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615A -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615A
KR20220157615A KR1020210065356A KR20210065356A KR20220157615A KR 20220157615 A KR20220157615 A KR 20220157615A KR 1020210065356 A KR1020210065356 A KR 1020210065356A KR 20210065356 A KR20210065356 A KR 20210065356A KR 20220157615 A KR20220157615 A KR 20220157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voice
video
function button
messag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463B1 (ko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to KR102021006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4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2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non-real time sessions,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 H04L65/4025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non-real time sessions,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where none of the additional parallel sessions is real time or time sensitive, e.g. downloading a file in a parallel FTP session, initiating an email or combination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는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화면에 표시된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검출된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로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 및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된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미디어 세션 및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로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송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METHOD FOR PROVIDING MESSAGING SERVICES AND APPLICATION FOR THE SAME}
본 발명은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다양한 방식으로 또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종래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을 통한 다양한 메시징 서비스가 제안되어 있으며 거의 모든 국민이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메시징 서비스는 예컨대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문서, 음성 등과 같은 콘텐츠를 하나의 대화창 안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메시징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아니라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녹음 또는 녹화한 파일을 송수신하는 형태로 제공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다양한 콘텐츠를 하나의 대화창 안에서 공유하면서 이를 조작하거나 동작시킬 수 있는 기능이 없다는 한계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조작하고 동작시키는 기능 또한 공유될 수 있는 새로운 메시징 서비스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메시징 서비스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때 및 음성 또는 영상 신호 전송 모드를 변경할 때 이를 위한 메뉴 버튼을 사용자가 일일이 조작하여야 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음성 또는 영상 신호 전송시 또는 모드 변경시에 보다 효율적이고 간편한 방식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되, 미디어 세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서버 및 단말의 부하 및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는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화면에 표시된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검출된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로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 및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된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미디어 세션 및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로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송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단계는,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이 표시된 영역에 대한 입력 이벤트의 시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이벤트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입력 이벤트가 종료되는 종료 시점까지의 시간인 입력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음성 또는 영상 신호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인 제1 모드인 경우,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채팅방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음성 또는 영상 신호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모드인 경우,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채팅방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채팅방 영역 내로 이동시키는 움직침 이벤트에 의해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는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움직임 이벤트 또는 음성 이벤트를 검출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움직임 이벤트 또는 음성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로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미디어 세션 및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로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송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미디어 세션 참여 요청 신호를 메시징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메시징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로 미디어 세션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미디어 서버가 미디어 세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미디어 엔진을 구동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음성/영상 송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세션 정보는, 미디어 서버 접속을 위한 IP 주소 정보, 포트 정보, 미리 설정된 코덱 정보, 암호화 키 및 암호화 알고리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미디어 세션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미디어 세션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새로 미디어 세션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상태에서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미디어 엔진의 구동을 중지하고, 미디어 엔진의 동작이 중지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된 경우 미디어 세션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미디어 세션 정보가 유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미디어 서버로부터 발언권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발언권 획득 신호를 수신하고, 미디어 서버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미디어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은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송출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녹화하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송출하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언권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녹화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 채팅방 화면에 표시된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된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되, 미디어 세션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서버 및 단말의 부하 및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단계(S110) 및 단계(S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제1 모드에서의 단계(S130)를 설명하기 위한 채팅방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제2 모드에서의 단계(S130)를 설명하기 위한 채팅방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제2 모드에서의 단계(S130)의 또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채팅방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미디어 세션 형성 및 유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유 서비스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공유 서비스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공유 서비스 중 화면 공유 서비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단계(S1100) 및 단계(S1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00, 이하 간단히 "시스템(100)"이라 한다)은, 인터넷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결합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컴퓨터 등과 같은 종래 알려져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20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이 설치되며, 이러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스템(10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AS, Application server, 10), 미디어 서버(MS, Media server, 20) 및 멀티미디어 공유 서버(MSS, Multimedia sharing server, 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세션 참여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미디어 세션 생성 요청 신호를 미디어 서버(20)로 전송하고, 