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377A -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377A
KR20220156377A KR1020210064356A KR20210064356A KR20220156377A KR 20220156377 A KR20220156377 A KR 20220156377A KR 1020210064356 A KR1020210064356 A KR 1020210064356A KR 20210064356 A KR20210064356 A KR 20210064356A KR 20220156377 A KR20220156377 A KR 20220156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cradle
hole
bracke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4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6377A/ko
Publication of KR20220156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는 주변 기기의 거치가 가능하고, 하중에 대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메인 홀 및 메인 홀과 형상을 달리하는 서브 홀을 포함하는 브라켓부; 상부가 브라켓부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하는 바 프레임부; 및 바 프레임부의 하부와 결합하며, 바닥에 거치되어 바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하단 프레임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A STAND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은 주변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벽걸이 또는 스탠드를 이용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별도의 벽면 시공이 필요하거나 또는 벽걸이 장치가 필요했다. 또한, 스탠드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장식장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설치 공간 및 환경에 따른 제약을 가지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매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최근, 상술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별도의 시공을 요하지 않으면서, 미관을 고려한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용 스탠드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TV 모뎀, Wifi 공유기 등과 같은 주변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미관상 및/또는 편의상 불편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변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주변 기기 사용에 동반되는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나아가, 주변 기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여도 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갖는 거치대 및 거치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는, 메인 홀 및 메인 홀과 형상을 달리하는 서브 홀을 포함하는 브라켓부; 상부가 브라켓부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하는 바 프레임부; 및 바 프레임부의 하부와 결합하며, 바닥에 거치되어 바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하단 프레임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을 거치하는 거치대; 를 포함하고, 거치대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하는 브라켓부; 상부가 브라켓부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하는 바 프레임부; 바 프레임부의 하부와 결합하며, 바닥에 거치되어 상기 바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하단 프레임부; 및 하단 프레임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하단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하단 프레임부는, 일단이 바 프레임부와 체결되는 제 1 하단 프레임부 및 제 1 하단 프레임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제 1 하단 프레임부 및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지지부는, 제 1 하단 프레임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몸통부와, 상기 제 2 하단 프레임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도 적용 또는 호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 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중에 대하여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장식장을 갖거나 설치 환경을 조성하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를 확대한 도면으로,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을 통해 외부 장치를 고정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의 호환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와 브라켓부에 결합 가능한 거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와 하단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들에 따른 바 프레임부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11은 실시예들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4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1000)는 브라켓부(1100), 상부가 브라켓부(1100)와 결합하는 바 프레임부(1200) 및 바 프레임부(1200)의 하부와 결합하는 하단 프레임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예를 들어,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2100, 도 14 참고)을 거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예를 들어,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거치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인 홀(1110) 및 메인 홀(1110)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 서브 홀(112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부(1100)는 복수 개의 메인 홀(111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거치할 수 있다. 