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803A - 토양침투 구조물 - Google Patents

토양침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803A
KR20220151803A KR1020210059027A KR20210059027A KR20220151803A KR 20220151803 A KR20220151803 A KR 20220151803A KR 1020210059027 A KR1020210059027 A KR 1020210059027A KR 20210059027 A KR20210059027 A KR 20210059027A KR 20220151803 A KR20220151803 A KR 20220151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ipe
penetration structure
beak
pip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7153B1 (ko
Inventor
한세희
김원규
한충희
Original Assignee
한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세희 filed Critical 한세희
Priority to KR102021005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15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Abstract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테이퍼지도록 폐쇄된 제1 부리와 제1 부리로부터 정 머리부까지 연장되되 정 머리부가 개방된 제1 파이프 몸체부를 포함하는 메인 유공관과, 테이퍼지도록 폐쇄된 제2 부리와 제2 부리로부터 메인 유공관의 일측 측벽까지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과 유체연통되도록 연장되는 제2 파이프 몸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유공관을 포함하는 토양침투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토양침투 구조물{SOIL PENETR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토양침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한 설치작업이 가능하며 높은 빗물침투효율을 가지는 토양침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도심 가로수는 아스팔트와 보도블록 등으로 포장된 보도에 식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도와 보도의 아스팔트와 보도블록 등의 도로포장면은 불투수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빗물 등의 수분이 자연적으로 땅속까지 스며드는 것을 방해한다. 또한 비가 내리면 우수가 빗물받이 맨홀에 모아진 다음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어서, 우수가 도심지의 땅속으로는 침수될 수 없게 되어 도심지 가로수 또는 조경수 등의 식물성 장에 필요한 수분이 우수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공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별도의 수분을 운반하여 가로수 등 식물에 공급하거나, 수분공급원에 호스 등을 연결하여 이를 통해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인력과 비용 등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84688호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에서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은 빗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빗물저수조와 빗물저수조의 측방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빗물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점적형태로 배출시키는 점적배출부재와 빗물저수조와 점적배출부재를 수용하면서 점적배출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빗물이 모여지고, 모여진 빗물이 외측으로 넓게 퍼지면서 배출시키는 수용함체를 포함한다. 빗물저수조는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빗물이 측방으로 배수도록 측방에 형성된 측방배수홀과 저장공간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외부의 세척수를 내부로 공급하는 세척수유입구와 저장공간의 타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 만충전되면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워관과 저장공간의 타측에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의 빗물 또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이와 같은 장치의 설치에는 예산, 공간 및 효율성 측면에서 다양한 제약이 있어 왔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63436호(2014.02.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한 설치작업이 가능하며 높은 빗물침투효율을 가지는 토양침투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퍼(taper)지도록 폐쇄된 제1 부리와, 상기 제1 부리로부터 정(chisel) 머리부까지 연장되되 상기 정 머리부가 개방된 제1 파이프 몸체부를 포함하는 메인 유공관(perforated drainpipe); 테이퍼지도록 폐쇄된 제2 부리와, 상기 제2 부리로부터 상기 메인 유공관의 일측 측벽까지 상기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과 유체연통되도록 연장되는 제2 파이프 몸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유공관을 포함하는 토양침투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의 상기 정 머리부에는 상기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으로 우수(rain-water)를 유입시키는 메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성 유공관의 직경은 상기 메인 유공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파이프 몸체부는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에 대하여 제1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 상기 제2 파이프 몸체부가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2 각도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전의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 상기 제1 부리와 상기 제2 부리간 이격 거리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되기 이전의 상기 제1 부리와 상기 제2 부리간 이격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유공관과 상기 위성 유공관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위성 유공관은 상기 메인 유공관보다 연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의 상기 정 머리부에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토양에 매립시키기 위한 해머부재; 상기 해머부재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커플링시키기 위한 해머 커플러; 및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 