미디어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세션 정보를 사용자 단말들(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서버(2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세션 생성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미디어 세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세션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200)과의 사이에서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디어 서버(20)는,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단말들(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다른 사용자 단말들(200)로 전송함으로써 음성/영상 송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들(200)은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될 경우 미디어 세션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미디어 세션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10)와 새로 미디어 세션을 형성함으로써 미디어 세션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사용자 단말들(200)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사용자 단말들(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이를 다른 사용자 단말들(200)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들(200)은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들은 웹소켓 연결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 접속하여 웹소켓 연결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공유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사진, 문서, 지도 정보 등이며, 멀티미디어 공유 기능은 사진 공유, 문서 공유, 위치 정보 공유에 해당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멀티미디어 공유 서버(30)와 연동하여 화면 공유 기능을 사용자 단말(200)들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멀티미디어 공유 서버(30)는, 사용자 단말들(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공유 화면 영상을 수신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화면 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멀티미디어 공유 서버(30)로부터 영상 송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 송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들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들(200)은 상기 영상 송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서버(30)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을 송수신함으로써 화면 공유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0)은,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를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SCS(Subscriber Contacts Server), OMS(Operation & Management Server), DBS(DB Server), BGS(Business Gateway Server), CMS(Contents Management Server), PNS(Push Notification Server)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SCS(Subscriber Contacts Server)는,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의 가입자인 회원 정보를 관리하고 주소록을 동기화하는 등의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고, OMS(Operation & Management Server)는 시스템(100) 전체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의 전체적인 관리, 운용, 통계, 장애 처리 등을 위한 수단이다.
또한, DBS(DB Server)는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이고, BGS(Business Gateway Server)는 외부의 이모티콘/기프트 샵 서버 또는 PG(Payment Gateway)와 연동하여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CMS(Contents Management Server)는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지는 메시징 서비스에 사용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고, PNS(Push Notification Server)는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알림 신호를 푸쉬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다음으로,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 A(210),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의 총 4개이며, 이하에서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A(210)를 제1 사용자 단말(210)이라 하고,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B,C,D(220,230,240)를 제2 사용자 단말(220,230,240)로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A(210),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은 시스템(100)을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며, 이러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를 수행한다.
우선, 사용자 단말 A(210),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은 시스템(10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0) 및 미디어 서버(20)를 통해 미디어 세션을 형성한다(S100). 구체적인 미디어 세션 형성 과정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미디어 세션이 형성되면, 사용자 단말 A(210),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동일한 채팅방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A(21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채팅방 화면에는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다. 이 때 표시되는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A(21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 화면에 표시된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고(S110), 검출된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0).
도 3은 단계(S110) 및 단계(S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A(210)에서 입력 이벤트가 시작되었는지를 검출한다(S111).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경우, 터치 스크린에서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이 표시된 영역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입력 이벤트의 시작을 검출할 수 있다.
입력 이벤트의 시작을 검출한 사용자 단말 A(21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입력 이벤트의 시작 시점(t1)으로부터 입력 이벤트가 종료되는 종료 시점(t2)까지의 시간인 입력 시간(ti)을 계산한다(S112).
여기에서, 입력 이벤트의 종료 시점(t2)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서 해당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이 표시된 영역을 한번 누른 후 떼는 시점이며, 따라서 입력 시간(ti=t2-t1)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영역을 누른 후 뗄 때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A(21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한다(S120).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지의 여부는,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의 설정 모드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에서는,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의 설정 모드는,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음성 또는 영상 신호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인 제1 모드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음성 또는 영상 신호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모드의 2가지인 것으로 한다.
제1 모드의 경우, 입력 시간(ti)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에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제1 임계값은 예컨대 100ms 등과 같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해당 기능 버튼이 100ms 이상 눌려진 경우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 이하의 과정(S140~S370)을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A(210)은 시스템(100)을 통해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로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S160, S170, S180).
한편, 입력 시간(ti)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채팅방에 표시되어 있는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S130).
도 4 및 도 5는 제1 모드에서의 단계(S130)를 설명하기 위한 채팅방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 A(21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 영상 기능 버튼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입력 이벤트의 입력 시간(ti)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 채팅방에 표시되어 있는 영상 기능 버튼을 음성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한편, 도 5는 사용자 단말 A(21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에 음성 기능 버튼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입력 이벤트의 입력 시간(ti)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 채팅방에 표시되어 있는 음성 기능 버튼을 영상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한편, 제2 모드의 경우, 입력 시간(ti)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에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제2 임계값은 예컨대 1초 등과 같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해당 기능 버튼이 1초 미만 눌려진 경우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 이후의 과정(S140~S370)을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A(210)은 시스템(100)을 통해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로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S160, S170, S180).