또는, 브라켓부(1100)는 메인 홀(1110)과 서브 홀(112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거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타공(1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 프레임(3000, 도 7 참조)은 타공(1130)에 결합하여 주변 기기 또는 외부 장치를 거치 또는 지지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와이파이 공유기와 같은 주변 기기를 거치 프레임(300)과 타공(1130)을 통해 브라켓부(1100)에 거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바 프레임부(1200)와 결합하여 바 프레임부(1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바 프레임부(1200)의 상부는 브라켓부(1100)와 결합하여 브라켓부(110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바 프레임부(1200)의 하부는, 하단 프레임부(1300)와 결합하여,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 프레임부(1300)는 바닥에 거치되어 바 프레임부(1200)가 지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하단 프레임부(1300)는 바 프레임부(1200)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1000)의 각 구조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메인 홀(1110) 및 메인 홀(1110)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 서브 홀(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인 홀(1110)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부(1100)가 복수 개의 메인 홀(1110)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메인 홀(1100)은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2 이상의 메인 홀(1110)을 갖는 경우, 각각의 메인 홀(1110)은 브라켓부(110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부(1100)가 4 개의 메인 홀(1100-1, 1100-2, 1100-3, 1100-4)을 갖는 경우, 브라켓부(1100)는 서로 높이가 다른 2군으로 이루어진 4 개의 메인 홀(1110)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높이 1(h1)에 위치하는 2 개의 메인 홀(1110-1, 1110-2)과 높이 2(h2)에 위치하는 2 개의 메인 홀(1110-3, 111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4 개의 메인 홀을 도시하였으나, 메인 홀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홀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이면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다. 또한, 도 2에서는 2 개의 서로 다른 높이(h1, h2)에 위치하는 메인 홀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홀은 n(n은 1 이상의 정수) 개의 서로 같은 높이 또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여도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브 홀(1120)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부(1100)가 복수 개의 서브 홀(1120)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서브 홀(1120)은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부(1100)가 2 개의 서브 홀(1120-1, 1120-2)을 갖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부(1100)는 서로 같은 높이인 높이 3(h3)에 위치하는 2 개의 서브 홀(1120-1, 112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2 개의 서브 홀을 도시하였으나, 서브 홀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 홀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이면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다. 또한, 도 2에서는 서로 같은 높이(h3)에 위치하는 서브 홀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 홀은 m(m은 1 이상의 정수) 개의 서로 같은 높이 또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여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메인 홀(1110)을 갖는 경우, 서브 홀(1120)은 2 이상의 높이가 다른 메인 홀(11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부(1100)가 서로 다른 높이인 높이 1(h1)과 높이 2(h2)에 위치하는 메인 홀(1110)을 포함하는 경우, 서브 홀(1120)은 높이 1(h1)과 높이 2(h2) 사이인 높이 3(h3)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홀(1120-1)은, 높이 1(h1)에 위치하는 메인 홀(1110-1)과 높이 2(h2)에 위치하는 메인 홀(1110-3) 사이인 높이 3(h3)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2 이상의 메인 홀(1110)을 갖는 경우, 서브 홀(1120)은 하나의 메인 홀과 다른 메인 홀의 사이에 소정의 비율을 갖는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서브 홀(1120)은 2 이상의 메인 홀(1110)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홀(1120-1)은 하나의 메인 홀(1110-1)과의 거리와 다른 하나의 메인 홀(1110-3)과의 거리의 비율이 소정의 비율인 2:1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소정의 비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용화 된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용화 될 예정인 디스플레이 모듈과 호환 가능한 규격의 비율이면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다. 따라서, 서브 홀(1120)은 2 이상의 메인 홀(1110)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의 도 3 내지 도 5에서,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가 포함하는 메인 홀(1120)의 형상에 대해 상술한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메인홀(1110a)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1110a)은 삽입부(1111a)와 삽입부(1111a)와 연결된 거치부(1112a)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홀(1110a)은, 삽입부(1111a)와 거치부(1112a)에 의해 열쇠 구멍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삽입부(1111a)는 통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부(1111a)는 제 1 지름(d1)을 갖는 원 형상일 수 있다. 즉, 삽입부(1111a)는 제 1 지름(d1)을 갖는 원 형상의 구멍이 뚫린 형태로서, 예를 들어 나사(screw)와 같은 외부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삽입부(1111a)의 일단은 거치부(1112a)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부(1112a)는 통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거치부(1112a)는 제 1 지름(d1)보다 작은 제 2 지름(d2)을 갖는 원 형상일 수 있다. 즉, 거치부(1112a)는 제 2 지름(d2)을 갖는 원 형상의 구멍이 막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1112a)는 삽입부(1111a)를 통해 삽입된, 예를 들어 나사와 같은 외부 장치가 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부(1112a)는, 예를 들어 나사와 같은 외부 장치가 거치되는 경우, 외부 장치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거치부(1112a)를 둘러싸고 형성되는 거치 공간(1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 공간(1113)은 비통공 형상으로, 예를 들어 나사와 같은 외부 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거치 공간(1113)은 삽입부(111a)가 갖는 제 1 지름(d1)과 같거나 제 1 지름(d1)보다 작은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1110a)은 서로 크기가 다른 2 개의 원 형상을 갖는 삽입부(1111a)와 거치부(1112a)에 의해, 열쇠 구멍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복수 개의 메인홀(1110)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1 메인홀(1110a) 및 제 2 메인홀(1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메인홀(1110a)과 제 2 메인홀(1110b)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메인홀(1110a)과 제 2 