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925A - 폼 펌프 용기 - Google Patents

폼 펌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925A
KR20220154925A KR1020210062479A KR20210062479A KR20220154925A KR 20220154925 A KR20220154925 A KR 20220154925A KR 1020210062479 A KR1020210062479 A KR 1020210062479A KR 20210062479 A KR20210062479 A KR 20210062479A KR 20220154925 A KR20220154925 A KR 20220154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ston
cylinder
liquid piston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구
Original Assignee
강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구 filed Critical 강민구
Priority to KR1020210062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4925A/ko
Publication of KR2022015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5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Sealing arrangements around pump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7Combination of liquid and air pumps
    • B05B11/3002
    • B05B11/3047
    • B05B11/305
    • B05B11/3087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폼 펌프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흡입수단은 내경과 외경이 다른 두 개의 링형상의 판으로서, 상기 원판형상부(52)의 상단수평부(52b) 상면에 올려져 있으면서 다수의 제1 밸브용 공기홀(52a)을 개폐하는 어퍼밸브(131)와, 상기 원판형상부(52)의 하부수평부(52d) 상면에 올려져 있으면서 다수의 제2 밸브용 공기홀(52c)을 개폐하는 로워밸브(1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를 순간적으로 유입시키고 공기 통로를 폐쇄하는 공기유입수단인 어퍼밸브와 로워밸브를 간단하게 구성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 및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폼 펌프 용기{FOAM PUMP CONTAINER}
본 발명은 폼 펌프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를 빨아올리는 동시에 공기를 흡입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 및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폼 펌프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무스와 같은 내용물을 거품상태로 주출하기 위해서는 용기 내에 액화 석유 가스 또는 프레온 가스 등과 같은 압축 가스를 충진하여, 압축 가스가 분출될 때에 내용물을 같이 분출시켜 거품을 생성하게 하였다.
그런데, 압축 가스를 이용하는 방식은 압축 가스로 이용되는 가스가 자연 환경에 유해하거나, 인체에 유해하고, 화재의 위험성이 있는 가스이기 때문에 자연 친화적이면서 안정적인 공기 펌프 방식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디스펜서의 문제점을 해소한 공기펌프방식의 디스펜서는 액체의 내용물을 펌핑(Pumping)하면서 동시에 공기를 펌핑하여 내용물과 공기를 펌프 내에서 혼합하여 망사로 이루어진 거품생성판을 통과시켜 거품을 주출할 수 있게 하는 거품분출펌프가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거품분출펌프의 예로는 국제특허출원 제PCT/JP 95/002356호(국내 공개번호 제97-700624호)와 실용신안등록 제112244호 및 실용신안출원 제97-23327호(공개번호 제97-56652호)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거품분출펌프도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즉, 펌프를 수직으로 똑바로 세워야만 작동하고 수평으로 눕혀서는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밸브의 작동이 확실하지 않아 공기 차단력이 떨어지며, 피스톤 작동이 부드럽지 못하고 뻑뻑하며, 특히 공기와 내용물을 잘 혼합해 주지 못하여 거품생성이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 본 발명으로서 펌프를 수평으로 눕혀도 작동이 원활하며, 밸브의 작동을 확실하게 하여 공기차단력을 완벽하게 하였으며 피스톤 작동을 부드럽고 완전하게 하였고 특히 공기와 내용물을 잘 혼합한 후 거품생성판을 통과하게 하여 거품이 안정적이고 양호하게 주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손세정제 등의 제품은 투명해서 손에 도포된 정도를 간음할 수 없으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액상의 제품을 공기로 발포시켜 폼(foam)을 형성하므로 사용자가 손세정제의 도포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사용감이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폼분출용기는 세제나 세정제와 같은 발포성을 갖는 액체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에 장착되는 폼분출펌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폼분출펌프는 펌프의 헤드부를 밀어내림으로써 본체 내의 액체를 빨아올리는 동시에 본체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된다.