한편, 입력 시간(ti)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채팅방에 표시되어 있는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S130).
도 6 및 도 7은 제2 모드에서의 단계(S130)를 설명하기 위한 채팅방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 A(21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 영상 기능 버튼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입력 이벤트의 입력 시간(ti)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채팅방에 표시되어 있는 영상 기능 버튼을 음성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도 7은 사용자 단말 A(21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 음성 기능 버튼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입력 이벤트의 입력 시간(ti)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채팅방에 표시되어 있는 음성 기능 버튼을 영상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한편, 제2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채팅방 영역 내로 이동시키는 움직침 이벤트에 의해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제2 모드에서의 단계(S130)의 또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채팅방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A(21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 음성 기능 버튼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성 기능 버튼을 터치하여 채팅방 영역 내로 이동시키는 경우 채팅방에 표시되어 있는 음성 기능 버튼을 영상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단계(S140) 이후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S120)에서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A(210)는 시스템(100)으로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S140). 이하의 과정에서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 A(210)은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카메라를 구동하여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사용자 단말 A(210)의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 내부에 표시한다(S150). 이 때,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 대신 미리 저장해 둔 영상 파일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A(210)로부터 전송된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수신한 시스템(10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사용자 단말 A(210)가 영상 송출을 요청했음을 알리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로 각각 전송한다(S160, S170, S180).
영상 송출 알림 신호는 사용자 단말 A(21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가 음성 신호인지 영상 신호인지를 다른 사용자 단말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들은 영상 송출 알림 신호에 의해 사용자 단말 A(210)로부터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 중 영상이 송출될 것임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 D(240)는 전원 오프 등의 이유로 미디어 세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D(240)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수신하되 이를 무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A(210)는 시스템(100)의 미디어 서버(20)로 발언권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190), 미디어 서버(20)는 사용자 단말 A(210)로 발언권을 부여하는 발언권 획득 신호를 전송한다(S200).
또한, 미디어 서버(20)는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로 각각 사용자 단말 A(210)가 발언권을 획득하였음을 알리는 발언권 획득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S210, S220).
이후, 사용자 단말 A(210)는 미디어 서버(20)로 영상 송출을 시작한다(S230). 여기에서, 영상 송출이란 예컨대 사용자 단말 A(210)의 카메라 모듈에서 획득되는 영상 신호 또는 미리 저장해 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함으로써 생성되는 영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함께, 사용자 단말 A(210)는 자신이 전송하는 영상의 녹화를 시작한다(S240).
미디어 서버(20)는 사용자 단말 A(2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로 각각 전송하고(S250, S270),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은 각각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대화창 화면에 표시한다(S260, S280).
이러한 방식으로 영상 송출 서비스를 수행하는 도중, 영상 송출을 중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A(210)는 발언권 해제 요청 신호를 미디어 서버(20)로 전송하고(S290), 미디어 서버(20)는 이에 상응하는 발언권 해제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 A(210)로 전송한다(S300).
발언권 해제 응답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A(210)는 영상 송출을 중지하고, 녹화를 중단한다(S310).
미디어 서버(20)는 사용자 단말 A(210)의 발언권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발언권 해제 알림 신호를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로 각각 전송한다(S320, S330).
이후, 사용자 단말 A(210)는 녹화 파일을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전송하고(S340),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녹화 파일을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로 각각 전송한다(S350, S360, S370).
이 때, 미디어 세션에 참여하지 않았던 사용자 단말 D(240)에게도 녹화 파일이 전송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 D(240)의 사용자는 추후에 녹화 파일을 통해 미디어 세션을 통해 이루어진 영상 송출 서비스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340) 내지 단계(S37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송출 서비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나, 음성 송출 서비스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 A(210)에서 영상을 녹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미디어 서버(20)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20)에서 영상을 녹화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음성/영상 송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미디어 세션은 사용자 단말 A(210),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의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세션의 형성 및 동적 유지 과정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미디어 세션 형성 및 유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 단말 A(210)은 시스템(10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미디어 세션 참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400).