메인홀(1110b)은 브라켓부(1100)의 일면 상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메인홀(1110a)과 제 2 메인홀(1110b)은 각각 브라켓부(1100)의 일면상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도 있고,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메인홀(1110a)과 제 2 메인홀(1110b)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메인홀(1110a)과 제 2 메인홀(1110b)은 서로 거치부(1112a, 1112b)가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홀(1110)은, 제 1 메인홀(1110a)의 거치부(1112a)와 제 2 메인홀(1110b)의 거치부(1112b)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1 메인홀(1110a)의 삽입부(1111a)와 제 2 메인홀(1100b)의 삽입부(1111b)가 브라켓부(1100)의 상측과 하측을 향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부(1111a)와 거치부(1112a)의 형상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부(1111a)와 거치부(1112a)는 각각 삼각형상, 사각형상과 같은 다각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삽입부(1111a)와 거치부(1112a)는 각각 원형상, 삼각형상과 같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나아가, 삽입부(1111a)와 거치부(1112a)는 서로 지름이 같은 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삽입부(1111a)와 거치부(1112a)를 포함하는 메인홀(1110a)은 눈사람 형상 또는 긴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1110)은, 서로 대향되는 메인홀(1110a, 1110b)에 있어서, 거치부(1112a, 1112b)가 대향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면, 어떤 형상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홀(1110)이, 제 1 메인홀(1110a)과 제 2 메인홀(1110b)의 형상이 서로 대칭되면서 각각의 거치부(1112a, 1112b)가 대향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면, 어떤 형상이어도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 개의 메인홀(1110)이 동일한 형상으로 생성됨에 따라, 공정 상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메인홀(1110)의 거치부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킴으로써,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더 용이하게 고정 및/또는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메인홀(1110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1110c)은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삽입부와 거치부를 가질 수 있으나,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삽입부(1111c)와 두 개의 거치부(1112c-1, 1112c-2)를 가질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1110c)은, 삽입부(1111c)의 일측에 하나의 거치부(1112c-1)가 위치하고, 삽입부(1111c)의 다른 일측에 다른 거치부(1112c-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들에 따른 삽입부(1111c) 및 거치부(1112c-1, 1112c-2)의 형상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복수 개의 메인홀(1110)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3 메인홀(1110c) 및 제 4 메인홀(1110d)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 3 메인홀(1110c)과 제 4 메인홀(1110d)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3 메인홀(1110c)과 제 4 메인홀(1110d)은 브라켓부(1100)의 일면 상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3 메인홀(1110c)과 제 4 메인홀(1110d)은 각각 브라켓부(1100)의 일면상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도 있고,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 3 메인홀(1110c)과 제 4 메인홀(1110d)은, 서로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 개의 메인홀(1110)이 동일한 형상으로 생성됨에 따라, 공정 상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메인홀(1110)의 거치부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킴으로써,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더 용이하게 고정 및/또는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1110)에 나사가 고정되는 형태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5는 도 3의 A를 확대한 도면으로,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을 통해 외부 장치를 고정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1110)을 통해 외부 장치인 나사(s100)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s100)는 실시예들에 따른 삽입부(1111)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111)를 통해 삽입된 나사(s100)는, 거치부(1112)를 향하여 화살표(a)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도 5의 (b)는,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1110)을 통해 외부 장치인 나사(s100)가 고정 및/또는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부(1112) 방향으로 미끄러진 나사(s100)는, 거치부에서 고정 및/또는 지지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홀(1110)의 형상이 원 형상을 갖는 열쇠 구멍 형상인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의 호환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바 프레임부(1200)의 상부는 브라켓부(1100)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메인 홀(1110) 및 서브 홀(1120)이 형성되는 브라켓 본체부(1140)와, 브라켓 본체부(1140)에 형성되어 바 프레임부(1200)와 결합하는 접속부(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접속부(1150)는 브라켓 본체부(1140)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 본체부(1140)와 접속부(1150)를 한 번에 생산할 수 있어, 효율성 및 양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속부(1150)는 브라켓 본체부(1140)와 별도로 생성된 뒤 결합되어도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접속부(1150)는 브라켓 본체부(1140)의 후면의 상측 또는 하측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속부(1150)는 브라켓 본체부(1140)의 후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치우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속부(1150)는 브라켓 본체부(1140)의 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접속부(1150)는 바 프레임부(1200)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바 프레임부(1200)의 상부와,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고, 또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즉, 브라켓부(1100)는, 요구되는 결합 높이에 따라, 180°회전하여 바 프레임부(1200)의 상부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조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6의 (a)는 바 프레임부(1200)와 브라켓부(1100)가 접속부(1150)를 통해 정방향으로 결합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가 바 프레임부(1200)와 정방향으로 결합하는 경우, 브라켓부(110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0, 도 14 참조)과 복수 개의 메인 홀(1110e, 1110f, 1110g, 1110h)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복수 개의 메인 홀(1110e, 1110f, 1110g, 1110h) 중 적어도 하나에 나사(s100, 도 5 참조)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할 수 있다.
