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429A -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 프리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 프리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429A
KR20220154429A KR1020210061962A KR20210061962A KR20220154429A KR 20220154429 A KR20220154429 A KR 20220154429A KR 1020210061962 A KR1020210061962 A KR 1020210061962A KR 20210061962 A KR20210061962 A KR 20210061962A KR 20220154429 A KR20220154429 A KR 20220154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ate
shampoo composition
surfactant
present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욱
우성주
지준철
김민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1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4429A/ko
Publication of KR2022015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인해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은 탈모 예방 및 두피와 피부에 저 자극이면서도 우수한 세정력, 기포력을 가지고, 특히 설페이트계를 함유하지 않아 색 빠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으며 컨디셔닝 효과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 프리 샴푸 조성물{Sulfate-free shampoo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improving scalp condition, including extracts of Mirabilis jalapa and Acer palmatum}
본 발명은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은 샴푸 조성물로서, 두피에 마일드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자극을 줄이면서도 상대적으로 기포력과 세정력,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는 개성표현의 니즈를 표현하고자 다양한 염모제, 퍼머제, 왁스, 무스 모발 관련 제품 등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자외선 외에도 미세먼지 및 황사 등 외부로부터의 각종 유해 물질들이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두피와 모발을 오염시키고 있다.
실제로, 민감성 두피의 경우는 이러한 염색,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 또는 각종 대기 환경 오염물질들이 두피의 상태를 악화하는 등 염증을 유발한다는 각종 보고들이 잇따르고 있다. 이러한 자극 현상과 염증은 급기야는 더 나아가 탈모로 이어지고 있고, 이로 인해 외모에 대한 변화를 유발하여, 탈모환자들에게는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생장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약물로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공인받은 것은 미녹시딜(Minoxidil)과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약물은 약물의 효과 지속 기간이 짧고, 성욕감퇴, 피나스테리드의 경우에는 임신여성의 위험성, 약물 투여 중단시 약물 투여전보다 다시 탈모가 진행되거나, 호르몬의 불균형을 야기하는 등의 부작용 등이 일부 보고되고 있어서 새로운 탈모방지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양한 대기환경의 외부 오염원 및 염모제, 퍼머제 등의 헤어제품 사용 등으로 인한 두피의 안 좋은 상태를 개선하고, 궁극적으로는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효능을 보유하는 조성물을 발굴하고, 개발하는 것이 절실하다. 최근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자생 천연물들을 사용한 화장품 등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탈모예방 또는 발모를 위한 세포 모델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한데,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서 모유두 세포(hair follicel dermal papilla cells)를 선정하였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15만 개 정도이며 모낭(hair follicle)에서 형성되며, 모낭에는 유두가 있는데, 이 부위에 작은 혈관이 분포되어 있으며, 모발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해준다. 모낭은 여러 다른 상피세포들(epithelial cells) 및 모유두세포로로 이루어진다. 이 모유두세포는 모낭의 기저부에 위치한 중간엽-유래 섬유아세포(mesenchymally-derived fibroblasts)이며 육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미녹시딜이나 피나스테리드는 모유두세포의 증식 및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공지되지 않은 식물로부터 피부 외용제로서의 활용 가능한 소재들을 모유두세포를 활용하여, 1차적으로 발굴하였다.
더 나아가서, 이 효능 추출물을 발굴하는 데, 그치지 않고, 피부 자극을 덜 하는, 샴푸 주성분인 계면활성제에 대해서도 발굴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샴푸 주성분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계면활성제는 세정력과 기포력을 위해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며 대표적으로 설페이트 계면활성제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각종 생활용품에 함유된 계면활성제는 유해하다는 보도 때문에 경각심이 높아졌고 특히 샴푸에 있는 음이온 설페이트 계면활성제는 인체에 치명적이라는 논리로 이어지고 있다.
