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721A -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721A
KR20220157721A KR1020210065622A KR20210065622A KR20220157721A KR 20220157721 A KR20220157721 A KR 20220157721A KR 1020210065622 A KR1020210065622 A KR 1020210065622A KR 20210065622 A KR20210065622 A KR 20210065622A KR 20220157721 A KR20220157721 A KR 20220157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lap door
unit
clos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주현
Original Assignee
유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주현 filed Critical 유주현
Priority to KR102021006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7721A/ko
Publication of KR2022015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7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rotates around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g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50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은, 사용자 및 관리자로부터 동작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플랩 도어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통해, 상황 및 사용자에 따라 출입지역의 출입여부를 허용 및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는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갖는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여 지면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개폐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해를 끼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FLAP DOOR AND ACCESS SYSTEM COMPRISING THE SAME}
아래의 설명은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 지하철, 회사 및 보안 시설 등과 같이 사람의 출입이 빈번한 장소의 경우, 상황에 따라 사람의 출입을 조절하기 위해 출입장치 및 출입 시스템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회전문, 턴 게이트 및 메트로 게이트 등과 같은 출입장치와 안면인식 시스템 및 바코드 시스템 등과 같은 출입 시스템과 같이 출입 장치 및 출입 시스템은 그 종류와 활용이 다양하다.
메트로 게이트의 경우, 턴 게이트(turn gate) 및 오토 스윙 게이트(auto swing gate)가 많이 활용된다. 오토 스윙 게이트의 경우, 오토 스윙 게이트는 지면과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사용자가 출입하는 방향을 따라, 사용자는 오토 스윙 게이트를 밀면서 특정장소를 출입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오토 스윙 게이트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과정에서, 오토 스윙 게이트가 부적절하게 밀리거나, 밀린 후 원상태인 폐쇄 상태로 돌아오는 동작에서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상해를 끼치지 않고 효과적으로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출입장치 및 출입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플랩 도어(flap door)를 고려해볼 수 있다. 플랩 도어란 수평면이 개폐의 축이 되고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열리는 문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1210호는 회전식 게이트에 대해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의 목적은, 지면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개폐부 및 개폐부의 회전운동을 조절하는 회전 모터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해를 끼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출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의 목적은, 개폐부와 연결되어 개폐부의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무게추를 통해 동작을 위한 동력을 경제적으로 사용하는 출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출입을 통제하는 출입장치에 있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운동을 통해 출입 장소에 대한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회전운동을 조절하는 회전 모터 및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은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개방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내측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길이방향으로 400mm 내지 550mm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는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의 회전 운동을 보조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는 상기 무게추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상기 무게추의 동작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모터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벨트(belt)를 통해 상기 회전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개폐부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 중 한곳에 위치할 수 있다.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출입을 통제하는 출입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은, 관리자 및 사용자로부터 개폐 동작에 관련된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 받은 상기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기초로, 회전운동을 통해 출입 장소에 대한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플랩 도어 및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 받은 상기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랩 도어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랩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운동을 통해 출입 장소에 대한 개폐여부를 조절하고 개방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개폐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회전운동이 조절되고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개폐부의 회전운동을 조절하는 회전 모터 및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와 벨트(belt)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 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은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개방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플랩 도어는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어, 개방상태에서 상기 개폐부가 폐쇄 상태로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의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플랩 도어의 개폐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관리자로부터 상기 플랩 도어의 동작 기준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는 관리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가 입력 받은 상기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랩 도어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동작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랩 도어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에 따르면, 지면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개폐부 및 개폐부의 회전운동을 조절하는 회전 모터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해를 끼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에 따르면, 개폐부와 연결되어 개폐부의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무게추를 통해 동작을 위한 동력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다른 플랩 도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다른 플랩 도어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의 일측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출입을 통제하는 출입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 시스템(1)은 개폐여부를 조절하여 특정 지역 및 장소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출입과 관련하여, 출입 시스템(1)은 비용을 지불한 사용자에 한해서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또는, 출입 시스템(1)은 비용을 지불하지 않더라도 노약자 및 국가유공자 등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사용자에게도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출입 시스템(1)은 관리자가 설정한 출입 조건을 충족한 사용자에게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출입 시스템(1)은 출입 장치를 이용하여 출입장소의 개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시스템(1)은 플랩 도어(1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 도어(11)란 수평면이 개폐의 축이 되고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열리는 문을 의미한다. 