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093B1 -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093B1
KR102590093B1 KR1020230076490A KR20230076490A KR102590093B1 KR 102590093 B1 KR102590093 B1 KR 102590093B1 KR 1020230076490 A KR1020230076490 A KR 1020230076490A KR 20230076490 A KR20230076490 A KR 20230076490A KR 102590093 B1 KR102590093 B1 KR 102590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unit
gear
revolving do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갑선
Original Assignee
선안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안이엔지(주) filed Critical 선안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230076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34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pulse generators
    • E05Y2400/336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pulse generators of the angular type
    • E05Y2400/337Encoder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3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가능하도록 직립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적어도 2개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회전도어와, 상기 회전축의 상,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양측 중 상기 회전도어의 외측에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내외측에 입출구를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회전문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문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고 구동축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구동축부 및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도어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의 제1 톱니와, 상기 제1 톱니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회전도어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의 제2 톱니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교대로 형성되는 톱니바퀴부 및 상기 톱니바퀴부의 일측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톱니바퀴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어느 하나의 제1 톱니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톱니의 일측면에 지지 또는 지지해제됨으로써, 상기 톱니바퀴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제1 회전차단부 및 상기 톱니바퀴부의 타측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톱니바퀴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다른 하나의 제1 톱니 또는 다른 하나의 제2 톱니의 타측면에 지지 또는 지지해제됨으로써, 상기 톱니바퀴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제2 회전차단부 및 상기 제1 회전차단부 및 상기 제2 회전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출입자에 의해 회전도어가 제1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한 상태에서 제1 회전차단부의 일단부가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톱니바퀴부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제1 회전차단부의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2 톱니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지 않고, 제2 회전차단부의 일단부는 다른 하나의 제2 톱니의 타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며, 출입자에 의해 회전도어가 제2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한 상태에서 제2 회전차단부의 일단부가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톱니바퀴부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제2 회전차단부의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2 톱니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지 않고, 제1 회전차단부의 일단부는 다른 하나의 제2 톱니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입자에 의한 회전도어의 회전동작 과정에서 출입자가 회전도어 사이에 갇혀 회전문의 내외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종래 원점유도부와 같이, 탄성부재의 탄성력 약화로 미리 설정된 정위치를 벗어난 회전도어를 미리 설정된 정위치에 오도록 구동축부를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Drive control device for revolving door}
본 발명은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자에 의한 회전도어의 회전동작 과정에서 출입자가 회전도어 사이에 갇혀 회전문의 내외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종래 원점유도부와 같이,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 약화로 미리 설정된 정위치를 벗어난 회전도어를 미리 설정된 정위치에 오도록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문은 직립으로 설치된 회전축에 다수개의 회전도어를 달아 회전도어 사이에 출입자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공간에 들어간 출입자가 손으로 회전도어를 밀어 움직이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회전문은 출입 시 소음 발생이 적고, 바람에 의해 갑자기 문이 닫혀 놀라는 일이 생기지 않으며, 회전문의 내외측으로 내외부공기가 유출입되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난방 또는 냉방 시 실내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어 현재 많은 건물의 출입문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회전문은 회전축의 양측에 형성되는 출입구 중 하나를 폐쇄하여 회전축의 일측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출입이 허용되는 자만 인식하여 출입하도록 하는 보안 회전문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보안 회전문은 설치된 제어장치는 비상시나 전원차단 시 건물 내의 사람들이 건물 밖으로 탈출하는데 시간을 지연시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제10-1819194호 턴게이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턴게이트 장치에 관한 기술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한 한국등록특허 제10-1819194호는 정상 동작시에는 회전차단부의 동작에 따라 회전문의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회전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고, 비상시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회전문의 제2 방향 회전을 허용하여 내부의 인원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시나 전원차단시 건물 내 사람들이 보안 회전문에 의한 탈출 시간 지연으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한국등록특허 제10-1819194호는 회전문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거나 허용하기 위해 회전차단부의 일측에 지지되는 톱니바퀴부의 톱니가 회전도어의 설치간격 보다 좁은 간격으로 톱니바퀴부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됨에 따라, 출입자에 의해 회전도어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되어 2개의 회전도어가 회전문의 가이드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일정시간 경과되면서 회전차단부가 톱니바퀴부의 톱니의 일측에 지지되어 회전문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이 차단되는 경우, 출입자가 회전도어 사이의 공간에 갇혀 회전문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한국등록특허 제10-1819194호는 출입자에 의해 회전도어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된 후, 