아직도 대부분의 샴푸에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와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또는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와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계면 조합의 샴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설페이트 샴푸는 세정 능력이 아주 강한 편이기 때문에 모발의 큐티클을 열어 모발의 염색 색상이 쉽게 빠져나가게 만들기 때문에 세정력이 적당한 설페이트 프리 샴푸를 사용함으로써 모발의 염색 물빠짐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탈모를 방지하는 천연추출물들을 발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저자극 계면활성제 선택 및 적정 조합 기술로 샴푸의 주요 속성인 세정력과 기포력,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고 이외에도 비듬방지효과, 외관차별성, 점도조절, 향취부여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기타 성분들을 첨가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3-00224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05632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3-005538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118021호
본 발명은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인해 제조되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생식물 추출물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하 한국 식물추출물 은행으로부터 확보하였으며, 인간 유래 모유두세포에 처리를 하여, 모유두세포의 증식에 효과적인 자생식물인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을 발굴하였다. 이와 함께, 기존에 공지된 창포 (Acorus calamus), 생강 (Lindera obtusiloba), 약모밀 (Houttuynia cordata), 고삼 (Sophora flavescens) 지하부, 쑥 (Artemisia princeps), 인삼 (Panax ginseng), 뽕 (Morus alba) 등의 모유두세포의 증식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런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자생식물 추출물들의 혼합(최대함량 ~5%)을 기반으로 하여, 계면활성제 중에서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설페이트프리 조성물을 제공하며 설포네이트계인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로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30w%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계면활성제로는 글루타메이트계, 타우레이트계, 글리시네이트계, 알라니네이트계로서 계면 안정성과 부드러운 기포 품질, 컨디셔닝 개선 효과를 위해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소듐코코일N-메틸타우레이트로 총 중량 대비 5 내지 15w%로 포함될 수 있다.
기포력과 컨디셔닝 시너지효과를 위해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과 라우릴설테인을 사용하여 기포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용감 테스트를 통해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5 내지 20w%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 베타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테인계와 베타인계의 계면 조합은 기포력과 세정력을 향상시키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에 매우 우수한 기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코카마이드엠이에이를 3 내지 10w%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와 소듐메틸코코일타우레이트, 라우릴베타인, 라우릴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추가할 수 있다.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와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액정 제형 기술은 모발의 컨디셔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에서 점증 및 가용화에 도움을 주기 위해 비이온계면활성제 이외에도 피이지-150디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거나 올리브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혼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총 중량 대비 0.5-3%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부제, 향료, PH조절제, 보습제, 컨디셔닝제등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첨가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0.001-5%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은 탈모 예방 및 두피와 피부에 저 자극이면서도 우수한 세정력, 기포력을 갖는다. 