도 6의 (b)는 바 프레임부(1200)와 브라켓부(1100)가 접속부(1150)를 통해 역방향으로 결합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가 바 프레임부(1200)와 정방향으로 결합하는 경우, 브라켓부(1100)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인 홀(1110g, 1110h) 중 적어도 하나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브 홀(1120a, 1120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또는, 브라켓부(1100)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인 홀(1110e, 1110f) 중 적어도 하나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브 홀(1120a, 1120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인 홀(1110e, 1110f, 1110g, 1110h) 중 적어도 하나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브 홀(1120a, 1120b) 중 적어도 하나에 나사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거치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장치의 높이나 규격에 맞추어, 접속부(1150)에 바 프레임부(1200)를 결합할 수 있다.
브라켓부(1100)를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장치의 높이나 규격에 따라 별도의 거치대를 생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실시예들은 생산성, 양산성 및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와 브라켓부에 결합 가능한 거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거치대)는 브라켓부(1100) 및 브라켓부(1100)에 결합 가능한 거치 프레임(30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실시예들에 따른 브라켓부(11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타공(1130)을 포함할 수 있다. 타공(1130)은 브라켓부(1100) 상에 소정의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공(1130)은 브라켓부(1100) 상에 임의의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 프레임(3000)은 브라켓부(110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310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100)는 타공(1130)에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3100)는 타공(1130)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공(1130)이 형성된 브라켓부(1100)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거치 프레임(3000)을 결합하여, 거치 프레임(3000)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 프레임(3000)은 클립 형상을 갖는 홀더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거치 프레임(3000)은 ㄷ 자 형상을 갖는 홀더일 수 있다. 사용자는, 브라켓부(1100) 상에 결합된 거치 프레임(3000)에 외부 장치를 고정 및/또는 지지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와이파이 공유기와 같은 주변 기기를 거치 프레임(3000)에 고정시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는 별도로 주변 기기를 거치할 장소 또는 환경을 마련하지 않아도,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주변 기기를 브라켓부(1100) 상에 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 전체를 지지하는 하단 프레임부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 프레임부(1300)를 위에서 본 도면으로,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와 제 2 하단 브레임부(132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 프레임부(1300)는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 및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의 일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는,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의 일단에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는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뿐만 아니라, 지면에 대하여도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의 일단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 및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는 지면에 대해 다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의 일단에 2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가 결합한 경우,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와 2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는 지면에 대해 삼각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는 나사를 통해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의 일단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는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의 일단에 조립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8의 (b)는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 프레임부(1300)를 하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거치대)는 바 프레임부(1200), 바 프레임부(1200)와 결합되어 바 프레임부(1200)를 지지하는 하단 프레임부(1300) 및 지지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바 프레임부(1200)는 하단 프레임부(1300) 상에 결합할 수 있다. 즉, 바 프레임부(1200)는 하단 프레임부(1300) 상에 결합함으로써, 지면에 대해 각도를 가지고 서도록 지지될 수 있다. 