미리 설정된 정위치를 벗어나 위치하는 경우, 회전문의 회전축과 연결된 턴게이트 제어장치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회전도어를 미리 설정된 정위치로 오도록 배치시키는 원점유도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원점유도부는 턴게이트 제어장치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볼록부와 오목부가 구비된 볼록회전판, 볼록회전판의 측면에 밀착되어 볼록부와 오목부를 따라 회전하는 이동회전판, 이동회전판이 볼록회전판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동회전판이 볼록회전판의 오목부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턴게이트 제어장치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회전도어를 미리 설정된 정위치로 오도록 배치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원점유도부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화되는 경우, 이동회전판을 볼록회전판의 오목부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없게 되어 턴게이트 제어장치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회전도어를 미리 설정된 정위치로 오도록 배치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9194호(턴게이트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턴케이트 장치, 20183.01.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자에 의한 회전도어의 회전동작 과정에서 출입자가 회전도어 사이에 갇혀 회전문의 내외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종래 원점유도부와 같이, 인장 스프링의 탄성력 약화로 미리 설정된 정위치를 벗어난 회전도어를 미리 설정된 정위치에 오도록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가능하도록 직립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적어도 2개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회전도어와, 상기 회전축의 상,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양측 중 상기 회전도어의 외측에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내외측에 입출구를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회전문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문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하부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고 구동축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구동축부 및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도어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의 제1 톱니와, 상기 제1 톱니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회전도어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의 제2 톱니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교대로 형성되는 톱니바퀴부 및 상기 톱니바퀴부의 일측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톱니바퀴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어느 하나의 제1 톱니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톱니의 일측면에 지지 또는 지지해제됨으로써, 상기 톱니바퀴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제1 회전차단부 및 상기 톱니바퀴부의 타측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톱니바퀴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다른 하나의 제1 톱니 또는 다른 하나의 제2 톱니의 타측면에 지지 또는 지지해제됨으로써, 상기 톱니바퀴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제2 회전차단부 및 상기 제1 회전차단부 및 상기 제2 회전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출입자에 의해 회전도어가 제1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한 상태에서 제1 회전차단부의 일단부가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톱니바퀴부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제1 회전차단부의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2 톱니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지 않고, 제2 회전차단부의 일단부는 다른 하나의 제2 톱니의 타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며, 출입자에 의해 회전도어가 제2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한 상태에서 제2 회전차단부의 일단부가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톱니바퀴부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제2 회전차단부의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2 톱니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지 않고, 제1 회전차단부의 일단부는 다른 하나의 제2 톱니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부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엔코더부 및 상기 톱니바퀴부의 다른 일측방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출입자에 의해 상기 회전도어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한 후, 미리 설정된 정위치를 벗어나 정지하는 경우, 상기 엔코더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구동축의 회전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도어가 미리 설정된 정위치에 오도록 상기 구동축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의 일측 중 상기 톱니바퀴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센서톱니가 형성된 센서톱니바퀴 및 상기 센서톱니바퀴의 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톱니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영점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입자에 의한 회전도어의 회전동작 과정에서 출입자가 회전도어 사이에 갇혀 회전문의 내외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종래 원점유도부와 같이, 탄성부재의 탄성력 약화로 미리 설정된 정위치를 벗어난 회전도어를 미리 설정된 정위치에 오도록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가 설치된 회전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가 설치된 회전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의 제1 및 제2 회전차단부와 톱니바퀴부가 설치된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회전차단부와 톱니바퀴부의 동작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회전차단부와 톱니바퀴부의 동작의 또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코더부의 회전각도에 기초한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회전문의 구조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가 설치된 회전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가 설치된 회전문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1)가 설치되는 회전문(100)은 회전축(101), 회전도어(102), 본체(103) 및 고정도어(104)를 포함한다.
회전축(101)은 상,하단부가 본체(102)를 구성하는 상,하부플레이트(103a, 103b)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도어(102)는 회전축(10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3개가 회전축(10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도어(102)는 회전축(101)의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평바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3개의 회전도어(102)가 회전축(101)의 외주면을 따라 120°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3)는 회전축(101)의 설치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본체(103)의 내외측에 입출구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하부 플레이트(103a, 103b) 및 가이드프레임(103c)을 포함한다.