특히 설페이트계를 함유하지 않아 색 빠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으며 컨디셔닝 효과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모유두세포에 처리한 각각의 자생식물 추출물의 인간 모유두세포의 Wound Healing (Scratch) 회복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모유두세포에 처리한 각각의 자생식물 추출물의 알칼리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 (alkaline phosphatase)의 발현 증가 차이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기존 설페이트 함유 샴푸와 설페이트프리 샴푸 제형의 기포력 평가의 차이가 거의 없음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기존 설페이트 함유 샴푸와 설페이트프리 샴푸 제형의 세정력평가의 차이를 차이가 거의 없음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인간 탈모 예방에 핵심 세포인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정제수에 양이온성 고분자 폴리쿼터늄-10을 혼합, 분산시켜 제조하는 단계, 상기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와 소듐메칠코코일타우레이트, 라우릴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실설테인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코카마이드엠이에이와 피이지-150디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하는 단계, 코카마이드프로필베타인과 올리브오일피이지-7에스터를 혼합하는 단계, 효능 소재인 자생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정제수에 폴리쿼터늄-10을 혼합, 분산시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정제수 40 내지 60wt%, 폴리쿼터늄-10 0.01 내지 3wt%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와 소듐메칠코코일타우레이트, 라우릴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실설테인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총 중량을 기준으로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는 5 내지 30wt%, 소듐코코일N-메틸타우레이트로 5 내지 15wt%, 라우릴베타인 1 내지 10wt%,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1 내지 10wt%, 코카마이드엠이에이 1내지 10wt%, 피이지-150디스테아레이트 0.5 내지 3wt%.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 내지 20w%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효능 소재 효과가 입증된 자생 식물 추출물, 비타민, 보습제, 컨디셔닝제, 살균보존제 등에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각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0.01 내지 3w%의 범위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생식물 추출물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하 한국 식물추출물 은행으로부터 확보하였으며, 인간 유래 모유두세포에 처리를 하여, 모유두세포의 증식에 효과적인 자생식물인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을 발굴하였다. 이와 함께, 기존에 공지된 창포(Acorus calamus), 생강(Lindera obtusiloba), 약모밀(Houttuynia cordata), 고삼(Sophora flavescens) 지하부, 쑥 (Artemisia princeps), 인삼(Panax ginseng), 뽕(Morus alba) 등의 모유두세포의 증식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런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자생식물 추출물들의 혼합(최대함량 ~5%)을 기반으로 하여, 계면활성제 중에서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설페이트프리 조성물을 제공하며 설포네이트계인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로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30w%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계면활성제로는 글루타메이트계, 타우레이트계, 글리시네이트계, 알라니네이트계로서 계면 안정성과 부드러운 기포 품질, 컨디셔닝 개선 효과를 위해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소듐코코일N-메틸타우레이트로 총 중량 대비 5 내지 15w%로 포함될 수 있다.
기포력과 컨디셔닝 시너지효과를 위해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과 라우릴설테인을 사용하여 기포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용감 테스트를 통해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5 내지 20w%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은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 베타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테인계와 베타인계의 계면 조합은 기포력과 세정력을 향상시키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에 매우 우수한 기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코카마이드엠이에이를 3 내지 10w%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와 소듐메틸코코일타우레이트, 라우릴베타인, 라우릴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를 추가할 수 있다.