즉, 플랩 도어(11)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1)은 수평면에 나란한 회전축음 중심으로 문이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출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플랩 도어(11)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1)은 입력장치(10), 플랩 도어(11) 및 제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10)는 관리자 및 사용자로부터 개폐 동작에 관련된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장치(10)는 관리자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입력정보를 제어부(12)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게이트에 있어서, 입력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요금지불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제어부(12)는 입력장치(10)가 입력 받은 요금지불 정보에 기초하여 플랩 도어(11)를 개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장치(10)는 사용자 입력부(100) 및 관리자 입력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플랩 도어(11)의 개폐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이용요금 정보 및 출입기준 부합 정보 등과 같은 플랩 도어(11)의 개폐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관리자 입력부(101)는 관리자로부터 플랩 도어(11)의 동작 기준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입력부(101)는 관리자로부터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요금기준 정보, 출입가능자 신분 정보, 운행 정보 및 플랩 도어(11)의 동작 정도 정보 등과 같은 플랩 도어(11)의 동작 기준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출입을 통제하는 출입장치에 있어서, 플랩 도어(11)는 입력장치(10)에서 입력 받은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기초로, 회전 운동을 통해 출입 장소에 대한 개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플랩 도어(11)는 지면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지면에 대해 상하로 동작하며 회전할 수 있다. 플랩 도어(11)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역 내부를 출입하는데 이용하는 지하철 게이트에 있어서, 플랩 도어(11)는 지하철역 출입지역에 복수개 설치되어, 출퇴근 시간과 같이 사람의 유동이 증가하는 시간대에 효율적으로 사람의 출입을 허용 및 제한할 수 있다. 플랩 도어(11)는 본체(110), 개폐부(111), 회전모터(112) 및 동력전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플랩 도어(1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10)는 플랩 도어(11)의 필수 구성 부품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체(110)는 출입지역을 출입하는 사람들에게 출입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110)는 출입지역에 복수개 설치되어 출입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출입통로를 따라 특정지역을 출입할 수 있다.
개폐부(111)는 본체(110) 내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운동을 통해 개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판은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포함하고, 개폐부(111)의 길이방향이 한 쌍의 지지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폐쇄 상태에서, 개폐부(111)는 한 쌍의 지지판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개방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부(111)는 길이방향이 지면과 나란한 상태에서 지면과 수직한 상태로 회전변환함으로써 개폐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개폐부(111)는 사용자가 출입하는 과정에서 출입장치에 의해 상해를 당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개폐부(111)는 한 쌍의 지지판의 내측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방상태에서 개폐부(111)는 한 쌍의 지지판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출입하는 방향을 바라본 기준에서, 개폐부(111)는 사라질 수 있다.
개폐부(111)는 길이방향으로 400mm 내지 550mm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에 의하면, 복수의 플랩 도어(11)는 개폐부(111)의 길이만큼 이격 설치되고, 사람 및 휠체어는 복수의 플랩 도어(11) 사이를 지나갈 수 있다. 다만, 대형 휠체어의 경우, 복수의 플랩 도어(11) 사이를 지나가는데 제한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도어(11)는 무게추(114) 및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114)는 개폐부(111)와 연결되어 개폐부(111)의 회전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무게추(114)의 무게중심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상태에서 무게추(114)의 무게중심은 개폐부(111)보다 상측에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회전모터(112)에 의해 개폐부(111)가 회전하여 폐쇄 상태가 될 때, 무게추(114)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무게중심이 개폐부(111)의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무게추(114)는 개폐부(111)의 회전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무게추(114)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무게추(114)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추(114)는 개폐부(111)와 연결되어 개폐부(111)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운동할 수 있는데, 고정부재가 무게추(114)의 회전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고정부재는 개폐부(111)의 회전 동작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는 회전축의 하측 및 무게추(114)의 회전경로상에 위치하여, 무게추(114)의 회전운동을 제한하고 개폐부(111)가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90도이상 회전하는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회전모터(112)는 제어부(12)의 제어를 통해 회전운동이 조절되고, 회전운동을 통해 개폐부(111)의 회전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모터(112)는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회전모터(112)는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이 변하는 회전력을 동력전달부(113)에 전달할 수 있다. 회전모터(112)의 회전력은 동력전달부(113)를 통해 개폐부(111)에 전달될 수 있다.
회전모터(112)는 개폐부(111)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 중 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모터(112)는 개폐부(111)로부터 지면에 대해 수직한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회전모터(112)는 효율적으로 본체(110)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개폐부(111)와 함께 본체(1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모터(112)가 본체(110)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므로, 본체(110)는 보다 슬림한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0)는 정해진 공간에 보다 많은 수가 배치될 수 있고, 플랩 도어(11)는 출입지역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113)는 개폐부(111)와 연결되고, 회전모터(112)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개폐부(111)에 전달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113)는 회전모터(112)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동력전달부(113)는 벨트(belt)를 통해 회전모터(112)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모터(112) 및 동력전달부(113)는 타이밍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벨트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모터(112) 및 동력전달부(113)는 이(tooth) 모양이 같고 잇수의 비율에 따라 회전력의 전달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부(113) 및 회전모터(112)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본체(110) 내부에서 상황 및 설계 계획에 따라 동력전달부(113) 및 회전모터(112)는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입력장치(10)에서 입력 받은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기초로 플랩 도어(11)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는 입력장치(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의 출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개폐부(111)의 회전운동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출입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수신부(120), 판단부(121) 및 조절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20)는 입력장치(10)가 입력 받은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20)는 입력장치(10)로부터 이용요금 정보, 출입 기준 부합 정보, 요금기준 정보, 출입가능자 신분 정보 및 플랩 도어(11)의 동작 정도 정보 등과 같은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수신하여, 개폐여부 판단의 기초가 되는 기준 정보를 판단부(121)에 제공할 수 있다.