바 프레임부(1200)는, 하단 프레임부(1300) 상에 결합함으로써, 지면에 대해 9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 프레임부(1300)는 바 프레임부(1300)와 결합하기 위하여 하단 프레임부(1300)의 상측에 체결부(1311)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1311)는 하단 프레임부(1300) 상에 위치하는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체결부(1311)는 바 프레임부(1200)의 하측의 인입된 부분과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1311)와 하단 프레임부(1300)의 인입된 부분을 조립하여, 하단 프레임부(1300)를 체결부(1311)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1330)는, 하단 프레임부(1300)의 하면에 위치하여 하단 프레임부(13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330)는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의 하면의 일부 및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의 하면의 일부에 결합하여, 하단 프레임부(1300)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1330)는, 하단 프레임부(1300)의 하면에 나사(s)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330)는, 제 1 하단 프레임부(1310)의 하면과 접시 스크류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330)는,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의 하면과 둥근 머리 스크류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1330)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형상을 갖도록 하단 프레임부(13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330)는, 바 프레임부(1200)에 대해 각도를 갖도록 하단 프레임부(1300)에 결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바 프레임부(1200)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하단 프레임부(1300)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 프레임(1300)은, 지지부(1330)를 통해 하중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133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9는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와 하단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1330)의 상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9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지지부(1330)는 몸통부(1331)와 다리부(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30)는, 몸통부(1331)와 몸통부(13310)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다리부(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1330)는 몸통부(1331) 및 다리부(1332)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홀(h)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1330)는 홀(h1)을 통해 하단 프레임부(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하단 프레임부)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몸통부(1331)는, 제 1 하단 프레임부(예를 들어, 도 8에서 설명한 제 1 하단 프레임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단 프레임부를 지지할 수 있다. 몸통부(1331)는, 제 2 하단 프레임부와는 접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다리부(1332)는, 제 2 하단 프레임부(예를 들어, 도 8에서 설명한 제 2 하단 프레임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하단 프레임부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다리부(1332)는, 제 2 하단 프레임부의 개수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대(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거치대)가 2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를 갖는 경우, 지지부(1330)는, 제 2 하단 프레임부의 개수에 따라 2 개의 다리부(1332)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다리부(1332)는, 복수 개의 다리부 사이의 각도를,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 사이의 각도와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1330)는, 예를 들어, HGI(hot rolled galvanized iron)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b)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는, 제 2 하단 프레임부(1320)의 하면에 대해 경사면을 이루면서 인입되는 지지부 결합부(132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부(1330)는, 다리부(1332)가 지지부 결합부(1321) 내에 삽입되어, 지지부 결합부(1321)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330)는, 지지부 결합부(1321)에 형성된 경사에 의해,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지지부(1330)는, 지지부 결합부(1321) 내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에서 하단 프레임부(1300)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는, 지지부(1330)를 통해, 거치대에 하중이 가해지는 상황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들에 따른 바 프레임부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10의 (a)는 실시예들에 따른 바 프레임부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실시예들에 따른 바 프레임부(1200)는 본체부(1210)와 본체부(1210)를 덮는 커버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본체부(1210)는, 공동을 갖고 일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관 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부(1220)는 본체부(1210)의 개방된 일면을 덮기 위하여, 본체부(1210)의 개방된 일면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판 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거치대를 이용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 와이파이 기기, 모뎀 등의 주변 기기 또는 외부 장치의 케이블을 실시예들에 따른 본체부(1210)에 장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대(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거치대)는 케이블이 밖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부(1220)는 상부 커버부(1221)와 하부 커버부(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상부 커버부(1221)는 본체부(1210)의 개방된 일면 중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하부 커버부(1222)는 본체부(1210)의 개방된 일면 중 하부를 덮을 수 있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확대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상부 커버부(1221)와 하부 커버부(1222)는 각각의 일단에 상부 커버 홀(1221h)과 하부 커버 홀(1222h)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커버 홀(1221h)과 하부 커버 홀(1222h)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 홀(1221h)과 하부 커버 홀(1222h)은 각각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 커버 홀(1221h)과 하부 커버 홀(1222h)이 만나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부 커버홀(1221h) 및 하부 커버홀(1222h)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블이 출입 가능한 형상이면 어떤 것이어도 된다.
