배터리 프레임(400)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측벽(422)은 전기구동형 트랙터(1)의 측면에 형성되고, 도어홀(4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어홀(424)은 배터리가 통과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측벽(422)의 상측 단부에서 후술할 상부 서포트(440)까지의 길이는 배터리(500)의 높이보다 작다. 이와 대비하여, 도어홀(424)의 폭은 배터리(500)의 단축 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도어홀(424)이 형성된 위치의 제2 측벽(422)의 상측 단부에서 상부 서포트(440)까지의 길이는 배터리(500)의 높이보다 크다. 따라서, 배터리(500)는 제2 측벽(422)을 넘어 배터리 프레임(400) 내부로 수용될 수 없고, 도어홀(424)을 통과하여서만 배터리 프레임(400)에 장착될 수 있다.
제3 측벽(423)은 제2 측벽(422)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3 측벽(423)과 제2 측벽(422)의 사이에는 배터리(4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측벽(423)에는 도어홀(42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어홀(425)은 배터리(500)가 통과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측벽(423)의 도어홀(425)은 제2 측벽(422)의 도어홀(424)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측벽(423)의 도어홀(425)은 제2 측벽(422)의 도어홀(424)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작업자가 배터리 프레임(400) 양 측으로 배터리(500)를 장착할 수 있고,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측벽(422) 및 제3 측벽(423)은 배터리(500)의 단축 방향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측벽(422) 및 제3 측벽(423)의 길이는 배터리(500)의 단축 방향 길이의 정수배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배터리 프레임(40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배터리(500)를 장착할 수 있고, 배터리 프레임(400)에 장착되는 배터리(500)의 갯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모터가 요구하는 출력에 맞추어 배터리(500)를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프레임(400)의 내부 공간에는 배터리(500)의 냉각 및 방열에 필요한 장치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배터리 프레임(400)의 내부 공간에는 배터리(500)의 착탈 시 배터리(500)의 냉각 및 방열에 필요한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작업자는 배터리(500)를 배터리 프레임(400)의 측면에서 삽입한 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냉각 및 방열에 필요한 장치를 분해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배터리(500)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배터리를 나누어 구성하여 모터의 출력에 따라 배터리의 크기와 부피를 다르게 구성하므로 분해 및 정비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서포트(430)는 저면부(410)와 결합되고, 중력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430)의 상측 단부는 상부 서포트(44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면부(410)의 수직 상측에는 상부 서포트(440)가 구비될 수 있다.
서포트(430)는 저면부(410)와 결합되어 상부 서포트(44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서포트(430)는 상부 서포트(440)를 지지하는 일종의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서포트(430)는 배터리(500)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면부(410), 서포트(430) 및 상부 서포트(440)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터리(500)가 수용될 수 있다.
상부 서포트(440)는 저면부(410)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저면부(410)의 상측에 구비되어 다양한 부속 장치를 거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서포트(440)의 상측에는 오일 쿨러, 충전기, 인버터, 컨트롤러, 컨버터 등이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필수적이지는 않으나, 상부 서포트(440)에는 부속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 커버(441)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커버(441)는 상부 서포트(440)에 결합되고, 상부 서포트(440)의 상측에 상기 부속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커버(441)의 내부에 부속 장치 하나를 수용할 수 있고, 고정 커버(441)의 상측에 부속 장치 하나를 더 거치할 수 있어 공간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전기구동형 트랙터
110: 전륜
120: 후륜
200: 작업기
300: 모터
400: 배터리 프레임
410: 저면부
411: 가이드 레일
420: 측벽
424: 도어홀
430: 서포트
440: 상부 서포트
500: 배터리
510: 배터리 본체
520: 배터리 휠
600: 후드
700: 액슬 케이스
800: 센터 프레임
900: 센터 케이스

Claims (8)

  1.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프레임; 및
    상기 배터리 프레임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가 통과 가능하게 형성된 도어홀;
    을 포함하는 전기구동형 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형 트랙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프레임은,
    저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저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는 전기구동형 트랙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프레임은,
    저면부;
    상기 저면부와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의 높이보다 길게 중력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와 결합되고, 상기 저면부의 수직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서포트;
    를 더 포함하는 전기구동형 트랙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배터리 본체; 및
    상기 배터리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본체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배터리 휠;
    을 포함하는 전기구동형 트랙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전진 방향에 형성된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수직한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홀이 형성된 제2 측벽;
    을 포함하는 전기구동형 트랙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도어홀이 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형 트랙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프레임은,
    상기 상부 서포트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서포트의 상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커버;
    를 더 포함하는 전기구동형 트랙터.
KR1020210065704A 2021-05-21 2021-05-21 전기구동형 트랙터 KR20220157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704A KR20220157763A (ko) 2021-05-21 2021-05-21 전기구동형 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704A KR20220157763A (ko) 2021-05-21 2021-05-21 전기구동형 트랙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763A true KR20220157763A (ko) 2022-11-29

Family

ID=8423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704A KR20220157763A (ko) 2021-05-21 2021-05-21 전기구동형 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77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85866A1 (en) * 2022-12-14 2024-06-19 TOYOTA MATERIAL HANDLING MANUFACTURING ITALY S.p.A Electrically-powered towing tra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85866A1 (en) * 2022-12-14 2024-06-19 TOYOTA MATERIAL HANDLING MANUFACTURING ITALY S.p.A Electrically-powered towing tra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0761B2 (en) Engine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US9790662B2 (en) Hybrid-type working machine
WO2020261849A1 (ja) 電動作業車
JP7323349B2 (ja) 電動作業車
WO2019230286A1 (ja) 電動車両
CN113710084A (zh) 电动作业车辆
JP2017152249A (ja) 電動走行駆動装置を備えた作業車
JP4345241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のパワーユニット
JP2016199135A (ja) 電動作業車両
CN105317059A (zh) 工程机械
JP2012201187A (ja) バッテリ駆動のホイールローダ
WO2014167930A1 (ja) 作業車
US20230109143A1 (en) Loader with pivoting battery array support
JP2021104768A (ja) 電動作業車
KR20220157763A (ko) 전기구동형 트랙터
WO2021200833A1 (ja) 電動作業車両
EP4173865A1 (en) Electric tractor
US7108089B2 (en) Walk-behind self-propelled working machine
KR20230060249A (ko) 전기구동형 트랙터
KR102550096B1 (ko) 전기 트럭의 배터리 팩 장착 장치
CN117980171A (zh) 作业机械的动力系组件和作业机械
JP2024049996A (ja) 建設機械
JP2023150765A (ja) 電動作業機
JP2023150754A (ja) 旋回作業機
JP2023150756A (ja) 旋回作業機、及び旋回作業機の組み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