펌프에 흡입된 액체는 공기와 혼합된 후 발포부재에서 폼(foam)으로 발포되고 펌프 헤드의 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분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폼분출펌프는 액체를 빨아올리는 수단과 공기를 흡입하는 수단을 별도로 구성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구성이 복잡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생산원가가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액체를 빨아올리는 동시에 공기를 흡입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 및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폼 펌프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폼 펌프 용기는, 내용물을 담는 용기의 상부 입구에 나사 결합되는 숄더부재와; 상기 용기 내에 삽입되고 그 상부 입구의 상면과 상기 숄더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의 대경실린더와 중간의 중경실린더와 하부의 소경실린더로 이루어진 실린더하우징과; 상기 실린더하우징의 대경실린더의 내주연을 따라 승강하는 공기피스톤과; 상기 실린더하우징의 중경실린더와 소경실린더의 경계선 상에 삽입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내캡과; 상기 공기피스톤의 내주에 위치하면서 공기피스톤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는 제1 액체피스톤과; 상기 제1 액체피스톤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공관 형상의 부재로서 폐쇄된 하단의 측면에 다수의 유입홀이 형성된 제2 액체피스톤과; 상기 제2 액체피스톤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주연이 상기 유입홀을 개폐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그 외주연은 상기 실린더하우징의 소경실린더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씰캡과; 상기 제1 액체피스톤의 중공형상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피스톤의 내측중간에 형성되는 소경플렌지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폼형성부재와; 상기 실린더하우징(20)의 소경실린더(23)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이 실린더하우징(20) 내로 유입되도록 개폐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공기피스톤의 상단에 결합되어 누름 작동에 의해 승강하면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프헤드와; 상기 제1 액체피스톤의 중공형상부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하우징 내캡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액체피스톤의 원판형상부의 하강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과; 상기 제1 액체피스톤의 원판형상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폼형성부재의 하부로 공급시키는 공기흡입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에 의하면, 외부의 공기를 순간적으로 유입시키고 공기 통로를 폐쇄하는 공기유입수단인 어퍼밸브와 로워밸브를 간단하게 구성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 및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가 작동될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의 제1 액체피스톤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의 공기피스톤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의 폼 형성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의 어퍼 밸브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6c 및 도 6d는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의 로워 밸브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 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가 작동될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의 제1 액체피스톤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의 공기피스톤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의 폼 형성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의 어퍼 밸브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6c 및 도 6d는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의 로워 밸브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는, 내용물을 담는 용기(도시안됨)의 상부 입구에 나사 결합되는 숄더부재(10)와; 상기 용기 내에 삽입되고 그 상부 입구의 상면과 상기 숄더부재(10) 사이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의 대경실린더(21)와 중간의 중경실린더(22)와 하부의 소경실린더(23)로 이루어진 실린더하우징(20)과; 상기 실린더하우징(20)의 대경실린더(21)의 내주연을 따라 승강하는 공기피스톤(30)과; 상기 실린더하우징(20)의 중경실린더(22)와 소경실린더(23)의 경계선 상에 삽입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내캡(40)과; 상기 공기피스톤(30)의 내주에 위치하면서 공기피스톤(30)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는 제1 액체피스톤(50)과;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공관 형상의 부재로서 폐쇄된 하단의 측면에 다수의 유입홀(61)이 형성된 제2 액체피스톤(60)과; 상기 제2 액체피스톤(6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주연이 상기 유입홀(61)을 개폐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그 외주연은 상기 실린더하우징(20)의 소경실린더(23)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씰캡(70)과;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중공형상부(51)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피스톤(30)의 내측중간에 형성되는 소경플렌지(31a)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폼형성부재(80)와; 상기 실린더하우징(20)의 소경실린더(23)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이 실린더하우징(20) 내로 유입되도록 개폐하는 체크밸브(90)와; 상기 공기피스톤(30)의 상단에 결합되어 누름 작동에 의해 승강하면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프헤드(100)와;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중공형상부(51)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하우징 내캡(40)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액체피스톤의 원판형상부(52)의 하강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120)과;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원판형상부(52)의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폼형성부재(80)의 하부로 공급시키는 공기흡입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피스톤(30)은, 상기 펌프헤드(100)의 내주연에 삽입되는 상단소경부(31)와, 상기 상단소경부(31)에서 하부로 확경되는 하부확경부(32)와, 상기 하부확경부(32)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하우징(20)의 대경실린더(21)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밀착판(33)과, 상기 상단소경부(31)와 하부확경부(32)를 수평으로 연장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다수의 홀(34a)이 형성된 수평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은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 파이프로서, 하단 외주연은 상기 하우징 내캡(40)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중공형상부(51)와, 상기 중공형상부(51)의 상부측에 수평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피스톤(30)의 상단소경부(31)의 내주연과 수평부(34)의 하면에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원판형상부(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판형상부(52)는, 상기 상단소경부(31)의 내주연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다수의 제1 밸브용 공기홀(52a)이 형성된 상단수평부(52b)와, 상기 상단수평부(52b)로부터 하부로 다수 절곡된 부분으로서, 다수의 제2 밸브용 공기홀(52c)이 형성된 하부수평부(52d)로 이루어진다.