또한, 커버 홀은 상부 커버부(1221) 또는 하부 커버부(1222) 중 적어도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 홀은 원, 반원 등의 곡면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 홀(1221h, 1222h)을 통해 바 프레임부(1200) 내에 장입된 케이블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커버 홀(1221h, 1222h)을 통해 바 프레임부(1200) 외에 있던 케이블은 바 프레임부(12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편리하게 거치대에 예를 들어 오디오 기기와 같은 외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들에 따른 하단 프레임부(예를 들어 도 1, 도 8 내지 도 9 에서 설명한 하단 프레임부)는 공동을 갖고 일면이 개방된 형상인 본체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단 프레임부는 하단 프레임부의 본체부를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바닥에 대하여도 주변 기기 또는 외부 장치의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들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모듈(2100)은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180)를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선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180)를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180)는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180)는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180)를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2100)의 수평방향을 x축 수직방향을 y축 그리고 두께 방향을 z축이라 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도 11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부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2100)은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2100)은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중,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2100)은 방송 수신부(105)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는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2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2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모듈(2100)을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7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8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8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1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제1 무선통신 모듈(131) 및 제2 무선통신 모듈(132)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제1 무선통신 모듈(131) 및 제2 무선통신 모듈(132)를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2100)은 신호를 변조 및/또는 복조하는 신호 변복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신호 변복조부는 예를 들면, 제1 무선통신 모듈(131) 및 제2 무선통신 모듈(132)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100)은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2100)은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디스플레이 모듈(2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모듈(2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개의 디스플레이(180)은 각각의 표시패널(181)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제1 전원공급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공급부(19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공급부(192)가 본체 프레임(2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전원공급부(192)로부터 제1 전원 공급부(191)로 전원의 전달은 유선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이 본체 프레임(20)에 결합시 제2 전원공급부(192)와 제1 전원공급부(191)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편리하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무선충전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충전은 한 쌍의 코일을 중첩배치하여 자기공명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제1 전원공급부로서 충전코일(191)을 이용하고 제2 전원공급부로서 전송코일(192)가 이용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20)에 위치하는 전송코일(192)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송코일(192)에 전류가 흐르며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전송코일(192)이 형성한 전자기장 내에 위치하는 충전코일(191)에 전류가 흐르며 디스플레이(180)의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모듈(2100)은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2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13은 도 1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및/또는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부(310)로부터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스케일러(335), 화질 처리부(635), 영상 인코더(미도시), OSD 생성부(340),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350), 및/또는 포맷터(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고,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스케일러(3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케일러(3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작은 경우, 업 스케일링하고,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큰 경우, 다운 스케일링할 수 있다.