양이온성 수용성 고분자와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액정 제형 기술은 모발의 컨디셔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에서 점증 및 가용화에 도움을 주기 위해 비이온계면활성제 이외에도 피이지-150디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거나 올리브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혼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총 중량 대비 0.5 내지 3%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부제, 향료, PH조절제, 보습제, 컨디셔닝제 등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첨가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0.001 내지 5%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인간 모유두세포의 Wound Healing (Scratch) 효능 관찰
인간 탈모 예방에 핵심 세포인 모유두세포 (human dermal papilla cells)를 35 mm dish 세포 배양접시에 5X104/ml로 배양을 한 후, 한가운데 yellow tip 끝부분으로 scratch를 낸 후, 음성 대조군인 H2O2(375 μM) 처리군,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50 μM) 및 각 천연 자생식물 추출물(개나리, 고삼(지상), 국수나무, 굴피, 닥나무, 단풍, 당드릅나무, 미루나무, 붉은 토끼, 산자, 산초, 소나무, 오갈피, 생강(잎), 생강(줄기), 잣나무, 참마, 창포, 쑥, 고삼(지하부), 이하 100 ppm, 약모밀(어성초라 함), 인삼, 이하 10 ppm)를 각각 24시간 처리한 후, 인간 모유두세포의 세포 수 및 형태를 현미경(Phase contrast microscopy)으로 관찰하고, 결과 이미지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H2O2 (375 μM)를 처리한 음성대조군에 비해서, 생강(잎), 생강(줄기), 약모밀, 인삼, 잣나무, 참마, 창포, 쑥, 고삼(지하부), 단풍, 분꽃)를 처리한 인간 모듀우세포의 세포수가 증가하여 중앙 부위가 상당히 복구되는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에 개나리, 고삼(지상), 국수나무, 굴피, 닥나무, 당드릅나무, 미루나무, 붉은 토끼, 산자, 산초, 소나무, 씀바귀, 오갈피 처리한 군에서는 세포가 죽는 현상이 일어나거나, H2O2 (375 uM)를 처리한 음성대조군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각 데이터는 대표 이미지, n=3)
실험예 2. 알칼리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 (alkaline phosphatase)의 발현
실험군 및 대조군은 상기 실험예 1에서 선별된 천연 자생식물 추출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음성 대조군인 H2O2 (375 μM)처리군,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50 μM) 및 각 천연자생식물 추출물 (생강(잎), 생강(줄기), 약모밀(어성초라 함), 인삼, 잣나무, 참마, 창포, 쑥, 고삼(지하부), 단풍, 분꽃)를 24시간 처리한 후, 배양 배지를 걷어내고 고정 용액을 5분 동안 처리하였다. 한편, 음성 대조군 1은 인간 모유두 세포에 고정 용액을 5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각각의 군에서 상기 고정 용액을 제거한 후, 각각의 군에 알칼리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 기질(alkaline phosphatase substrate (Abcam))을 30분간 처리한 후 3차 증류수로 염색된 세포를 씻어주고, 현미경(Phase contrast microscopy)으로 푸른 색으로 염색된 세포를 관찰하고, 결과 이미지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H2O2 (375 μM)를 처리한 음성대조군에 비해서, 생강(잎), 생강(줄기), 약모밀, 인삼, 잣나무, 참마, 창포, 쑥, 고삼(지하부))를 처리한 인간 모듀우세포에서, 푸른 색을 띠는 세포의 수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알칼리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alkaline phosphatase)가 증가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각 데이터는 대표 이미지, n=3).
하기의 표 1로 표시되는 조성으로 설페이트 프리 샴푸 제형을 제조하였다:
성분(단위:중량%) 비교1 비교2 비교3 실시1 실시2 실시3
소듐라우릴설페이트 (SLS) 32
소듐라루레스설페이트 (SLES) 14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ALS) 32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ALES) 14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 (SOS) 32 24 28 32
소듐메칠코코일타우레이트 (SMT) 14 10 12 14
라우릴베타인 5 5 5 5 5 5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5 5 5 5 5 5
코카마이엠이에이 5 5 5 5 5 5
피이지-150디스테아레이트 2 2 2 2 2 2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 5 5 5 5 5
향료글리세린 2 2 2 2 2 2
향료 1 1 1 1 1 1
상기 천연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 5 5 5 5 5 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상기 도 2에 해당되는 새롭게 도출한 분꽃, 단풍외에 기존에 공지된 탈모예방 자생식물 추출물인 생강(잎), 생강(줄기), 약모밀(어성초), 인삼, 참마, 창포, 쑥, 고삼(지하부), 뽕의 조성 혼합비율은 최대 5%로 하는 것으로 고려하였다.
비교 1은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로서 소둠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비교 2는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비교 3은 소듐올레핀C14-16설포네이트와 소듐메칠코코일타우레이트를 사용한 예이다.
실험예 3. 기포력 평가
제조된 샴푸 조성물 0.5w% 용액 100ml를 샴푸용액 20ml가 담긴 250ml 메스실린더에 자유낙하를 시켜 발생하는 기포의 부치를 측정하여 표기하여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설페이트 샴푸와 큰 차이가 없는 기포력을 나타냈다 (평균값).