상,하부 플레이트(103a, 103b)는 설치대상영역에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다.
가이드프레임(103c)은 상,하부 플레이트(103a, 103b)의 양측 중 회전도어(102)의 외측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되, 회전도어(102)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내외측에 입출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가이드프레임(103c)는 회전도어(102)의 회전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바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도어(104)는 회전축(101)의 일측방에 배치된 가이드프레임(103)에 결합되되, 회전축(10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축(101)의 일측방에 형성되는 입출구를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양단부가 가이드프레임(103)에 결합되고 중앙영역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회전축(101)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다수개가 가이드프레임(103)의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회전문(100)은 회전축(101)을 기준으로 양측방에 형성되는 입출구 중 어느 하나의 입출구를 통해서만 출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회전문(100)은 출입자의 출입요청신호가 입력되면, 해당하는 출입자가 인가된 출입자인지를 판단한 후, 인가된 출입자에게만 회전도어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여 인가된 출입자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보안 회전문의 구체적인 구성과 유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의 제1 및 제2 회전차단부와 톱니바퀴부가 설치된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1)는 회전문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베이스부(10), 구동축부(20), 톱니바퀴부(30), 제1 회전차단부(40), 제2 회전차단부(50), 엔코더부(60), 구동부(70), 영점 조절부(8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0)는 구동축부(20), 제1 회전차단부(40) 및 제2 회전차단부(50), 엔코더부(60), 구동부(70) 및 영점 조절부(80)가 설치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11),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부에 이격설치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12) 및 제1 고정플레이트(12)의 상부에 이격설치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13)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1)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회전문(100)의 상부플레이트(102a)의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제1 회전차단부(40) 및 제2 회전차단부(50)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후술하는 구동축부(20)의 구동축(22)이 관통결합되는 제1 관통공(11a)이 형성되며, 제1 관통공(11a)의 주변으로 제1 고정플레이트(12)를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부에 이격 설치하기 위한 4개의 고정포스트(11b)가 설치된다.
제1 고정플레이트(12)는 양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저면이 고정포스트(11b)의 상부에 고정결합되고, 구동부(70) 및 영점 조절부(80)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 관통공(11a)과 대응되는 일측에 구동축부(20)의 구동축(22)이 관통결합되는 제2 관통공(12a)이 형성되며, 제2 관통공(12a)의 주변으로 제2 고정플레이트(13)를 제1 고정플레이트(12)의 상부에 이격 설치하기 위한 4개의 지지포스트(12b)가 설치된다.
제2 고정플레이트(13)은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저면이 지지포스트(12b)의 상부에 고정결합되고, 엔코더부(60)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2 관통공(12a)과 대응되는 일측에 엔코더부(60)의 센서축(62)이 관통결합되는 제3 관통공(13a)이 형성된다.
구동축부(20)는 회전문(100)의 회전축(101) 상부에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플랜지(21)와, 플랜지(21)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구동축(2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축부(20)는 구동축(22)이 베이스플레이트(11)의 제1 관통공(11a) 및 제1 고정플레이트(12)의 제2 관통공(12a)을 통과하여 제1 고정플레이트(12)의 상부에 배치된다.
톱니바퀴부(30)는 구동축(22)의 일측에 결합되되, 베이스플레이트(11) 및 제1 고정플레이트(11)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회전도어(102)의 개수와 상응하는 3개의 제1 톱니(31)와, 제1 톱니(31)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회전도어(102)의 개수와 상응하는 3개의 제2 톱니(32)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교대로 형성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톱니바퀴부(30)는 제1 톱니(31)와 제1 톱니(31)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제2 톱니(32)를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교대로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출입자에 의해 회전도어(102)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회전조작의 지연이 발생된 상태에서 제1 회전차단부(40) 또는 제2 회전차단부(50)에 의해 회전도어(102)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회전이 차단되어 출입자가 회전도어(102) 사이에 갇히거나, 출입자가 회전문(10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회전차단부(40)는 베이스플레이트(11) 일측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톱니바퀴부(30)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어느 하나의 제1 톱니(31)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톱니(32)의 일측면에 지지 또는 지지해제됨으로써, 톱니바퀴부(30)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 차단블록(41) 및 제1 작동수단(42)을 포함한다.