상기 정 머리부를 마감하는 마감 커플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 커플러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되, 상기 마감 커플러의 상면은 상기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으로 우수를 유입시키는 메쉬부로 덮히고, 상기 마감 커플러의 상측 일부 영역에는 와이어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국내 비점 오염 저감시설 설계 시 가장 문제가 되는 협소한 부지 문제와 기준치 이상의 침투시설 하층 토양침투율 확보 문제를 단순한 구조와 편리한 설치방식을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양침투 구조물의 구성에 따르면 위성 유공관과 메인 유공관의 견고한 결합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토양으로의 매설 시 위성 유공관을 메인 유공관으로부터 충분히 열개(裂開)시켜 한정된 토양면적에서 높은 빗물침투효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상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을 상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5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토양에 매립된 토양침투 구조물을 유지보수를 위해 토양으로부터 뽑아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상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을 상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토양침투 구조물(1)은 메인 유공관(100)과, 상기 메인 유공관(100)의 일측 측벽으로부터 분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유공관(200, 200', 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위성 유공관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유공관(100)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위성 유공관(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위성 유공관은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유공관(100)으로부터 사방(四方)으로 연장된 4개의 위성 유공관(200')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유공관(10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5개 이상의 위성 유공관(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토양침투 구조물에 구비된 위성 유공관의 개수에는 그 제한이 없다. 다만, 메인 유공관(100)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토양으로의 충분한 우수(rain-water) 전달능력을 구비하기 위해서, 토양침투 구조물은 메인 유공관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연장되는 4개의 위성 유공관을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메인 유공관(100)은 테이퍼(taper)지도록 폐쇄된 제1 부리(120)와, 제1 부리(120)로부터 정(chisel) 머리부(즉, 메인 유공관(100)의 상측 말단)까지 연장되되 상기 정 머리부가 개방된 제1 파이프 몸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리(120)는 도시된 것처럼 하측 말단이 뽀족한 깔대기,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파이프 몸체부(110)는 제1 부리(120)로부터 상측 말단까지 연장되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이프 몸체부(110)의 측벽에는 복수의 천공(perforation, 11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파이프 몸체부(110)의 상면 영역에 위치하는 매쉬부(130)로부터 제1 파이프 몸체부(110)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토양침투 구조물(1)이 매립된 토양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파이프 몸체부(110)의 내측면에는 유량 측정을 위한 눈금(미도시)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매쉬부(130)에 시료(ex, 물)를 순간적으로 투입한 후 (복수의 천공들(111, 211)에 의해 토양으로 시료가 배출됨에 따라 발생하는) 내부 수위저하 속도 내지 시간을 카운팅함으로써 토양침투 구조물의 토양침투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위성 유공관(200)은 테이퍼지도록 폐쇄된 제2 부리(220)와, 제2 부리(220)로부터 메인 유공관(100)의 일측 측벽까지 연장되는 제2 파이프 몸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부리(220)는 도시된 것처럼 하측 말단이 뽀족한 깔대기,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파이프 몸체부(210)는 제2 부리(220)로부터 상측 말단까지 연장되는 속이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파이프 몸체부(210)의 측벽에는 복수의 천공(21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파이프 몸체부(210)의 제1 파이프 몸체부(110)의 내부로부터 제2 파이프 몸체부(210)의 내부로 전달된 우수를 토양침투 구조물(1)이 매립된 토양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위성 유공관(200)을 포함함으로써, 토양침투 구조물(1)은 부피 대비 높은 침투효율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포크레인 등의 매설장비 없이도 해머 등을 통해 토양으로 매립시공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위성 유공관(200)은 메인 유공관(100)의 측벽으로부터 분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파이프 몸체부(210)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제1 파이프 몸체부(11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때 위성 유공관(200)은 상기 메인 유공관(100)의 내부영역과 유체연통되도록 메인 유공관(100)의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파이프 몸체부(210)가 결합되는 제1 파이프 몸체부(110)의 측벽 영역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2 파이프 몸체부(210)의 내부 영역은 제1 파이프 몸체부(110)에 형성된 복수의 천공들(111)을 통해 제1 파이프 몸체부(110)의 내부영역과 유체연통될 수도 있다.
한편, 위성 유공관의 직경(200r)은 메인 유공관의 직경(100r)보다 작을 수 있다. 위성 유공관(200)과 메인 유공관(100)의 견고한 결합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토양으로의 매설 시 위성 유공관(200)이 메인 유공관(100)으로부터 충분히 열개(裂開)되기 위해서, 즉 안정적 빗물 토양침투능 확보를 위해, 위성 유공관의 직경(200r)은 메인 유공관의 직경(100r)의 약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40%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메인 유공관의 직경(100r)은 대략 80mm 내지 120mm, 위성 유공관의 직경(200r)은 대략 16mm 내지 48mm일 수 있다.