실험예 4. 세정력 평가
설페이트 샴푸의 세정력 대비 차이를 측정하고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설페이트 샴푸의 세정력 대비 차이가 약 20%인 바, 모발의 손상이나 염색모의 물빠짐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happycall 세정력 시험자료 참조).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분꽃(Mirabilis jalapa) 및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중 1종 이상;
    계면활성제로서,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
    보조 계면활성제로서, 글루타메이트계, 타우레이트계, 글리시네이트계 및 알라니네이트계 중 1종 이상;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설테인 및 라우릴베타인 중 1종 이상; 및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코카마이드엠이에이;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 프리 샴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생강 (Lindera obtusiloba), 약모밀 (Houttuynia cordata), 인삼 (Panax ginseng), 잣나무 (Pinus koraiensis), 참마 (Dioscorea japonica), 창포 (Acorus calamus), 쑥 (Artemisia princeps), 고삼 (Sophora flavescens) 지하부 및 뽕 (Morus alba)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보조 계면활성제는 소듐코코일N-메틸타우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분꽃(Mirabilis jalapa) 및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생강 (Lindera obtusiloba), 약모밀 (Houttuynia cordata), 인삼 (Panax ginseng), 잣나무 (Pinus koraiensis), 참마 (Dioscorea japonica), 창포 (Acorus calamus), 쑥 (Artemisia princeps) 및 고삼 (Sophora flavescens) 지하부 추출물;
    계면활성제로서,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
    보조 계면활성제로서, 소듐코코일N-메틸타우레이트;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설테인 및 라우릴베타인;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코카마이드엠이에이;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KR1020210061962A 2021-05-13 2021-05-13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 프리 샴푸 조성물 KR20220154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962A KR20220154429A (ko) 2021-05-13 2021-05-13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 프리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962A KR20220154429A (ko) 2021-05-13 2021-05-13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 프리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429A true KR20220154429A (ko) 2022-11-22

Family

ID=8423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962A KR20220154429A (ko) 2021-05-13 2021-05-13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 프리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442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321A (ko) 2007-11-30 2009-06-03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오일을 함유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
KR20130022484A (ko) 2011-08-24 2013-03-07 (주)아모레퍼시픽 인간 피부 진피 유래 성체 줄기세포
KR20130055387A (ko) 2011-11-18 2013-05-28 (주)아모레퍼시픽 기포력이 우수한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KR20170118021A (ko) 2017-10-12 2017-10-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321A (ko) 2007-11-30 2009-06-03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오일을 함유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
KR20130022484A (ko) 2011-08-24 2013-03-07 (주)아모레퍼시픽 인간 피부 진피 유래 성체 줄기세포
KR20130055387A (ko) 2011-11-18 2013-05-28 (주)아모레퍼시픽 기포력이 우수한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KR20170118021A (ko) 2017-10-12 2017-10-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설페이트―프리 샴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342B1 (ko) 주름을 방지 또는 개선하기 위한 경구, 주사, 피부 외용제 및 미용 방법
EP1755547B1 (en) Hair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010057585A (ko) 피부외용제
KR101540333B1 (ko)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샴푸
KR20140126892A (ko)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8771645B (zh) 一种藜麦洗发水及其制造方法
CN105476950A (zh) 无添加天然保湿泡沫洁面乳
CN108938482A (zh) 虫草组合物、虫草面膜及制备方法、应用
CN108272689A (zh) 一种舒敏护肤的护肤组合物及其应用
KR102248485B1 (ko)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4485B1 (ko) 인체유래 줄기세포 배양액을 고함량 안정화시킨 고분자유화좀을 함유하는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175249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90001136A (ko) 올리고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리프팅 팩 조성물
JP2009079018A (ja) 頭皮用化粧料
WO2001034102A1 (fr) Compositions de soin pour les cheveux et le cuir chevelu
KR20220154429A (ko) 분꽃(Mirabilis jalapa), 단풍(Acer palmatum)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설페이트 프리 샴푸 조성물
WO1998052516A1 (en) Scalp care compositions
KR102255264B1 (ko) 당근의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JP4088021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皮膚外用剤組成物
KR102276289B1 (ko) 모발용 조성물
KR20140126891A (ko) 진세노사이드 Rf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27219B1 (ko) 기포력 및 안정성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인체 세정제 조성물
CN113648261A (zh) 一种具有头皮护理功效的生姜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102587590B1 (ko) 피부 상태 개선 기능성 유색 세정제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