제1 차단블록(41)은 일정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블록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베이스부(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 및 타단부가 톱니바퀴부(30)의 내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차단블록(41)은 타단부가 제1 작동수단(42)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작동수단(42)의 작동에 의해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1 톱니(31)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톱니(32)의 일측면에 지지 또는 지지해제된다.
제1 작동수단(42)는 일단부가 제1 차단블록(41)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제1 차단블록(41)의 타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 작동몸체(42a), 제1 작동몸체(42a)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가 제1 차단블록(41)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작동암(42b) 및 제1 작동암(42b)의 타단부와 제1 작동몸체(42a)의 내부 일측에 개재되어 제1 작동암(42b)에 타단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재(42c)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작동수단(42)는 평상시에는 제1 탄성부재(42c)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작동암(42b)이 타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차단블록(41)의 타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내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가 제1 톱니(31) 또는 제2 톱니(32)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제1 작동암(42b)이 일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차단블록(41)의 타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내측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가 제1 톱니(31) 또는 제2 톱니(32)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솔레노이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회전차단부(50)는 제1 회전차단부(40)와 대향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의 타측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톱니바퀴부(30)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어느 하나의 제1 톱니(31)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톱니(32)의 타측면에 지지 또는 지지해제됨으로써, 톱니바퀴부(30)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2 차단블록(51) 및 제2 작동수단(52)을 포함한다.
제2 차단블록(51)은 일정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블록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베이스부(1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부 및 타단부가 톱니바퀴부(30)의 내외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2 차단블록(51)은 타단부가 제2 작동수단(52)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2 작동수단(52)에 의해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1 톱니(31)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톱니(32)의 일측면에 지지 또는 지지해제된다.
제2 작동수단(52)은 일단부가 제2 차단블록(51)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제2 차단블록(51)의 타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2 차단블록(51)의 일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2 작동몸체(52a), 제2 작동몸체(52a)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가 제2 차단블록(51)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작동암(52b) 및 제2 작동암(52b)의 타단부와 제2 작동몸체(52a)의 내부 일측에 게재되어 제2 작동암(52b)에 일단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부재(52c)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작동수단(52)은 제1 회전차단부(40)의 제1 작동수단(42)과는 달리 평상시에는 제2 탄성부재(52c)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작동암(52b)이 일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차단블록(51)의 타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내측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2 차단블록(51)의 일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제2 차단블록(52)에 의한 톱니바퀴부(30)의 지지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고,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제2 작동암(52b)이 타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차단블록(51)의 타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2 차단블록(51)의 일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내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제2 차단블록(51)의 일단부가 제1 톱니(31) 또는 제2 톱니(32)의 일측면을 지지하여 톱니바퀴부(30)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솔레노이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회전차단부(40) 및 제2 회전차단부(5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회전차단부(40)만 톱니바퀴부(30)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고, 제2 회전차단부(50)는 톱니바퀴부(30)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지 않으므로 정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회전도어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건물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엔코더부(60)는 구동축(22)의 상단에 결합되어 구동축부(20)의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후술하는 제어부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엔코더몸체(61) 및 센서축(62)을 포함한다.
엔코더몸체(61)는 제2 고정플레이트(13)의 상면에 결합되고, 센서축(62)에 제3 관통공(13a)을 관통하여 구동축(22)의 상단에 결합된다.
구동부(70)는 엔코더부(60)로부터 검출된 구동축부(20)의 회전각도를 제어부를 통해 제공받아 출입자에 의해 회전도어(102)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한 후, 미리 설정된 정위치를 벗어나 정지하는 경우, 구동축부(20)의 회전각도에 기초하여 구동축부(20)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도어(102)가 미리 설정된 정위치에 오도록 하는 것으로서, 구동수단(71) 및 동력전달수단(72)을 포함한다.
구동수단(71)은 제3 고정플레이트(13)의 측방에 결합되는 구동몸체(71a) 및 구동몸(71a)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동력축(미도시)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72)은 동력축의 회전력을 구동축부(2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력축에 결합되는 주동풀리(72a)와, 구동축(22)에 결합되는 종동풀리(72b) 및 주동풀리(72a) 및 종동풀리(72b)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벨트(72c)를 포함한다.