상기 폼형성부재(80)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공기피스톤(30)의 소경플렌지(31a)의 하부에서 상단소경부(31)의 내주연에 밀착 결합되는 상단부(81)와, 상기 상단부(81)의 하부에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상단부(8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중공형상부(51)의 상단에 삽입 결합된 하단부(82)와, 상기 상단부(81)와 하단부(82)의 경계면으로서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중공형상부(51)로부터 유입되는 내용물을 폼 형상으로 분출되도록 다수의 분출홀(83a)이 형성된 분출판부(83)와, 상기 하단부(82)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중공형상부(51)를 결합시키면서 상기 중공형상부(51)의 외주연과 하단부(82)의 내주연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결합부(84)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분출홀(83a)은 상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흡입수단은 내경과 외경이 다른 두 개의 링형상의 판으로서, 상기 원판형상부(52)의 상단수평부(52b) 상면에 올려져 있으면서 다수의 제1 밸브용 공기홀(52a)을 개폐하는 어퍼밸브(131)와, 상기 원판형상부(52)의 하부수평부(52d) 상면에 올려져 있으면서 다수의 제2 밸브용 공기홀(52c)을 개폐하는 로워밸브(132)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폼 펌프 용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폼 펌프 용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펌프헤드(100)를 누르면, 공기피스톤(30)과 제1 및 제2 액체피스톤(50, 60)이 하강하면서 소경실린더(23) 내의 체적이 작아져 압력이 발생되고, 이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90)가 열리면서 용기 내의 내용물이 소경실린더(23)를 거쳐 제1 및 제2 액체피스톤(50, 60) 내로 유입된다.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중공형상부(51) 내의 내용물은 폼형성부재(80)의 다수의 분출홀(83a)로 분출되는바, 공기피스톤(30)이 하강하면서 실린더하우징(20)의 대경실린더(21)의 측면에 형성된 외부통로(21a)를 개방하게 되어 이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실린더하우징(20) 내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피스톤(30)의 다수의 홀(34a)을 통해 순간적으로 유입되고 공기피스톤(30)이 하강하면서 실린더하우징(20) 내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제1 액체피스톤(50)의 하부수평부(52d)에 안착된 로어밸브(132)를 위로 들어 올려 다수의 제1 및 제2 밸브용 공기홀(52a, 52c)을 동시에 개방하면서 공기피스톤(30)의 다수의 홀(34a)을 폐쇄하게 된다.
즉,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피스톤(30) 하부의 공기는 공기피스톤(30)의 하강에 의해 대경실린더(21) 내의 체적이 줄어듬에 따라 다수의 제1 밸브용 공기홀(52a)로 배출되고, 이 공기는 폼형성부재(80)의 공기유입결합부(84) 사이에서 중공형상부(51)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과 만나 내용물이 거품 형태로 변하여 다수의 분출홀(83a)로 분출된다.
이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순간적으로 유입시키고 공기 통로를 폐쇄하는 공기유입수단인 어퍼밸브와 로워밸브를 간단하게 구성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 및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0 : 숄더부재 20 : 실린더하우징
21, 22, 23 : 대경, 중경, 소경실린더 30 : 공기피스톤
40 : 하우징 내캡 50, 60 : 제1, 2 액체피스톤
70 : 씰캡 80 : 폼형성부재
90 : 체크밸브 100 : 펌프헤드
120 : 스프링 131, 132 : 어퍼 및 로워 밸브

Claims (4)

  1. 내용물을 담는 용기(도시안됨)의 상부 입구에 나사 결합되는 숄더부재(10)와;
    상기 용기 내에 삽입되고 그 상부 입구의 상면과 상기 숄더부재(10) 사이에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의 대경실린더(21)와 중간의 중경실린더(22)와 하부의 소경실린더(23)로 이루어진 실린더하우징(20)과;
    상기 실린더하우징(20)의 대경실린더(21)의 내주연을 따라 승강하는 공기피스톤(30)과;
    상기 실린더하우징(20)의 중경실린더(22)와 소경실린더(23)의 경계선 상에 삽입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 내캡(40)과;
    상기 공기피스톤(30)의 내주에 위치하면서 공기피스톤(30)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는 제1 액체피스톤(50)과;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하단에 결합되는 중공관 형상의 부재로서 폐쇄된 하단의 측면에 다수의 유입홀(61)이 형성된 제2 액체피스톤(60)과;
    상기 제2 액체피스톤(6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주연이 상기 유입홀(61)을 개폐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그 외주연은 상기 실린더하우징(20)의 소경실린더(23)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씰캡(70)과;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중공형상부(51)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피스톤(30)의 내측중간에 형성되는 소경플렌지(31a)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폼형성부재(80)와;
    상기 실린더하우징(20)의 소경실린더(23)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용기 내의 내용물이 실린더하우징(20) 내로 유입되도록 개폐하는 체크밸브(90)와;