미디어 세션 참여 요청 신호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미디어 서버(20)로 미디어 세션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410), 미디어 서버(20)는 미디어 세션을 생성한 후 생성된 미디어 세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미디어 세션 정보는, 미디어 서버 접속을 위한 IP 주소 정보, 포트 정보, 미리 설정된 코덱(codec) 정보, 암호화 키 및 암호화 알고리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미디어 세션 정보를 사용자 단말 A(210)로 전송하고(S430), 사용자 단말 A(210)는 수신된 미디어 세션 정보를 저장해 둔다(S44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A(210)는 미디어 엔진을 구동하고(S450), 구동된 미디어 엔진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버(20)에 접속하여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고 유지한다(S460). 여기에서, 미디어 엔진이란,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자원을 의미한다.
도 9에서는 상기 단계(S400) 내지 단계(S460)은 사용자 단말 A(210)에 대해서만 나타내었으나,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 등의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도 마찬가지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미디어 세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 A(210),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들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서버(10) 및 미디어 서버(20)를 통해 음성/영성 송출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A(210)에서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back ground)로 전환되면(S470), 사용자 단말 A(210)는 구동되고 있던 미디어 엔진의 동작을 중지시킨다(S480).
이후,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시 포어그라운드(fore ground)로 전환되면 사용자 단말 A(210)는 미디어 세션 정보가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00).
미디어 세션 정보의 유효성 여부는 미디어 엔진의 동작을 중지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30초가 경과한 경우 미디어 세션 정보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30초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 미디어 세션 정보는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디어 세션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 A(210)는 상기 단계(S400) 내지 단계(S460)를 다시 수행함으로써 미디어 세션을 새로 형성한다.
미디어 세션 정보가 유효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 A(210)는 미디어 엔진을 다시 구동시키고,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미디어 세션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음성/영성 송출 서비스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포어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 사이의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미디어 엔진의 구동과 중지 사이의 전환 또한 이에 상응하여 빈번하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미디어 엔진이 구동하는 경우, 미디어 세션 생성을 위해 매번 어플리케이션 서버(10) 및 미디어 서버(20)와 연동하여 상기 단계(S400) 내지 단계(S46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미디어 세션 형성 절차를 반복해서 수행하기 때문에, 이는 서버측에서의 부하 및 이로 인한 지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미디어 엔진의 동작이 중지되었다가 다시 구동되는 경우, 미디어 세션의 유효성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기존에 형성되어 있던 미디어 세션을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측에서의 부하 및 지연 문제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유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유 서비스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실시예는, 사진(이미지) 등과 같은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사진 위에 글씨를 쓰거나 스케치 동작을 수행하는 공유 서비스에 대한 것이다.
우선, 사용자 단말 A(21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 공유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업로드하면서, 공유방 생성을 요청하고(S600),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공유방을 생성한다(S610). 여기에서, 공유방을 생성한다는 것은 사용자 단말 A(210)가 업로드한 이미지 파일을 특정 URL 주소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URL 주소를 사용자 단말 A(210)로 전송하여 공유방이 생성되었음을 알린다(S620).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마찬가지로 해당 URL 주소를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로 전송하여 공유방이 생성되었음을 알린다(S630, S640, S650).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 D(2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상태이므로 알림 신호가 전송되기는 하지만 수신은 할 수 없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A(210)는 URL 주소에 기초하여 공유방에 접속한다(S660). 이와 함께, 사용자 단말 A(210)는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표시하고(S670), 어플리케이션 서버(10)와 후술하는 스케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웹소켓(websocket)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S680).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 또한 URL 주소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 접속하여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고, 이미지를 표시한 후, 어플리케이션 서버(10)와 웹소켓 세션 연결을 수행한다(S690 ~ S760).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용자 단말 A(210),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에는 이미지가 공유되어 표시된 상태이며, 또한 이들은 어플리케이션 서버(10)를 통해 웹소켓 세션이 생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이미지에 텍스트를 입력하는 동작이나 스케치 동작에 상응하는 공유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미지와 함께 공유 제어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공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A(210)가 이미지 위에 스케치 동작을 수행하면, 해당 스케치 동작에 상응하는 스케치 데이터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로 전송되고(S780, S800),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는 수신한 스케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스케치 동작을 이미지 위에서 수행하여 스케치를 표시할 수 있다(S790, S810).