영점 조절부(80)는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구동축부(20)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엔코더부(60)의 영점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엔코더부(60)의 영점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오도록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서톱니바퀴(81) 및 근접센서(82)를 포함한다.
센서톱니바퀴(81)는 구동축(22)의 일측 중 톱니바퀴부(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1 고정플레이트(12) 및 제2 고정플레이트(13)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3개의 센서톱니(81a)가 형성된다.
근접센서(82)는 제2 고정플레이트(13)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센서톱니바퀴(81)에 형성된 센서톱니(81a)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영점 조절부(80)는 센서톱니바퀴(81)에 형성된 센서톱니(81a)의 위치를 감지하여 엔코더부(60)의 영점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엔코더부(60)의 영점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난 경우, 이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오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회전차단부(40), 제2 회전차단부(50) 및 구동부(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회전차단부와 톱니바퀴부의 동작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는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작동수단(42)의 제1 작동암(42b)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탄성부재(42c)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하여 제1 차단블록(41)의 타단부를 톱니바퀴부(30) 외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가 톱니바퀴부(30) 방향으로 회동되어 어느 하나의 제1 톱니(31)의 일측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구동축(22)이 제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작동수단(52)의 제2 작동암(52b)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제2 탄성부재(52c)의 탄성력이 인가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후퇴하여 제2 차단블록(51)의 타단부를 톱니바퀴부(3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제2 차단블록(51)의 일단부가 톱니바퀴부(30) 방향으로 회동되어 다른 하나의 제1 톱니(31)의 타측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구동축(22)이 제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는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제1 회전차단부(40)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제2 회전차단부(50)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제1 회전차단부(40)와 제2 회전차단부(50)를 통해 구동축(22))의 제1 방향(반시계 방향) 및 제2 방향(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는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입자의 출입요청신호에 의해 제어부를 통해 제1 회전차단부(40)로 전원이 인가되면, 제1 작동수단(42)의 제1 작동암(42b)이 전진하여 제1 차단블록(41)의 타단부가 톱니바퀴부(30)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가 톱니바퀴부(3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어느 하나의 제1 톱니(31)의 일측면에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므로, 구동축(22)이 제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제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는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입자의 출입요청신호에 의해 제어부를 통해 제2 회전차단부(50)로 인가된 전원이 해제되면, 제2 작동수단(52)의 제2 작동암(52b)이 전진하여 제2 탄성부재(52c)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여 제2 차단블록(51)의 타단부가 톱니바퀴부(30)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2 차단블록(41)의 일단부가 톱니바퀴부(3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되어 다른 하나의 제1 톱니(31)의 타측면에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므로, 구동축(22)의 제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제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동작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는 회전문의 내외측방향으로의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회전차단부와 톱니바퀴부의 동작의 또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차단부(40)의 제1 차단블록(41)이 어느 하나의 제1 톱니(31)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제2 회전차단부(50)의 제2 차단블록(51)이 다른 하나의 제2 톱니(32)의 타측면에 지지되어 구동축(22)의 제1 방향(반시계 방향) 및 제2 방향(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차단되므로 회전도어(102)를 통해 회전문(100)의 차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장치는 출입자의 출입요청신호에 의해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차단부(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를 통한 제1 톱니(31)의 일측면의 지지상태가 해제되어 톱니바퀴부(30)의 제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된 상태에서 출입자가 회전도어(102)를 제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2개의 회전도어(102)가 가이드프레임(103c)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1 회전차단부(40)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회전차단부(40)의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가 톱니바퀴부(30) 방향으로 회동되어 톱니바퀴부(30)의 제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차단되면, 출입자가 2개의 회전도어(102) 사이의 공간(S)에 갇혀 회전문(10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톱니바퀴부(30)의 제1 톱니(31)와 이웃하는 제2 톱니(32)의 폭이 제1 톱니(3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제1 회전차단부(40)의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가 톱니바퀴부(30)의 