화질 처리부(6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화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질 처리부(6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노이즈 제거 처리를 하거나, 입력 영상 신호의 도계조의 해상를 확장하거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수행하거나,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HDR) 기반의 신호 처리를 하거나, 프레임 영상 레이트를 가변하거나, 패널 특성, 특히 유기발광패널에 대응하는 화질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제어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제어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영상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포맷터(Formatter)(36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도록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화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영상 처리부(320) 외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4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한 것처럼,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0) 및 디스플레이 모듈(2100)을 거치하는 거치대(1000)(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거치대(1000)를 통해 거치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장식장이나 설치 환경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하중에 대해 안정성이 높은 거치대(1000)를 가짐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해 안정적이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거치대(1000)에 주변 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므로, 주변 기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또는 환경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거치대(1000) 내에 주변 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100)의 케이블을 장입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이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거치대
1110: 브라켓부
1110: 메인 홀
1111: 삽입부
1112: 거치부
1120: 서브 홀
1130: 타공
1140: 브라켓 본체부
1150: 접속부
1200: 바 프레임부
1210: 본체부
1220: 커버부
1300: 하단 프레임부
2000: 디스플레이 장치
2100: 디스플레이 모듈
3000: 거치 프레임

Claims (12)

  1. 메인 홀 및 상기 메인 홀과 형상을 달리하는 서브 홀을 포함하는 브라켓부;
    상부가 상기 브라켓부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하는 바 프레임부; 및
    상기 바 프레임부의 하부와 결합하며, 바닥에 거치되어 상기 바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하단 프레임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홀은,
    제 1 메인홀 및 제 2 메인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인홀 및 제 2 메인홀은,
    제 1 지름을 갖는 통공 형상인 삽입부와, 상기 제 1 지름과 같거나 상기 제 1 지름보다 작은 제 2 지름을 갖는 통공 형상인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인홀과 상기 제 2 메인홀은 서로 상기 거치부가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홀은 제 1 높이에 위치하는 제 1 메인 홀과 제 2 높이에 위치하는 제 2 메인홀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홀은 상기 제 1 높이에 위치하는 제 1 메인 홀보다 상기 제 2 높이에 위치하는 제 2 메인홀에 더 가까운 제 3 높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복수 개의 타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타공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 포함하는 거치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프레임부는,
    일단이 상기 바 프레임부와 체결되는 제 1 하단 프레임부; 및
    상기 제 1 하단 프레임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단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프레임부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하단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 하단 프레임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몸통부와, 상기 제 2 하단 프레임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 프레임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단 프레임부는,
    상기 제 2 하단 프레임부의 하면에 대해 경사면을 이루면서 인입되는 지지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지지부 결합부 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 프레임부는,
    공동을 갖고 일면이 개방된 본체부와 상기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바 프레임부의 개방된 일면 중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부와 상기 바 프레임부의 개방된 일면 중 하부를 덮는 하부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부와 상기 하부 커버부는 각각 일단에 커버 홀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커버부에 형성된 커버 홀과 상기 하부 커버부에 형성된 커버 홀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메인 홀 및 상기 서브 홀이 형성되는 브라켓 본체부와, 상기 브라켓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바 프레임부를 결합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브라켓 본체부의 후면의 일측상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12.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거치하는 거치대; 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하는 브라켓부; 상부가 상기 브라켓부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하는 바 프레임부; 상기 바 프레임부의 하부와 결합하며, 바닥에 거치되어 상기 바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하단 프레임부; 및 상기 하단 프레임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단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부는,
    일단이 상기 바 프레임부와 체결되는 제 1 하단 프레임부 및 상기 제 1 하단 프레임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단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 2 하단 프레임부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 하단 프레임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몸통부와, 상기 제 2 하단 프레임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064356A 2021-05-18 2021-05-18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56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56A KR20220156377A (ko) 2021-05-18 2021-05-18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56A KR20220156377A (ko) 2021-05-18 2021-05-18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77A true KR20220156377A (ko) 2022-11-25

Family

ID=8423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356A KR20220156377A (ko) 2021-05-18 2021-05-18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63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1378B2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2788435B (zh) 图像显示装置和包括该图像显示装置的视频墙
KR20160036385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56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7386932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KR10247845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4407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34480B1 (ko) 전자기기 지지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2003583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092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40064461A1 (en)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75624A (ko)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1307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406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66231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682329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13775A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6231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KR2024004444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44799A (ko) 음향출력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0921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89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3903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25595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25308A (ko)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