도 10의 실시예는, 이미지를 공유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예컨대 문서 공유의 경우에도 그 대상이 이미지 파일 대신 문서 파일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도 10의 실시예를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지도를 통해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위치 공유 서비스에도 도 10의 실시예는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공유 서비스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공유 서비스 중 화면 공유 서비스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 A(210)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화면 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900). 화면 공유 요청 신호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이용할 단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화면 공유 요청 신호를 해당 단말인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로 전송한다(S910, S920, S930).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A(21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영상 송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940). 여기에서, 영상 송출 요청 신호는 영상 코덱 정보, 음성 코덱 정보 등과 같은 녹화 가능 정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영상 송출 요청 신호에 포함된 녹화 가능 정보를 멀티미디어 공유 서버(30)로 전달하고(S950), 멀티미디어 공유 서버(30)는 미디어 세션 형성을 위한 미디어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송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전달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영상 송출 정보를 사용자 단말 A(210)로 전달한다(S960, S970).
여기에서, 미디어 세션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공유 서버(30) 접속을 위한 IP 주소 정보, 포트 정보, 미리 설정된 영상 코덱 및 음성 코덱 정보, 암호화 키 및 암호화 알고리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영상 송출 정보를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로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전달한다(S980, S990).
이와 같이, 영상 송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A(210),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는 영상 송출 정보에 포함된 미디어 세션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공유 서버(30)와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A(210)가 자신의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상응하는 영상을 송출하기 시작하고, 해당 영상은 미디어 세션 및 멀티미디어 공유 서버(30)를 통해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로 전송된다(S1010, S1020).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는 영상을 수신하는 동시에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 A(210가 해당 영상 위에 예컨대 스케치 동작을 수행하면, 해당 스케치 동작에 상응하는 스케치 데이터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로 전송되고(S1030 S1040, S1060),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B(220) 및 사용자 단말 C(230)는 수신한 스케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스케치 동작을 해당 영상 위에서 수행하여 스케치를 표시할 수 있다(S1050, S1070). 이는 앞서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실시예는,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되, 사용자 단말 A(21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화면에 표시된 음성 또는 기능 버튼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 A(210)에 대한 움직임 이벤트 또는 음성 이벤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움직임 이벤트 또는 음성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도 2의 단계(S110) 내지 단계(S130) 대신 단계(S1100) 및 단계(S1200)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3은 단계(S1100) 및 단계(S1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우선 좌측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A(210)의 사용자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 진입하면 영상 기능 버튼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A(210)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A(210)에 대해 움직임 이벤트를 발생시키거나 음성 이벤트를 발생시키면(S1100), 사용자 단말 A(21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움직임 이벤트 또는 음성 이벤트를 검출하고, 움직임 이벤트 또는 음성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S1200), 이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S140) 내지 단계(S370) 등과 같은 과정을 통해 영상 신호를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로 전송하게 된다(우측의 (b) 참조).
도 14는 단계(S1100) 및 단계(S1200)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좌측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A(210)의 사용자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 진입하면 음성 기능 버튼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A(210)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A(210)에 대해 움직임 이벤트를 발생시키거나 음성 이벤트를 발생시키면(S1100), 사용자 단말 A(210)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움직임 이벤트 또는 음성 이벤트를 검출하고, 움직임 이벤트 또는 음성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음성 송출 알림 신호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S1200), 이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S140) 내지 단계(S370) 등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음성 신호를 사용자 단말 B(220), 사용자 단말 C(230) 및 사용자 단말 D(240)로 전송하게 된다(우측의 (b) 참조).
여기에서, 움직임 이벤트에 대해 미리 설정된 조건은 예컨대 사용자 단말 A(210)를 2회 흔드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음성 이벤트에 대해 미리 설정된 조건은 예컨대 "영짤"과 같이 미리 설정된 단어일 수 있다.