제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톱니바퀴부(30) 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가 제2 톱니(32)의 외주면에 지지됨에 따라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에 의해 톱니바퀴부(30)의 제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차단되지 않아 출입자가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도어(102)를 제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 더 회전시켜 회전문(10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회전차단부(40)의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2 톱니(32)의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회전차단부(50)의 제2 차단블록(51)의 일단부가 다른 하나의 제2 톱니(32)의 타측면에 지지되어 톱니바퀴부(30)의 제2 방향(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톱니바퀴부(30)의 제2 방향(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된 상태에서 출입자가 2개의 회전도어(102) 사이에 갇혀 회전문(10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회전차단부(40) 및 제2 회전차단부(50)의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회전차단부(50)의 제2 차단블록(51)의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2 톱니(32)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톱니바퀴부(30)의 제2 방향(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지 않고, 제1 회전차단부(40)의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가 다른 하나의 제2 톱니(32)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톱니바퀴부(30)의 제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코더부의 회전각도에 기초한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는 출입자의 출입요청신호에 의해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차단부(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1 차단블록(41)의 일단부를 통한 제1 톱니(31)의 일측면의 지지상태가 해제되어 톱니바퀴부(30)의 제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된 상태에서 출입자가 회전도어(102)를 제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회전문(100)의 내측으로 이동한 후에, 회전도어(102)가 미리 설정된 정위치를 벗어나 정지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구동축(2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엔코더부와, 구동축부(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더 구비됨에 따라, 제어부는 엔코더부로부터 검출된 구동축(22)의 회전각도에 기초하여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부를 통해 구동축부(22)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도어(102)가 미리 설정된 정위치에 오도록 위치시킨 후, 제1 회전차단부(40) 및 제2 회전차단부(50)를 통해 제1 및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이 차단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된 탄성부재를 이용한 원점유도부와 같이,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탄성부재의 탄성력 약화로 회전도어(102)를 미리 설정된 정위치에 오도록 구동축부(22)를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10 : 베이스부
11 : 베이스플레이트 11a : 제1 관통공
11b : 고정포스트 12 : 제1 고정플레이트
12a : 제2 관통공 12b : 지지포스트
13 : 제2 고정플레이트 13a : 제3 관통공
20 : 구동축부 21 : 플랜지
22 : 구동축 30 : 톱니바퀴부
31 : 제1 톱니 32 : 제2 톱니
40 : 제1 회전차단부 41 : 제1 차단블록
42 : 제1 작동수단 42a : 제1 작동몸체
42b : 제1 작동암 42c : 제1 탄성부재
50 : 제2 회전차단부 51 : 제2 차단블록
52 : 제2 작동수단 52a : 제2 작동몸체
52b : 제2 작동암 52c : 제2 탄성부재
60 : 엔코더부 61 : 엔코더몸체
62 : 센서축 70 : 구동부
71 : 구동수단 71a : 구동몸체
72 : 동력전달수단 72a : 주동풀리
72b : 종동풀리 72c : 동력전달벨트
80 : 영점 조절부 81 : 센서톱니바퀴
81a : 센서톱니 82 : 근접센서
100 : 회전문 101 : 회전축
102 : 회전도어 103 : 본체
103a : 상부플레이트 103b : 하부플레이트
103c : 가이드프레임 104 : 고정도어

Claims (3)

  1. 회전가능하도록 직립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적어도 2개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회전도어와, 상기 회전축의 상,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 양측 중 상기 회전도어의 외측에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내외측에 입출구를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회전문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문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하부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고 구동축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구동축부 및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도어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의 제1 톱니와, 상기 제1 톱니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회전도어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의 제2 톱니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교대로 형성되는 톱니바퀴부와;
    상기 톱니바퀴부의 일측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톱니바퀴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어느 하나의 제1 톱니 또는 어느 하나의 제2 톱니의 일측면에 지지 또는 지지해제됨으로써, 상기 톱니바퀴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제1 회전차단부와;
    상기 톱니바퀴부의 타측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톱니바퀴부의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다른 하나의 제1 톱니 또는 다른 하나의 제2 톱니의 타측면에 지지 또는 지지해제됨으로써, 상기 톱니바퀴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제2 회전차단부와;