나아가, 토양으로의 매립 과정에서의 위성 유공관(200) 내구성 확보를 위해, 위성 유공관(200)은 토양침투 구조물(1)의 상부 영역에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즉, 위성 유공관(200)이 메인 유공관(100)에 결합되는 영역은 토양침투 구조물(1)의 전체 높이(100h)의 중간위치(100h_c)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견고성 및 토양침투능 확보를 위해, 위성 유공관(200)이 메인 유공관(100)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200g)는 대략 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30°일 수 있다. 즉, 도시된 것처럼 위성 유공관(200)은 메인 유공관(100)에 대하여 소정 각도(200g)로 기울어진 채 메인 유공관(100)에 결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파이프 몸체부(210)는 제1 파이프 몸체부(110)에 대하여 제1 각도(200g)로 기울어지도록 제1 파이프 몸체부(110)에 결합되며, 토양침투 구조물(1)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는(도 6 참조), 제2 파이프 몸체부(210)가 제1 파이프 몸체부(110)에 대하여 벌어지며 이에 따라 제2 파이프 몸체부(210)가 제1 파이프 몸체부(110)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2 각도(200eg)는 토양침투 구조물(1)이 토양에 매립된 이전의 상기 제1 각도(200g)보다 커지게 된다.
빗물 토양침투능 증대를 위해, 메인 유공관(100)과 위성 유공관(200)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유공관(100)은 위성 유공관(200)보다 강성이 높은 재질로, 위성 유공관(200)은 메인 유공관(100)보다 연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5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1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메인 유공관 및 위성 유공관을 포함하는 메인 바디부(20)를 포함하되, 메인 바디부(20)의 정 머리부(즉, 상측 말단)는 튜브 형상으로 개방되되 적어도 하나의 커플러(30, 40) 또는 해머부재(50)를 탈착가능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1)는 나사산 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커플러(30, 40) 또는 해머부재(50)와 나사결합될 수 있으나, 그 결합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토양침투 구조물(10)의 매립 시공시 결합부(21)에는 토양침투 구조물을 토양에 매립시키기 위한 해머부재(50) 또는 해머부재와 토양침투 구조물을 커플링시키기 위한 해머 커플러(4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매립 시공시 토양침투 구조물(10)의 주요 골격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양침투 구조물(10)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는, 해머부재(50) 또는 해머 커플러(40)가 탈거되고, 정 머리부를 마감하는 마감 커플러(30)가 결합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매립된 토양침투 구조물(10)로의 이물질 차단 및 우수 유입을 위해, 마감 커플러(30)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되 상면은 메쉬부(33)로 덮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마감 커플러(30)의 상측 일부 영역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와이어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홀(3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토양에 매립된 토양침투 구조물을 유지보수를 위해 토양으로부터 뽑아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토양침투 구조물(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토양침투 구조물(1)이 상술한 토양침투 구조물들(1', 1", 10) 또는 그 조합에 따른 토양침투 구조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토양침투 구조물은 도 6에 도시된 손망치 또는 도 5에 도시된 해머부재 등을 통해 토양에 매립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처럼 토양침투 구조물의 매립 이전에 해당 영역의 터파기 작업이 사전적으로 수행되고, 토양침투 구조물의 매립 이후 인근 토양 복원 작업이 사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토양침투 구조물의 매립 이후 빗물은 토양 상부로 노출된 매쉬부(130)를 통해 토양침투 구조물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빗물은 메인 유공관(100)과 위성 유공관(200)들의 천공들을 경유하여 내부 토양층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매쉬부(130)에 의해 온전히 필터링되지 않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토양침투 구조물 유지보수를 위해, 토양침투 구조물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토양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보다 용이한 토양침투 구조물 제거를 위해, 토양침투 구조물의 상측 영역에 와이어(W)를 결합할 수 있으며(상기 와이어는 예를 들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와이어 홀(32) 등에 끼움결합되어 토양침투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와이어(W)의 일측과 연결되는 지렛대(L) 등이 추가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테이퍼(taper)지도록 폐쇄된 제1 부리와, 상기 제1 부리로부터 정(chisel) 머리부까지 연장되되 상기 정 머리부가 개방된 제1 파이프 몸체부를 포함하는 메인 유공관(perforated drainpipe);
    테이퍼지도록 폐쇄된 제2 부리와, 상기 제2 부리로부터 상기 메인 유공관의 일측 측벽까지 상기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과 유체연통되도록 연장되는 제2 파이프 몸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성 유공관을 포함하는, 토양침투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의 상기 정 머리부에는 상기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으로 우수(rain-water)를 유입시키는 메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침투 구조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유공관의 직경은 상기 메인 유공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침투 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 몸체부는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에 대하여 제1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 상기 제2 파이프 몸체부가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2 각도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전의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침투 구조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 상기 제1 부리와 상기 제2 부리간 이격 거리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되기 이전의 상기 제1 부리와 상기 제2 부리간 이격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침투 구조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공관과 상기 위성 유공관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위성 유공관은 상기 메인 유공관보다 연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침투 구조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몸체부의 상기 정 머리부에는,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토양에 매립시키기 위한 해머부재; 상기 해머부재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커플링시키기 위한 해머 커플러; 및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이 토양에 매립된 이후에 상기 정 머리부를 마감하는 마감 커플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토양침투 구조물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침투 구조물.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커플러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되,
    상기 마감 커플러의 상면은 상기 메인 유공관의 내부영역으로 우수를 유입시키는 메쉬부로 덮히고,
    상기 마감 커플러의 상측 일부 영역에는 와이어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침투 구조물.