이후의 과정(S140~S370)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단말을 2회 가볍게 흔드는 손 동작 또는 음성 명령에 의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즉시 송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기타 다양한 수정 및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200...사용자 단말
10...어플리케이션 서버
20...미디어 서버
30...멀티미디어 공유 서버

Claims (13)

  1.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는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화면에 표시된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검출된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로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 및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된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미디어 세션 및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로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송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이 표시된 영역에 대한 입력 이벤트의 시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이벤트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입력 이벤트가 종료되는 종료 시점까지의 시간인 입력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음성 또는 영상 신호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모드인 제1 모드인 경우,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채팅방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음성 또는 영상 신호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모드인 경우,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미만인 경우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입력 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채팅방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채팅방 영역 내로 이동시키는 움직침 이벤트에 의해 음성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6.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는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움직임 이벤트 또는 음성 이벤트를 검출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움직임 이벤트 또는 음성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로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미디어 세션 및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로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송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미디어 세션 참여 요청 신호를 메시징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메시징 시스템의 미디어 서버로 미디어 세션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미디어 서버가 미디어 세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미디어 엔진을 구동하여 상기 미디어 세션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음성/영상 송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세션 정보는, 미디어 서버 접속을 위한 IP 주소 정보, 포트 정보, 미리 설정된 코덱 정보, 암호화 키 및 암호화 알고리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미디어 세션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미디어 세션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새로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은,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 상태에서 백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미디어 엔진의 구동을 중지하고,
    미디어 엔진의 동작이 중지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된 경우 미디어 세션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포어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미디어 세션 정보가 유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알림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미디어 서버로부터 발언권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발언권 획득 신호를 수신하고, 미디어 서버로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미디어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제2 사용자 단말은 수신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송출되는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녹화하고, 상기 미디어 세션을 통해 음성 또는 영상 신호를 송출하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언권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녹화된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13.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
    채팅방 화면에 표시된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경우,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음성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된 음성 기능 버튼 또는 영상 기능 버튼을 다른 기능 버튼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KR1020210065356A 2021-05-21 2021-05-21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KR102479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356A KR102479463B1 (ko) 2021-05-21 2021-05-21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356A KR102479463B1 (ko) 2021-05-21 2021-05-21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615A true KR20220157615A (ko) 2022-11-29
KR102479463B1 KR102479463B1 (ko) 2022-12-20

Family

ID=8423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356A KR102479463B1 (ko) 2021-05-21 2021-05-21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4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0747A (ja) * 2012-07-02 2014-01-20 Nec Corp セッション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44643A (ko) * 2013-10-17 201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지속 시간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방법
KR20160085614A (ko) * 2015-01-08 201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0747A (ja) * 2012-07-02 2014-01-20 Nec Corp セッション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44643A (ko) * 2013-10-17 201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지속 시간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방법
KR20160085614A (ko) * 2015-01-08 201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463B1 (ko)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085B1 (ko) 사용자들의 그룹 사이에서 실시간 오디오 브로드캐스트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030523B2 (en) Flow-control based switched group video chat and real-time interactive broadcast
JP4363166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バ、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EP392691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150103118A (ko) 감소된 레이턴시 서버 중재형 오디오-비디오 통신
CN111212295B (zh) 一种用于管理直播间的方法、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JP6372156B2 (ja) 接続制御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接続制御方法
KR20100021342A (ko) 홈 네트워크상에서 호 송수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2109935A (ja) 伝送管理システム、伝送システム、伝送管理方法、伝送管理用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提供システム、及び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CN113630574A (zh) 视频通话方法及终端设备
US20080263235A1 (en) Device-to-Device Sharing of Digital Media Assets
JP6074915B2 (ja) 伝送管理システム、伝送システム、伝送管理方法、及び伝送管理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US10999332B2 (en) User-centric connections to a location comprising digital collaboration tools
US114449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processing
CN103220195A (zh) 传输媒体数据
JP2017142610A (ja) サーバ装置、伝送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3301363A (zh) 直播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9961298B2 (en) Management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ession
US11489883B2 (en) User-centric connections to a location comprising digital collaboration tools
JP5494129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2479463B1 (ko)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CN113242173A (zh) 屏幕的分享方法、装置、系统和即时通讯服务器
JP5953932B2 (ja) 中継装置選択装置、伝送システム、及び中継装置選択装置用プログラム
KR102568346B1 (ko) 메시징 서비스 제공 시스템
RU2631269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телефон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