    상기 제1 회전차단부 및 상기 제2 회전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출입자에 의해 회전도어가 제1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한 상태에서 제1 회전차단부의 일단부가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톱니바퀴부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제1 회전차단부의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2 톱니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지 않고, 제2 회전차단부의 일단부는 다른 하나의 제2 톱니의 타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며,
    출입자에 의해 회전도어가 제2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한 상태에서 제2 회전차단부의 일단부가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톱니바퀴부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제2 회전차단부의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제2 톱니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지 않고, 제1 회전차단부의 일단부는 다른 하나의 제2 톱니의 일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톱니바퀴부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부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엔코더부와;
    상기 톱니바퀴부의 다른 일측방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출입자에 의해 상기 회전도어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한 후, 미리 설정된 정위치를 벗어나 정지하는 경우, 상기 엔코더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구동축의 회전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도어가 미리 설정된 정위치에 오도록 상기 구동축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일측 중 상기 톱니바퀴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센서톱니가 형성된 센서톱니바퀴와;
    상기 센서톱니바퀴의 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톱니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영점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KR1020230076490A 2023-06-15 2023-06-15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KR102590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490A KR102590093B1 (ko) 2023-06-15 2023-06-15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490A KR102590093B1 (ko) 2023-06-15 2023-06-15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0093B1 true KR102590093B1 (ko) 2023-10-17

Family

ID=8855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490A KR102590093B1 (ko) 2023-06-15 2023-06-15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09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5246A (en) * 1996-04-11 2000-05-23 Italdis Industria S.P.A. Device for driving the revolving tripod of a two-way turnstile
DE202010006524U1 (de) * 2010-05-07 2010-08-05 Adronit Gmbh Personenschleuse
KR101563425B1 (ko) * 2014-04-25 2015-10-28 (주) 중앙엔트리 회전문 시스템
KR101819194B1 (ko) 2016-08-29 2018-01-16 설갑선 턴게이트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턴게이트 장치
KR20180025302A (ko) * 2016-08-29 2018-03-08 설갑선 턴게이트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턴게이트 장치
KR102344629B1 (ko) * 2021-08-05 2021-12-29 김병기 비상시 안전장치가 구비된 회전문
KR20220157728A (ko) * 2021-05-21 2022-11-29 유주현 자동 출입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5246A (en) * 1996-04-11 2000-05-23 Italdis Industria S.P.A. Device for driving the revolving tripod of a two-way turnstile
DE202010006524U1 (de) * 2010-05-07 2010-08-05 Adronit Gmbh Personenschleuse
KR101563425B1 (ko) * 2014-04-25 2015-10-28 (주) 중앙엔트리 회전문 시스템
KR101819194B1 (ko) 2016-08-29 2018-01-16 설갑선 턴게이트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턴게이트 장치
KR20180025302A (ko) * 2016-08-29 2018-03-08 설갑선 턴게이트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턴게이트 장치
KR20220157728A (ko) * 2021-05-21 2022-11-29 유주현 자동 출입 장치
KR102344629B1 (ko) * 2021-08-05 2021-12-29 김병기 비상시 안전장치가 구비된 회전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8140C (en) Security vestibule entry for controlled access to banks and the like
US4627193A (en) Revolving door control system
JP2509385B2 (ja) 人用のセ―フテイゲ―ト
MXPA02006442A (es) Abertura de inspeccion en una cabina de elevador.
KR20200121660A (ko) 지하철 게이트의 스윙도어 장치
US20090312873A1 (en) Security Gate
KR102590093B1 (ko)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US11091351B2 (en) Elevator lintel door lock safety devices
JP4861697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6187690B2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KR102387528B1 (ko) 턴게이트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턴게이트 장치
WO2006097446A1 (en) Turnstiles with mutually movable barriers
KR102344629B1 (ko) 비상시 안전장치가 구비된 회전문
US20100115843A1 (en) Gate for persons
KR100663978B1 (ko) 지하철 게이트용 출입통제장치
EP0504953B1 (en) Revolving door, in particular for protecting the access to a room
JPH0565783A (ja) 部内への立入を管理する回転ドア
KR10125787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JP2002234428A (ja) プラットホーム防護柵装置の安全確認装置
KR200391475Y1 (ko)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KR102510997B1 (ko) 지하철 게이트의 스윙도어 시스템
GB2601611A (en) Improvements to security apparatus
JP2011117181A (ja) 回転ドア
KR100560111B1 (ko) 공동주택용 차량 진입 차단장치
JP3104953U (ja) 回転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