KR1020210059027A 2021-05-07 2021-05-07 토양침투 구조물 KR102577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27A KR102577153B1 (ko) 2021-05-07 2021-05-07 토양침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027A KR102577153B1 (ko) 2021-05-07 2021-05-07 토양침투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803A true KR20220151803A (ko) 2022-11-15
KR102577153B1 KR102577153B1 (ko) 2023-09-11

Family

ID=8404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027A KR102577153B1 (ko) 2021-05-07 2021-05-07 토양침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1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797U (ko) * 2010-05-13 2011-11-21 곽남현 토양의 공기 및 영양분 공급장치
KR101363436B1 (ko) 2013-07-18 2014-02-14 박성화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
KR20150011992A (ko) * 2013-07-24 2015-02-03 한세희 육묘용 물통
KR20190082466A (ko) * 2018-01-02 2019-07-10 정쌍영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00053801A (ko) * 2018-11-09 2020-05-19 강대욱 조경용 대형수목을 보호 생육하기 위한 급수용 통기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797U (ko) * 2010-05-13 2011-11-21 곽남현 토양의 공기 및 영양분 공급장치
KR101363436B1 (ko) 2013-07-18 2014-02-14 박성화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
KR20150011992A (ko) * 2013-07-24 2015-02-03 한세희 육묘용 물통
KR20190082466A (ko) * 2018-01-02 2019-07-10 정쌍영 수목뿌리용 점적 관수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00053801A (ko) * 2018-11-09 2020-05-19 강대욱 조경용 대형수목을 보호 생육하기 위한 급수용 통기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153B1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73003A (ja) ナトム工法で施工されたトンネルの漏水対策工法
CN208502838U (zh) 一种高速公路隧道防排水系统
US20220356691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KR101962091B1 (ko) 수질 모니터링이 가능한 관측정을 가진 lid 침투 도랑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CN108951649B (zh) 一种基坑支护结构
JP4074313B2 (ja) 通水用鋼矢板、および通水土留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220151803A (ko) 토양침투 구조물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CN107489096B (zh) 一种城市高架道路雨水快速收集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481148B1 (ko) 헥사튜브코넥터 배수공법
KR20190076949A (ko) 프랑스식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수 설비 시스템을 위한 장치
KR101038336B1 (ko) 도로 l형 측구에 저류조 방식을 이용한 빗물분산과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비점 오염 저감 여과 장치
JP3888857B2 (ja) 雨水流出抑制処理施設
WO2021125170A1 (ja) 水害時2次排水方法
CN208364078U (zh) 一种钻探用的环保泥浆循环及收纳的装置
GB2489455A (en) A drainage system for a tree pit
KR20050036221A (ko) 빗물의 저류 및 저감용 맨홀설비장치
KR101218752B1 (ko) 빗물저장침투장치
CN107386320B (zh) 穿越地下混凝土水管道的地下管廊的施工方法
KR101767657B1 (ko) 일체형 스핀들 내장 제수변 보호통
KR200342683Y1 (ko) 빗물의 저류 및 저감용 맨홀설비장치
KR102660526B1 (ko) 하천 침수지에 구축된 수영장의 수해복구 시스템
KR200406579Y1 (ko) 도로의 보조 배수구조
KR20060101596A (ko) 지중수 배수 구조를 갖는 축조블록
CN207828992U (zh) 一种简易降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