    상기 공기피스톤(30)의 상단에 결합되어 누름 작동에 의해 승강하면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프헤드(100)와;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봉 형상부(52)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하우징 내캡(40)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액체피스톤의 원판형상부(52)의 하강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120)과;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원판형상부(52)의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폼형성부재(80)의 하부로 공급시키는 공기흡입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펌프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피스톤(30)은, 상기 펌프헤드(100)의 내주연에 삽입되는 상단소경부(31)와, 상기 상단소경부(31)에서 하부로 확경되는 하부확경부(32)와, 상기 하부확경부(32)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하우징(20)의 대경실린더(21)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밀착판(33)과, 상기 상단소경부(31)와 하부확경부(32)를 수평으로 연장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다수의 홀(34a)이 형성된 수평부(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은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 파이프로서, 하단 외주연은 상기 하우징 내캡(40)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중공형상부(51)와, 상기 중공형상부(51)의 상부측에 수평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피스톤(30)의 상단소경부(31)의 내주연과 수평부(34)의 하면에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원판형상부(52)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판형상부(52)는, 상기 상단소경부(31)의 내주연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다수의 제1 밸브용 공기홀(52a)이 형성된 상단수평부(52b)와, 상기 상단수평부(52b)로부터 하부로 다수 절곡된 부분으로서, 다수의 제2 밸브용 공기홀(52c)이 형성된 하부수평부(52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펌프 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폼형성부재(80)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공기피스톤(30)의 소경플렌지(31a)의 하부에서 상단소경부(31)의 내주연에 밀착 결합되는 상단부(81)와, 상기 상단부(81)의 하부에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상단부(8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중공형상부(51)의 상단에 삽입 결합된 하단부(82)와, 상기 상단부(81)와 하단부(82)의 경계면으로서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중공형상부(51)로부터 유입되는 내용물을 폼 형상으로 분출되도록 다수의 분출홀(83a)이 형성된 분출판부(83)와, 상기 하단부(82)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액체피스톤(50)의 중공형상부(51)를 결합시키면서 상기 중공형상부(51)의 외주연과 하단부(82)의 내주연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결합부(84)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분출홀(83a)은 상부로 갈수록 그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펌프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수단은 내경과 외경이 다른 두 개의 링형상의 판으로서, 상기 원판형상부(52)의 상단수평부(52b) 상면에 올려져 있으면서 다수의 제1 밸브용 공기홀(52a)을 개폐하는 어퍼밸브(131)와, 상기 원판형상부(52)의 하부수평부(52d) 상면에 올려져 있으면서 다수의 제2 밸브용 공기홀(52c)을 개폐하는 로워밸브(1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펌프 용기.











KR1020210062479A 2021-05-14 2021-05-14 폼 펌프 용기 KR20220154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79A KR20220154925A (ko) 2021-05-14 2021-05-14 폼 펌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79A KR20220154925A (ko) 2021-05-14 2021-05-14 폼 펌프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925A true KR20220154925A (ko) 2022-11-22

Family

ID=8423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479A KR20220154925A (ko) 2021-05-14 2021-05-14 폼 펌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49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9607B1 (en) Dispensing device
CN114030767B (zh) 泡沫吐出容器
KR100311592B1 (ko) 거품분출펌프부착용기
KR10143098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2077854A1 (ko) 액체용기용 포밍펌프 어셈블리
KR101765026B1 (ko) 스퀴즈 용기용 거품발생펌프 및 그의 작동방법
WO2004098362A3 (en) Foaming liquid dispenser
WO2016104591A1 (ja) 泡吐出器
CN109760940B (zh) 一种按压式容器
KR102206987B1 (ko) 누액방지 기능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WO2020143816A1 (zh) 一种具有打气出液的容器
KR101038011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프
KR20230008426A (ko) 폼 펌프 용기
KR20220154925A (ko) 폼 펌프 용기
KR20230074924A (ko) 폼 펌프 용기
KR101310246B1 (ko) 노즐 출몰형 화장품 용기
KR101383919B1 (ko) 이종유체 토출형 화장품 용기
KR200383098Y1 (ko) 화장품 용기의 노즐 개폐장치
CA3094987A1 (en) Foam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s with differential bore suck-back mechanism
CN214387301U (zh) 手持按压式出液件和出皂装置
JP3752205B2 (ja) 泡噴出ポンプ容器
WO2022052764A1 (zh) 手持按压式出液件和出皂装置
KR102229912B1 (ko) 화장액 용기
CN213706516U (zh) 一种新型真空容器
JP2000051748A (ja) 泡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