판단부(121)는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플랩 도어(11)의 개폐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21)는 관리자 입력부(101)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신분정보와 사용자 입력부(10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21)는 수신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정보 및 관리자에 의한 설정 정보를 기준으로 플랩 도어(11)의 동작 방식 및 동작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조절부(122)는 판단부(121)에서 판단한 동작정보를 기초로, 플랩 도어(11)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122)는 회전모터(112)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22)의 조절에 따라, 회전모터(112)의 회전력 및 회전정도는 동력전달부(113)를 통해 개폐부(111)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조절부(122)는 개폐부(111)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출입 시스템
10: 입력장치
11: 플랩 도어
12: 제어부
100: 사용자 입력부
101: 관리자 입력부
110: 본체
111: 개폐부
112: 회전모터
113: 동력전달부
114: 무게추
120: 수신부
121: 판단부
122: 조절부

Claims (14)

  1.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출입을 통제하는 출입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운동을 통해 출입 장소에 대한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회전운동을 조절하는 회전 모터; 및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플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은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개방 상태로 변환하는, 플랩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개방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플랩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길이방향으로 400mm 내지 550mm 길이를 포함하는, 플랩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의 회전 운동을 보조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플랩 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상기 무게추의 동작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랩 도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모터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벨트(belt)를 통해 상기 회전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플랩 도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개폐부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 중 한곳에 위치하는, 플랩 도어.
  9.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출입을 통제하는 출입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자 및 사용자로부터 개폐 동작에 관련된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 받은 상기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기초로, 회전운동을 통해 출입장소에 대한 개폐여부를 조절하는 플랩 도어; 및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 받은 상기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랩 도어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랩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운동을 통해 출입 장소에 대한 개폐여부를 조절하고, 개방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개폐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회전운동이 조절되고,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개폐부의 회전운동을 조절하는 회전 모터; 및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와 벨트(belt)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 모터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개폐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플랩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은 지면과 수직한 길이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의 길이방향이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개방 상태로 변환하는, 플랩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도어는,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어, 개방상태에서 상기 개폐부가 폐쇄 상태로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의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플랩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플랩 도어의 개폐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관리자로부터 상기 플랩 도어의 동작 기준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는 관리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플랩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가 입력 받은 상기 동작값 및 동작 기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랩 도어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한 동작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랩 도어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플랩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KR1020210065622A 2021-05-21 2021-05-21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KR20220157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622A KR20220157721A (ko) 2021-05-21 2021-05-21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622A KR20220157721A (ko) 2021-05-21 2021-05-21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721A true KR20220157721A (ko) 2022-11-29

Family

ID=8423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622A KR20220157721A (ko) 2021-05-21 2021-05-21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77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504560A (ja) 通行誘導門
US4341165A (en) Security system including a revolving door
CN109923276B (zh) 通道闸、相关装置及相关方法
JPH108825A (ja) ドア装置の作動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作動するドア装置
JP2017536587A5 (ko)
EP0305340A1 (en) A security vestibule entry for controlled access to banks and the like
US5974737A (en) Self-opening entry device for a controlled access area
EP1026354A3 (de) Torantrieb mit automatischer Zutrittskontrolle
KR20220157721A (ko) 플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출입 시스템
NL2016353B1 (en) Revolving door.
EP3705681B1 (de) Mobile zugangskontrollvorrichtung
HU212854B (en) Personal sluice chamber
ITRM960521A1 (it) Varco di accesso a filtro per la protezione di un locale, con movimen ti lineari paralleli delle ante delle porte
US6373214B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rting a closing force upon an element that has been opened
CN218974944U (zh) 一种双重核验门式自动检票机
GB2459327A (en) Anti-tailgating system for a restricted access entrance
CN215289837U (zh) 一种写字楼进安检双门闸机
CN207332605U (zh) 基于移动终端的门禁装置
KR102590093B1 (ko)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JP7021141B2 (ja) 人が入った後で閉まる回転扉
KR102128019B1 (ko) 화재 발생시 자동문 개폐장치
KR102112601B1 (ko) 자동 게이트
CN214939611U (zh) 一种全自动人员通行管理转闸
CN210508782U (zh) 一种自动闭合的劳动保护门
RU2372464C2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ассажиропотока в вестибюлях станций метро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